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696Y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696Y1
KR920001696Y1 KR2019870009753U KR870009753U KR920001696Y1 KR 920001696 Y1 KR920001696 Y1 KR 920001696Y1 KR 2019870009753 U KR2019870009753 U KR 2019870009753U KR 870009753 U KR870009753 U KR 870009753U KR 920001696 Y1 KR920001696 Y1 KR 920001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isplay
outer frame
cas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9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756U (ko
Inventor
마사오 쓰네카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07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7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6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표시장치
제 1 도 내지 제 4 도는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제 1 도는 표시부와 조작부를 장착한 상자체(13)의 일부단면상면도, 제 2 도는 바깥물(8)의 사시도, 제 3 도는 바깥물(8)에서 분리한 표시부케이스(9)등의 측면도, 제 4 도는 표시부케이스(9)의 사시도.
제 5 도 내지 제 8 도는 종래의 실시예로서, 제 5 도는 그 정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우측면도, 제 7 도는 그 정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우측면도.
제 9 도, 제 10 도는 본원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 9 도는 바깥틀(8)의 사시도, 제 10 도는 바깥틀(8)에서 분리한 표시부 케이스(9)의 측면도.
제 11 도, 제 12 도는 각각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표시부와 조작부를 장착한 상자체(13)의 일부 단면 상면도.
제 13 도는 제 5 도의 A-A선 단면도.
제 14 도는 제 7 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제어장치반의 도어 8 : 바깥틀
8a : 개구부 8b : 록구멍
9 : 표시부케이스 9a : 록스프링
9b : 록볼록부 10 : 단자
11 : 케이블
본원 고안은 모터제어장치반 또는 배전반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고장표시장치로서의 종래예를 제 5 도 내지 제 8 도에 나타낸다. (1)은 바깥틀, (2)는 바깥틀(1)을 장착, 분리하기 위한 바깥틀 고정나사, (3)은 본체, (4)는 숫자표시등, (5)는 표시등, (6)은 숫자표시등의 조정기 손잡이, (7)은 제어장치반의 도어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5 도는 종래예 1의 정면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며, 제 6 도는 제 5 도의 오른쪽 측면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제 13 도는 제 5 도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종류의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표시부와 보호조작부가 일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도어(7)에 부착된다. 보호조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바깥틀(1)의 고정나사(2)에 의해 바깥틀(1)을 본체(3)로부터 분리하고, 조정기 손잡이(6)를 돌린다. 이와같이, 도어 표면에서 표시부의 숫자표시등(4) 및 표시등(5)을 보면서 조정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 1은 도어 표면에서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인들이 쓸데없이 조정부를 건드리지 않는가를 빈번히 감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결점이 있다.
다음에, 제 7 도는 종래예 2의 정면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며, 제 8 도는 제 7 도의 우착면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제 14 도는 제 7 도의 B-B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종래예 2는 상기 종래예 1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보호조작부와 표시부를 각각 독립시켜서, 보호조작부를 제어장치반내에 장착하고, 표시부만 도어 표면에 장착한 것이다. 조정을 행할 경우에는 도어(7)를 열고 내부의 보호조작부의 조정손잡이를 돌려서 조정하지만, 표시부는 도어의 외측에서 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빈번히 도어의 전후로 이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종래예 2의 표시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시부의 숫자표시등(4) 및 고장개소 표시등(5)이 도어표면에 있고, 또한 조정부가 제어장치반내에 있기 때문에 조정작업에 있어서는 빈번히 이동이 필요하여 조정작업을 행하기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예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원 고안은 전면에 도어를 갖는 제어장치반 또는 배전반에 있어서, 고정의 상태 또는 회로의 계측치 또는 회로의 개폐상태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수납 지지하는 표시부케이스와, 상기 도어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 둘레에 액자모양으로 부착된 바깥물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케이스를 상기 도어의 내면으로 부터 상기 바깥물에 장착,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장착시에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바깥틀의 창을 통하여 상기 도어의 정면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다.
본원 고안에 관한 표시장치는 표시부를 내장한 표시부케이스의 양측면 또는 상하면에 슬라이드부와 스프링성을 가진 걸림부를 구비한 슬라이드부재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스라이드부재와 걸어 맞추어지는 걸림부를 바깥틀에 설치하여, 이 바깥틀에 상기 표시부케이스를 도어 내면으로부터 장착,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원 고안에 있어서는 표시장치의 조정시에 슬라이드부재와 걸림부의 걸어 맞춘 것을 벗겨, 표시부를 수납한 케이스를 바깥틀로부터 분리하고, 조정후에는 바깥틀에 장착해둔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는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이고, 도면에 있어서, 바깥틀(8)의 내부에 표시부케이스(9)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개구부(8a)를 형성하고, 바깥틀(8) 측면의 록(lock) 구멍(8b)에 표시부케이스(9)의 록볼록부(9b)가 끼워 맞추어지며, 표시부케이스(9)의 양끝에 록스프링(9a)의 스프링압력에 의해 지지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록 스프링(9a)은 표시부케이스(9)와 같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어(7)에 부착된 바깥틀(8)에 장착된 표시부케이스(9)등을 도어(7)를 열어 도어(7)의 내면으로부터 록스프링(9a)을 눌러 록을 해제하고, 즉 록구멍(8b)과 록블록부(9b)의 걸어 맞춘 것을 벗겨서 표시부케이스(9)를 바깥틀(8)로 부터 분리하여, 표시부의 숫자 표시등(4) 및 표시등(5)을 보면서, 상자체(13)에 장착된 조작부(12)의 조정기 손잡이(6)을 돌려서 조정한다. (10)은 단자, (11)은 케이블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장표시장치는 고정개소 및 수치를 LED발광다이오드 또는 액정으로 표시하는 것이며, 표시부 케이스(9)내에는 이들 표시부를 구동하는 프린트 기판 등의 회로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표시부는 발광다이오드, 또는 액정의 예를 나타냈으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실시예이며, 프라도 또는 형광관이라도 동등한 효과를 올릴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표시부케이스(9)는 록스프링(9a)을 사용하여 장착하는 예를 들었으나, 제 11 도의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14)로 고정시키는 방식이라도 이 실시예보다는 약간의 작업성은 떨어지나, 종래의 것에 비하여 대폭적으로 향상된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2 도의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15)를 사용하면 나사(14)풀기로 불필요하며, 작업성은 좋아지고, 이 실시예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표시부 케이스(9)에 형성한 록스프링(9a)은 케이스(9)의 옆에 설치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예를 들면, 제 9 도, 제 1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에 설치해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장표시장치에 적용한 예를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류, 전압, 전력등의 일반계측 표시 또는 차단기 온, 오프 등의 상태표시를 행하는 표시기라도 상기 실시예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 고안에 의하면, 표시기의 표시부케이스를 장착,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기 때문에 조정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면에 도어를 갖는 제어장치반 또는 배전반에 있어서, 고정의 상태 또는 회로의 계측기 또는 회로의 개폐상태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수납 지지하는 표시부케이스(9)와, 상기 도어(7) 면에 개구부(8a)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8a) 둘레에 액자모양으로 부착된 바깥틀(8)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케이스(9)를 상기 도어(7)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바깥틀(8)에 장착,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장착시에는 상기 표시부 상기 바깥틀(8)의 창을 통하여 상기 도어(7)의 정면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2019870009753U 1986-11-08 1987-06-18 표시장치 KR92000169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1513 1986-11-08
JP17151386 1986-11-08
JP1987035328U JPS63156511U (ko) 1986-11-08 1987-03-10
JP35328 1987-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56U KR880010756U (ko) 1988-07-28
KR920001696Y1 true KR920001696Y1 (ko) 1992-03-09

Family

ID=2637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9753U KR920001696Y1 (ko) 1986-11-08 1987-06-1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56511U (ko)
KR (1) KR9200016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224B1 (ko) * 2002-02-23 2004-05-03 엘지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용 회로차단기의 인입출위치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56U (ko) 1988-07-28
JPS63156511U (ko) 1988-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5798B1 (en) A blood pressure monitor
US4404522A (en) Display connection scheme for modular analog/digital instrument
US4431966A (en) Modular backlighted analog/digital instrument display
EP0420650B1 (en) Meter device
US5062604A (en) Instrument danel assembly for motor vehicle dashboard
KR100314476B1 (ko) 전자장치및계장밀폐체와그프레임
EA016525B1 (ru) Выключатель в литом корпусе с процессором и устройством визуализации данных
KR920001696Y1 (ko) 표시장치
KR940003140Y1 (ko) 전자기기용 바구니
KR970020435A (ko) 패널 계기
EP0881122A3 (de) Anzeig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Ombnibus
US4121413A (en) Battery operated electric clock with improved casing
KR20050007512A (ko) 액정표시장치
US4906059A (en) Electrical apparatus cabinet having internal barrier seal visible from exterior of cabinet
US6400260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electrical measurement of distributor of motor vehicle
CN219874647U (zh) 一种落地式金属计量箱
KR940001639Y1 (ko) 계기부착용 절첩식 고정대
KR970002503Y1 (ko) 자동차용 계기류의 조명장치
KR100895215B1 (ko) 감시 장치 및 메타 일체형 절연저항 측정기
KR930000949Y1 (ko) 도어용 방문자 감지기의 구조
JP2858431B2 (ja) 収納部封印構造を有する計器
KR970001688Y1 (ko) 이중 밀폐형 스위치박스
JPS5880101A (ja) ラジオ受信機付テ−プレコ−ダ
JPH0129532Y2 (ko)
KR200178147Y1 (ko) 전자렌지의 콘트롤판넬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