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772Y1 -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 - Google Patents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772Y1
KR920000772Y1 KR2019910017369U KR910017369U KR920000772Y1 KR 920000772 Y1 KR920000772 Y1 KR 920000772Y1 KR 2019910017369 U KR2019910017369 U KR 2019910017369U KR 910017369 U KR910017369 U KR 910017369U KR 920000772 Y1 KR920000772 Y1 KR 920000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otary
weed
concav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7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이하찌로오
Original Assignee
후소오 케이고오낀 가부시키가이샤
타까하시 까츠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5629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4962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3921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290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6914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53232Y2/ja
Application filed by 후소오 케이고오낀 가부시키가이샤, 타까하시 까츠히꼬 filed Critical 후소오 케이고오낀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7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52Cutting apparatu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
제1도는 평면도.
제2도는 일부절결 단면도.
제3도는 별도의 실시상태를 표시하는 일부절결저면도.
제4도는 제3도의 구성에 사용되는 회전칼날의 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일부절결 단면도.
제6도는 부분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예취유니트 1 : 회전칼날
2 : 고정칼날 6 : 회전구동축
12 : 오목형상 칼날부 12a : 잡초포획부
12b : 잡초압출부 13 : 입상부
14 : 칼날형성부 15 : 볼록형상 칼날부
17 : 배출간극 18 : 잡초권입 방지판
본 고안은 잡초등을 예취하기 위한 잡초예취용 칼날 유니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회전칼날과 고정칼날을 동축상에서 서로겹쳐 회전칼날의 회전에 의하여 잡초등을 베어내는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관한 칼날유니트를 원동기를 구비한 홀딩컬럼(holding column)선단부에 부착하면 제초기가 되고, 차륜 및 원동기를 구비한 기계장치에 조립하면 제조기나 잔디깎는 기계로 되는 것이다.
종래에 이 종류의 칼날유니트로는, 예컨대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소화 55- 4602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고정칼날과, 마찬가지로 평판 원판형상으로 하고, 그 둘레 가장자리에 고정칼날의 각 칼날 부분에 대향 미끄럼접합시키는 빗형상의 칼날부를 돌출형성한 회전 칼날이다. 혹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화 55-45328호,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소화 59-3225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평판 원판형상으로 하고 그 둘레 가장자리에 뿔형상의 칼날부를 돌출 형성한 회전칼날을 고정칼날에 동축상으로 서로겹쳐 칼날유니트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칼날유니트의 회전칼날은 방사직선적으로 칼날부를 돌출시킨 칼날 형상이기 때문에 예취효과가 나쁘고, 한번 베어낸 풀이 칼날선단을 따라 빠져 나가기 쉬워 예취가 깔끔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대체로 예취요율이 낮았다.
한편, 후자의 칼날유니트의 회전칼날은 전자의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반면, 작업중에 칼날선단이 자갈이나 암석등에 부딪혀서 직접 손상되기 쉬워 강도가 떨어지고 부러지기 쉽다는 불합리한 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칼날을 저속으로 회전시켜도 잡초등을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고 예취효율을 향상시키는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갈이나 암석등에 부딪쳐도 직접 손상되는 일이 없고 회전칼날과 고정칼날의 미끄럼접합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꼿꼿하지 않는 유연한 잡초등에 있어서도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칼날과 고정칼날 사이에 깊숙히 들어간 풀이 회전칼날을 고착유지시키는 회전구동축에 감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분명히 밝혀지게 될 것이다.
이들의 목적은 본 고안이 제공하는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는, 회전칼날과 고정칼날을 동축상에 서로 겹쳐 이루어지는 칼날유니트로서, 전기한 회전칼날에 회전방향으로 향해서 만곡시킨 오목형상 칼날부를 형성하고, 고정칼날에는 회전 칼날의 오목형상 칼날부와 대향 미끄럼접합하는 볼록형상 칼날부를 복수개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회전칼날은 둘레 가장자리를 입상시켜 얕은 접시형상으로 형성시킴과 아울러, 그 둘레 가장자리에 정단면(頂端面)의 축면을 대략 V자 혹은 U자형으로 개구시킨 칼날형성부를 설치하고, 회전칼날의 회전방향으로 위치하는 이 칼날형성부 한쪽 입상부분을 제외한 다른 둘레가장자리의 입상 높이를 한단계 낮게 형성하여 전기한 입상부분을 회전칼날의 회전방향으로 향해서 만곡시킨 오목형상 칼날부분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회전칼날과 고정칼날 사이에 있어서의 회전칼날을 고착유지시키는 회전구동축의 주변에 링형상으로 형성한 잡초권입방지판을 개재시켜 설치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칼날의 오목형상 칼날부와 고정칼날의 볼록형상 칼날부는 일정각도에서 연속하여 잡초를 가위로 잘라내듯이 대향 미끄럼 접합해서 높은 효율로 예취한다.
회전칼날의 오목형상 칼날부는, 칼날 선단부분에서 잡초를 고정칼날의 볼록형상 칼날부와의 사이로 끌어들여 절단함과 아울러, 둘레 가장 자리에 연속하는 부분으로 끌어들인 잡초를 바깥방향으로 압출하면서 절단한다.
또, 회전칼날의 오목형상 칼날부는, 둘레가장자리를 입상하므로서 개구시킨 칼날부 구조에 의하여 강도가 증강되어 자갈이나 암석등에 부딪혀도 직접 손상되지 않는 강성이 부여된다.
더우기, 회전칼날의 오목형태의 원호형상 칼날부는 연속하는 둘레 가장자리 입상부의 높이보다도 한단계 높게하여 고정칼날의 블록 형상의 칼날부에 부분접촉 구조로 대향하여 미끄럼접합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고정칼날의 볼록형상 칼날부에 대한 미끄럼접합력을 유지한다.
회전칼날의 둘레 가장자리를 입상시켜 회전칼날을 얕은 접시형상으로 형성한 것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회전칼날과 고정칼날 사이에 만들어진 간극은, 회전칼날을 고착유지하는 회전구동축의 주변에 개재시켜 설치한 링형상의 잡초권입 방지판에 의하여 회전칼날과 고정칼날의 칼날부축과 전기한 회전구동축 쪽으로 구분되어 잡초가 회전구동축 쪽으로 들어가 휘감기는 것이 저지된다.
도면에 관하여,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에 관한 칼날유니트(A)를, 비 도시의 원동기를 구비한 홀딩컬럼(B)선단의 헤드케이스(C)의 하면에 부착한 제초기의 예를 표시하고, 이 칼날유니트(A)는 동축상에 서로 겹쳐지는 회전칼날(1)과 고정칼날(2)로 구성되고, 홀딩컬럼(B)의 선단부에 부착한 동력변환기구를 내장시키는 헤드케이스(C)의 하면에, 상세하게는 홀딩 컬럼(B)안에 장치된 동력전달축(3)에 연결하는 제1베벨기어(4)와, 이 기어(4)와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베어링(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구동축(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 구동축(6)에 제1베벨기어(4)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베벨기어(7)로 된 동력변환기구를 내장시키는 헤드케이스(C)의 하면에, 고정칼날을 부착한 호울더(D)를 끼우고 고정칼날(2)을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설치함과 아울러, 돌출시킨 회전구동축(6)의 하단부에 리테이너(8)와 와서(9)를 끼우고 고정볼트(10)로 회전칼날(1)을 고착 지지시킨다.
이때에 헤드케이스(C)의 하면과 고정칼날을 부착한 호울더(D)의 상면 사이에 스프링(11)을 설치하여, 고정칼날(2)을 회전칼날(1)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밀착시켜 전기한 구동기에서의 동력으로서, 회전칼날(1)을 회전시켜서 잡초(M)를 베어낸다.
회전칼날(1)은, 평면이 대략 가늘고 긴 구형상으로 비롯하여 삼각형상이나 사각형상, 오각형상 또는 육각형상등의 얕은 접시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그 둘레의 각 정단부에 오목형상 칼날부(12)를 형성해서 이루어진다.
오목형상 칼날부(12)는 둘레에 소정높이의 입상부(13)를 경사형상으로 절곡 입상한, 예컨대 도시한바와 같이, 평면을 대략 삼각형상의 얕은 접시형상으로 형성한 회전칼날(1)의 둘레에, 정단면(頂端面)의 측면이 대략 V자형 혹은 U자형으로 개구된 칼날형성부(14)를 설치하고, 회전칼날(1)의 회전방향(X)으로 위치하는 칼날형성부(14)의 한쪽 입상부분을 회전방향(X)으로 향해서 대략 낫형상의 오목형상으로 연장설치하고, 만곡시켜 일측의 입상부분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오목형상 칼날부(12)의 만곡중앙에서 칼날부 선단부분을 잡초포획부분(12a)로 하고, 만곡 중앙에서 둘레의 입상부(13)와 연속하는 부분을 잡초압출부분 (12b)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즉, 고정칼날(2) 둘레 가장자리의 볼록형상칼날부(15)와 잡초포획부분(12a)으로서 고정칼날(2)의 볼록형상칼날부(15)사이로 잡초(M)를 포획하면서 절단하고, 잡초압출부분(12b)으로서 고정칼날(2)의 볼록형상칼날부(15)와의 사이로 포화된 잡초( M)를 압출하면서 절단하는 것이다.
고정칼날(2)은 평판형상으로 형상하고, 그 둘레 가장자리에 회전칼날(1)의 오목형상 칼날부(12)와 절단효율이 높도록 대략 일정한 교차각도로 대향하여 미끄럼접합하는 볼록형상칼날부(15)를 등간격으로 복수개 돌출형상함과 아울러, 내측으로 회전칼날(1)과의 사이로 침입한 잡초(M)를 배출시키기 위한 구멍(16)을 복수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회전칼날(1)의 상면에 고정칼날(2)을 밀접시켜서 서로 겹쳐 회전칼날(1)을 회전시키면, 회전칼날(1)의 오목형상 칼날부(12)의 잡초포획 부분(12a)에서 잡초(M)를 고정칼날(2)의 볼록형상 칼날부(15)와의 사이로 거두어 들이면서 가위로 자르듯이 절단하는 동시에, 오목형상 칼날부(12)의 잡초압출부분(12b)에서는 고정칼날(2)의 볼록형상 칼날부(15)와의 사이에 포획된 잡초(M)를 바깥방향으로 압출하면서 가위로 자르는 듯이 절단하는 것이다.
제3도는 칼날유니트(A)의 별도의 실시상태를 표시하고, 이러한 칼날 유니트(A )는 제1도에서 상술한 회전칼날(1)과 고정칼날(2)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이 실시상태에 있어서 회전칼날(1)은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정단면의 측면을 대략 V자형 혹은 U자형으로 개구시켜 둘레가장자리에 설치한 칼날형성부(14)에 있어서의 회전칼날(1)의 회전방향(X)에 위치하는 한쪽의 입상부분을 제외한 다른 둘레가장자리 입상부(13)의 입상높이를, 고정칼날(2)과의 사이에 절단된 잡초(M)가 막히는 일 없이 배출되는 배출간극(17)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단계 낮게 형성하여, 일측의 입상부분을, 잡초포획부분(12a)과 잡초압출부분(12b)으로된 오목형상 칼날부(12)로서, 고정칼날(2 ) 둘레가장자리의 볼록형상 칼날부(15)에 대해서 부분접촉 구조를 가지고 항상 일정한 미끄럼접합력으로 대향 미끄럼접합하도록 도모한다(제5도 참조).
그리하여, 측면이 대략 V자형 혹은 U자형 형상에 의해 강도가 증강된 회전칼날 (1) 둘레가장자리 3곳의 칼날형성부(14)에, 다른 둘레가장자리 입상부(13)의 입상 높이보다 한단계 높혀 잡초(M0를 확실하게 절단 할 수 있는 부분접촉 구조를 가지고 고정칼날(2) 둘레가장자리의 볼록형상 칼날부(15)에 대향 미끄럼접합시키는 오목형상 칼날부(12)를 형성해서, 작업중 지면에 산재하는 자갈이나 암석등에 부딪쳐도 직접 손상되지 않도록 도모하고, 또한 고정칼날(2) 둘레가장자리의 볼록형상 칼날부(15)에 대한 미끄럼접합력이 부분 접촉구조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하여, 뻑뻣하지 않은 유연한 잡초등도 오목형상 칼날부(12)의 잡초포획부분(12a)으로써 고정칼날(2)의 볼록형상 칼날부(15)와의 사이로 확실하게 거두어 들이면서 절단하는 동시에, 잡초압출부분(12b)으로써 고정칼날(2)의 볼록형상 칼날부(15)와의 사이에 포획된 잡초를 밖으로 압출하면서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칼날(1)과 고정칼날(2)사이에 깊숙히 들어간 잡초가 회전칼날(1) 둘레가장자리의 입상부(13)와 고정칼날(2)사이에서 막히는 일이없고 양자간에 구성한 배출간극(7)으로부터 순조롭게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상태에 있어서의 회전칼날(1)은, 오목형상 칼날부(12)를 형성하는 줄레가장자리칼날 형성부(14)를 포함하는 둘레가장자리 입상부(13)를 프레스 가공해서 일체로 형성하고, 둘레 가장자리 입상부(13)보다 한단계 높게 형성된 칼날현성부(1 4)의 한쪽 입상부분을 후기공 연마시켜 그 한쪽 입상부분에 오목형상 칼날부(12)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회전칼날(1)과 고정칼날(2) 사이에 있어서의 회전칼날(1)을 고착유지하는 회전구동축(6)의 주변에 링형상으로 형성산 잡초권입 방지판(18)을 개재 설치한다(제 5도 및 제6도 참조).
잡초권입 방지판(18)은, 고장칼날(2)을 고정칼날 부착용 호울더(D)에 나사(1 9)로 부착할때, 이 고정칼날(2)의 중앙에 설치한 감합구멍(20)의 개구 가장자리 하면에 계지 고착되도록 회전칼날(1)과의 사이에 개재 설치한 것으로, 금속이나 경질합성수지제 등이나 그밖의 적정재료에 의해서 회전칼날(1)에 오목형상 칼날부(12)의 입상 높이에 상당하는 판두께로 내경을 고정칼날(2)의 감합구명(20)의 지름과 대략 동일한 지름으로 하고, 이 감합구멍(20)의 주변에 적정 간격을 두고 개구시킨 각 구멍(16)의 가장자리에 따르는 외경으로 한 링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고정칼날(2)의 나사 결합통공과 대향 위치하는 면에는 나사부착공(21)을 설치한다.
또, 잡초권입 방지판(18)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면을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칼날(2)의 각 구멍의 가장자리로 향한 경사가장자리면(22)으로 하여 간극(23)안으로 깊숙히 들어간 잡초(M)가 각 구멍(16)에서 순조롭게 배출 제거되도록 한다.
역시, 잡초권입 방지판(18)의 바깥둘레가장자리면은 상술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데 각 구멍(16)의 가장자리에 따라 바깥둘레 상부 가장자리에서 두꺼운 방향의 종도부까지 수직면으로 하고, 그 수직면에서 바깥둘레 하부가장자리로 향해서 경사된 대략 <자 형상으로 하는 것도 좋고, 간극(23)안으로 깊숙히 들어간 잡초(M)를 고정칼날(2)의 각 구멍(16)으로 향해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하는 것은 임의이다.
회전칼날(1)를 얕은 접시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주위 가장자리 3곳에 측면이 대략 V자형 혹은 U자형 형상으로 개구시킨 칼날형성부(14)를 설치하고, 이 칼날형성부( 14)에, 다른 둘레가장자리 입상부(13)의 입상 높이보다 한단계 높게 하여 잡초(M)를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는 부분접촉 구조로서 고정칼날(2) 둘레 가장자리의 볼록형상 칼날부(15)에 대향하여 미끄럼접합시키는 오목형상 칼날부(12)를 형성한 칼날부 구조로 한것으로서 결과적으로 회전칼날(1)과 고정칼날(2)사이에 생긴 간극(23)안을, 고정칼날(2)에 계지 고착하여 간극(23)내에 개재 설치한 잡초권입 방지판(18)에 의하여, 고정칼날(2)의 각 구멍(16)을 포함하는 양쪽 칼날(1) (2)의 둘레 가장자리 칼날부(12)축과, 회전칼날(1)을 회전구동축(6)에 와서(9)로서 고착지지하는 지지부재(8)측으로 구분되고, 그것에 의하여 예취되어 간극(23)안으로 들어간 잡초(M)가 지지부재(8)측으로의 침입을 저지하고, 지지부재(8)나 회전구동축(6)에 감기지 않도록 개량해서 회전칼날(1)이 항사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도모하고, 그리고 잡초권입 방지판(1 8)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면을 고정칼날(2)의 각구멍(16)으로 향한 경사가장자리면( 22)으로 하므로서, 간극(23)내로 들어간 잡초(M)를 전기한 각 구멍(15)쪽으로 안내하고 이 구멍(16)에서 확실하게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제6도 참조)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칼날의 오목형상 칼날부와 고정 칼날의 볼록형상 칼날부에서 잡초를 연속해서 대력 일정각도(교차각도)로 가위로 자르듯이 절단할수 있고, 따라서 회전칼날을 저속으로 회전시켜도 잡초를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하의 변동이 적어 소요동력도 작게할 수 있다.
더우기, 회전칼날의 오목형상 칼날부에 있어서의 선단부분(잡초포획부분)으로 잡초를 고정칼날의 볼록형상 칼날부와의 사이에 거두어 들여서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고, 근거부(잡초압출부분)에서는 포획된 잡초를 바깥 방향으로 압출하면서 절단할 수 있으므로, 회전칼날의 오목형상 칼날부의 근저부(잡초압출부분)에서 잡초가 막히는 일없이 예취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회전칼날의 둘레 가장자리를 입상시켜 둘레 가장자리에 정단면의 측면을 대략 V자형 혹은 U자형으로 개구시켜 강도를 증강시킨 칼날형성부를 설치하여, 회전칼날의 회전전방향에 위치하는 칼날형성부의 한쪽입상부분을 다른 둘레 가장자리의 입상 높이 보다도 한단계 높혀, 고정칼날 둘레 가장자리의 볼록형상 칼날부에 대향 미끄럼 접합시키는 오목형상 칼날부로 하여 이 오목형상 칼날부만을 고정 칼날에 접촉시키는 구조로 하고, 또한 이 오목형상 칼날부를 제외한 둘레 가장자리 입상부를 한단계 낮게 형성하여 고정칼날과의 사이에 잡초를 배출시키는 배출간극을 구성하고 있는 까닭에, 회전의 오목형상 칼날부는 자갈이나 암석등에 부딪쳐도 직접 손상되는 일이 없고, 고정칼날의 칼날부분에 대한 미끄럼접합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꼿꼿하지 않고 유연한 잡초등을 확실하게 절단하고, 베고난 후의 남음이 없고, 높은 효율로 베어낼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정칼날과의 사이에 깊숙이 들어간 잡초는 막히지 않고 배출간극으로 부터 순조롭게 배출된다.
더우기, 회전칼날은 그 둘레 가장자리의 칼날형성부를 포함하는 둘레 가장자리의 입상부를 프레스가공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칼날형성부에 둘레 가장자리의 입상부보다 한단계 높게 형성한 원호형상의 칼날부만을 후가공 연마하여 제작할 수 있어, 간단하고 또한 제작원가가 낮아지는 잇점이 있다.
또, 링형상으로 형성한 잡초권입 방지판을 고정칼날과 회전칼날과의 사이에 생긴 간곡내에 있어서의 회전구동의 주변에 개재설치 하므로서, 회전칼날을 화셔로 회전구동축에 고착 지지하는 지지부재 쪽으로 잡초가 침입하는 것을 잡초권입만으로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칼날과 고정칼날과의 사이에 깊숙이 들어간 잡초가 지지 부재나 회전구동축에 감겨서 회전칼날의 회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염려는 없고, 잡초등을 장기간에 걸쳐서 일정한 회전속도로 가지고 확실하게 베어낼 수 있다.

Claims (8)

  1. 회전칼날(1)과 고정칼날(2)을 동축상에 겹쳐서 이루어지는 칼날유니트(A)에 있어서, 전기한 회전칼날(1)에 회전방향으로 향해서 만곡시킨 오목형상 칼날부(12)를 형성하고, 고정칼날(2)에는 회전칼날(1)의 오목형상 칼날부(12)와 대향하여 미끄럼접합하는 불곡형상 칼날부(15)를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칼날(1)은 얕은 접시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그 둘레 가장자리의 각 정단(頂端) 부근에 회전칼날(1)의 회전 방향으로 향해서 만곡시킨 오목형상 칼날부(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칼날(1)은 둘레 가장자리를 입상시켜 얕은 접시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그 둘레 가장자리에 정단면(頂端面)의 축면을 대략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개구시킨 칼날형성부(14)를 설치하고, 회전칼날(1)의 회전방향(X)으로 위치하는 이 칼날 형성부(14)의 한쪽 입상부분을 제외한 다른 둘레 가장자리의 입상높이를 한단계 낮게 형성하여 전기한 입상부분을, 회전칼날(1)의 회전방향(X)으로 향해서 만곡시킨 오목형상 칼날부(12)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예취용 칼날 유니트.
  4. 제3항에 있어서, 회전칼날(1)은 오목형상 칼날부(12)를 제외한 둘레 가장자리 입상부를 한단계 낮게 형성하여 고정칼날(2)과의 사이에, 절단된 잡초(M)를 배출시키는 배출간극(17)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오목형상 칼날부(12)는 회전칼날(1)의 회전방향(X)으로 향해서 대략 낫형상으로 만곡하는 오목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
  6. 제1항에 있어서, 오목형상 칼날부(12)는 회전칼날(1)의 회전방향(X)으로 향해서 만곡하고 그 만곡 중앙으로부터 칼날부 선단부분을 잡초포획부(12a)로 하고, 만곡 중앙으로부터 둘레 가장자리에 연속하는 부분을 잡초압출부분(12b)으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
  7. 제1항에 있어서, 볼록형상 칼날부(15)는 고정칼날(2)의 둘레 가장자리에, 회전칼날(1)의 오목형상 칼날부(12)와 일정한 교차각도로 대향하여 미끄럼접합하듯이 동간격으로 복수개 돌출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
  8.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회전칼날(1)과 고정칼날(2)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회전칼날(1)을 고착유지시키는 회전구동축(6) 주변에, 힝형상으로 형성한, 잡초권입 방지판(18)을 개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
KR2019910017369U 1987-04-13 1991-10-17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 KR92000077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629/U 1987-04-13
JP5562987U JPH0349620Y2 (ko) 1987-04-13 1987-04-13
JP1987139214U JPH0432909Y2 (ko) 1987-09-10 1987-09-10
JP139.214/U 1987-09-10
JP169.143/U 1987-11-04
JP1987169143U JPH0453232Y2 (ko) 1987-11-04 1987-1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772Y1 true KR920000772Y1 (ko) 1992-01-31

Family

ID=2729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7369U KR920000772Y1 (ko) 1987-04-13 1991-10-17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7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7841A (en) Weed cutter construction
US5615543A (en) Rotary cutting head
US5640836A (en) Blade assembly for weed trimmers
US4097991A (en) Rotary cutting head for mowers equipped with flexible cutting blades
US4726176A (en) Rotary mower cutter means
US5862598A (en) Unitary hub for vegetation cutting devices
US4162575A (en) Rotary cutting assembly
US2721438A (en) Rotary power lawnmower cutter
US4999985A (en) Mowing blade unit
US4199926A (en) Grass cutter and mulcher for rotary lawn mower
US5491962A (en) Cutting head assembly
US4631828A (en) Cutting means for rotary trimmer
US6470662B1 (en) Multiple blade cutting apparatus for rotary lawn mower
EP1585380B1 (en) A cutting head for a brush cutter, edge trimmer or similar
US20020066263A1 (en) Disc and knife cutter assembly for mowing
KR920000772Y1 (ko) 잡초예취용 칼날유니트
US5659964A (en) Light weight rotary vegetation cutting heads
US3509704A (en) Cable-type cutter
CN210183908U (zh) 割草机用的刀组件
US4409781A (en) Thatching tool for rotary lawn mower
EP0132385A1 (en) Orbital cutting system
EP1589803B1 (en) A cutting head for a brush cutter, edge trimmer or similar
JP3474851B2 (ja) 回転刃およびそのブレード
GB1583521A (en) Rotary cutting assembly
JP3230448U (ja) 回転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