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550B1 -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multiplexer and end-user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multiplexer and end-user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550B1
KR920001550B1 KR1019880017379A KR880017379A KR920001550B1 KR 920001550 B1 KR920001550 B1 KR 920001550B1 KR 1019880017379 A KR1019880017379 A KR 1019880017379A KR 880017379 A KR880017379 A KR 880017379A KR 920001550 B1 KR920001550 B1 KR 920001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transceiver
cpu
data
reg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3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00011194A (en
Inventor
고제수
김협종
김시원
송주빈
조규섭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 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 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880017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550B1/en
Publication of KR90001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1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5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A hybrid circuit (5) interconnects four lines having separate receiving/transmitting lines, and an A-bit register (11) temporarily stores the received data before sending or receiving control bits to or from a CPU. A C channel multi-frame synchronizing circuit (10) checks the synchronized or non-synchronized state of the frame, and a warning detecting circuit (19) displays the synchronized or non-synchronized state of the frame. An address decoder (16) selects a relevant regist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CPU, and an interrupt control circuit (15) sends an interrupt signal to the CPU to effect a communication with the CPU.

Description

U 인터페이스 채널장치U interface channel device

제1도는 본 발명의 PMUX/COT 시스템에서의 작용을 나타낸 계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in the PMUX / C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a도는 U 인터페이스 선로상의 16Kbps 신호 프레임 포맷도.Figure 3a is a 16Kbps signal frame format diagram on a U interface line.

제3b도는 시스템 클럭과 2.048Mbps 데이타 스트림의 타이밍 관계도.3b is a timing relationship diagram between a system clock and a 2.048 Mbps data stream.

제3c도는 바이페이스 부호도.3C is a bi-face coded diagram.

제4도는 타이밍 발생회로에 의해 발생된 타이밍 신호들의 상호 관계도.4 is a correlation diagram of timing signals generated by a timing generation circui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6 : U 트랜시버 7 : 채널분리기6: U transceiver 7: Channel separator

8 : C채널 추출기 9 : 타이밍 발생회로8: C channel extractor 9: timing generator

10 : C채널 멀티프레임 동기회로 11 : A비트 레지스터10: C-channel multiframe synchronous circuit 11: A bit register

12 : M비트 레지스터 13 : U 트랜시버 동작제어 레지스터12: M bit register 13: U transceiver operation control register

14 : C채널 삽입기 15 : 인터럽트 제어회로14: C channel inserter 15: interrupt control circuit

16 : 어드레스 디코더 17 : 송신 C채널 멀티프레임 발생기16 Address Decoder 17 Transmit C-Channel Multiframe Generator

19 : 경보검출회로 20 : 모드선택 회로19: alarm detection circuit 20: mode selection circuit

본 발명은 U 인터페이스 채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MUX(Primary Multiplexer)시스템에 사용되는 U 인터페이스 채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 interface channe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 interface channel device used in a primary multiplexer (PMUX) system.

PMUX 시스템이라 함은 이미 확립된 국간 전송기술을 가입자망에 응용하여, 원격지에 군으로 산재하는 10개 또는 12개의 ISDN(종합정보통신망) 기본접속 가입자들을 DS1급의 비트속도로 다중시켜 ISDN 교환기에 연결시키는 일종의 ISDN 가입자 다중장치로서 특히, ISDN 도입 초기시 ISDN 교환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영역의 가입자들에게 기존의 DS1 급전송설비를 이용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ISD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The PMUX system applies the established inter-station transmission technology to the subscriber network, multiplies 10 or 12 ISDN basic access subscribers scattered in groups at remote locations at the bit rate of DS1 to the ISDN exchange. It is a kind of ISDN subscriber multi-device that connects. Especially, it was developed to provide efficient and economical ISDN service to existing subscribers in the area where ISDN exchange is not installed at the early stage of ISDN introduction by using existing DS1 transmission system.

PMUX 시스템의 전형적인 응용구성으로서 PMUX/PT와 PMUX/COT로 구성될수 있는데, PMUX/RT는 가입자측 인터페이스 선로와 접속을 위한 것이고, PMUX/COT는 교환기측 인터페이스 선로와의 접속을 위한 것이다.Typical application configuration of PMUX system can be PMUX / PT and PMUX / COT. PMUX / RT is for connection with subscriber side interface line and PMUX / COT is for connection with exchange side interface line.

본 발명은 PMUX/COT 시스템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교환기측 U 인터페이스 선로를 종단하고, 160Kbps 속도의 ″2B+D+C″ 채널 정보를 2.048Mbps 속도의 데이타 스트림(DST)으로 변환하여 각 채널 정보를 분리하여 처리하고 해당장치(동기회로장치, CPU)로 송출하며, 또한 각 장치에서 오는 채널정보를 2.048-Kbps 스트림으로 삽입하여 160Kbps 교환기측 U 인터페이스 프레임 형태로 변환하여 부호화 과정 등을 거쳐 선로를 전송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art of the PMUX / COT system, and terminates the switch-side U interface line, converts ″ 2B + D + C ″ channel information at 160 Kbps into a data stream (DST) at 2.048 Mbps and provides each channel information. Process the data, send it to the corresponding device (synchronous circuit device, CPU), insert channel information from each device into 2.048-Kbps stream, convert it to 160Kbps switch-side U interface frame type, The purpose is to transmit.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S1급 전송설비를 이용하여 ISD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PMUX 시스템의 U 인터페이스 채널장치에 있어서, 교환국에 연결된 2선선로와 송수신 신호선이 분리된 4선선로를 상호연결시키는 하이브리드회로; 상기 하이브리드회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선로 데이타를 시스템 데이타로 변환하거나 시스템에서 오는 데이타를 선로데이타로 변환하며 동기 클럭펄스 및 프레임 펄스를 발진시키는 U 트랜시버; 상기 U 트랜시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U 트랜시버로 부터 나오는 DSTo 버스 데이타인 ″2B+D+C″ 채널 정보를 ″2B+D″ 및 ″C″ 채널로 각각 분리하거나 상기 분리된 채널정보를 상기 U 트랜시버로 들어가는 DSTi 버스 데이타에 삽입시켜 보내는 채널분리기; 상기 채널분리기에 연결되어 있고, 플립플롭들을 구비하여 분리된 C 채널 정보중 해당 제어 비트만을 추출하는 C 채널 추출기; 상기 C 채널 추출기에 연결되어 있고 기동/정지, 시험루프 및 급전제어에 쓰이는 제어비트를 CPU로 보내거나 CPU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일단 상기 데이타를 저장하는 A비트 레지스터; 상기 C채널 추출기에 연결되어 있고 감시용 제어비트를 CPU로 부터 수신하기 위해 일단 상기 데이타를 저장하는 M비트 레지스터; 상기 U 트랜시버의 내부 레지스터인 CR(제어 레지스터)과 DR(진단 레지스터)를 CPU로 하여금 엑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U 트랜시버 동작 제어 레지스터; C채널 정보중 C3비트 클럭을 카운터에 의해 12카운트하여 송신 멀티프레임 펄스를 발생시키는 송신 C채널 멀티프레임 발생기; 상기 A비트레지스터, M비트레지스터, 송신 C채널 멀티프레임 발생기 및 채널분리기에 연결되어 입력된 C채널 정보를 상기 채널분리기로 보내어 DSTi 버스에 삽입시키는 C채널 삽입기; 상기 U 트랜시버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 발생회로; 상기 A비트레지스터, M비트레지스터, C채널 추출기 및 타이밍 발생회로(9)에 연결되어 프레임 동기/비동기 상태를 확인하는 C채널 멀티프레임 동기회로; 상기 타이밍 발생회로 및 상기 C채널 멀티프레임 동기회로에 연결되어 동기/비동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경보검출회로; CPU와 상기 A비트레지스터, M비트레지스터 및 동작제어 레지스터에 연결되어 있고, CPU와의 송수신을 위한 해당 레지스터를 선택하는 어드레스 디코더; 및 상기 어드레스 디코더 및 상기 C채널 추출기에 연결되어 CPU와의 송수신을 위해 인터럽트 신호를 CPU로 보내는 인터럽트 제어회로를 구비하도록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U interface channel apparatus of the PMUX system for providing ISDN service using a DS1 class transmission equipment, a two-wire line connected to the switching center and a four-line line separated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lines Interconnecting hybrid circuits; A U transceiver connected to the hybrid circuit and converting the line data into system data or converting data from the system into line data and oscillating a synchronous clock pulse and a frame pulse; The ″ 2B + D + C ″ channel informa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U transceiver and is DSTo bus data from the U transceiver, into ″ 2B + D ″ and ″ C ″ channels, respectively, or the separated channel information is divided into A channel separator for inserting DSTi bus data into the transceiver; A C channel extractor connected to the channel separator and including flip-flops to extract only a corresponding control bit of the separated C channel information; An A bit register coupled to the C channel extractor and storing the data once for sending to or receiving control bits from the CPU for start / stop, test loop and feed control; An M bit register coupled to the C channel extractor and storing the data once for receiving monitoring control bits from a CPU; A U transceiver operation control register for allowing a CPU to access a CR (control register) and a DR (diagnostic register) which are internal registers of the U transceiver; A transmission C-channel multiframe generator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multiframe pulse by counting a C3 bit clock of the C channel information by a counter 12; A C-channel inserter connected to the A-bit register, the M-bit register, the transmitting C-channel multiframe generator, and the channel separator to send the input C-channel information to the channel separator to insert into the DSTi bus; A timing generating circuit connected to said U transceiver and providing a timing signal necessary therein; A C-channel multi-frame synchronous circuit connected to the A-bit register, M-bit register, C-channel extractor and timing generator 9 to check frame synchronization / asynchronous state; An alarm detection circuit coupled to the timing generation circuit and the C-channel multiframe synchronization circuit for displaying a synchronous / asynchronous state; An address decoder connected to a CPU, the A bit register, an M bit register, and an operation control register to select a corresponding register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CPU; And an interrupt control circuit connected to the address decoder and the C channel extractor to send an interrupt signal to the CPU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CPU.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PMUX/COT에서의 적용을 나타낸 계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in PMUX / COT of the present invention.

PMUX/COT U 인터페이스 채널장치(1)는 교환기측 U 인터페이스 선로를 종단하고 ISDN 기본엑세스(2B+D)를 수용한다.The PMUX / COT U interface channel device 1 terminates the switch-side U interface line and accommodates ISDN basic access (2B + D).

160Kbps 선로속도를 갖는 교환기측 U 인터페이스 프레임 포멧으로 부터 2.048Mbps DST 버스 구조의 채널정보를 추출해내고, 또 역으로 삽입한다. 이렇게 분리된 2B+D 채널은 SUN(동기회로장치)(3)로 보낸다. 상위로 부터 오는 2B+D 채널은 SUN(3)에서 ST 버스상에 삽입되어 U 인터페이스 채널장치(1)로 돌아온다.The channel information of the 2.048Mbps DST bus structure is extracted from the exchange side U interface frame format having a 160Kbps line speed and inser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is separated 2B + D channel is sent to the SUN (synchronous circuit unit) 3. The 2B + D channel from the top is inserted on the ST bus from SUN (3) and returned to the U interface channel device (1).

U 인터페이스상의 C채널은 유지보수 관련정보를 담고 있는데 일단 U 인터페이스 채널장치(1)에서 추출하여 CPU로 인터럽트 처리된다.The C channel on the U interface contains maintenance related information, which is first extracted from the U interface channel device 1 and interrupted by the CPU.

각 기본엑세스로 부터 추출된 각각의 클럭들(F0,C4)은 동기신호(OF1-OF4)와 함께 SUN(3)로 내보낸다.Each of the clocks F0 and C4 extracted from each basic access is sent to the SUN 3 together with the synchronization signals OF1-OF4.

전원공급장치(2)(PSU)는 UCU(1)에 필요한 +5V의 전원을 공급할 뿐아니라, U 인터페이스 선로로의 필요한 선로센싱기능을 갖고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 (PSU) not only supplies the + 5V power required for the UCU 1 but also has the necessary line sensing function of the U interface line.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성도이고, 제3a도는 U 인터페이스 선로상의 160Kbps 신호 프레임 구조이며, 제3b도는 시스템 클럭과 2.048Mbps 데이타 스트림의 타이밍 관계도이고, 제3c도는 바이페이즈 부호도이며, 제4도는 타이밍 발생회로에 의해 발생된 타이밍 신호들의 상호관계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160 Kbps signal frame structure on a U interface line, FIG. 3b is a timing relationship diagram between a system clock and a 2.048 Mbps data stream, and FIG. 3c is a biphasic coded diagram. Fig. Is a correlation diagram of timing signals generated by the timing generation circuit.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2 to 4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하이브리드회로(5)는 교환국에 연결된 2선선로(2W)(즉, U 인터페이스 선로)를 통해 들어오는 160Kbps 속도의 신호를 4선선로(즉, 송수신 신호선이 분리된 선로)를 통해 U 트랜시버(6)로 보내주며, U 트랜시버에서 송출되는 160Kbps 속도의 신호를 4선선로를 통해 받아 변환한 후 2선선로(2W)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하이브리드회로(5)는 저항, 캐퍼시턴스, 및 결합용 트랜지스포머를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며, 트랜스포머는 2:1의 권선비를 갖고 있으며, 2차측에 센타 탭을 두어 선로와 장치간의 직류 전기 결합을 할수 있도록 하였다.The hybrid circuit 5 transmits a 160Kbps signal coming in through a two-wire line (2W) (i.e., a U interface line) connected to an switching center through a four-line line (i.e., a line having separat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lines) to the U transceiver 6 It transmits the signal of 160Kbps transmitted from U transceiver through 4 line and converts it to 2 line (2W).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ybrid circuit 5 is configured using a resistor, a capacitance, and a coupling transistor, and the transformer has a turns ratio of 2: 1, and a center tab is provided on the secondary side to provide a line and Direct current and electrical coupling between the devices was possible.

즉, 2선선로의 센타 탭을 통해 직류전기(PF+PF-)를 교환국 측으로 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That is, direct current electricity (PF + PF-) can be supplied from the exchange station through the center tap of the 2-wire line.

U 트랜시버(6)는 ISDN의 기본 엑세스 인터페이스용으로 쓰기위한 디바이스이다. CCITT에서 권고된 바와같이 2선선로를 통해 ″2B+D″ 채널 구조(2×64Kbps 전송속도 B채널과 1×16Kbps 전송속도의 D채널)을 제공한다.The U transceiver 6 is a device for writing for the basic access interface of the ISDN. As recommended by the CCITT, it provides a ″ 2B + D ″ channel structure (B channel of 2 × 64 Kbps rate and D channel of 1 × 16Kbps rate) over a two-wire line.

상기 U 트랜시버(6)의 기본 엑세스 인터페이스는 하이브리드회로(5)를 통해 선로로부터 들어오는 160Kbps 속도의 부호화된 전송선로신호(제3c도 참조)를 수신하여 NRZ 데이타(제3c도 참조)로 재생하는 회로와, 송신할 NRZ 데이타(제3c도 참조)를 바이페이즈 부호화시켜 160Kbps 전송선로신호(제3c도 참조)를 송신하는 회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용된 선로 부호는 제3c도의 바이페이즈(Biphase) 부호이며, NRZ 데이타는 스크램블링되어 있으며, 차동부호화 된다.(제3c도 참조)The basic access interface of the U transceiver 6 is a circuit for receiving an encoded transmission line signal of 160 Kbps speed (see FIG. 3C) coming from the line through the hybrid circuit 5 and reproducing the NRZ data (see also FIG. 3C). And a circuit for biphasically coding the NRZ data to be transmitted (see also FIG. 3C) and transmitting a 160 Kbps transmission line signal (see also FIG. 3C). The line code used here is the biphase code of Figure 3c, and the NRZ data is scrambled and differentially encoded (see Figure 3c).

여기서 바이페이즈 선로 부호를 쓰는 주된 이유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The main reasons for using biphasic line code are as follows.

첫째, 전력 밀도가 차쇄 및 분산을 최소화시키는 스펙트림 영역에 집중된다. 둘째, 선로 응답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적응 에코우 제거에 아주 중요한 부호간 간섭을 줄일수 있다. 세째, 수신단에서의 클럭 추출을 용이하게 해준다. 네째, 부호내의 직류(D.C) 성분이 없으므로 데이타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팬텀(Phantom) 전력 공급을 적용할 수 있다. 다섯째, 바이폴라 신호이므로 데이타 수신이 용이하고 신호대 잡음비(S/N)비가 높다.First, the power density is concentrated in the spectrum region, which minimizes blocking and dispersion. Second, it can shorten the line response and reduce the intersymbol interference which is very important for adaptive echo cancellation. Third, it facilitates clock extraction at the receiving end. Fourth, since there is no direct current (D.C) component in the code, phantom power supply can be applied without affecting the data. Fifth, since it is a bipolar signal, data reception is easy and signal-to-noise ratio (S / N) ratio is high.

상기와 같이 160Kbps의 전송속도를 가진 선로 데이타는 U 트랜시버(6)에 의해 제3a도의 LOUT 신호와 같은 구조의 데이타를 재생한 후 제3b도와 같은 2.048Mbps 속도의 데이타 스트림 형태로 변환된다. 제3a도 및 제3b도에서

Figure kpo00001
신호는 8㎑ 주기의 프레임 신호이며, LOUT 신호는 160Kbps 속도를 갖는 데이타이고, 1비트의 프레임(F)비트, 1비트의 C채널, 2비트의 D채널(D0,D1), 16비트의 B채널(B10,B11,……,B17,B20,B21,……,B27) 비트로 되어있어 총 20비트를 이루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ne data having a transmission rate of 160 Kbps is converted into a data stream of 2.048 Mbps as shown in FIG. 3b after reproducing data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LOUT signal of FIG. 3a by the U transceiver 6. In Figures 3a and 3b
Figure kpo00001
The signal is a frame signal of 8 ms period, and the LOUT signal is data having a speed of 160 Kbps, one bit of frame (F), one bit of C channel, two bits of D channel (D0, D1), and 16 bits of B. The channel (B10, B11, ..., ..., B17, B20, B21, ..., ..., B27) bits make up a total of 20 bits.

제3b도에서

Figure kpo00002
신호는 8㎑ 주기의 프레임 신호로 데이타의 시작점을 인식하도록 하며,
Figure kpo00003
신호와 C2 신호는 4.096㎒ 및 2.048㎒ 속도의 클럭신호로 데이타 비트를 인식하는데 쓰인다.In Figure 3b
Figure kpo00002
The signal is to recognize the starting point of the data as a frame signal of 8㎑ period,
Figure kpo00003
The signal and the C2 signal are used to recognize data bits as clock signals at 4.096 MHz and 2.048 MHz speeds.

2.048Mbps 데이타 스트림은 하나의 채널이 8비트로 이루어진 32개의 채널을 포함하고 있으며, 첫번째 채널은 CHO이다.The 2.048Mbps data stream contains 32 channels of 8 bits in one channel, and the first channel is CHO.

상기 2.048Mbps 데이타 스트림은 제4도의 DST 신호와 같은 구조를 갖게되며, 첫번째 채널의 CHO내에 첫 2비트는 D0와 D1이 할당되며, 두번째 채널에는 C채널(C0…C7)이 할당되고, 세번째 채널과 네번째 채널에는 각각 B 채널이 할당된다. 그리고 다섯번째 채널부터 32번째 채널은 쓰지않고 비워둔다.The 2.048 Mbps data stream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DST signal of FIG. 4, the first two bits are assigned D0 and D1 in the CHO of the first channel, the C channels (C0… C7) are allocated to the second channel, and the third channel. Channel B is assigned to channel 4 and channel 4, respectively. And the 5th to 32nd channels are left blank.

상기와 같이 160Kbps의 전송속도를 가진 선로데이타를 U 트랜시버(6)에 의해 2.048Mbps의 ST 버스 구조로 변환하여 DSTo 신호로 채널분리회로(7)로 보내준다.As described above, the line data having a transmission rate of 160 Kbps is converted into an ST bus structure of 2.048 Mbps by the U transceiver 6 and transmitted as a DSTo signal to the channel separation circuit 7.

반대로 채널분리회로(7)로 부터 오는 입력 DST 버스인 DSTi 신호를 받아 160Kbps 전송속도의 선로 데이타로 변환하여 하이브리드회로(5)로 보내준다.On the contrary, it receives the DSTi signal, which is the input DST bus from the channel separation circuit 7, converts it into the line data of 160Kbps transmission rate and sends it to the hybrid circuit 5.

또한, U 트랜시버(6)는 교환국의 마스터 모드에 대한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10.24㎒ 수정진동자 발진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U transceiver 6 is provided with a 10.24 MHz crystal oscillator oscillating circuit for operating in the slave mode to the master mode of the switching center.

즉, U 트랜시버(6)는 교환국으로 부터 오는 U 인터페이스 선로(2W)의 수신 신호 정보로부터 타이밍 정보를 추출하여 동기가 형성되고 10.24㎒ 클럭과 위상동기가 이루어진다.That is, the U transceiver 6 extracts timing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signal information of the U interface line 2W coming from the switching center, and synchronization is formed, and phase synchronization is performed with a 10.24 MHz clock.

채널분리회로(7)는 U 트랜시버(6)로 부터 들어오는 DSTo 버스에 2개의 B채널과 2비트의 D채널을 분리해 내어 ″2B+D″를 포함시킨 STi 신호로 동기회로장치인 SUN(3)로 보낸다. 또 SUN(3)로 부터 받은 STo 신호에 2B채널과 D채널을 DSTi 버스에 삽입시켜 준다.The channel separation circuit 7 is a STi signal that separates two B channels and two bits of D channels from the DS transceiver bus from the U transceiver 6 and includes ″ 2B + D ″. Send to). Also, 2B channel and D channel are inserted into DSTi bus to STo signal received from SUN (3).

상기 채널분리기(7)은 DSTo로 부터 송신 C채널을 분리하여 C채널 추출기(8)로 보내주며, C채널 삽입기(14)에서 오는 수신 C채널을 받아 DSTi 버스에 실어준다.The channel separator 7 separates the transmission C channel from the DSTo and sends it to the C channel extractor 8, and receives the received C channel from the C channel inserter 14 and loads it on the DSTi bus.

C채널 추출기(8)는 채널 분리기(7)에 의해 분리된 C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플립플롭에 의해 C채널 정보중 A1-A4비트와 M0-M6비트를 추출하여 해당 레지스터(ABR(11), MBR(12))로 보내준후 CPU로 하여금 상기 검출된 정보들을 읽어 할수 있도록 한다.The C channel extractor 8 receives the C channel information separated by the channel separator 7, extracts the A1-A4 bits and the M0-M6 bits of the C channel information by flip-flops, and then registers the corresponding registers (ABR (11), After sending to MBR 12, the CPU can read the detected information.

여기서 A1-A4비트는 기동/정지, 시험루프 및 급전제어 정보를 가진 제어비트이고, M0-M6비트는 감시채널용 정보비트이다.Here, A1-A4 bits are control bits having start / stop, test loop and feed control information, and M0-M6 bits are information bits for monitoring channel.

그리고 ABR(A비트 레지스터)(11) 및 MBR(M비트 레지스터)(12)는 각각 A비트 및 M비트를 수신하여 일단 저장하는 기능을 가진 레지스터로서, 저장된 수신 데이타는 CPU가 원할 경우 읽어 갈수 있고, CPU로 부터 직접 송신 데이타를 받아 저장하여 두었다가, C채널 삽입기(14)로 보내기도 한다.The ABR (A bit register) 11 and the MBR (M bit register) 12 are registers having a function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A and M bits, respectively, and the received data can be read if the CPU desires it. In other words, the transmission data is directly received from the CPU, stored, and sent to the C-channel inserter 14.

C채널 정보의 CPU와 상호 교환은 어드레스 디코더(16) 및 인터럽트 제어기(15)에 의해 총괄적으로 제어된다.The CPU and the interchange of the C channel information are collectively controlled by the address decoder 16 and the interrupt controller 15.

C채널 삽입기(14)는 ABR, MBR 레지스터(11,12)로 부터 들어온 A1-A4 및 M0-M6비트를 받아, 송신 C채널 멀티프레임 발생기(17)로 부터 들어온 프레임 패턴 신호(MAB)와 함께 채널 분리기(7)로 보내며, 채널 분리기(7)는 상기 신호를 C채널 정보 수행 확인을 위해 U 트랜시버(6)를 통해 원격국으로 보낸다. 이때 DSTi 버스 채널에 삽입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The C-channel inserter 14 receives the A1-A4 and M0-M6 bits from the ABR, MBR registers 11 and 12, and the frame pattern signal MAB from the transmit C-channel multiframe generator 17. Together with the channel separator 7, the channel separator 7 sends the signal to the remote station via the U transceiver 6 to confirm the performance of the C channel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order of insertion into the DSTi bus channel is as follows.

″MAB-A1-A2-A3-A4-M0-M1-M2-M3-M4-M5-M6″″ MAB-A1-A2-A3-A4-M0-M1-M2-M3-M4-M5-M6 ″

여기서 MAB는 멀티프레임 배열비트이며, ″1010″ 패턴을 가지며 C채널 내의 정보를 인식하는데 쓰인다.Here, MAB is a multi-frame array bit, has a pattern ″ 1010 ″ and is used to recognize information in the C channel.

C채널 정보는 총 12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나, 실제 160Kbps 전송 속도 데이타에 할당한 C채널은 BKbps 속도의 1비트이다.Although the C channel information consists of 12 bits in total, the actual C channel allocated to 160Kbps transmission rate data is 1 bit of the BKbps rate.

이를 해소하기 위해 12비트의 C채널 정보를 0.667Kbps 속도로 분산시켜 멀티프레임 형태로 8Kbps 속도의 1비트 C채널 위치에 삽입시켜 전송한다.To solve this problem, 12-bit C-channel information is distributed at a rate of 0.667 Kbps and inserted into a 1-bit C-channel position of 8 Kbps in a multi-frame format and transmitted.

송신 C채널 멀티프레임 발생기(17)는 C채널 정보중 C3비트 클럭을 카운터에 의해 12카운트하여 송신 멀티프레임 펄스를 만든다. 이 펄스를 1,0 신호패턴으로 만들어 C채널 삽입기(14)에 보낸다.The transmission C-channel multiframe generator 17 generates a transmission multiframe pulse by counting a C3 bit clock of the C channel information by 12 counters. This pulse is made into a signal pattern of 1,0 and sent to the C-channel inserter 14.

DST버스 구조사에서 송신 C채널 비트는 C3비트이고, 수신 C채널 비트는 C7비트로 할당되어 있다.In the DST bus structure, the transmit C channel bits are allocated C3 bits, and the receive C channel bits are allocated C7 bits.

수신 C채널 멀티프레임 동기회로(10)는 C채널 추출기(8)로 부터 나오는 수신 C채널정보(RxHK)로 부터 C채널 멀티프레임 동기신호를 찾아낸다.The receiving C-channel multiframe synchronizing circuit 10 finds the C-channel multiframe synchronizing signal from the receiving C-channel information RxHK coming from the C-channel extractor 8.

즉, 수신 MAB비트를 찾아 냄으로써 C채널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수신 C채널 멀티프레임 동기회로(10)에서는 내부의 12카운터에서 생성된 멀티프레임 신호에 의한 1,0 패턴과 수신 채널 비트(RxHK)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 카운터의 클럭을 하나씩 제거한다.That is, the C channel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by finding the received MAB bit. The reception C-channel multiframe synchronization circuit 10 compares the 1,0 pattern of the multiframe signal generated by the 12 counters and the reception channel bits RxHK and removes the counter clocks one by one if they do not match.

따라서 C채널을 한비트씩 시프트하여 계속 비교하게 된다.Therefore, the C channel is shifted by one bit to continue comparison.

만일 4멀티프레임이 연속 일치하면 동기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IFC신호를 하이 ″H″ 상태로 출력한다. 멀티프레임 동기 상태로 일단 들어가면 2멀티프레임 이상 멀티프레임 상실이 계속되지 않는한 비동기 상태로 되지 않는다. 그러나, 동기가 상실된 경우, IFC 신호를 로우(″L″) 상태로 경보기(19) 및 ABR(11), MBR(12)로 보내어 경보기(19)를 통하여 상태를 CPU로 알림과 동시에 레지스터를 디스에이블 시킨다. 이는 경보 발생시 C채널 정보가 무효한 비트이기 때문에 CPU가 읽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f four multi-frames match in succession, it is determined that synchronization has been performed and the IFC signal is output in a high ″ H ″ state. Once in multiframe sync, it will not be asynchronous unless multiframe loss continues for more than 2 multiframes. However, if synchronization is lost, the IFC signal is sent low (″ L ″) to the alarms 19, ABR 11, and MBR 12 to notify the CPU of the status through the alarm 19 and simultaneously register the register. Let it be. This is to prevent the CPU from reading because the C channel information is an invalid bit when an alarm occurs.

타이밍 발생회로(9)는 U 트랜시버(6)에서 추출된 클럭들(

Figure kpo00004
)을 가지고 장치내에서 각각 필요한 각종 타이밍 및 클럭 신호들(제4도 참조)을 발생한다.The timing generating circuit 9 includes clocks extracted from the U transceiver 6.
Figure kpo00004
And generate various necessary timing and clock signals (see Fig. 4) in the device.

다음은 채널과 관련된 각종 타이밍 및 클럭 신호들에 대한 내용이며, 각 타이밍 신호들의 상호 관계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The following is a description of the various timing and clock signals associated with the channel, and the correlation of each timing signal is shown in FIG.

제4도에서 DST 버스신호는 2.048㎒ 클럭신호(C2)의 한 주기가 1비트인 2.048Mbps 속도를 가지며, 할당된 정보비트는 8㎑ 프레임 신호(

Figure kpo00005
)를 시작점으로 하여 첫번째 채널의 D0 및 D1 비트가 위치한다. 다음 두번째 채널에는 C채널이 할당되며 C0-C7비트로 이루어지고, 실제 쓰이는 C채널 정보비트는 송신 C채널 용으로 C7비트, 수신 C채널용으로 C3비트가 쓰인다.In FIG. 4, the DST bus signal has a speed of 2.048 Mbps in which one cycle of the 2.048 MHz clock signal C2 is 1 bit, and the allocated information bit is an 8 ms frame signal (
Figure kpo00005
), The D0 and D1 bits of the first channel are located. The second channel is allocated C channel and consists of C0-C7 bits, and the actual C channel information bits are C7 bits for the transmitting C channel and C3 bits for the receiving C channel.

다음 3번째와 4번째 채널에는 B채널(B10-B17,B20-B27비트)이 각각 할당되어 있다.The next 3rd and 4th channels are assigned B channels (B10-B17, B20-B27 bits), respectively.

Figure kpo00006
신호는 D채널(D0-D1비트) 인에이블 신호로 채널분리기(7)에서 로우(″L″)상태일 경우 DSTo 버스에 D채널을 삽입하는데 쓰인다.
Figure kpo00006
The signal is a D-channel (D0-D1 bit) enable signal that is used to insert the D-channel into the DSTo bus when it is low (″ L ″) in the channel separator 7.

Figure kpo00007
신호는 C채널(C0-C7비트) 인에이블신호이며 채널분리기(7)에서 로우(″L″)상태 일 경우 DSTi 버스에 C0-C7비트 삽입을 수행하는데 쓰인다.
Figure kpo00007
The signal is a C-channel (C0-C7-bit) enable signal and is used to perform C0-C7-bit insertion into the DSTi bus when it is low (″ L ″) in the channel separator 7.

Figure kpo00008
신호는 B채널 인에이블 신호로 채널분리기(7)에서 로우(″L″)상태일 경우 DSTo 버스에 B채널의 삽입을 수행하는데 쓰인다.
Figure kpo00008
The signal is a B-channel enable signal, which is used to perform the insertion of the B-channel into the DSTo bus when the channel separator 7 is low (″ L ″).

BCKr 클럭신호는 수신 B채널 클럭으로 채널분리기(7)에서 DSTi 버스 상에서 B채널을 분리하는데 이용한다.The BCKr clock signal is used to separate the B channel on the DSTi bus in the channel separator 7 with the received B channel clock.

CCKr 클럭신호는 수신 C채널(C0-C7) 클럭으로 채널 분리기(7)에서 DSTo로부터 C0-C7비트를 분리해내고 DSTi로 C0-C7비트를 삽입하는데 쓰인다.The CCKr clock signal is used to separate the C0-C7 bits from DSTo in the channel separator 7 and insert the C0-C7 bits into the DSTi as the received C-channel (C0-C7) clock.

DCKr 클럭신호는 수신 D채널(D0-D1비트)클럭으로 채널 분리기(7)에서 DSTi로 부터 D0-D1비트를 분리해 내는데 쓰인다.The DCKr clock signal is used to separate the D0-D1 bits from the DSTi in the channel separator 7 as a receive D-channel (D0-D1 bit) clock.

COCKr은 수신 C0비트 클럭으로 경보검출회로(19)에서 DSTo 버스상의 C0비트를 추출하는데 쓰인다.The COCKr is used to extract the C0 bit on the DSTo bus from the alarm detection circuit 19 as a receive C0 bit clock.

C3CKr은 수신 C3비트 클럭으로 채널분리기(7)에서 DSTo 버스상의 C3비트를 추출하는데 쓰인다.C3CKr is used to extract the C3 bit on the DSTo bus from the channel separator 7 with the received C3 bit clock.

Figure kpo00009
신호는 C7 비트로드 신호로서 C채널 삽입기(14)에서 송신 C채널 정보를 C7비트 위치에 1비트 형태로 삽입시키는데 쓰인다.
Figure kpo00009
The signal is a C7 bit load signal, which is used by the C channel inserter 14 to insert the transmitted C channel information into the C7 bit position in 1 bit form.

C7CKx 신호는 송신 C7비트 클럭신호로 채널분리기(7)에서 송신 C채널 정보인 C7비트를 DSTi 버스상에 삽입시키는데 쓰인다.The C7CKx signal is a transmission C7 bit clock signal which is used by the channel separator 7 to insert C7 bits, which are transmission C channel information, on the DSTi bus.

LCKx 클럭신호는 C채널 삽입기(14)에서 ABR(11)과 MBR(12)로 부터 받은 송신 A1-A4 및 M0-M6 정보를 받아 들일때 쓰인다.The LCKx clock signal is used when the C-channel inserter 14 receives the transmission A1-A4 and M0-M6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BR 11 and the MBR 12.

LCKx의 클럭 속도는 C채널 멀티프레임 속도인 0.667㎑이다.The clock speed of the LCKx is 0.667µs, a C-channel multiframe rate.

U 트랜시버(6)의 동작 제어 레지스터(12)(이하 CCR이라 한다.)는 U 트랜시버의 내부 레지스터인 CR(제어 레지스터)와 DR(진단 레지스터)를 CPU로 하여금 엑세스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데이타 버스를 통해 U 트랜시버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타를 쓰기(write)할때는 시프트 레지스터에다 LUKx(제4도 참조)를 클럭신호에 의해 데이타를 저장한다.The operation control register 12 (hereinafter referred to as CCR) of the U transceiver 6 allows the CPU to access CR (control register) and DR (diagnosis register), which are internal registers of the U transceiver. When writing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U transceiver via the data bus, LUKx (see Figure 4) is stored in the shift register by a clock signal.

그러면 시프트레지스터의 작용으로 DSTi 버스 CH1의 C0-C6비트 위치에 삽입되어 들어간다. 만일 CPU가 CCR의 내용을 판독하고자 할 경우는 시프트레지스터를 통해 엑세스 함으로써 읽을 수가 있다.The shift register is then inserted into the C0-C6 bit position of the DSTi bus CH1. If the CPU wants to read the contents of the CCR, it can be read by accessing it through the shift register.

경보 검출회로(19)는 DSTo 버스에서 채널 1의 C0 비트를 검출하여 U 프레임 동기 상태를 제공한다. 이는 U 트랜시버(6)에서 U 프레임 동기상태를 C0비트상에 출력하기 때문이다. 한편, 수신 C채널 멀티프레임이 상실되었을 경우 IFC 출력이 로우(″L″) 상태로 되어 경보표시를 할수 있도록 하였다.The alarm detection circuit 19 detects the C0 bit of channel 1 on the DSTo bus and provides a U frame synchronization state. This is because the U transceiver 6 outputs the U frame synchronization state on the C0 bit. On the other hand, if the received C-channel multiframe is lost, the IFC output goes low (″ L ″) to enable the alarm display.

인터럽트 제어회로(15)는 C채널 추출기(8)에서 검출된 C채널정보 상태를 CPU가 읽어 갈수 있도록 C채널 정보 비트가 존재할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CPU로 보낸다.The interrupt control circuit 15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and sends it to the CPU when the C channel information bit exists so that the CPU can read the C channel information state detected by the C channel extractor 8.

이때 CPU가 C채널 관련 레지스터를 판독해가면 어드레스 디코더(16)를 인터럽트 신호를 해제한다. 어드레스 디코더(16)는 ABR(11), MBR(12), CCR(13)과 CPU와의 송수신을 위해 필요한 어드레스 신호(A1-A6), 칩 선택신호(CS), 및 읽기/쓰기 신호(R/W)를 이용하여 각각 필요한 제어신호들을 만들어 낸다.At this time, when the CPU reads the C channel related register, the address decoder 16 releases the interrupt signal. The address decoder 16 includes an address signal A1-A6, a chip select signal CS, and a read / write signal (R /) necessary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ABR 11, the MBR 12, the CCR 13, and the CPU. Eac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W).

모드선택회로(20)는 U 트랜시버(6)가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위해 그 모드를 결정해 주는 것이다.The mode selection circuit 20 determines the mode so that the U transceiver 6 operates in the slave mod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PMUX/COT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교환기측 U 인터페이스를 종단하고, 160Kbps의 전송 속도를 가진 ″2B+D+C″ 채널 정보를 2.048㎒의 전송 속도를 갖는 데이타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각 채널 정보를 분리하여 처리하고, 각 다른 장치로 부터 오는 채널 정보를 데이타 스트림 버스에 삽입하여, 160Kbps의 전송속도를 가진 U 인터페이스 프레임 형태로 변환하여 부호화 과정 등을 거쳐 U 인터페이스 선로로 전송시키게 하였고, 각 기본 엑세스에서 추출되는 클럭과의 동기 신호를 동기회로장치로 공급해 줄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교환기측 인터페이스 선로와 접속되어 기존의 DS1급 전송설비를 이용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ISDN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rms a part of the PMUX / COT system, and terminates the switch-side U interface and transmits data of ″ 2B + D + C ″ channel information having a transmission rate of 160 Kbps and a transmission rate of 2.048 MHz. It converts each channel information by converting it into a stream, inserts channel information from each other device into a data stream bus, converts it into a U interface frame type having a transmission rate of 160 Kbps, and passes the U interface line through an encoding process. In additi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with the clock extracted from each basic access can be supplied to the synchronization circuit device. 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efficient and economical ISDN service using the existing DS1 class transmission equipment connected to the exchange side interface line.

Claims (3)

DS1급 전송설비를 이용하여 ISD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PMUX 시스템의 U 인터페이스 채널장치에 있어서, 교환국에 연결된 2선선로(2W)와 송수신 신호선이 분리된 4선선로를 상호연결시키는 하이브리드회로(5); 상기 하이브리드회로(5)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선로 데이타를 시스템 데이타로 변환하거나 시스템에서 오는 데이타를 선로데이타로 변환하며 동기 클럭펄스(C4) 및 프레임 펄스(F0)를 발생시키는 U 트랜시버(6); 상기 U 트랜시버(6)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U 트랜시버(6)로 부터 나오는 DSTo 버스 데이타인 ″2B+D+C″ 채널 정보를 ″2B+D″ 및 ″C″ 채널로 각각 분리하거나 상기 분리된 채널정보를 상기 U 트랜시버(6)로 들어가는 DSTi 버스 데이타에 삽입시켜 보내는 채널분리기(7); 상기 채널분리기(7)에 연결되어 있고, 플립플롭들을 구비하여 분리된 C채널 정보중 해당제어 비트만을 추출하는 C채널 추출기(8); 상기 C채널 추출기(8)에 연결되어 있고 기동/정지, 시험루프 및 급전제어에 쓰이는 제어비트를 CPU로 보내거나 CPU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일단 상기 데이타를 저장하는 A비트 레지스터(ABR)(11); 상기 C채널 추출기(8)에 연결되어 있고 감시용 제어비트를 CPU로 부터 수신하기 위해 일단 상기 데이타를 저장하는 M비트 레지스터(MBR)(12); 상기 U 트랜시버(6)의 내부 레지스터인 CR(제어 레지스터)과 DR(진단 레지스터)를 CPU로 하여금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U 트랜시버 동작 제어 레지스터(13); C채널 정보중 C3비트 클럭을 카운터에 의해 12카운트하여 송신 멀티프레임 펄스를 발생시키는 송신 C채널 멀티프레임 발생기(17); 상기 A비트레지스터(11), M비트레지스터(12), 송신 C채널 멀티프레임 발생기(17) 및 채널분리기(7)에 연결되어 입력된 C채널 정보를 상기 채널분리기(7)로 보내어 DSTi 버스에 삽입시키는 C채널 삽입기(14); 상기 U 트랜시버(6)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 발생회로(9); 상기 A비트레지스터(11), M비트레지스터(12), C채널 추출기(8) 및 타이밍 발생회로(9)에 연결되어 프레임 동기/비동기 상태를 확인하는 C채널 멀티프레임 동기회로(10); 상기 타이밍 발생회로(9) 및 상기 C채널 멀티프레임 동기회로(10)에 연결되어 동기/비동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경보검출회로(19); CPU와 상기 A비트레지스터(11), M비트레지스터(12) 및 동작제어 레지스터(13)에 연결되어 있고, CPU와의 송수신을 위한 해당 레지스터를 선택하는 어드레스 디코더(16); 및 상기 어드레스 디코더(16) 및 상기 C채널 추출기(8)에 연결되어 CPU와의 송수신을 위해 인터럽트 신호를 CPU로 보내는 인터럽트 제어회로(1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 인터페이스 채널장치.In the U interface channel device of the PMUX system for providing ISDN service using a DS1 transmission facility, a hybrid circuit (5) interconnecting a two-wire line (2W) connected to an switching center and a four-line line having separat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lines (5) ; U transceiver 6, which is connected to the hybrid circuit 5, converts the line data into system data or converts data from the system into line data and generates a synchronous clock pulse C 4 and a frame pulse F 0. ); And ″ 2B + D ″ and ″ C ″ channels, respectively, which are connected to the U transceiver 6 and which separate DSTo bus data from the U transceiver 6 into ″ 2B + D ″ and ″ C ″ channels. A channel separator (7) for inserting the received channel information into the DSTi bus data entering the U transceiver (6); A C-channel extractor (8) connected to the channel separator (7) and having flip-flops to extract only a corresponding control bit of the separated C-channel information; An A bit register (ABR) 11 connected to the C channel extractor 8 and storing the data once for sending to or receiving control bits from the CPU for use in start / stop, test loops and feed control; An M bit register (MBR) 12 connected to said C channel extractor 8 and storing said data once for receiving monitoring control bits from a CPU; A U transceiver operation control register (13) for allowing a CPU to access CR (control register) and DR (diagnostic register), which are internal registers of the U transceiver (6); A transmission C-channel multiframe generator 17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multiframe pulse by counting a C3 bit clock of the C channel information by a counter 12; It is connected to the A bit register 11, the M bit register 12, the transmitting C channel multiframe generator 17 and the channel separator 7 to send the input C channel information to the channel separator 7 to the DSTi bus. A C channel inserter 14 for inserting; A timing generation circuit (9) connected to said U transceiver (6), for providing a timing signal necessary therein; A C-channel multiframe synchronization circuit 10 connected to the A bit register 11, the M bit register 12, the C channel extractor 8, and the timing generation circuit 9 to check frame synchronization / asynchronous state; An alarm detection circuit (19) connected to the timing generation circuit (9) and the C-channel multi-frame synchronization circuit (10) for displaying a synchronous / asynchronous state; An address decoder (16) connected to a CPU and the A bit register (11), an M bit register (12), and an operation control register (13), for selecting a corresponding register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CPU; And an interrupt control circuit (15) connected to the address decoder (16) and the C channel extractor (8) for sending an interrupt signal to the CPU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CPU.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 트랜시버(6)는 160Kbps의 전송 속도를 가진 데이타를 2.048Mbps의 ST 버스 포맷으로 변환하거나, 2.048Mbps의 ST 버스 데이타를 160Kbps의 전송 속도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U 인터페이스 채널장치.The U transceiver 6 is configured to convert data having a transmission speed of 160 Kbps into a ST bus format of 2.048 Mbps, or convert ST bus data of 2.048 Mbps into a transmission speed of 160 Kbps. U interface channe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 트랜시버(6)에 연결되어 상기 U 트랜시버를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도록 전환시키는 모드 선택회로(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 인터페이스 채널장치.The U interface channe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de selection circuit (20) connected to said U transceiver (6) for switching said U transceiver to operate in a slave mode.
KR1019880017379A 1988-12-24 1988-12-24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multiplexer and end-user terminal KR9200015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379A KR920001550B1 (en) 1988-12-24 1988-12-24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multiplexer and end-use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7379A KR920001550B1 (en) 1988-12-24 1988-12-24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multiplexer and end-user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194A KR900011194A (en) 1990-07-11
KR920001550B1 true KR920001550B1 (en) 1992-02-18

Family

ID=1928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379A KR920001550B1 (en) 1988-12-24 1988-12-24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multiplexer and end-user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55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194A (en) 199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8104A (en) Tdm demultiplexer with dedicated maintenance channels to indicate high-speed line faults to low speed circuits
US7088742B2 (en) Concurrent transmission of traffic from multiple communication interfaces
US4799217A (en) Three time slot digital subscriber line termination
AU623207B2 (en) System for transmitting hdlc frames on a pcm type link using a single hdlc circuit and a transposition buffer memory
US5684803A (en) Communication system for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distributed processors
KR950010922B1 (en) Trunk connection device of integrate service digital network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EP0137225A1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of a two-wire bus comprising an active terminator
JPS62502159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rface device used for it
WO1989001278A1 (en) Digital data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odules therefor
US3602647A (en) Control signal transmission in time division multiplex system communications
KR920001550B1 (en)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multiplexer and end-user terminal
US4720828A (en) I/o handler
JP3004130B2 (en) Message information termination method
KR910005499B1 (en) Apparatus for interfacing channels between isdn exchanger and subscribers
JP2703377B2 (en) Buffer device
KR910005502B1 (en) Apparatus for interface between isdn exchanger and subscribers
KR910005497B1 (en) Apparatus for interface between isdn exchanger and remote subscribers
US54307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operating information between 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equip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JP3763889B2 (en) Digital transmission device
KR100227614B1 (en) Apparatus for matching telephone network in processing system of communication
KR20000046390A (en)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of pulse code modulation channel apparatus in fiber loop carrier system
JP2619281B2 (en) PCM device
KR970002775B1 (en) Uni line polarity detection method in isdn
KR100194420B1 (en) Pulsed Digital Trunk Control Method in Key Phone System
KR940010205B1 (en) Virtual container 3 signal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