KR920001727B1 - 젤리 충전통신 케이블의 젤리, 피복물 및 동 회수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젤리 충전통신 케이블의 젤리, 피복물 및 동 회수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727B1
KR920001727B1 KR1019890020365A KR890020365A KR920001727B1 KR 920001727 B1 KR920001727 B1 KR 920001727B1 KR 1019890020365 A KR1019890020365 A KR 1019890020365A KR 890020365 A KR890020365 A KR 890020365A KR 920001727 B1 KR920001727 B1 KR 920001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
coating
separation
cylinder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303A (ko
Inventor
안병래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유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유인영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20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727B1/ko
Publication of KR910013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2Filling or coating with impervi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젤리 충전통신 케이블의 젤리, 피복물 및 동 회수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회수공정 상태를 나타내는 장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리통체 101 : 용기
3 : 가열수단 4 : 뚜껑
6,601 : 공급관 7,701 : 분사구
9 : 젤리배출관 12 : 피복물 배출관
15 : 진공펌프 16,17 : 분리통
18 : 젤리회수통 19 : 피복물 회수통
20,21 : 냉각기 22,23 : 진공냉각기
24,25 : 공급통
본 발명은 젤리 충전통신 케이블의 동(CU)과 젤리 및 피복물을 분리회수하여 이들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젤리 충전통신 케이블의 젤리, 피복물 및 동 회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금에 이르러 통신 및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이를 위하여 각종의 전신과 케이블이 다량 생산되고 있으며 전선과 케이블의 생산량 증대에 따라 폐전선이나 불량전선의 량도 증가하게 되었고 이들의 처리 문제도 심각한 실정에 이르렀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폐전선이나 불량전선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일부 안출되고 있으며 그 방법들을 보면 분쇄 분리법, 소각 분리법 및 용해분리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중 분쇄 분리법은 폐전선의 물리적 특성에 의하여 그 분쇄가 용이하지 못하였고, 분쇄시 동력비가 많이 들었으며 분진 및 소음의 발생으로 환경공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소각분리법은 폐전선 등을 소각함에 따라 악취와 유해한 연소가스가 발생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젤리와 피복물을 회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용해 분리법은 톨루엔을 사용하여 폐전선을 용해하고 이로부터 동과 피복물을 회수하고 있으나, 젤리의 회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또 피복물의 주성분인 폴리에틸렌 수지의 특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아로마틱 탄화수소 계열의 용제를 사용하고 또 젤리 충전된 통신 케이블에 있어서 동과 젤리 및 피복물의 분리회수를 위한 분리 회수장치를 이용하여 동과 젤리 및 피복물을 용이하게 분리, 회수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 이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분리통체(1)내에 폐 젤리 충전통신 케이블 아로마틱 탄화수소 계열의 용제를 투입하고 용기(1)내의 온도를 약 120℃ 정도로 약 1-1.5시간 동안 가열하여 젤리와 피복물, 등을 각각 분리하여 이들을 분리상태로 회수할 수 있다.
이를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면 하방에 걸림부(2)와 통공을 가진 용기(101)를 구비한 분리통체(1)의 외측에 가열수단(3)을 구비하고 분리통체(1)의 상부에는 압력계(5)와 온도기록계를 구비한 뚜껑(4)을 설치하며 뚜껑(4)의 양방에 밸브(8)(801)와 분사구(7)(701)를 가진 공급관(6)(601)을 설치한다.
상기 분리통체(1)의 하부에는 상,하 밸브(101)(11)를 가진 젤리 배출관(9)과 상,하 밸브(13)(14)를 가진 피복물 배출관(12)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 배출관(9)(12)은 진공펌프(15)에 연결한다.
상기 각 배출관(9)(12)의 일단에는 가열 Heater가 내장된 각각의 분리통(16)(17)을 설치하고 이들의 하방에는 각각의 젤리 회수통(18)과 피복물 회수통(19)을 설치하고 상기 각 배출관(9)(12)과 회수통(18)(19) 사이에는 개폐밸브(181)(191)를 각각 설치한다.
또한 상기 분리통(16)(17)들의 측방에는 진공냉각기(20)(21)를 설치하고 각 진공냉각기(20)(21)의 끝단은 각각의 공급통(24)(25)에 연결하여 상기 공급관(6)(601)의 하단에 상기 공급통(24)(25)을 각각 연결 설치한다.
상기 용기(101)내에는 분리, 회수를 위한 폐전선(26)등과 용제(27)가 함께 투입되어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분리통체(1)의 뚜껑(4)을 개방하여 분리통체(1)내의 용기(101)에 분리를 위한 폐전선(26)과 적정량의 용제(27)를 투입하고 상기 뚜껑(4)을 닫는다.
상기한 상태에서 공급관(6)(601)의 밸브(8)(801)을 개방하고 각 배출관(9)(12)의 상부 밸브(10)(13)을 폐쇄하고서 상온의 상태에서 분리통체(1)을 분간 상하로 흔들어 줌으로써 폐전선으로부터 젤리를 분리한다. 밸브(10)(11)를 열어 상기에서 분리된 젤리 용액을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분리통(16)으로 이송시킨다.
젤리와 용제가 함께 이송된 분리통(16)을 70℃로 가열시켜 용제(27)만이 공급통(24)로 수거되게 한다. 이때 진공냉각기에는 냉각수와 함께 진공상태를 유지시킨다. 또, 공급통(24)내의 용제(27)는 공급관(6)을 통해 분사구(7)로 분사된다.
상기 분리통(16)에 남아있는 젤리는 개폐밸브(181)을 개방함과 동시에 진공펌프를 가동시켜 젤리 회수통(18)으로 보내지며 이로써 젤리 회수작업이 완료된다.
젤리가 분리된 상태로 분리통체(1)에 남아있는 폐전선으로부터 동과 절연체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가열수단(3)을 적정온도(약 120℃)로 가열시키게 되면 분리통체(1)내에 용제(27)와 폐전선(26)의 화학적용에 의하여 피복물이 일차적으로 분리되어 공급통(24)(25)내에 있던 용제(27)는 공급관(6)(601)의 진공상태에 따라 상승하여 분사구(7)(701)를 통해서 용기(101)의 상부로부터 용제(27)를 분사하게 되고 상기 분리통체(1)의 압력을 압력계(5)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를 약 1-1.5시간 지속시키면, 폐전선(26)의 동과 피복물이 완전히 분리되며 상기 피복물은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용기(101)의 통공을 통해서 분리통체(1)의 지면부에 쌓이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피복물 배출관(12)의 상,하 밸브(13)(14)를 모두 개방하고 진공펌프(15)를 구동시키면 상기 분리통체(1)내의 용제(27)와 용해된 피복물이 함께 피복물 배출관(12)을 따라 배출되어 분리통(17)에 담겨지게 되며 피복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개방되어 있던 밸브(13)(14)를 폐쇄시키고 분리통체(1)의 가열수단(3)을 90℃ 이하로 조절한다.
이와 동시에 분리통(17)에 유입된 피복물과 용제(27)는 분리통(17)내에서 분리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온도차에 따른 용해도가 감소하여 일부의 피복물은 분리통(17)의 하부로 가라앉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통(17)의 가열수단(3)을 사용하여 분리통(17)의 내부온도를 70℃로 유지하면서 진공 증류법에 의해서 용제를 증류하여 공급통(25)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용제(27)는 진공냉각기(21)에서 냉각되면서 공급통(25)에 모여지게 되고 공급통(25)에 모여진 용제(27)는 공급관(601)을 따라 분사구(701)을 통해서 분리통체(1)로 다시 분사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리, 회수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공급관(6)(601)의 각 밸브(8)(801)를 폐쇄시키고 진공펌프(15)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분리통체(1)의 뚜껑(4)을 열고 용기(101)를 분리통체(1)에서 꺼내어 동을 회수하며 사익 용기(101)내에 새로운 폐전선(26)을 담아 다시 분리통체(1)에 넣어 다음의 작업을 행하게 되며 상기 용기(101)는 분리통체(1)의 걸림부(2)에 걸려 이의 지면부와 일정간격 만큼 이격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약 120℃의 온도로 피복물을 용해하고, 또 상온에서 젤리를 분리하며 분리된 피복물과 젤리를 분리수단을 통해 각기 별도로 용제와 분리, 회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동과 젤리 및 피복들의 분리, 회수가 확실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기의 분리, 회수시간이 종래의 방법들에 비하여 짧게되고 또 환경오염이나 공해를 유발시키는 일이 없게 되며 또 용제의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2)

  1. 폐전선 및 불량전선을 분리통체(1)에 투입하고 상기 투입된 폐전선 등을 아로마틱 탄화수고 계열의 용제로써 상온에서 젤리를 분리하고, 이를 약 120℃에서 약 1-1.5시간 용해하여 동과 피복물을 분리, 회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의 젤리와 피복물의 회수방법.
  2. 용기(101)가 내장되는 분리통체(1)의 상부에 분사구(7)(701)를 가진 공급관(6)(601)과 뚜껑(4)을 설치하고 분리통체(1)의 외주에는 가열수단(3)을 구비하여 상기 분리통체(1)의 하방에 젤리 배출 및 분리수단과 피복물 배출 및 분리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분리수단과 공급통(24)(25) 사이에 냉각기(20)(21)과 진공관(22)(23)을 연결설치토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의 젤리와 피복물 회수장치.
KR1019890020365A 1989-12-30 1989-12-30 젤리 충전통신 케이블의 젤리, 피복물 및 동 회수방법 및 장치 KR920001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20365A KR920001727B1 (ko) 1989-12-30 1989-12-30 젤리 충전통신 케이블의 젤리, 피복물 및 동 회수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20365A KR920001727B1 (ko) 1989-12-30 1989-12-30 젤리 충전통신 케이블의 젤리, 피복물 및 동 회수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303A KR910013303A (ko) 1991-08-08
KR920001727B1 true KR920001727B1 (ko) 1992-02-24

Family

ID=1929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365A KR920001727B1 (ko) 1989-12-30 1989-12-30 젤리 충전통신 케이블의 젤리, 피복물 및 동 회수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7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282B1 (ko) * 2005-04-04 2007-02-22 학산금속공업 주식회사 폐통신선으로부터 구리, 젤리, 폴리에틸렌수지를 회수하는 장치 및 회수하는 방법
KR101147919B1 (ko) * 2011-08-12 2012-05-24 주식회사 제이엠에스 네트웍스 통신케이블 재활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신케이블 재활용 방법
KR101389210B1 (ko) * 2008-06-27 2014-04-24 주식회사 케이티 젤리 충전 통신 케이블에서 구리를 추출하는 장치 및 그방법
KR101395385B1 (ko) * 2007-12-07 2014-05-14 주식회사 케이티 불용 동케이블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
KR101452506B1 (ko) * 2008-06-27 2014-10-21 주식회사 케이티 젤리 충전 통신 케이블의 젤리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898B1 (ko) * 1998-05-28 2000-11-15 한정남 절연젤리액이사용된폐절연케이블로부터의동선회수방법
KR100980077B1 (ko) * 2010-06-18 2010-09-06 주식회사 비즈코리아 젤리 충전 통신 케이블의 젤리 제거 장치 및 젤리 제거 방법
KR101690827B1 (ko) 2013-06-28 2016-12-2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순도 구리 회수를 위한 젤리 충진 폐통신선의 재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 방법
KR101593132B1 (ko) * 2014-02-07 2016-02-12 (주)엔에이치리사이텍컴퍼니 폐전선의 자원 재생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282B1 (ko) * 2005-04-04 2007-02-22 학산금속공업 주식회사 폐통신선으로부터 구리, 젤리, 폴리에틸렌수지를 회수하는 장치 및 회수하는 방법
KR101395385B1 (ko) * 2007-12-07 2014-05-14 주식회사 케이티 불용 동케이블의 자원화 장치 및 방법
KR101389210B1 (ko) * 2008-06-27 2014-04-24 주식회사 케이티 젤리 충전 통신 케이블에서 구리를 추출하는 장치 및 그방법
KR101452506B1 (ko) * 2008-06-27 2014-10-21 주식회사 케이티 젤리 충전 통신 케이블의 젤리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1147919B1 (ko) * 2011-08-12 2012-05-24 주식회사 제이엠에스 네트웍스 통신케이블 재활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신케이블 재활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303A (ko) 199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727B1 (ko) 젤리 충전통신 케이블의 젤리, 피복물 및 동 회수방법 및 장치
CN106281396B (zh) 废塑料裂解设备及方法
WO2010055997A2 (ko) 원유 속에 포함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원유 전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5300267A (en) Reclaimer apparatus
CN116042250A (zh) 一种基于废旧轮胎热解处理的钢丝无剥离生产系统及方法
KR100420079B1 (ko) 박리액의재생방법및장치
KR200232141Y1 (ko) 젤리 통신폐전선의 젤리 분리장치
CN212076971U (zh) 热解煤气分级冷凝且热量梯级利用系统
CN102020567B (zh) 一种粗硝基苯精制方法及其装置
KR0127084B1 (ko) 폐케이블의 냉동분쇄분리장치 및 그 방법
CN201313104Y (zh) 废弃电路板焊锡回收装置
CN202316484U (zh) 一种废弃电路板金属回收装置
WO2021107181A1 (ko) 폐 수지 유화 플랜트 시스템
KR20050076204A (ko) 폐타이어 열분해 오일화 장치
CN107267185A (zh) 一种亚临界萃取含油废弃物的装置及方法
KR910007451B1 (ko) 폴리에치렌수지 피복폐전선의 재활용장치
KR101140339B1 (ko) 합성수지/금속 복합 폐기물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101593132B1 (ko) 폐전선의 자원 재생장치
CN206033679U (zh) 废塑料裂解设备
CN208182921U (zh) 一种原油固液分离系统
KR101397665B1 (ko) 불용 통신 케이블에서 구리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CN204702700U (zh) 一种分离化产焦油废料固液成分的设备
CN211946932U (zh) 一种焦化粗苯分离水回用系统
CN117096487B (zh) 一种湿法锂电池隔膜废料的白油快速回收方法
CN219897430U (zh) 一种可二次处理的油气回收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