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654B1 - 상호분산된 중합체 절연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호분산된 중합체 절연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1654B1 KR920001654B1 KR1019830004593A KR830004593A KR920001654B1 KR 920001654 B1 KR920001654 B1 KR 920001654B1 KR 1019830004593 A KR1019830004593 A KR 1019830004593A KR 830004593 A KR830004593 A KR 830004593A KR 920001654 B1 KR920001654 B1 KR 9200016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ethylene
- density polyethylene
- molecular weight
- low density
- polym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합체 상호 분산액(interdispersion), 관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상호분산된 중합체 절연 조성물로 제조한 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이라는 명칭하에 에드워드 윌쿠스(Edward Wilkus) 및 알렉산더 우(Alexander Wu)에 의해 출원된 특허원 제427,386호(Docker 41WC-2175):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가교결합된 중합체 상호 분산액 및 제조방법”이라는 명칭하에 상기 발명자들에 의해 출원된 특허원 제426,213호(Docket 41WC-2176):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가교결합되고 상호분산된 중합체 절연 조성물로 제조된 케이블 및 제조방법”이라는 명칭하에 상기 발명자들에 의해 출원된 특허원 제426,395호(Docket 41WC-2177)에 관련된 출원으로서, 상기에서 언급한 것들과 동일자에 동일한 발명자들에 의해 출원된 것이다.
단독중합체는 각 형태의 중합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성질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우수한 필름형성 특성을 가지며, 통상적으로, 이러한 필름형성에 사용되는 다른 중합체 물질과는 경재적이나, 성형물에 적용시 투명도나 선명도가 낮다. 이와 대조적으로, 폴리스티렌은 우수한 필름 형성 특성은 갖지 않으나, 성형물에 적용시 우수한 투명도 및 선명도를 갖는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폴리올레핀 등을 포함하는 여러 형태의 중합체에서 나타나는 물리적, 전기적, 화학적 및 기계적 성질과 나일론 6, 나일론 11, 나일론 66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중합체 형태에서 나타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성질에 대해 언급된 수많은 예가 있다.
때때로 서로 다른 형태의 중합체 또는 다른 종류의 중합체를 혼합물로서 형성시킴으로써 이들 특성을 합할 수 있다. 중합체가 천연적으로 혼화성인 경우, 즉 중합체가 다른 중합체와 서로 영구적인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두 개의 중합체가 균일하게 상호 혼합된 생성물을 형성하면서, 하나의 중합체에 다른 하나의 중합체가 혼합 또는 용해되어 통상적인 처리 공정(예:가열) 및 통상적인 제조공정(예:압출, 성형 등)동안 이의 개개의 성분으로 분리되지 않고, 또한 통상적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가공하거나 시효처리 후에도 분리되지 않는 외관이 균일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경우,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자연 발생적인 혼합물은 혼합물 내에서 각 성분들이 나타내는 특성을 평균한 것보다 더 큰 배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합금 혼합물 또는 용액 혼합물”은 독특한 겉보기 열역학 특성(apparent thermodynamic behavior)을 나타내는 혼합물 형태를 지칭한다.
이와 반대로, 용어 “중합체 혼합물 또는 혼합물”은 분자 수준 또는 거의 분자 수준으로 서로 잘 상호혼합되는 경우에 조차도, 재너랄 일렉트릭 캄파니(General Electric Company)제품인 노릴 알(NORYL R)중합체와 같은 합금 혼합물 또는 순수 혼합물에 의해 나타나는 것과 같은 독특한 겉보기 열역학 특성을 나타내지 않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그러나, 합해지거나 혼합된 중합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용어 “혼합물”은 분자 수준의 상호혼합이 혼합된 중합체의 혼합물에서 수득되거나 수득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수준의 혼합 작동 조건 또는 소비된 에너지로 획득되는 혼합도는 혼합물 중 하나의 중합체의 혼합물 중 서로 다른 중합체 또는 중합체들에 대한 친화도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대부분의 중합체 배합물에 있어서, 친화도 또는 혼화성 인자는 종래의 공업적 규모의 중합체 가공 및 혼합장치를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는 매우 균일한 또는 분자수준의 혼합을 저해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중합체” 또는 “수지”에는 천연 중합체 및 합성 중합체가 모두 포함되므로, 천연 및 합성 고무 뿐만 아니라 중합체(예: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및 기타 합성 수지)가 포함된다.
중합체 친화도 인자는 여러 상이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들면, 폴리에틸렌가 같은 중합체는 결정성이 더욱 높으며 일반적으로 보다 첨예한 연화점 또는 융점을 갖는 결정성이 높은 중합체류에 속한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결정화도가 약 55 내지 60%이고,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결정화도가 90% 이상이다. 기타의 중합체는 유리질 중합체로서 분리되며 이들 중합체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연화한다. 폴리에틸렌과 같은 결정화도가 높은 중합체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투명성이 더욱 큰 중합체의 이성분 혼합물은 천연적인 혼화성을 거의 갖지 않거나 또는 용이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 용어 “천연으로 존재하는 혼합물”은 통상적인 가열 및 혼합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되며 혼합물 성분의 고유 혼화성에 기인하여 지속성을 갖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혼화성은 유사한 분자 및 화학구조에 기인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염소화 폴리에틸렌은 천연 고무 또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와 미합중국 특허 제4,262,09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정도로 혼합된다.
대체로, 중합체 물질은 가공 및 제조단계에서 받게되는 열 및 기타 에너지 이력에 관련된 유용한 평균 수명을 지닌다. 따라서, 중합체의 고유의 유용한 평균 수명을 가능한 한 오래 보존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낮은 에너지 주입 조건하에 특히, 저온 및 짧은 시간에서 중합체를 가공하고 중합체로부터 제품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중합체 특성은 개개의 단량체를 이들 각각의 단독중합체로 별도 중합시켜 수득하는 경우보다는 배합 상태의 특정한 단량체들을 공중합시켜 제조한 공중합체에서 수득된다. 예를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프로필렌은 어느 것도 뚜렷한 고무 특성을 지니고 있지 않은데 비해, 몇몇의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뚜렷한 고무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및 무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통상적으로 비혼화성이거나 혼화성이 낮은 중합체 물질을 분산시키는데 광범위하게 작용하는 상호분산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광범위한 양태중의 하나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분산된 중합체의 접촉 밀착도를 목적하는 정도로 제공하는 상호분산액이 형성되도록 미세한 필라멘트 형태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혼화성이 낮고/거나 비혼화성인 대량의 중합체에 분산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비혼화성이며, 따라서 통상적으로 혼합될 수 없는 중합체는 통상적인 중합체 가공 장치 및 비교적 소량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섬유 형태로 가공된 중합체 물질에 혼입시켜 중합체내에서 내부 전단작용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호 분산시킬 수 있음을 밝혀냈다.
소정의 조건하에 본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장치에서 가열하고 혼합할 경우, 통상적으로 혼합되지 않는 두 가지 중합체에 소량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첨가하고 상기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 동일한 통상적인 가열 및 혼합장치를 사용해도 목적하는 정도의 밀착성을 갖는 상호분산액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분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티렌 또는 PTFE 물질은 미세 분말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며 이.아이.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y)에 의해 “테플론(Teflon)6”라는 상품명으로 현재 시판되고 있으며, 약어로 “T-6”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상호분산제가 초기 단계의 상호분산액에 존재할 경우, 상호분산된 중합체가 서로 결합되는 것은 분산제의 섬유특성에 기인되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예를들면, 두 개의 비혼화성 중합체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사용하여 상호분산시키고 이 물질을 시이트 또는 필름으로 연신시킬 경우(분산액의 분산도가 낮을 경우). 물질은 망상의 섬유 및 유사 입자 형태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들 입자는 형태가 뚜렷하지는 않으나 인접한 입자에 밀접하게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상호분산의 초기 단계에서, 상호분산된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기계”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 즉, 예를들어, 플라스틱 밀(mill)상에서 물질을 초기에 가공하여 필름으로 연신시키는 방향으로 연신되는데 대해 보다 낮은 내성을 나타낼 수 있다. 더욱이, 기계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신시킴으로써, 시이트 물질중의 시임(seam)을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시임을 세밀히 관찰함으로써 시임이 개방됨으로써 연신된 미세 섬유의 광범위한 배열을 조사할 수 있다.
용이하게 가공될 수 있거나 플라스틱 상태로 존재하는 동안, 시이트 상에서 기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외관상 시임을 폐쇄시켜 시이트 물질의 외관을 복원시킬 수 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상호분산된 비혼화성 중합체의 특정 샘플의 사익 특성으로부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섬유 비혼화성 중합체의 분리성 물질을 함께 결합시키는데 있어서 섬유가 인터로킹(interlocking)또는 결합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초기단계의 상호분산액에서는 큰 규모로 나타나긴 하지만, 상기 현상은 비혼화성 중합체가 섬유상 상호분산제 및 인터로킹제에 의해 서로 분산될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인터로킹될 수 있도록 하는 최소한도내에서 지속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인터로킹의 증거는 용매의 작용에 의해 상호분산액의 성분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나타난다.
실제로, 별개의 중합체를 함께 유사하게 결합시키거나 인터로킹시킨 상호분산액을 제조하는 공정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분쇄장치, 고강력 혼합장치, 및 유사한 통상저긴 중합체 분쇄 및 전단장치 내에서 수행되는 것과 같이 중합체가 가공 또는 분쇄될 경우, 중합체 층에 미세 섬유 형태로 분산될 수 있는, 다른 섬유형태의 물질로써 달성할 수 있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중합체의 상호분산액을 형성시키는 상호분산제로 간주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가지 특징은 통상적으로 비혼화성이거나 혼화성이 낮은 중합체 물질의 분산액 및 제1차의 밀착된 혼합물을 하기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은 섬유 PTFE를 사용하여 수득한 다음, 상호분산액을 하기 실시예 36에 기술한 바와 같이 공-그라프트 또는 부분 가교결합 제2차 처리와 같이 제2차 처리하여 상호분산된 성분 및 상호분산된 조성물의 특성을 변화 내지 개질시키는 것이다.
제1차 및 제2차 가공의 특이한 범위를 인지하기 위해 파악해야 하는 본 발명의 한 특징은 본 발명의 각종 제1혼합물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PTFE 상호분산제가 중합체 분야에서 공지된 화학적으로 가장 불활성인 물질중의 하나라는 점이다.
다수의 중합체 배합물에 있어서,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부재로 인해 제1차 혼합물의 특성 및 지속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제2차 가공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가 없으며, 제1차 혼합물이 지닌 원래의 특성은 그대로 보유하면서 제1차 혼합물을 매우 광범위하게 가공할 수 있는, 제1차 혼합물을 바람직한 조건하에 서로 다른 중합체와 밀착성을 갖는 지속적인 혼합물로서 형성시키는 것은 공지된 방법 또는 장치 어느 것으로도 실행되지 못했다. 그러나, 아주 상이한 중합체 혼합물의 제2차 처리가 본 발명에 따라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상호 분산제를 사용하여 상호분산액으로서의 밀착성 및 지속성을 갖는 혼합물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조성물에서 조성물의 바람직한 특성을 상실함이 없이 허용될 수 있는 상호분산제의 농도는 0.001% 이하의 저농도에서 20%까지의 높은 농도에서 변화될 수 있다.
농축물을 높은 비율로 사용하는 경우, 중합체의 상호분산액내에 분산된 PTFE는 약 35%까지의 사용가능한 상한 범위로 사료된다.
상호분산된 중합체의 비율이 낮은 경우, 즉 20/80: 10/90: 30/70등이고 상호분산제가 저농도로 존재하는 중합체중에 효과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경우, 상호 분산제의 총 농도로 2% 수준 이하로 사용하여도 충분한 상호분산액을 수득할 수 있다. 예를들면, 5% 농도의 PTFE를 먼저 실리콘 고무와 같은 중합체 성분에 포함시킨 다음, 실리콘 고무를 폴리올레핀 90부에 대해 실리콘 고무를 10부의 비율로 분산시킨 PTFE가 함유되지 않은 폴리올레핀내로 상호분산시키면 최종 조성물중의 PTFE의 농도가 대략 0.5% 수준으로 될 수 있다.
중합체를 가공하는데 있어서, 목적하는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저온에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경우 중합체는 저온에서 가공하는 것이 유리한데, 그 이유는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물질을 고온에 노출시키면 대부분의 중합체가 분해반응을 개시하여 이들 중합체의 유효수명이 단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에서 교시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호분산제를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중합물질을 저온에서 가공 및 혼합할 수 있다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하기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기제로서 상호분산된 중합체를 갖는 조성물을 먼저 배치형태로 고강도 혼합하여 제조한 다음, 조성물을 전선 절연물로서 전도체상에서 압출시켜 케이블(cable) 제품을 제조한다. 조성물은 먼저 고온에서 가교결합제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로서 제조한 다음, 실시예 1의 통상적인 전선 절연물 제조 공정의 일부로서 저온에서 가교결합제를 함유시킨다.
가공 공정동안 실시예 1의 조성물이 상호분산된 상태로유지되는 경향 및 통상적으로 비혼화성인 성분 상태로 존재하는 경향에 대한 별도의 시험으로서, 과산화물 가교결합제를 함유하지 않는 상호분산되고 비가교 결합된 조성물을 크기가 약 3in2인 사출 성형 부붐으로 형성시키고, 사출성형 시험을 한다. 이 사출 성형은 스토크스 머신 모델(Stokes Machine Model) 702-1(제조처:F.J. Stokes Corporation of philadelphia, PA)로 수행한다. 어떠한 과산화물도 함유하지 않는 실시예 1의 상호분산된 조성물로 수행하는 이 특수한 시험에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사용한다: 기계 바렐(barrel) 온도:400˚F, 금형온도:150˚F, 금형 충전 시간:5초, 및 사출전의 부품 냉각 시간:50초. 하기 실시예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조성물은 사출성형후에도 균질한 상태로 그대로 유지되며, 또한 통상적으로 비혼화성인 성분, 즉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는 사출 성형품 중에서 균일하게 상호분산된 상태로 유지되고 사출 성형으로 인해 분리되거나 적층되지 않는다(때때로;“탈적층화”라고도 함).
가교 결합제를 함유하지 않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의 제조는 성분이 상호분산되도록 매우 세심한 주의를 하면서 수행한다.
기타의 사출 성형 시험은 사출성형 시험을 하기 전의 상호분산도가 전혀 최적화되지 않은 두 가지 상호분산된 조성물에 대해 수행한다.
제1조성물은 20부의 폴리스티렌, 80부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1.8부의 섬유상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제조한다. 대형 밀 상에서 분쇄하여 여러개의 사출성형 샘플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양을 수득한다. 분쇄된 조성물을 시이트 형태로 롤에서 꺼내고 냉각시킨다.
냉각시, 조성물은 매우 편평한 표면을 가지며 롤에 부착되는 경향이 거의 없이 비교적 손쉽게 롤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총 분쇄시간은 약 20분이다. 시간, 온도, PTFE 분산도, PTFE 농도, 제2차 처리, 통상적인 산화방지제가 아닌 임의의 다른 형태의 첨가제에 의해, 또는 임의의 기타의 공정,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상호 분산도를 최적화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냉각된 시이트는 손의 힘에 의한 파열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며, 섬유상 구조를 나타낼 수 있는 부분에 균열이 나타나기전에 표면 부위에 백색 반점이 나타난다. 시이트 제품을 손으로 파단시키면 파단점에서 고도의 섬유상 구조가 나타난다. 균열된 표면은 적층- 또는 층-형태의 구조를 나타낸다.
시이트 물질을 통상적인 입상화 기계로 입상화한다. 입상화된 조성물을 사출성형기내로 도입시키고 사출 성형시켜 실시예 1의 사출 성형 부품에 상응하는 부품을 제조한다.
제조된 제품은 표면에 광택이 있고 평편하며 금형모양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제조한 제품을 시이트 물질에서와 같은 동일한 정도의 손의 힘으로 파단시킨다. 사출성형 하기전의 시이트 물질의 파단되 가장자리에서 나타난 적층물 형태가 사출 성형된 물질의 파단된 가장자리에서도 관찰되었으며, 이들의 강한 내파열성 및 파단점에서 나타난 물질의 특성과 섬유물질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실제로, 시이트는 파단되기 전 상당히 주름지는 경향이 있다.
섬유가 존재한다는 것은 명백하지만, 이들 섬유가 PTFE만의 것인지 아니면 기제 중합체 물질과 혼재된 PTFE인지 확인된 것은 아니다. 섬유의 존재에 대한 명백한 증거 및 PTFE가 중합체 매질내에서 전단하에 섬유화되는 공지된 경향은 적어도 약간의 PTFE 섬유가 존재함을 강하게 암시한다.
이러한 입증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섬유 및 섬유 번들(bundle)을 높은 전단하에 사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신케 해준다. 일반적으로 섬유화는 기제 중합체내의 전단에 의해 증진되므로, 사출 성형에 수반되는 높은 전단에 의해 PTFE의 섬유화를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산된 섬유상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함유하는 사출 성형을 제공한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스티렌의 다른 상호분산액, 특히 1.8부 PTFE를 사용하여 상술한 상호분산액의 형성에 사용되는 하한온도 범위에서 제조된 상호분산액은 20부의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80부의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20폴리에틸렌/80폴리스티렌 상호분산액은 5부의 PTFE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이들 조성물은 제1시간 동안 대형 플라스틱 밀 상에서 다량으로 제조한다. 이들 조성물을 시이트 형태로 밀에서 꺼낸 다음, 시이트를 파단시킬 때 형성된 표면위의 적층물을 확인한다.
이들 시이트를 입상화하고 입상화된 각 조성물을 사출성형장치에 도입한다. 형성되 사출성형품은 각기 금형 형상에 거의 근사한 편평하고 광택이 있는 표면을 갖는다.
사출성형품을 파단시킨 결과, 성형하지 않은 시이트 물질에서와 유사한 적층물이 나타났으며, 또한 이러한 조성물의 섬유 형태는 성형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높은 전단의 사출성형에서도 그대로 유지된다는 사실을 강력하게 뒷받침하고 있다. 5부의 PTFE를 함유하는 물질은 사출성형부품 및 성형되지 않은 시이트 모두에서 보다 큰 내파열성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PTFE가 초기에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것과 같은 전체적인 균질한 상호분산액 중에 잘 분산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제공된 전체적으로 균질한 상호분산액에 있어서, 크기가 비교적 작은 2 내지 3in2정도의 부품의 사출 성형에서는 균질한 상호분산액의 붕괴 또는 상호분산액의 통상적으로 비혼화성인 성분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사출 성형부품 중에 관찰가능한 적층물이 형성됨을 밝혀냈다.
이들 사출성형 실험에 사용된 샘플은 모두 어떠한 제2차 가공도 하지 않은 것이다.
사출성형시의 고강도 전단동안 발생하는 섬유상 PTFE의 추가의 분산을 포함하여 섬유상 PTFE의 분산도를 최적 수준으로 만들도록 하기 위해, 사출성형용으로 제조된 상호분산 조성물 중의 섬유상 PTFE의 분산도는 최적 수준보다 약간 낮은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성분의 자연적인 혼화성 및 혼합성의 근거된 천연 혼합물중에는, 보다 복잡한 형태를 갖는 대형 부품으로 성형시키기 위해 사출성형할 경우, 적층물 제품을 형성하는 것이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러한 물질을 사출성형시켜 보다 크고 복잡한 부품을 제조하고 복잡한 형태의 보다 큰 부품으로 사출성형함에 따라 수반될 수 있는 적층화 또는 탈적층화도를 감소시키는데 일조하는 자연적으로 혼화성을 갖는 조성물내의 소량의 섬유상 PTFE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호분산제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개개의 중합체 물질을 혼합형태로 혼합할 수 있으며(본원에서는 상호분산액이라 칭함), 이때 이 상호분산액은 배합물줄의 개개의 중합체 성분에 의해서는 나타나지 않는 특성을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중합체 성분을 동일 장치 및 동일 조건하에서 동일 비율로 가공하여 형성된 혼합물에서 나타나는 특성과는 상이한 특성을 나타낸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질이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유사 특성을 나타내는 상이한 온도범위를 갖는 중합체 상호분산액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물질을 높은 전단 장치에서 변형, 가공 및 상호분산시킬 수 있는 범위는 근본적으로 선형인 고분자량 중합체의 존재에 따라 좌우되며, 이때 테플론 6일 경우, 섬유 구조가 육안 및 현미경에 의해 동시에 확인되며, 물질은 플라스틱 기제물질의 매질내에 특이하게 분산되어 유사(pseudo) 액체 또는 유사 플라스틱 특성을 나타내고 상기 물질자체가 분해되는 온도 이하의 매우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이들 특성이 그대로 유지된다.
고온에서 PTFE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가동능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의 하나는 공정을 좌우하는 섬유상 PTFE의 플라스틱 중합체 매질내에서의 비융합성에 있다. 상기 물질, 즉 섬유상 PTFE는 조건을 달리하지 않는 한 플라스틱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온도에서 플라스틱 특성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분산시킨 상호분산된 중합체 물질을 유도할 수 있다.
[중합체 첨가제]
기제 물질의 중합체 첨가제로서 비교적 저농도로 존재하나 다른 중합체 기제 물질에 유익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진 조성물은 많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중합체 첨가제의 농축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 형태를 갖는 비교적 고농도의 PTFE를 기제 중합체내의 비교적 저농도의 첨가제에 혼합하여 제조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비교적 저농도”란 말은 10% 미만의 농도를 의미한다.
다수의 상이한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제 중합체내에 첨가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기본이 되는 주 물질에 응력을 가하여 균열시킬 수 있으며, 비교적 저농도 중합체 첨가제는 기본이 되는 주물질의 응력균열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중합체 첨가제를 함유시켜 내충격성과 같은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여러 혼합물내에서 서로 상호분산될 수 있으며 유용한 절연 조성물을 형성시키는데 유용한 중합체 가운데는 다음과 같은 물질이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라아미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플루오로카본; 실리콘 중합체; 실리콘 검 및 실리콘 유체를 포함하는 실리콘 중합체: 폴리스티렌: 시오플라스(Sioplas) 중합체: 천연 고무: 클로로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아세탈.
본원에서 사용된 “비혼화성 중합체”란 통상적인 중합체 가공으로 수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소정의 조건하에서는 밀착된 혼합물에 혼입되지 않으나, 몇몇 중합체 시스템에 있어서, 고에너지 입력을 포함한 통상적인 다른 조건하에서 동일한 통상적인 중합체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는 정도의 상태로 외관적으로 혼합될 수 있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는 주로 혼화성이 낮은 물질이 원하는 정도의 밀착성을 갖도록 상호분산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비혼화성 물질 또는 혼합시의 주어진 조건하에서 비혼화성을 갖는 물질의 상호분산을 개선시키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혼합성을 갖거나 천연적으로 혼화성을 갖는 물질의 혼합 특성까지도 개선시키는 방법이 교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스티렌 및 폴리에틸렌을 충분히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서로 혼합할 경우,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상기 두 물질의 겉보기 혼합물이 형성된다. 예를들어, 50부의 폴리스티렌을 310˚F에서 50부의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함께 분쇄하면 혼합물의 외관을 갖는 조성물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두 성분을 동일한 비율로 약 240˚F를 온도에서 분쇄할 경우에는, 외관상으로도 전혀 혼합되지 않고, 폴리에틸렌의 플레이크(flake)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동일한 성분을 동일한 비율로 사용하여 상호분산액을 제조하는 공정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240 내지 250˚F보다 낮은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상호분산 공정의 일부로서 섬유상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상호분산제를 가함으로써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PTFE 상호분산성”이란 말은 중합체가 밀착된 인터로킹된 상호분산액으로 혼입되고/되거나, 혼합물 또는 겉보기 혼합물이 형성될 수 없거나 또는 상기 혼합물 또는 겉보기 혼합물이 보존될 수 없는 상태의 조건하에서 이러한 상호분산액을 보전시킬 수 있는 정도의 섬유상 PTFE의 분포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호분산된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제2중합체를 가하기 전에 PTFE를 제1중합체에 잘 분산시키는 것이 때로는 유익하다. 제1중합체 특성에 영향을 끼치며 제2중합체의 상호분산성을 허용하는 PTFE의 농도는 매우 낮다.
[분자량]
본 발명은 섬유상 PTFE를 사용하여 여러 중합체를 상호 분산시키는데 적합하다. 중합체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일 수 있으며, 형성된 상호 분산액은 유기 중합체와 다른 유기 중합체의 상호분산액일 수 있거나 무기 중합체와 다른 무기 중합체의 상호 분산액일 수 있거나, 또는 유기 중합체와 무기 중합체의 상호 분산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상 상호분산제를 사용하여 유리하게 상호분리시킬 수 있고 가공할 수 있는 중합체의 분자량의 하한선은 600 내지 1,000 정도로 추정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 공중합체는 두 가지 이상의 단량체로 제조된 삼원공중합체 및 기타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농축물]
농축물은 중합체 매질에 분산된 섬유상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농도가 비교적 높은 조성물을 나타낸다.
농축물은 이들 자체가 최종 용도에 필요한 물질이 아니라, 섬유 형태의 PTFE의 분산액이 비교적 용이한 가공공정에 따라 중합체 매질내로 분산될 수 있도록 하며 섬유상 PTFE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열이력]
편이상 “하부 프로파일(profile)”을 갖는 것으로 통칭될 수 있는 열이력을 통해 중합체 물질을 가공하는데 이점을 얻게 된다는 것은 플라스틱 공업계에서는 잘 알려져 있다. 그것은 중합체를 중합 상태 초기에 상부 프로파일 형태가 아니라 하부 프로파일 형태(즉 세로좌표는 온도로 도시되고 가로 좌표는 시간으로 도시된 좌표)인 열이력을 받도록 노출시킬 경우, 중합체가 이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좋은 기회와 모든 중합물질이 가공중에 불가피하게 받게 되는 분해반응을 피하게 되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중합 제품의 성능은 물질이 받게 되는 축적된 과잉의 열이력에 따라 상대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실시예 1]
다음 실시예에 따라 신규의 케일블 절연 조성물을 제조하여 케이블 사출성형 부품을 제조한다.
하기 모든 실시예에서, 용어 “부”는 조성물중의 중합체기제 성분 중량을 100으로 한 뒤 이를 근거로 하여, 성분의 양을 중량으로 표시하는데 사용한 것이다. 한 예로서, 조성물이 기제 중합체 500g 및 첨가제 50g을 함유하는 경우, 조성물의 함량은 중합체 100부 및 첨가제 50부로서 표시된다.
중합체 기제 자체가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 기제중의 각 중합체 성분의 부는 이들 성분이 이 조성물에 존재하는 비율로서 나타낸다. 예를들면, 본 실시예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20% 백분율로 존재하고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단량체인 EPDM은 80% 백분율로 존재하며, 이 경우 이들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20부 및 EPDM 80부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중합체 500g이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g 및 EPDM 400g인 경우, 조성물은 20부의 HDPE 및 80부의 EPDM의 중합체 기제를 갖게 된다. 첨가제가 점토 입자 500g인 경우, 첨가제는 하기 실시예에서 점토 입자 5부로서 표시된다.
또한, 조성물이 400lb의 EPDM, 100LB의 HDPE 및 50lb의 점토 입자로 이루어진 경우, 이 조성물은 HDPE 20부, EPDM 80부 및 점토 입자 5부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하기 실시예에서 부로 언급된 모든 성분의 양은 g 또는 다른 중량 단위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실시예는 소규모의 실험실용 플라스틱 밀 상에서 수행된 것이며, 부는 실제로 무게를 잰 g당량수로부터 직접 결정한 것이다.
벤버리(Banbury) 혼합기와 같은 고강도의 혼합 장치내에서 상술한 성분을 상기 비율로하여 완전히 혼합한다.
성분을 약 150˚F의 개시온도로 작동시킨 고강도 혼합기에 도입한다. 고강도 혼합기의 혼합 작용으로 조성물내에 열이 발생하면, 혼합하는 동안 조성물의 온도를 센서(sensor)의 온도 기록을 관찰할 수 있고 챠트상에 기록될 수 있도록 고강도 혼합기에 설치한 열전쌍 센서로 측정한다.
조성물의 챠트 온도가 약 320˚F에 도달하면, 고강도 혼합기로부터 조성물은 설치된 장치를 통해 입상화하고 본 목적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온도가 상승하는 동안 조성물이 받은 열은 혼합에서 발생된 열이며 이 온도로 증가시키기 위해 높은 온도의 외부열을 가할 필요는 없다.
이어서, 약 340 내지 360˚F의 탐침온도(삽입한 열전쌍으로 측정)를 갖는 입상화된 배치물질을 고강도 혼합기에서 꺼낸후 플라스틱 밀 상에서 분쇄한다. 플라스틱 밀 상에서 분쇄한다. 플라스틱 밀 상의 물질을 밀상에 밴딩(banding)시킨 다음, 시이트로서 꺼낸다. 시이트 생성물을 이의 통상적인 온도 이하로 냉각시키고 고강도 혼합장치도 또한 냉각시킨다. 시이트 물질을 혼합기의 온도가 약 150˚F로 될대 고강도 혼합기에 재도입시켜 과산화물 가교결합제가 고강도 혼합기로부터 꺼냈을 때 이전의 상호분산된 물질의 입상화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시이트 물질의 조성물에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가교결합제, 특히 과산화물의 분산은 성분들의 상호분산액의 조기 가교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과산화물 가교결합제의 분해온도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수행한다. 모든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외관상 균일한 조성물이 형성될 때까지 최대 약 250 내지 270˚F의 온도에서 고강도 혼합기내에서 혼합한다.
상호 분산된 조성물의 한 가지 독특한 특성은 고강도 혼합기로부터 입상화되기 때문에, 이의 표면이 매우 균일하고 편평하다는데 있다. 조성물은 외관상 불균일한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며, 이러한 의미에서, 특히 고밀도, 고결정성 폴리에틸렌 및 반-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통상적으로 혼화성이 아니라는 점에서 본 조성물은 신규하고 유일하다. 놀랍게도, 두 가지의 비혼화성 기제 중합체, 즉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반-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임의의 분리, 탈적층화, 또는 불충분한 혼합없이: 또는 기제 중합체 물질, 즉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반-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기본적인 비혼화성이 없이 균일한 상호분산액으로 함께 분산시킬 수 있음을 밝혀냈다. 이들 특성으로 인해 이들 물질은 비혼화성을 가지며, 혼합되어 균일한 혼합물을 형성할 수 없다는 것은 여러 해 동안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조성물의 섬유상 플루오로탄소 성분에 의해 비혼합성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상호 분산시킬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과산화물 가교결합제를 상기 상호분산된 화합물에 도입한 다음, 플라스틱 밀 상에서 시이트 형태로 다시 롤링시키고, 이 시이트를 후에 압출기에 사용되는 펠렛화용 스트립(strip)으로 절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스트립으로 성형한 다음, 이들 스트립을 통상적인 펠렛화 장치를 사용하여 펠렛으로 절단한다.
이어서, 펠렛화된 물질을 길이 대 직경의 비율이 15:1인 3 내지 1/2in 스크류를 갖는 압출기내에 도입한다. 압출기의 스크류 디자인에 기준한 압축 비율은 3 대 1이다.
본 실시예의 펠렛화된 물질을 압출기내에 도입하고, 조성물을 전도체 상으로 압출시킨다. 조성물을 #12AWC 19-스트랜드(strand) 전도체 상으로 압출시켜 벽 두께가 대략 0.030in인 절연층을 형성시킨다. 이 시험 표본의 번호는 ID-92-99-3이다.
시험 데이터는 수회의 시험을 반복 수행한 샘플로부터 수득한다. 시험은 이 기술분야에서 공업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시험 방법으로 수행한다. 표준 공업 시험 방법에 따라 1분당 20in의 절연물에 대해 수행한 인장 시험 결과, 최초의 인장강도는 2488lb/in2이었다. 시험비율은 1분당 20in로 하여 동일 샘플에 대해 수행한 신장 시험에서 신도는 414%이었다.
시험 샘플에 150℃의 열을 가하여 표준 공업 시험 방법에 따라 물질의 열 모듈러스를 측정한다. 이어서, 시험 샘플을 100% 신장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하고, 이 힘을 인장강도의 측정장치로 psi단위로 계산한다. 실시예 1의 제품에서 나타난 열 모듈러스치는 250pis이다.
이 열 모듈러스치는 매우 놀라운 기대 이상의 값이다. 본 결과의 신규성을 예시하기 위해, PTFE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성분을 함유하는 기제 중합체가 전적으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인 조성물의 열 모듈러스를 측정한 방, 수득된 열 모듈러스는 대략 100psi로 추정된다. 이 값은 추정된 값인데, 이는 PTFE를 사용하지 않고 화학적으로 가교결합된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절연된 전선을 생산하는 것이 현재까지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물질을 소량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배합물에 사용하는 경우, 열 모듈러스가 250psi로 나타난 것은 매우 특이하며 놀라운 일이다. 이러한 특별한 열 모듈러스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독특한 상호분산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신규한 조성물로서 수득되며, 이외에 사용된 신규하고 특수한 상호분산제, 특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존재에 기인하는 열 모듈러스의 영향에 부분적으로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 실시예의 전선상에 형성된 절연층의 열변형률을 150℃에서 측정한다. 열변형률은 기존의 500g짜리 분동을 전선상에 부하하여 기존의 표준 공업 시험법에 따른 분동의 면적을 절연물상에 지탱시키는 경우, 전선상의 절연물의 변형도를 측정한 것이다. 이 열변형 시험은 전선에 부하된 500g짜리 분동으로 인한 전선의 직경을 백분율 변화로 측정한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것과 같은 절연된 전선의 경우, 열변형률은 1.64%로 나타났으나, 절연물은 절연된 전선의 원래치수의 1.64% 정도까지만 변형되었다. 환언하면, 500g짜리 분동을 부하한 전선은 원래 직경의 98.36%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이것은 단일 케이블 절연물에서 실시예 1의 케이블에서 나타난 것과 같은 높은 인장강도 및 신도와 열변형률을 측정한 150℃의 승온에서 낮은 열변형률을 갖는, 매우 독특하고 신규한 조성물에 기인된다. 150℃에서 1.64%에 상응하는 비교적 작은 변형률을 갖는 조성물의 중요성을 예시하는 바, 실시예 1에 의해 제공딘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 절연된 전선에 대해 수행한 표준 공업 시험 결과, 변형률이 20%로 나타난 사실에 비추어볼 때,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단지 1.64%에 불과한 값은 전선 구조물에 있어서 매우 탁월한 값으로 인정된다.
표준 공업 시험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형성된 전선 절연물의 적합성에 관련된 시험을 추가로 수행한 결과, 본 조성물이 전선 절연물로서 만족할만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혀졌다.
[표 I]
노르델은 듀퐁 화학 회상의 상표이다. 이것은 에틸렌-프로필렌-헥사디엔 삼원공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탄성중합체에 사용한다.
과산화물 성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표 I에 기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상술한 바와같은 고강도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방법에 따라 사출성형용으로 제조한다. 조성물을 먼저 고강도 혼합기내에서 혼합하고 밀 롤상에 밴딩시킨다. 물질을 밀로부터 스트립으로서 꺼내고 통상적인 다이싱기로 주사위 모양으로 자른다. 자른 물질을 사출성형기에 도입한 다음, 상술한 바와같이 사출성형하여 면적이 약 3in2이고 두께가 1 1/8in인 사출성형 부품을 제조한다.
형성된 생성물은 유연성이 높고 거의 완전무결하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같은 조성물을 제조하되, 단 PTFE는 사용하지 않는다. 조성물을 고강도 혼합기, 특히 벤버리 혼합기에 넣고, 작동시켜 실시예 1에 열거한 성분(PTFE 성분을 제외)을 혼합시킨다.
실시예 1에서와 거의 동일한 온도 조건 및 시간에서 혼합한 후 벌크 형태로 벤버리 혼합기로부터 입상화시킨다. 이의 외관은 적합하게 혼합된 벌크 형태이다. 먼저, 벤버리 혼합기내에서 혼합한 후, 밀에 넣어 조성물을 시이트 제품으로 성형시키고, 관찰한 결과, 물질은 물질의 질감의 거칠음 및 물질의 표면 건조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어서, 물질을 시이트로 성형시키고 실시예 1의 유사단계에서 관찰된 것과는 매우 상이한, 거친 질감을 갖는 시이트를 밀에서 꺼낸다. 시이트 물질을 저온에서 다시 벤버리 혼합기에 넣고 과산화물 첨가제 및 실리콘 유체 첨가제를 고강도 혼합기 내에 넣어 조성물에 혼합시킨다. 저온에서 고강도 혼합을 한 후, 조성물을 벤버리 혼합기로부터 입상화시킨다. 이의 외관은 성분이 서로 잘 혼합된 벌크 형태이다.
입상화된 조성물을 밀에 넣고 분쇄하여 시이트를 제조한다. 밀상의 시이트 물질은 매우 거친 질감 및 건조한 표면을 가지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단계의 조성물의 외관보다 훨씬 열등하였다.
조성물을 밀에서 스트립에서 꺼내고 스트립을 통상적인 다이싱기로 주사위 모양으로 자른다. 자른 조성물을 압출기에 넣고 조성물을 전선상으로 압출시켜 절연물을 제조한다.
압출기에 의해 형성된 절연층은 매우 울퉁불퉁하고 고르지 않으며 불규칙한 표면을 갖기 때문에 케이블 절연층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못하다. 물질 층의 인장 강도는 샘플을 전선 표면으로부터 채취하여 시험한다. 인장 실험에서 인장강도는 1200psi 미만으로 나타났는데 이 값은 케이블로 사용하는데 필요한 인장강도의 약 1/2에 지나지 않는다.
인장강도 시험에서 수득한 매우 열악한 결과와 케이블 절연물의 매우 열악한 외관 및 거칠고 고르지 못한 표면은 여러 다른 케이블의 절연물을 취급한 선행실험에 견주어볼 때, 이 케이블 절연물에 대한 시험을 더 이상 수행할 가치가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3A]
중량부의 비율로 주어진 성분들을 표 II에 기술하였다.
성분들(과산화물 제외)을 150˚F로 예열된 고강도 혼합기에 도입한 다음, 우수한 혼합물을 수득하고 고강도 혼합기가 작동함에 따라 조성물에 혼합에 의한 열이 부여될 수 있도록, 혼합물의 온도가 상승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혼합시킨다. 조성물의 챠트 온도가 약 320˚F에 도달하면, 설치된 장치를 통해 고강도 혼합기로부터 입상화시키고 본 목적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온도가 상승되는 동안 조성물에 가해진 열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혼합에 의한 열이며, 이 온도로 증가시키기 위해 외부에서 높은 열을 가해줄 필요는 없다.
삽입된 열전쌍에 의해 측정된 탐침 온도가 약 340 내지 360˚F인 입상화된 배치 물질을 고강도 혼합기로부터 꺼낸 후, 플라스틱 밀 상의 물질을 밴딩시키고 시이트로서 꺼낸다. 시이트 생성물을 냉각시키고, 또한 혼합장치도 냉각시킨다. 시이트 물질을 장치의 온도가 약 150˚F로 되었을 때, 고강도 혼합기로 재도입한 다음, 100부당 디쿠밀 퍼옥사이드 3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혼합기내의 조성물에 가한다. 고강도 혼합기내의 내용물을 혼합하면, 조성물의 온도가 혼합 열에 의해 상승한다.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성분을 상기 조성물에 혼합시키고 온도를 대략 240˚F로 상승시키되, 디쿠밀 퍼옥사이드가 조기 분해되지 않도록 온도가 너무 높아지지 않도록 한다. 조성물을 고강도 혼합기내에서 혼합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단량체(EPDM)의 상호분산액을 제조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다른 상태하에 통상적으로 비혼화성인 중합체 물질을 비혼화성 비율로 함께 사용하여 상호분산액을 수득하고 고도의 균일성을 갖는 독특한 물질을 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독특한 상호분산 방법의 가능성을 달리 입증한 것이다.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물질을 고강도 혼합기에 도입한 다음, 이 혼합기로부터 화합물을 꺼내고, 플라스틱 밀 상에서 시이트 형태로 다시 롤링시킨 다음, 압출기에서 후에 사용하기 위해 펠렛화용 스트립으로 절단한다. 본 실시예의 조성물로 제조된 펠렛화된 물질을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술되고 사용된 바와같은 압출기에 도입한다. 펠렛화된 물질을 압출기에 통과시켜 19 스트랜드로 형성된 #12 AWG 전도체 상으로 압출시킨다. 이 전도체 상에 침착된 절연층의 두께는 약 0.030in이다. 시험번호는 ID-92-89-6이다.
이와같이 제조한 전선에 대해 시험을 수행하여 시험 데이터를 얻었다. 시험 결과는 표 II에 기술되어 있다.
[실시예 3B]
실시예 3A에 기술된 바와같이 제조된 조성물을 19개의 단일 스트랜드를 갖는 #12 AWG 스트랜드된 전도체상에 압출시켜 절연층을 형성시킨다. 절연층의 두께는 45밀 또는 0.045in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절연층을 시험한 결과, 인장강도는 1873lb/in2이고 신도는 294%이다. 파쇄치와 내마모성을 시험한 결과, 파쇄치는 3460lb이고, 내마모성은 1171사이클(cycle)로 나타났다.
[실시예 3C]
실시예 3A에 기술된 바와같이 제조된 조성물을 MCM 313전도체로서 디자인된 전도체상에 압출시켜 0.075in의 절연 피막을 형성시킨다. 0.075in의 절연층이 전도체상에 침착된다. 이 층은 전도체를 성공적으로 절연시킨다.
[실시예 3D]
실시예 3A에 기술된 바와같이 제조된 조성물을 646MCM 전도체 상에 압출시키낟. 침착된 절연층은 0.090밀이다. 이층은 대형 전도체를 성공적으로 절연시킨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 서어큘러 밀(circula mil)은 전선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이는 직경이 1밀인원(circle)의 면적을 말한다. 전선 또는 전도체는 함유된 서어큘러 밀의 숫자를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MCM”은 1000 서어큘러 밀을 나타낸다. 즉 1천 서어큘러 밀의 단면적을 가진 전도체를 의미한다.
전도체가 313MCM일 경우, 이는 단위면적 313,000 서어큘러 밀 임을 나타낸다. 이는 실재 전도체의 단면적이며, 전도체의 전체 외부 치수 또는 전도체의 개개 스트랜드 사이의 공간은 포함하지 않은 거시며, 오히려 스트랜딩 또는 스트랜드 크기 또는 케이블의 전도체 크기와는 무관한 케이블내 전도체의 총 단면적을 나타낸다.
[표 II]
[실시예 4]
실시예 3A에 기술된 바와같이 제조하되, PTFE는 사용하지 않는다. 조성물을 고강도 혼합기, 특히 벤버리 혼합기에 넣고, 작동시켜 실시예 3A에 열거한 성분(PTFE 성분을 제외)을 혼합시킨다.
실시예 3A에서와 동일한 온도에서 동일한 시간동안 혼합한 후, 물질을 벤버리 혼합기로부터 입상화시킨다. 생성물은 적당히 혼합된 벌크 형태이다. 먼저, 벤버리 혼합기내에서 혼합한 후, 조성물을 밀에 넣어 생성물의 시이트를 제조하여 관찰한 바, 물질은 물질 질감의 거칠음 및 물질의 표면 건조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균질하게 혼합되지 않은 것이 확실하다.
물질을 시이트로 만들고, 실시예 3A의 유사한 단계에서 관찰된 것과는 매우 다른 거친 질감을 나타내는 시이트를 밀로부터 꺼낸다. 이어서, 시이트 물질을 저온에서 다시 벤버리 혼합기에 넣은 후, 과산화물 첨가제 물질을 고강도 혼합기에 넣고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한다. 추가로 저온에서 격렬히 교반한 후, 조성물을 벤버리 혼합기로부터 입상화시킨다. 생성물은 성분들이 바람직하게 혼합된 벌크 상태이다.
입상화된 조성물을 밀에 넣고 분쇄시켜 스트립 형태로 만든다. 밀 상의 물질도 역시 거친 질감과 건조한 표면을 가졌으며, 외관이 실시예 3A의 동일한 단계에서의 조성물 경우보다 훨씬 열등하였다.
조성물을 스트립으로서 밀로부터 꺼내고 스트립을 통상의 다이싱 장치로 주사위 모양으로 자른다. 자른 조성물을 압출기에 넣고 조성물을 전선상에 압출시켜 절연층을 형성시킨다.
압출기에 의해 형성된 절연층은 고르지 않으며 울퉁불퉁하고 불규칙한 표면을 가졌기 때문에 이는 케이블 절연층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못하다. 전선 표면으로부터 샘플을 채취하여 물질 층의 인장강도를 시험한다. 인장강도 측정 결과, 인장강도는 800psi 미만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케이블로 사용하는데 필요한 인장강도의 약 1/3에 지나지 않는다.
인장강도 시험에서 수득한 열악한 결과와 케이블 절연층의 매우 열악한 외관 및 거칠음, 울퉁불퉁함 및 고르지 못함은 여러 가지 다른 케이블 절연물을 취급한 선행실험에 견주어볼 때, 이 케이블 절연물에 대해서는 더 이상 시험할 가치가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5A]
-EPR/LDPE:덱/HDPE:90/10
과산화물-함유물질 이외의 성분들을 실시예 3에 기술된 바와같이 약 150℃로 미리 예열시킨 고강도 혼합기에 도입한다. 이 조성물에는 PTFE를 함유시키지 않는다. 충분히 혼합한 후, 조성물을 약 290˚F에서 혼합기로부터 입상화시킨다. 생성된 조성물의 표면은 거친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이는 실시예 3에서 외견상 나타난 것과 같은 성분들의 완전 내부혼합이 본 실시예 5A의 물질에서는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외견상의 혼합도가 낮은 것은 이 조성물내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농도가 비교적 낮고, 또한 EPDM, 즉 노르델 2722 성분이 분산제의 도움없이 비교적 소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혼합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데에 기인한다. 조성물중에 충전제 및 첨가제가 존재할 경우, 이들은 겉보기 혼합물의 형성에 일조할 수 있다. 이들 충전제 및 첨가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혼합도는 높지 않으며 중합체 성분의 특정량의 탈적층화 또는 분리가 비충전된 조성물에서 일어날 수 있다.
입상화된 화합물을 밀상에 넣고, 이어서 고강도 혼합기에 재도입시키기 위해 시이트 형태로 꺼낸다. 고강도 혼합기를 약 150˚F로 냉각시킨 다음, 시이트 화합물을 표 Ⅲ에 명시한 바와같은 과산화물과 함께 혼합기에 넣는다. 고강도 혼합을 통해 형성된 조성물의 최종 온도를 약 240˚F 이하로 유지시켜 과산화물의 조기분해를 방지한다. 조성물을 밀에 넣고 시이트 형태로 꺼낸후 시이트를 통상적인 다이싱기를 통해 가공하여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펠렛을 형성시킨다.
혼합물 펠렛을 압출기에 넣고 #12 AWG 19-스트랜드 전도체상으로 압출시켜 치수가 대략 0.030in인 전도체상에 절연층을 형성시킨다. 이 전선 및 이의 절연물을 과산화물이 분해되고 조성물중의 중합체 성분이 가교결합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즉시 통상적인 고온 고압 경화 챔버에 통과시켜 챔버내의 포화증기에 노출시킨다. 가교결합된 전선 생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밀봉(water seal)을 통해 챔버로부터 꺼낸다.
[실시예 5B]
상술한 방법을 샘플 5B에 대해 반복하되, 5B 조성물이 형성되도록 조성물에 1.5부의 테플론-6을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모든 성분 및 성분 비율은 실시예 5A에서와 같다. 실시예 5A에 기술된 방법으로 혼합한 결과, 혼합 초기에는 매우 편평하고 외관상 균일한 크림상의 상호분산액이 형성되며 과산화물이 함유된 성분과 추가 혼합하는 경우에도 이와같이 상호분산액이 형성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화합물은 절단할 경우, 이의 표면 외관 및 내부 외관에 있어서 실시예 5A의 조성물 보다 더욱 균일하고 편평하기 때문에, 화합물의 보다 편평한 표면 외관 및 보다 원활한 작용은 화합물을 예비적으로 시이트로 만들어 다이싱할 경우, 밀상에서 관찰될 수도 있다.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이를 실시예 5A에 기술된 바와같이 전선상에 압출시키고 전선 절연물에 대한 시험을 수행한다. 마모시험에서 실시예 5A의 경우 235 사이클이 나타난데 비해, 본 실시예의 조성물은 399 사이클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전선의 내마모성이 약 70% 증가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내마모성의 증가는 1.5부의 테플론6을 첨가한데서 기인되며, 1.5부의 테플론 6을 첨가함으로써 조성물의 균질성도 증가된다.
[실시예 5C]
실시예 5A 및 5B의 방법을 반복하여 수행하되, 실시예 5A에서는 전혀 첨가하지 않고 실시예 5B에서는 1.5부를 첨가한데 비해, 이 경우에는 조성물에 3부의 테플론 6을 첨가한다. 실시예 5A의 경우에 비해 실시예 5C의 조성물은 더욱 균일한 편평한 표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물을 전선상에 압출시켜 두께가 0.030in인 절연층을 형성시킨다.
실시예 5C의 샘플에 대한 내마모성 시험에서 내마모성치는 577로 나타났으며, 이는 샘플5A에 비해 약 145%가 증가된 값이다. 따라서, 전선을 절연시키는데 있어서 최종 용도로 사용되는 조성물에 테프론 6을 매우 소량만 첨가해도 미치는 영향은 매우 현저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타이어와 같은 최종 용도에 적용되는 다른 제품 및 다른 중합체 시스템에도 이러한 내마모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론은 이들 실시예에 근거한 것이며, 내마모성은 실시예 5A, 5B 및 5C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하기 실시예 5D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을 비교적 소량으로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내구성과 관련이 있고 비교적 저농도의 폴리올레핀을 첨가하여 얻을 수 있는 타이어와 같은 고무 제품의 내구성에 있어서 이의 획기적인 증가는 본 발명에 교시된 독특한 섬유상 플루오로카본 혼합제를 매우 소량 첨가하는데서 얻어진다는 사실에서 내려진 것이다.
내마모성이 개선된 것 이외에도, 다량의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기제 중합체중의 소량의 폴리에틸렌 상호분산액을 형성시키기 위해 섬유상 플루오로카본 시약을 소량 첨가함으로써 물질의 인장강도 및 신도가 증가된다는 것도 관찰되었다.
[실시예 5D]
중합체 함량을 변형시키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A, 5B및 5C에 기술된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제로, 조성물은 실시예 5B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10부를 고밀도 폴리에틸렌 10부, 특허 TR-955(제조회사:Phillips Company)와 같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10부로 대체시키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B의 조성물과 동일하다. 이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55이고 용융지수는 8이다. 실시예 5D의 조성물에는 1.5부의 플루오로카본이 함유되어 있다.
전선을 실시예 5D에 기술된 것과 같은 조성물로 피복한 후, 전선 절연물에 대한 내마모성 시험을 하여 그 결과를 표 Ⅲ에 나타내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내마모성은 실제로 EPR 내에 상호 혼합된 동일한 양의 폴리에틸렌의 경우 및 동일한 양의 PTFE 상호분산제의 경우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실질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10% HDPE를 함유하는 5D 조성물에서 나타난 928의 값은 10% LDPE를 함유하는 실시예 5B의 조성물에서 나타난 내마모성 보다 대략 132%가 높다. 또한, 이 값은 실시예 5A의 조성물에서 나타난 값보다 약 300%(구체적으로, 295%)가 높은 것이며, 따라서 조성물 5D에 대해 동일한 시험 방법으로 측정한 내마모치는 비교적 소량인 대략 10부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비교적 소량인, 대략 1.5부의 테플론 6을 고무 기제 중합체(즉, PEDM)에 첨가함으로써 내마모성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나타내고 있다.
고무가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해 약간의 내성이 있으나, 소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고무에 혼입시킬 수 있으며, 전체적인 균질성은 수득되지 않지만, 고무, 특히 EPDM이 실시예 5B 및 5C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실시예 5D에서 사용된 특징을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양쪽 모두와 높은 비율의 비혼화성을 갖는다는 것을 주시해야 한다. 10부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90부의 EPDM과 통상적인 가공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여 혼합하는 것은 성분 모두가 실시예 5A-5D의 다른 첨가제인 경우에도 불가능한데, 이것은 이들 물질의 높은 근본적인 비혼화성 때문이다.
따라서, PTFE 물질의 배합물의 균질한 상호분산액을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특이한 것이다.
[표 Ⅲ]
[실시예 6]
실시예 5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조성물은 제조한다. 조성물에 있어서, 어떤 경우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20부를 포함하고, 다른 경우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30부를 포함하며, 나머지는 EPDM 공중합체 또는, 더욱 특히,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삼원중합체 탄성중합체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실시예 5에서와 같이 제조하며 각기 1.5부의 테플론 6을 함유한다.
본 조성물은 실제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EPDM 공중합체의 배합물을 실시예 5D 및 본 실시예에 따라 상호분산시킨 실시예 5D의 조성물과 매우 유사하다. 실시예 5D에서, 10부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데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20부 및 30부의 EPDM을 사용한다. 실시예 5D에 기술된 바와같이 전선상에 압출시킨, 과산화물 가교결합된 조성물에 대한 시험에서, 1.5부의 PTFE 및 20부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1.5부의 PTFE 및 30부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각기 함유하는 상호분산된 조성물에 대한 마모 시험치는 각기 1135스트로우크(stroke) 및 1471 스트로우크이다. 따라서, 10%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1.5부의 PTFE 상호분산제에 의해 얻어지는 상호분산된 조성물에 첨가하으로써 수득된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상호분산액으로부터 야기되는 상호분산된 조성물의 내마모성은 매우 급격히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절연물은 전도 소자의 어느 부분상에나 피복할 수 있으며 목적하는 절연효과를 얻는데 필요로 하지 않는 소자는 전체적으로 절연물을 입힐 필요가 없다는 것을 상기 내용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클로로프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실리콘 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스티렌 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린비닐 클로라이드;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천연 고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스티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테르이미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프로필렌 및 실리콘 검;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및 폴리스티렌;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및 실리콘 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실리콘 유체; 폴리스테렌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및 폴리아세탈; 폴리스티렌 및 폴리아미드;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성분의 배합물에 있어서,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기에 효과적인 분산된 섬유상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중합체 성분의 배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3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중합체 상호분산액 조성물.
-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성분; 및 중합체 성분의 배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35중량%의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기에 효과적인, 섬유상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혼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플루오로카본, 실리콘 중합체, 폴리스티렌,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클로로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상호분산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호분산시킨 두 개 이상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중합체 상호분산액 조성물.
-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플루오로카본, 실리콘 중합체, 폴리스티렌,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클로로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상호분산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호분산시킨 세개 이상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중합체 상호분산액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가요성 중합체 상호분산액으로 절연시킨 전도체를 포함하는 케이블 제품.
- 과산화물 가교결합제를 함유하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상호분산제를 사용하여 상호분산시킨,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반-결정성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염소화 폴리에틸렌 및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개질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 중합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플루오로카본, 실리콘 중합체, 폴리스티렌, 실란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클로로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화학적 가교결합성 상호분산액 조성물.
- 과산화물 가교결합제를 함유하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상호분산제를 사용하여 상호분산시킨,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플루오로카본, 실리콘 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클로로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합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화학적 가교결합성 상호분산액 조성물.
- 과산화물 가교결합제를 함유하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상호분산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호 분산시킨,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플루오로카본, 실리콘 중합체, 폴리스티렌, 클로로프렌,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합체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화학적 가교 결합성 상호 분산액 조성물.
- 과산화물 가교결합제를 함유하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상호분산제를 사용하여 상호분산시킨,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플루오로카본, 실리콘 중합체, 폴리스티렌, 클로로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합체와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화학적 가교결합성 상호분산액 조성물.
- 과산화물 가교결합제를 함유하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상호분산제를 사용하여 상호분산시킨,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플루오로카본, 실리콘 중합체, 폴리스티렌, 클로로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화학적 가교결합성 상호분산액 조성물.
- 과산화물 가교결합제를 함유하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상호분산제를 사용하여 상호분산시킨,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플루오로카본, 실리콘 중합체, 폴리스티렌, 클로로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합체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화학적 가교결합성 상호분산액 조성물.
- 과산화물 가교결합제를 함유하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상호분산제를 사용하여 상호분산시킨,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플루오로카본, 실리콘 중합체, 폴리스티렌, 클로로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아세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합체와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고무의 화학적 가교결합성 상호분산액 조성물.
- 열분해가능한 과산화물 가교결합제를 함유하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상호분산제를 사용하여 상호분산시킨,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플루오로카본, 실리콘 중합체, 클로로프렌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 및 반결정성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화학적 가교결합성 상호분산액 조성물.
- 열분해 가능한 과산화물 가교결합제를 함유하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상호분산제를 사용하여 상호분산시킨,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브타디엔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플루오로카본, 실리콘 중합체, 클로로프렌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합체와 염소화 폴리에틸렌의 화학적 가교결합성 상호분산액 조성물.
- 열분해가능한 과산화물 가교결합제를 함유하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상호분산제를 사용하여 상호분산시킨,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브타디엔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플루오로카본, 실리콘 중합체, 클로로프렌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합체와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의 화학적 가교결합성 상호분산액 조성물.
- 제6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교결합된 조성물.
- 제6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요성의 가교 결합성 중합체 상호분산액으로 절연시킨 전도체를 포함하는 케이블 제품.
- 제17항에 있어서, 중합체 상호분산액이 가교결합된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42738682A | 1982-09-29 | 1982-09-29 | |
US42721082A | 1982-09-29 | 1982-09-29 | |
US42721382A | 1982-09-29 | 1982-09-29 | |
US42639582A | 1982-09-29 | 1982-09-29 | |
US427,386 | 1982-09-29 | ||
US426,395 | 1982-09-29 | ||
US427,210 | 1982-09-29 | ||
US427,213 | 1982-09-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6358A KR840006358A (ko) | 1984-11-29 |
KR920001654B1 true KR920001654B1 (ko) | 1992-02-21 |
Family
ID=2750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30004593A KR920001654B1 (ko) | 1982-09-29 | 1983-09-29 | 상호분산된 중합체 절연 조성물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0110038A3 (ko) |
JP (1) | JPH0623315B2 (ko) |
KR (1) | KR920001654B1 (ko) |
BR (1) | BR8304832A (ko) |
HU (1) | HU199532B (ko) |
NO (1) | NO833500L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148743B1 (en) * | 1984-01-06 | 1991-04-10 |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CA2029032A1 (en) * | 1989-11-01 | 1991-05-02 | Yoshihisa Tajima | Thermoplastic interpenetrating network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WO1995033008A1 (fr) * | 1994-05-31 | 1995-12-07 |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 Composition de resine contenant de la resine fluoree, procede de production de ladite composition, et feuille et mousse thermoformables constituees de ladite composition |
SE515726C2 (sv) | 1999-05-05 | 2001-10-01 | Borealis As | Elektrisk kabel |
SE9901619D0 (sv) * | 1999-05-05 | 1999-05-05 | Borealis As | Elastomeric polymer composition |
WO2005123829A1 (en) * | 2004-06-14 | 2005-12-29 | Polyone Corporation | Durable and low frictio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
CN103304968B (zh) * | 2013-06-24 | 2015-07-01 | 苏州新区佳合塑胶有限公司 | 一种耐酸腐蚀的pet/pvc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
CN103554795A (zh) * | 2013-10-25 | 2014-02-05 | 安徽文峰电子科技集团有限公司 | 一种耐高温蒸汽耐老化的改性氟橡胶电缆料 |
CN104130503B (zh) * | 2014-07-29 | 2016-02-24 | 国家电网公司 | 一种用于电力系统的绝缘材料及应用 |
CN105754267B (zh) * | 2016-03-08 | 2017-09-29 |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 一种具有负泊松特性的磁流变材料的制备方法 |
CN105860379B (zh) * | 2016-03-08 | 2017-08-11 |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 一种具有负泊松比特性材料的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756458A1 (de) * | 1976-12-21 | 1978-06-22 | Gen Electric | Tropfverzoegerte, plastizierte thermoplastische zusammensetzung |
US3675391A (en) * | 1969-05-01 | 1972-07-11 | American Cyanamid Co | Breathable waterproof fabric |
US4013613A (en) * | 1971-10-01 | 1977-03-22 | General Electric Company | Reinforced intercrystalline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s |
JPS48102145A (ko) * | 1972-04-07 | 1973-12-22 | ||
US3879301A (en) * | 1973-07-12 | 1975-04-22 | Garlock Inc | Low friction bearing material and method |
JPS5615434B2 (ko) * | 1973-10-15 | 1981-04-10 | ||
JPS50119040A (ko) * | 1974-03-06 | 1975-09-18 | ||
JPS5147043A (ja) * | 1974-10-21 | 1976-04-22 | Teijin Chemicals Ltd | Goseijushisoseibutsu |
AU8671075A (en) * | 1974-12-06 | 1977-05-26 | Gen Electric | Flame retardant, non-dripping composition of polyphenylene ether and acrylonitrile - butadiene-styrene |
JPS5186554A (ja) * | 1975-01-28 | 1976-07-29 | Teijin Chemicals Ltd | Nannenseijushisoseibutsu |
SE8005194L (sv) * | 1979-07-17 | 1981-01-18 | Lion Corp | Termoplastkomposition och sett att forma foremal derav |
JPS5649740A (en) * | 1979-07-30 | 1981-05-06 | Lion Corp | Production of filled polyolefin resin foam |
JPS5910724B2 (ja) * | 1979-08-24 | 1984-03-10 | 旭化成株式会社 | エチレンの連続重合法 |
JPS5953291B2 (ja) * | 1979-12-17 | 1984-12-24 | ライオン油脂株式会社 | 熱可塑性樹脂の混練方法 |
JPS57149345A (en) * | 1981-03-13 | 1982-09-14 | Mitsui Toatsu Chem Inc | Wear-resistant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
-
1983
- 1983-09-05 BR BR8304832A patent/BR8304832A/pt unknown
- 1983-09-16 EP EP83109178A patent/EP0110038A3/en not_active Withdrawn
- 1983-09-28 HU HU833369A patent/HU199532B/h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3-09-28 JP JP58178373A patent/JPH0623315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3-09-28 NO NO833500A patent/NO833500L/no unknown
- 1983-09-29 KR KR1019830004593A patent/KR9200016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HU199532B (en) | 1990-02-28 |
BR8304832A (pt) | 1984-09-04 |
EP0110038A3 (en) | 1986-03-19 |
NO833500L (no) | 1984-03-30 |
KR840006358A (ko) | 1984-11-29 |
JPH0623315B2 (ja) | 1994-03-30 |
EP0110038A2 (en) | 1984-06-13 |
JPS6090260A (ja) | 1985-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65789A (en) | Conductive polymer processable as a thermoplastic | |
US4816517A (en) | Crosslinked polymer interdispersions containing polyolefin and method of making | |
RU2173324C2 (ru) | Полиолефиновые композиции, способные к сшиванию | |
US7939607B2 (en) | Partially crosslinked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s with low melt index values and increased tensile strength | |
KR920001654B1 (ko) | 상호분산된 중합체 절연 조성물 | |
EP1847565A1 (en) | A layer for cables having improved stress whitening resistance | |
CA2061644A1 (e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
EP0843703B1 (en) | An electrically conductive thermoplastic elastomeric composition and its use | |
CN111051398A (zh) | 乙烯-乙酸乙烯酯的反应性混炼 | |
US4758627A (en) | Polymer interdispersions,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same | |
EP1283527A1 (en) | Electrically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and electric wire or cable both coated therewith | |
EP0897783B1 (en) | Recycling process of a cross-linked polymeric material, in particular from electric cable coating materials | |
US4973626A (en) | Crosslinked polymer interdispersions containing polyolefin and method of making | |
Verbois et al. | New thermoplastic vulcanizate, composed of polypropylene and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crosslinked by tetrapropoxysilane: evolution of the blend morphology with respect to the crosslinking reaction conversion | |
KR101946945B1 (ko) | 전력케이블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 |
US4001174A (en) | Incombustible polyolefin molding compositions and method of crosslinking same | |
US20190352482A1 (en) | Process for Foaming Polyolefin Compositions Using a Modified High Density Polyethylene | |
Rejon et al. | Percolation phenomena in carbon black–filled polymeric concrete | |
US4781979A (en) | Cables formed with inter-dispersed polymer insulation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 |
US4935262A (en) | Cables formed with interdispersed polymer insulation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 |
RU2376325C2 (ru)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й эластомерной композиции | |
US4913962A (en) | Cables formed with interdispersed polymer insulation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 |
US4864001A (en) | Cables formed with interdispersed polymer insulation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 |
Domenech et al. | Elastomeric composites based on 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rubber and conducting polymer‐modified carbon black | |
US4945132A (en) | Crosslinked polymer interdispersions,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