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694Y1 - 복사기의 복사지 강제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복사기의 복사지 강제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694Y1
KR920000694Y1 KR2019890010073U KR890010073U KR920000694Y1 KR 920000694 Y1 KR920000694 Y1 KR 920000694Y1 KR 2019890010073 U KR2019890010073 U KR 2019890010073U KR 890010073 U KR890010073 U KR 890010073U KR 920000694 Y1 KR920000694 Y1 KR 920000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y
paper
copy paper
separation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0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421U (ko
Inventor
조순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2019890010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694Y1/ko
Publication of KR910002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4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6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or webs of copy material through the apparatus or machin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 B41L21/02Devices for conveying sheets or webs of copy material through the apparatus or machin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conveying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2Removing a copy sheet form a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사기의 복사지 강제 분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복사지 강제 분리장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도.
제3도는 기존의 복사지 강제 분리장치 사시도.
제4도는 기존장치의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리호 3 : 압력와이어
4 : 분리호 축 13 : 반송유니트
본 고안은 복사기의 강제 분리방식중 분리호(Pick off pawl)에 의한 기구적 분리방식을 보완한 반송부의 잼(JAM)방지를 위한 복사지 강제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리호 축상에 압력 와이어를 설치하여 전사지(복사지)가 잔류된 전하에 의해 반송유니트 위로 상승함으로써 발생하는 잼(JAM)현상을 미연에 방지코져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종래의 복사기에 장착되는 분리호를 이용한 복사지 강제 분리장치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사지 공급시 레지스트롤러(9)(10)를 거쳐 전사차저 (CHARGER)(11)에 의해 복사지가 전사된 상태에서 분리차져(12) 공정에서 전사된 복사지를 중화시켜 복사지의 자중 및 강성에 의해 분리될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지질특성(紙質特性) 및 분사차저(12) 와이어의 오염등에 의해 리크 (LEAK)가 발생된 경우 분리 전류치는 발생되질 않아 전사지가 드럼(8)에 밀착되어 이동하게 된다.
그때 강제분리 기구인 분리호(1)에 의해 전사지가 강제 분리되게 되고 이 강제 분리된 전사지는 분리호(1)의 하단부를 타고 반송유니트(13)로 이동되어 정착부를 거쳐 배지된다.
즉, 이러한 구조에서는 먼저 급지롤러를 거쳐 레지스롤러(9)(10)부를 통과하는 복사지를 분리시키기 위해 직류 24V 솔레노이드힘에 의해 분리호축(4)에 고착된 핀(5)이 화살표(A)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축(4)은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분리호(1)는 화살표(C)방향으로 회전 하게 되어 드럼(8)에 일정시간동안 접촉하게 된다.
통상으로 분치차저(12)에 의해 제전된 복사지는 18번 급지경로와 같이 하락되어 원활한 배지가 이루어지지만, 분리 전류치에 의해 제전되지 않은 드럼(8)상에 흡착된 복사지(전사지)는 분리호(1)에 의하여 강제분리되어 반송유니트(13)로 이송되게 되는바, 반송유니트(13)상에서의 제전되지 않은 복사지는 제4도의 19번 급지경로와 같이 상승되어 결국에는 잼이 발생하게 된다.
위와같은 종래기구의 문제점은, 리크(LEAK)발생에 의해 분치차저(12)의 기능을 상실할때 제전 중화되지 않은 전사지는 분리호(1)에 의해 분리는 되지만, 이때 전항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전사지가 반송유니트(13)상에서 상승되어 잼(JAM)의 발생이 일어나므로 원활한 복사작업을 실시할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복사기의 분리호에 의한 강제 분리방식에서 발샐할수 있는 잼의 발생을 막아주고 복사지의 원활한 급지가 이루어지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리호(1)에 의한 복사지(전사지)의 강제 분리장치를 구성함에있어서, 분리호축(4)에 축설된 분리호(1)와 동시에 작동하는 압력와이어(3)를 동축(4)상에 설치하여 반송유니트(13)상에서 전사지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것으로, 상기한 압력와이어(3)를 제외한 모든 부품들은 기존 제품과 구조, 위치, 역활이 동일하다.
압력와이어(3)는 분리호(Pick off pawl)축(4)에 분리호와 반대방향으로 세트되어져 있어 분리호(1)의 동작시 동일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는 분리호 스프링, 6은 슬라이드 스프링, 7은 세트 스크류, 14는 퓨징 커버, 15는 전사지 급지가이드, 16은 복사지 급지경로(분류전류 “0”인 상태에서 본 고안품 적용시), 17은 가이드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즉 분리호(1)가 해제된 상태(제1도)에서 동작 상태(제2도)의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급지롤러를 거쳐 레지스트 롤러(9)(10)부를 통과하는 복사지를 분리시키기 위해 직류 24V 솔레노이드의 힘에 의해 핀(5)이 화살표(A)방향으로 작동하여 축(4)을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분리호(1)와 압력와이어(3)는 화살표(C)(D)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분리호(1)는 드럼(8)상에 일정 시간 동안 접촉하게 된다.
그때, 분류전류치에 의해 제전 중화되지 않은 드럼(8)상에 밀착된 전사지는 분리호(1)에 의해 강제 분리되어지고, 상승된 전사지는 압력와이어(3)를 타고 반송유니트(13)로 떨어지게 된다.
반송유니트(13)로 이송된 전사지는 반송팬 모터에 의해 반송 가이드에 밀착되어져 정착, 배지 과정을 거쳐 외부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분리호축(4)상에 분리호(1)와 동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압력와이어(3)를 설치하여 제전중화되지 않은 전사지를 강제 분리하는 과정에서 반송유니트(13)위로 상승하는 전사지를 차단시켜 평상시와 같이 반송유니트(13)상으로 복사지가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복사중 발생하는 잼(JAM)현상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그 실사용 가치가 일층 고양된 신규의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분리호(1)에 의한 복사지(전사지)의 강제 분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분리호축(4)에 축설된 분리호(1)와 동시에 작동하는 압력와이어(3)를 동축(4)상에 설치하여 반송유니트(13)상에서 전사지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복사지 강제 분리장치.
KR2019890010073U 1989-07-10 1989-07-10 복사기의 복사지 강제 분리장치 KR920000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073U KR920000694Y1 (ko) 1989-07-10 1989-07-10 복사기의 복사지 강제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073U KR920000694Y1 (ko) 1989-07-10 1989-07-10 복사기의 복사지 강제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421U KR910002421U (ko) 1991-02-25
KR920000694Y1 true KR920000694Y1 (ko) 1992-01-20

Family

ID=1928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0073U KR920000694Y1 (ko) 1989-07-10 1989-07-10 복사기의 복사지 강제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6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421U (ko) 199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40670A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S6125625B2 (ko)
US5727784A (en) Paper feeder
US4063724A (en) Image transfer device
EP0177039B1 (en)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US4060233A (en) Cassette loaded sheet feeder for reproduction machine
GB2060577A (en) Registering sheets
US4486014A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sheets of paper
JPS6212512B2 (ko)
KR920000694Y1 (ko) 복사기의 복사지 강제 분리장치
EP0425249B1 (en) Copiers with side-registration systems
JPH0615061U (ja) 電子写真装置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機構
CA1043366A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4489267B2 (ja) 画像形成装置
US3275318A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CA1162102A (en) Document corner registration system
US3628785A (en) Grip force detection apparatus
EP0053035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S58183540A (ja) 積載シ−ト分離搬送装置
JPS6312535A (ja) 画像形成装置
US3301975A (en)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a sheet on a transport or drum
KR940007340B1 (ko) 선별기능을 갖는 복사지 자동급지장치
JPH0443890Y2 (ko)
JPH04371422A (ja) 搬送装置
KR100202381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기록용지 급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