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836Y1 - 망원경 겸용 현미경 - Google Patents

망원경 겸용 현미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836Y1
KR920000836Y1 KR2019890004270U KR890004270U KR920000836Y1 KR 920000836 Y1 KR920000836 Y1 KR 920000836Y1 KR 2019890004270 U KR2019890004270 U KR 2019890004270U KR 890004270 U KR890004270 U KR 890004270U KR 920000836 Y1 KR920000836 Y1 KR 920000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objective lens
telescope
eyepiec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4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1504U (ko
Inventor
오미 쇼이찌
Original Assignee
루낙스 가부시끼가이샤
오미 쇼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낙스 가부시끼가이샤, 오미 쇼이찌 filed Critical 루낙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215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15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08Microscopes having a simple construction, e.g. portable micr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Telescope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망원경 겸용 현미경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 겸용 현미경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 겸용 현미경의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현미경의 광학시스템을 설명한 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 겸용 현미경이 현미경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사시도.
제5도는 승강대가 상승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 겸용 현미경의 측면도.
제6도는 렌즈통이 승강대의 위치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망원경 겸용 현미경의 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 겸용 현미경이 고정스탠드가 있는 망원경으로 사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받침대
3 : 제2대물렌즈통 4 : 제1대물렌즈
5 : 제2대물렌즈 8 : 접안렌즈
9 : 접안경 11 : 제1렌즈통 지지체
12 : 상부대 13 : 승강대
14 : 저부대 21 : 재물대
22 : 파워스위치 31 : 접안렌즈통
32 : 연결대 33 : 원통부
35 : 상부대 36 : 중간대
37 : 하부대 111 : 결합체
112 : 제1대물렌즈통 113 : 광원
121 : 제1고정 스크류 131 : 끼우개
132 : 제2고정 스크류
본 고안은 망원경 또는 현미경으로 사용되도록 하기위해 공통으로 사용되는 대물렌즈와 접안렌즈 부분을 가진 망원경 겸용 현미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미경은 과학실험에 많이 쓰이고 있고, 다양한 종류의 샘플을 50배에서 1000배로 확대할 수 있다.
종래의 현미경은 일반적으로 접안렌즈, 대물렌즈, 재물대, 집광경과 반사경으로 구성되어져 있고,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를 통해서 샘플의 확대된 구조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샘플로 광선을 반사하기 위하여 대물렌즈의 아래쪽에 설치된 집광경으로 빛이 가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종래의 현미경에서는 직립상을 역상으로 바꾸거나 역상을 직립상으로 바꾸기를 원할때 광학 경로에 반전 프리즘을 삽입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필요했다.
따라서 이러한 것들은 현미경의 구조와 작동을 복잡하게 만들어 왔다.
또, 종래의 현미경에서는, 적은수의 구성부품으로 구성되어지고 고정식 또는 휴대용 망원경으로써 쉽게 작동할 수 있는 망원경 겸용 현미경이 요구되어 왔었다.
본 고안에 의한 망원경 겸용 현미경은,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수직으로 세원진 기둥형태의 본체 ; 제1고정 스크류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회전되어질 수 있도록 가운데 상기 본체에 수평으로 설치된 제1대물렌즈통을 지지하기 위한 제1렌즈통 지지체 ; 상기 본체의 위쪽 부분에 망원경으로 쓸수있게 삽입된 승강대 ; 제2렌즈통 지지체를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스크류를 가지고 상기 승강대의 위쪽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끼우개에 회전할 수 있고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렌즈통 지지체 ; 상기 제2렌지통 지지체에 고정된 제2대물 렌즈통 ; 상기 제2대물렌즈통에 미끄러지게 장치된 접안렌즈통 ; 상기 제1대물 렌즈통의 반대위치에서 상기 받침대에 회전가능히데 샘플을 적재하는 재물대 ; 상기 제1대물 렌즈통, 상기 제2대물 렌즈통, 그리고 상기 접안렌즈통내에 각각 배치된 제1대물렌즈와 제2대물 렌즈, 그리고 접안경 ; 상기 제2대물렌즈와 상기 접안경의 광축의 교차점에 배치된 반사경 ; 등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과 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분명해질 것이다. 본 고안은 망원경과 현미경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물렌즈와 접안렌즈 부분을 포함하여, 망원경과 현미경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들면, 간단한 조작으로 현미경으로 혹은 고정식 망원경이나 휴대용 망원경으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 겸용 현미경은 현미경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관찰할 샘플을 놓는 재물대는 샘플에 가장 적절하게 조명할 수 있는 각도를 취할 수 있도록 360°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다.
이것은 직립상으로 부터 역상으로 바꾸거나 또는 그 반대로 바꾸기 위해 종래에 사용된 반전프리즘 없이 역상뿐만 아니라 직립상으로 모든 방향으로 샘플을 관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 겸용 현미경은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받침대(2)와 그 받침대(2)위에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 같은 형태의 본체 (1)와 렌즈통(3)으로 구성된다.
관찰할 샘플을 놓기위한 재물대(21)는 수평판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받침대(2)의 상부 표면에 장치되어 있다. 조명시스템을 위한 파워스위치(22)도 받침대(2)의 상부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조명 시스템을 위한 파워공급용의 밧데리 상자와 밧데리(도시되지 않음)는 받침대(2)내에 내장되어 있다. 조명 시스템을 위한 광원(113)은 파워스위치(22)를 경유하여 전원에 연결된다. 렌즈통(3)은 상부대(35), 중간대(36), 하부대 (37)로 형성되어 있다.
접안렌즈통(31)은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서 상부대(35)에 설치되어 있다.
연결대(32)는 중간대(36)의 측면에 나와있다.
렌즈통(3)은 제2대물렌즈통으로 구성되어 있고 접안렌즈통(31)는 렌즈통 즉 다시 말해서 제2대물렌즈통(3)에 미끄러질 수 있게 장치되어져 있다. 렌즈통(3)의 하부대(37)는 바닥부분이 뚫린 원통부(33)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는, 받침대(2)에 수직으로 고정된 절단된 원통형의 저부대(14)와 원통형의 상부대(12)와, 그리고 회전부재, 즉 다시말하면 저부대(14)와 관련하여 받침대 (2)에 대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제1렌즈통지지체(11)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부(23)의 밑부분에 끼우고 분리 가능한 결합체(111)는 지지체(11)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대물렌즈통 다시 말하면, 제1대물렌즈통(112)은 결합체(111)와 동축으로 지지체(11)의 아래쪽에 고정되어 있다. 광원(113)은 재물대(21)위에 놓여진 샘플(도시하지 않음)을 조명하기 위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져서 지지체(11)의 바로 아랫쪽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 스크류 즉 제1고정 스크류(121)은 본체(1)에 대하여 필요한 각도의 위치에서 지지체(11)를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체(11)의 측면에 만들어져 있다. 승강대 (13)는 본체(1)의 원통상부대(12)를 따라 수직으로 미끄러지게 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망원경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정 스크류(121)는 본체(1)에 대하여 필요한 수직 위치에서 승강대(13)를 고정시킬 수 있다. 끼우개(131)는 승강대에 돌출되어져 있고, 제2고정 스크류(132)가 설치되어 있다. 끼우개(131)는 제2렌즈통 지지체의 다른 부분을 이루는 연결대(32)를 착탈자재로 결합하고, 제2렌즈통 지지체의 한 부분을 형성한다. 연결대(32)는 제2고정 스크류(132)에 의해 고정되어지고 제2고정 스크류 (132)를 풀면 끼우개(131)로 부터 분리되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망원경 겸용 현미경의 광학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렌즈통 즉 제2대물렌즈통(3)이 결합체(111)를 경유하에 제1대물렌즈통(112)에 연결될때, 본 발명에 따른 망원경 겸용 현미경은 현미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광학 시스템을 형성한다.
제1대물렌즈통(112)내에서 촛점길이 55mm를 가진 제1대물렌즈(74)를 설치한다. 제2대물렌즈통(3)내에서 촛점길이 55mm를 가진 제2대물렌즈(5)와 제2대물렌즈(5)의 위쪽에 편경에 설치된다. 접안렌즈통(31)내에는 두개의 시야렌즈(7a, 7b) 그리고 접안렌즈(8)로 형성되고 촛점길이 11.0mm를 가진 접안경(9)이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 겸용 현미경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로, 현미경으로 사용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렌즈통(3)과 승강대(13)는 끼우개(131)에 연결대(32)에 삽입되어 제2고정스크류(132)를 조이므로 일체로 결합되어지고, 승강대(13)의 수직 동작에 따라 렌즈통 즉 제2대물렌즈통(3)이 수직으로 작동된다.
다음에, 지지체(11)에 의해 이동하는 제1대물렌즈통(112)의 중심이 받침대 (2)위에 설치된 재물대(21)의 중심과 일치되도록하기 위하여 지지체(11)를 돌린다. 마지막으로, 결합체(11)위에 렌즈통(3)의 하부대를 형성하는 원통부(33)을 끼우고 제1고정 스크류(121)을 조이므로써, 렌즈통 즉 제2대물렌즈통(3)과 제1대물렌즈통 (112)이 결합되어 현미경으로 사용하는 광학 시스템이 제1대물렌즈통(112) 내에 설치된 제1대물렌즈(4)와 제2대물렌즈통(3)내에 설치된 제2대물렌즈(5)와 접안렌즈통 (31)내에 설치된 접안경(9)를 거쳐서 형성되어지게 된다.
재물대(21)위에 놓여진 관찰할 샘풀을 주위로부터의 빛 또는 광원(113)의 빛에 의해 비추어진다. 샘플의 확대된 상은 접안경(9)을 통하여 관찰되어 진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접안경(9)의 결과적인 광학길이는 약 11mm로, 따라서 현미경과 망원경의 확대비율은 각각 30배와 10배쯤이 된다.
받침대(2)위에 설치된 재물대(21)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샘플에 대한 조명각도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샘플을 직립상으로 뿐만 아니라 역상으로 360°모든 방향에서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 겸용 현미경이 현미경으로 사용되는 상태는 제4도와 같다. 다음엔 망원경으로써 사용하는 조작을 설명한다.
첫번째로, 렌즈통 즉 제2대물렌즈통(3)은 제1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1고정스크류(121)를 풀고 승강대(13)를 필요한 위치가지 올리고 다시 제1고정 스크류(121)를 조여서 세트한다. 그런다음 승강위치에서 제2대물렌즈통(3)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 스크류(132)를 가볍게 풀고 연결대(32)둘레로 제2대물렌즈통(3)을 회전하고 마지막으로 다시 제2고정스크류(132)를 조여서 목적물을 향하게 한다. 이렇게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 겸용 현미경은 지지스탠드에 부착된 망원경으로써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체망원경으로써 망원경을 사용하기를 원할때, 렌즈통 (3)은 렌즈통(3)이 90°보다 작은 앙각을 갖도록 연결대(32)를 둘레호 회전되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 겸용 현미경은 제2고정 스크류(132)를 풀고 끼우개 (131)로 부터 연결대(32)를 분리시켜 본체(1)로 부터 렌즈통(3)을 분리하면 옥외에서 휴대용 망원경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재물대(21)위에 놓인 샘플에 가장 적절한 조명을 하기 위해서 받침대(2)위에 재물대(21)를 360°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것은 샘플을 직립상이거나 역상뿐만 아니라 어떤방향으로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직립상을 역상으로 또는 그 반대로 상을 바꾸기 위해 종래에 사용해왔던 반전 프리즘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 겸용 현미경을 간단한 조작으로 다각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즉 현미경으로써 고정식 망원경 또는 휴대용 망원경으로써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수직 적재된 기둥형의 본체와, 제1고정 스크류에 의해 필요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받침대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중간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대물 렌즈통을 지지하는 제1렌즈통 지지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망원경으로 사용될 수 있게 삽입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상부에서 수평하게 돌출되는 끼우개를 회전 가능하고 착탈자재로 결합하며 상기 제2렌즈통 지지체를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 스크류를 가지는 제2렌즈통 지지체와, 상기 제2렌즈통 지지체에 고정되는 제2대물렌즈통과, 상기 제2대물렌즈통에 미끄러질 수 있게 적재되는 접안 렌즈통과, 상기 제1대물렌즈통에 반대위치에서 상기 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샘플을 거치할 수 있는 재물대와, 상기 접안렌즈통과 상기 제2대물렌즈통과 그리고 상기 제1대물렌즈통내에 각각 설치된 제1대물렌즈와 상기 제2대물렌즈 그리고 접안경과, 상기 접안경과 상기 대물렌즈의 광학축에 교차되게 설치된 반사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 겸용 현미경.
KR2019890004270U 1988-04-07 1989-04-06 망원경 겸용 현미경 KR92000083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47277U JPH073376Y2 (ja) 1988-04-07 1988-04-07 望遠鏡兼用顕微鏡
JP47277(??) 1988-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504U KR890021504U (ko) 1989-11-02
KR920000836Y1 true KR920000836Y1 (ko) 1992-01-31

Family

ID=1277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4270U KR920000836Y1 (ko) 1988-04-07 1989-04-06 망원경 겸용 현미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73376Y2 (ko)
KR (1) KR920000836Y1 (ko)
GB (1) GB22174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788A (en) * 1990-05-24 1991-10-01 Yoshiaki Tachibana Microscope
AU2683695A (en) * 1995-06-20 1997-01-22 Hifumi Kogaku Kikai Kabushiki Kaisha Optical device
WO1998022843A1 (fr) * 1996-11-20 1998-05-28 Hifumi Kogaku Kikai Kabushiki Kaisha Unite pour dispositif optique et dispositif optique
TW200923411A (en) * 2007-11-27 2009-06-01 Suzhou Synta Optical Technology Co Ltd Telescopic lens cone
EA034238B1 (ru) * 2017-01-12 2020-01-21 Александр Леонидович Шакиров Оптический микроскоп
CN109633880A (zh) * 2018-12-29 2019-04-16 怡高企业(中山)有限公司 一种显微望远两用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6948A (en) * 1921-11-03 1923-05-03 Taylor William Optical apparatus for instructional purposes
US3804486A (en) * 1972-07-20 1974-04-16 Bausch & Lomb Adapter stand for converting a binocular to a microsc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907908D0 (en) 1989-05-24
JPH073376Y2 (ja) 1995-01-30
JPH01149609U (ko) 1989-10-17
KR890021504U (ko) 1989-11-02
GB2217471A (en) 198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0855A (en) Microscope having a focus-adjusting mechanism
KR910006736B1 (ko) 투광, 반사광, 또는 투광 반사광 현미경
US6400395B1 (en) Computerized video microscopy system
US5515201A (en) Microscope-telescope combination fitted with illuminating apparatus
KR920000836Y1 (ko) 망원경 겸용 현미경
US20080198447A1 (en) Microscope with Adjustable Stage
US5337177A (en) Microscope
US7307784B2 (en) High-stability optical microscope
CN101738716B (zh) 显微镜
JP2011027906A (ja) 顕微鏡
CN100520470C (zh) 磁性光学元件固定器及包括该固定器的显微镜装置
CN110161783A (zh) 镜头固定模块及投影装置
US6785045B2 (en) Microscope focusing apparatus
JP3374635B2 (ja) ストラップ取り付け可能な顕微鏡
US20190204576A1 (en) Smart media device platform as an inverse microscopic imaging apparatus
JP2768470B2 (ja) 実体顕微鏡
US20060050372A1 (en) Microscope
JP3427104B2 (ja) 顕微鏡装置
JPH0720650Y2 (ja) 偏射照明式倒立顕微鏡
JPS60227214A (ja) 双眼実体顕微鏡
US1311186A (en) silverman
WO2000020898A2 (en) Pocket microscope
JP2000056241A (ja) 拡大鏡装置
US4566789A (en) Panoramic view bore examining apparatus
JPH053280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