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723Y1 - 캔 자동 다원화 충입장치 - Google Patents

캔 자동 다원화 충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723Y1
KR920001723Y1 KR2019890016220U KR890016220U KR920001723Y1 KR 920001723 Y1 KR920001723 Y1 KR 920001723Y1 KR 2019890016220 U KR2019890016220 U KR 2019890016220U KR 890016220 U KR890016220 U KR 890016220U KR 920001723 Y1 KR920001723 Y1 KR 920001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veyor line
pusher
fill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6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100U (ko
Inventor
김진만
Original Assignee
인화공영 주식회사
이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화공영 주식회사, 이인원 filed Critical 인화공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6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723Y1/ko
Publication of KR9100091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1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7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 B67C2003/2657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specially adapted for filling 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캔 자동 다원화 충입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 장치의 전체 라인을 설명하는 평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단위 기본 충입장치의 구조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중 계량장치의 구조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컨베어라인 2 : 홀센서
3 : 푸셔 3a : 스토퍼
4 : 푸셔 5 : 이송로울러라인
6 : 계량장치 7 : 승강기
8 : 노즐장치 9 : 반출컨베어라인
10 : 전환용 로울러
본 고안은 도료, 신나, 석유, 오일, 약품, 세제, 잉크, 접착제, 액상식품등을 빈 캔에 대하여 여러곳에서 자동으로 충진시키고 이송시키는 장치이며 특히 동력으로서 전기를 사용치 않는 공압 시스템으로서 전기 사고에 의한 폭발 위험이 제거되는 캔 자동 다원화 충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액상 물질들은 이형상태의 각종 대소형 캔에 충입하는 것임으로 작업량이 지연되고 무거움으로 작업중 이송하거나 정확한 양을 조정하기에 난이 하였다. 또한 작업을 수행하는 동력을 전기로 장치한다면 인화성 있는 액상 물질에 합선과 누전으로 인한 폭발사고의 위험이 많기 때문에 더욱 자동화장치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캔의 충입 노즐을 다원화하여 동시 주입이 가능하고 모든 동력을 공압시스템으로 원격제어함으로서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한 캔 자동 다원화 충입장치를 창출한 것으로서 그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빈 캔의 진입 컨베어라인(1)에 캔의 홀센서(2)를 설치하고 컨베어라인(1) 끝에는 90도 전환되는 위치에서 단위 기본 충입유니트(B) 쪽으로 밀어주는 푸셔(3) 및 스터퍼(3a)를 설치하고 단위기본 충입 유니트(B)는 각기 뒤쪽에 푸셔(4), 그 앞에 이송로울러라인(5) 및 그 옆에 계량장치(6)를 설치하여 그 계량장치(6)의 옆에 승강기(7)가 설치된 충입 노즐장치(8)를 하향으로 설치하며 단위기본 충입 유니트(B) 옆으로 착탈가능한 증설 충입 유니트(B')(B'')(B''')를 수개조로 연결하며 각기의 이송로울러 라인(5)의 끝단에 반출컨베어 라인(9)을 밀접하게 설치시키되 그 45도 모서리 위치에 진행방향 전환용 로울러(10)을 축설시킨 일련의 장치이며 이들을 공지의 공압 원격 자동제어 회로에 유기적으로 연결시킨 구조이다.
미설명부호 11은 캔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운용 수순은 먼저 많은 빈캔들이 진입 컨베어라인(1)으로 진입되는데 이때 홀센서(2)가 캔의 홀이 정위치인가를 감지하여 만약 정위치가 아닐때는 자동 제어회로에 신호하게 하고 제어회로의 진입 컨베어라인(1)의 동력부에 지시하여 진입을 중단시킴과 동시 부자를 울림으로서 캔의 위치를 올바르게 수정할 수 있는 것이고, 캔이 진입 컨베어라인 끝까지 도달하면 푸셔(3)가 90도 각도로 하나씩 밀어줌으로서 캔들은 각 충입유니트(B')(B'')(B''')들의 이송로울러라인(5)으로 이송되게 하며 이때 스토퍼(3a)는 다른 캔이 진입되지 못하도록 제지하는 것이다.
이송 로울러라인(5)으로 캔들이 이송되면 각기의 푸셔(4)가 뒤를 밀어서 캔들을 각기의 계량장치(6) 위에 밀어 올리게 되어 승강기(7)가 하강하여 충입 노즐장치(8)가 캔의 홀 바로 상단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충입 노즐장치(8)가 내용물의 주입을 수행하기 시작하여 내용물의 주입이 완료되면 계량장치(6)에서 주입완료 신호를 제어장치에 보여서 다음 캔을 밀어줌으로서 캔이 앞으로 이동하고 반출컨베어라인(9)의 진행력이 90도 전환되는 힘에 의해 로울러(10) 부위에서 몸체가 부딪침과 동시 회전하면서 자연히 방향을 바꿔 반출컨베어라인(9) 밖으로 반출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작업자 1인으로서 전체공정을 제어할 수 있고 작업의 양에 따라 증설유니트를 설치함으로 보다 효율적이며 모든 동력을 공압시스템으로 수행함으로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빈캔의 진입 컨베어라인(1)에 캔의 홀센서(2)를 설치하고 컨베어라인(1) 끝에는 90도 전환되는 위치에서 단위기본 충입유니트(B) 쪽으로 밀어주는 푸셔(3) 및 스토퍼(3a)를 설치하고 단위기본 충입 유니트는 뒤쪽에 푸셔(4), 그 앞에 이송로울러라인(5) 및 그 옆에 계량장치(6)를 설치하여 그 계량장치(6)의 옆에는 승강기(7)가 설치된 충압 노즐장치(8)을 설치하며 기본 충입유니트(B)의 끝단에는 반출컨베어라인(9)에 밀접시키되 그 45도 모서리 위치에 진행방향을 전환용 로울러(10)을 축설시킨 일련의 장치이며 이들을 공지의 공압 원격 자동제어 회로에 유기적으로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자동 다원화 충입장치.
KR2019890016220U 1989-11-02 1989-11-02 캔 자동 다원화 충입장치 KR920001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220U KR920001723Y1 (ko) 1989-11-02 1989-11-02 캔 자동 다원화 충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220U KR920001723Y1 (ko) 1989-11-02 1989-11-02 캔 자동 다원화 충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100U KR910009100U (ko) 1991-06-28
KR920001723Y1 true KR920001723Y1 (ko) 1992-03-13

Family

ID=1929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6220U KR920001723Y1 (ko) 1989-11-02 1989-11-02 캔 자동 다원화 충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7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100U (ko) 199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42567B1 (en) Apparatus for filling bags
EP0311229A3 (en) Automatic dispensation of dye solutions
CA10450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US3722656A (en) System for handling and accumulating articles
JPH07121352B2 (ja) 閉じた容器内に貯蔵された成分を自動的に混合する装置
GR3005418T3 (ko)
EP0598223A3 (en) Dispenser capsule for fluid container with movable dispensing spout.
GB2193481A (en) Apparatus for packaging particulate product in bags for deposit into cartons
KR920001723Y1 (ko) 캔 자동 다원화 충입장치
DE3264119D1 (en) Device for sorting containers
US6804931B2 (en) Carton filling devices
FI87062C (fi) Stockningsdetektor i foerpackningsmaskin
CA2146883A1 (en) Apparatus for segregating and feeding fruit from a bulk supply
US2788134A (en) Automatic loading station
US5489185A (en) Pallet load unloader and feeder
KR910007467Y1 (ko) 캔자동 다원화 충입장치의 작동 공압 i.c 회로
CA1081271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ongated articles from a single file supply into product buckets of a cartoner
KR910006628B1 (ko) 캔의 캡핑(capping) 장치
US2975569A (en) Filled container caser
KR102323344B1 (ko) 반자동식 접착제 포장설비
SU150055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кладки изделий в тару
CN111483819B (zh) 一种基于自动分流码垛系统的煎药系统及其控制方法
SU133905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кладки изделий в тару
NO854777L (no) Anordning for elektronisk styring av arbeidsoperasjoner.
JPS5727820A (en) Return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