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435B1 - 인공심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펌프 - Google Patents

인공심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435B1
KR920000435B1 KR1019850002113A KR850002113A KR920000435B1 KR 920000435 B1 KR920000435 B1 KR 920000435B1 KR 1019850002113 A KR1019850002113 A KR 1019850002113A KR 850002113 A KR850002113 A KR 850002113A KR 920000435 B1 KR920000435 B1 KR 920000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s
compartment
wall
volum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141A (ko
Inventor
룬드 백 스티그
Original Assignee
아스트라-테크 악티에볼락
스티그 룬드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트라-테크 악티에볼락, 스티그 룬드백 filed Critical 아스트라-테크 악티에볼락
Publication of KR85000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40Details relating to driving
    • A61M60/403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 A61M60/422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non-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the force acting on the blood contacting member being electromagnetic, e.g. using canned moto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80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 A61M60/855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of 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 A61M60/89Valves
    • A61M60/894Passive valves, i.e. valves actuated by the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10Location thereof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body
    • A61M60/122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 A61M60/196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replacing the entire heart, e.g. total artificial hearts [TA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40Details relating to driving
    • A61M60/424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 A61M60/427Details relating to driving for positive displacement blood pumps the force acting on the blood contacting member being hydraulic or pneu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80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 A61M60/855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of 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 A61M60/869Compliance chambers containing a gas or liquid other than blood to compensate volume variations of a blood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80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 A61M60/855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of 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 A61M60/871Energy supply devices; Converters therefor
    • A61M60/873Energy supply devices; Converter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or transcutaneous energy transfer [TET], e.g. inductive char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80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 A61M60/855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of 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 A61M60/871Energy supply devices; Converters therefor
    • A61M60/876Implantable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80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 A61M60/855Constructional details other than related to driving of 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 A61M60/871Energy supply devices; Converters therefor
    • A61M60/882Devices powered by the patient, e.g. skeletal muscle powered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8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tubular flexible members
    • F04B43/10Pumps having fluid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10Location thereof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body
    • A61M60/122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 A61M60/126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via, into, inside, in line, branching on, or around a blood vessel
    • A61M60/148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via, into, inside, in line, branching on, or around a blood vessel in line with a blood vessel using resection or like techniques, e.g. permanent endovascular heart assist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Prosthes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공심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펌프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2a 및 2b도는 제2실시예를 각기 다른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이중펌프를 소형화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2,3 : 벽
4,4′,5,5′ : 나비밸브 6,7 : 가요성부재
9,10 : 코드 11 : 구동선
12,13 : 가동벽 14,15 : 링크 시스템
16 : 링크 17,18 : 격실
19,20,24,25 : 벽 21 : 링크 시스템
22,23 : 공간 26,27,28,29 : 격실
28′ : 밀봉수단 30 : 코드형 작동기
31,31′,32,32′ : 나비밸브 33 : 스프링
34,35,42,43 : 격실 36,37 : 공간
39 : 밀봉수단 40,41 : 나비밸브
41 : 케이싱 44,45 : 벽
46 : 공간 47,48 : 유입구
49 : 코드 50,50′ : 벽
51,52 : 통로 53,54 : 유출구
55 : 링크
인공 심장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심장-폐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097,366호에는 펌프의 심실 역할을 하는 격실들이 이 격실들을 교대로 수축, 팽창시키는 판을 구동시키는 통상적인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심장 펌프가 기재되어 있다. 이 격실들은 고무백(bag) 형태로 되어 있으며, 압력균형기, 즉, 혈액의 유입 압력을 일정하게 하는 기능을 하도록 배치된 심방 격실로부터 혈액을 수용하게 된다. 두 개의 펌프는 송출되는 혈액에 “가압”펌프로 작용하는데, 여기에서 체적변화, 또는 행정 체적은 변화지 않고 리듬(주기)만을 조절할 수가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783,453호에는 이중 펌프가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고무 백 형태로 되어 있는 심실 격실들은 각각 견고한 용기내에 수용되어 있어 이 용기내로 유입되거나 또는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체에 의한 외부힘으로 작동된다. 펌프백들은 교대로 송출 작용을 수행하며, 이 송출 기능은 전체적으로 볼 때 단위시간당 동일한 양의 혈액이 양 펌프를 통해 송출되도록 제어 시스템으로 조절된다. 이 조절 작동은 백 체적을 별도로 감지하여 수행한다.
본 발명은 인간의 심장이 이제까지 생각하던 것과는 다소 다르게 작동한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발견은 본 발명의 배경을 구성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에 이에 대한 사항을 간단히 설명하겠다.
인체내의 심장을 초음파로 검사해 보면, 심장의 1회 박동시에 심장의 체적은 그 전체 체적의 10% 이하로 변화하고, 유입되는 혈액에는 맥동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송출되는 혈액에는 강한 맥동 현상이 나타난다. 이를 근거로 해서 심장의 박동시 심장 근 조직은 심장 근육의 수축에 따라 심방 격벽을 심장 밸브와 함께 심장의 선단을 향해 아래로 잡아 당기게 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다음에 심장이 확장되게 되면, 심장 판막은 근육에 의한 힘이 아니라 공급되는 혈액의 고유 심장확장 압력과 심장 내외부에 있는 탄성기관으로 발휘되는 힘에 의해 위로 압압된다. 따라서, 심장 수축기에는 심실 체적이 감소하고, 한편 심방 체적은 증가하나, 심장의 전체 체적은 약간 감소하고 심장 외부 형태도 약간 감소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심장 수축기에 유입되는 혈액보다 더 많은 양의 혈액이 송출되게 된다. 그러나, 심장 수축기에 심방으로 유입되는 혈액은 심방 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계속되게 된다. 심장 확장기에, 대동맥 및 폐동맥 내의 밸브는 폐쇄된다. 그러나, 전체 심장의 체적이 약간 증가되고 밸브 판막이 심방 내로 유입되는 혈액의 양에 따라 다소 위로 다시 상승되기 때문에 심방 내로의 혈액의 유입은 계속되게 되어, 다음 심장 수축시에 심장 맥동체적은 앞서의 확장 수축 단계에서 공급된 혈액의 양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심방 격벽의 조절 기능의 발견과 함께 상기 발견은 매우 놀라운 사실이며 심장 학에도 임상학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위의 새로운 발견에 따라, 인간의 심장은 심장의 양 절반 부분에 유입되는 혈액의 양을 균형있게 조절하는 자연적인 방식을 갖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능력은 심실 격벽의 가요성에 기인한다. 심장 수축시에, 각 심장 격실들의 체적은 압축되어, 우심실로부터 폐 동맥으로 향하는 출구에는 낮은 대향 압력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순환 시스템의 폐 부분으로의 흐름 저항이 대동맥을 통과하는 혈액 순환 시스템의 일부 시스템 내를 흐르는 흐름저항보다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실 격벽이 양유입구에 존재하는 압력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어 송출되는 혈액에 균형을 맞추게 된다. 심장의 이와같은 균형을 이루는 기능은 매우 중요하며, 예컨대, 심실 격실의 경색은 심장의 좌우 심실의 다른 부분의 경색에 비해 더욱 위험하게 된다. 이는 심실 격벽이 수축시에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상실하고, 경색되어 이동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믿어진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결과가 발생되면 우심실로부터 송출되는 혈액의 양이 증가되고, 동시에, 좌심실로부터 송출되는 혈액의 양이 우심실로부터 송출되는 증가된 양만큼 감소되어, 폐에 혈액이 축적되게 되어 폐부종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방식으로 이중 펌프에 있어서 양 펌프 사이를 효율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본 펌프를 심장-폐장치 또는 인공심장으로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출되는 유체가 맥동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유입되는 혈액이 유연하게 유입될 수 있는 이중펌프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실제로 공지된 구조에 따라 어느 정도의 유연성은 마련하나, 심방의 상부 잔여 부분을 포함하는 인공 심장의 가장 근접한 혈관 시스템은 그 체적을 약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연 효과는 분리된 심방벽 격실을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데, 이 심방 체적은 심실의 체적 변화에 따라 부분적으로 변화한다.
본 발명의 제3장점에 따르면, 펌프로부터 송출되는 양 혈액 분류 사이의 균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외에도 상기 송출되는 혈액 분류의 절대치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중 펌프를 마련할 수 있다. 위의 조절력은 근육에 손상을 미치게 되는 물리적 힘에 의한 것이 아니라, “고유 압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단방향 힘, 즉, 한쪽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힘으로 심실 격실들을 압축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상기 단방향 힘을 제거하게 되면, 격실들은 유압력 및 충진압에 의해 재충진되고, 다음 수축 단계전의 시간 간격동안 신체에 필요한 정확한 양의 혈액이 증진되게 된다. 적합하게는 최대 충진 상태에 도달되었을 때 이를 탐지하는 수단을 마련하여, 상기 상태에 도달되었을 때 심박 주기를 증진시키고, 혈액 요구량이 저하되고 이 저하된 수준이 일정 기간동안 유지될 때 상기 주기를 늦추도록 모터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라, 병렬로 배치된 심실 격실들로 구성되고, 각 격실은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고 있고, 각 유입구 및 유출구는 그 내부에 장설된 단방향 밸브를 갖는 인공 심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 펌프를 마련한다. 구동 조립체는 주기적 및 반복적으로 격실들의 체적을 감소시켜 유체를 각 유출구로부터 송출시킨다. 공동 벽 구조물은 격실들을 분할하고, 양 격실내에 존재하는 각 압력의 차이에 따라 이동하여 각각의 체적을 변화시켜 동일 상태의 압력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벽 부분을 포함한다. 심실 격실의 각 유입구는 유입구를 갖는 각각의 심방 격실에 연결되고, 심방 격실들은 양 심방 격실들에 존재하는 압력 차이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부분을 갖는 공통벽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양격실(심방 및 심실 격실)은 이동 자재하게 되어 있어 격실의 체적을 변화시키는 구획 벽부분을 포함하고, 펌프는 상기 이동 자재한 구획벽 부분과 함께 각 격실의 외부에 가스를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또다른 벽을 포함한다. 심실격실의 구획벽에 연관된 공간은 심방격실의 구획 벽에 연관된 공간과 연통되어, 후자의 공간내의 가스 압력 변화에 따른 힘이 심실 격실의 체적이 변화되는 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심방 격실의 체적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심실 격실들, 심방 격실들 또는 양 격실들의 공통벽 구조물은 상기 격실들의 체적의 증감에 따라 상호 접근되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심실 격실의 경우에, 양 부분에 가해지는 구동력은 양 부분들이 접근되도록 하는 힘을 발휘하지 않으면서 이 양부분들을 상호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2) 스프링을 마련하여 심실 격실들의 공통벽 구조물의 부분들을 상호 접근되도록 이동시킨다.
3) 심방 격실은 병렬로 위치된 심실 격실들의 양 측면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제1도는 견고한 외부 케이싱(1)내에 장착된 이중 펌프를 도시한 것이다. 견고한 판형벽 부분(2) 및 (3)을 갖는 격벽 구조물을 케이싱내에 배치되며, 그 간격은 모터(도시안됨)에 연결된 코드(cord)(11)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벽(2),(3)은 케이싱(1)내의 공간을 두 개의 격실(17) 및 (18)로 분할하는데, 그 각각에는 유입용 나비밸브(5),(5′) 및 유출용 나비 밸브(4),(4′)가 마련된다. 코드(11)을 당기게 되면, 벽 부분(2) 및 (3)은 그 사이에 배치되어 코드(11)에 의해 작동되는 링크(16)에 의해 측방향으로 격설되게 된다. 벽부분(2),(3)은 케이싱 벽에 고정된 벨로우(bellow)형 부재(또는 가요성 부재)(6)으로부터 현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위치가 영구 고정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코드(11)을 당기게 되면 양 심실 격실(17),(18)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각 격실들 내의 압력이 그 외부에 존재하는 압력을 초과할 때는 유입 밸브(5) 및 (5′)는 폐쇄되고 유출 밸브(4),(4′)는 개방되게 된다.
외부 압력이 상호간에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한쪽 유출 밸브가 다른쪽 밸브보다 일찍 열려, 그 출력이 증가되거나 또는 각 가요성 부재(6)이 제한점까지 연장될때까지 그 격실이 다른쪽 격실보다 먼저 비워지게 되어, 코드(11)을 계속 잡아당기게 되면 다른쪽 격실의 체적에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코드(11)을 당기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밸브(4),(4′)는 폐쇄되고 밸브(5),(5′)는 개방되어, 혈액의 유입에 따라 격실들이 더많은 유체를 수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중 펌프를 양 회로에 동일한 유체가 흐르는 혈액 순환 시스템에 연결시키면, 충진 장치는 변화되는 펌프 이동을 자동적으로 균형을 이루게 한다. 에컨대 하나의 격실로부터 “과도한 양”의 혈액이 송출되게 되면, “과잉”혈액은 다른 격실로 흐르게 되어 보상을 하게 된다. 따라서, 체적 균형은 다른 복잡한 조절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이룰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이중 펌프는 예컨대 전기 모터인 구동 모터(도시안됨)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예컨대 모터로서 링크 또는 다른 장치를 통해 격실을 형성하는 벽에 작용하는 코드를 당김으로써 단방향 힘, 또는 한쪽면에 가해지는 힘을 작용시킬 수가 있다. 이 모터로는 인공적으로 생성된 전기 신경신호[“페이스메이커(pacemaker)”]에 의해 운동을 하는 적절한 자율 횡문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구동 모터로 전기 모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전류를 피부에 위치되어 있는 전극을 통해 공급하거나, 또는 신체 내부에 이식되어 있는 충전 가능한 축전지로 전류를 공급하는데, 이 축전지는 신체내에 이식되어 있고 정류 회로가 마련된 코일을 통해 충전된다. 상류 정류 회로는 신체 외부에 위치하고 교류가 공급되는 주 코일에서 얻어지는 변압 효과에 의해 에너지를 얻는다.
제1도에 도시한 펌프의 작용 효과는 링크 시스템(14),(15)를 통해 코드(9),(10)으로 작동되는 측방향으로 이동 자재한 부가적인 벽(12),(13)을 각 심실 격실에 마련함으로써 증진시킬 수가 있다. 벽(12),(13)은 케이싱(1)에 부착된 가요성 부재(7)에 연결된다. 상기 코드들은 가스 작동장치, 예컨대 압축 공기로 작동되는 장치로 대체할 수가 있다. 이 장치는 본 명세서 도입부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송출되는 액체의 전체 체적을 자체적으로 조절한다는 관점에서 단 방향 힘이 필요하다 하더라도 코드(11)에도 사용할 수가 있다.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두 개의 가동 벽(2),(3) 및 이에 연관된 구동 코드(11) 및 링크(16)을 생략하고, 격실(17) 및 (18)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가동되는 단일 벽 부분을 갖는 공통벽 구조물로 이들을 대신하도록 하여 변형되도록 하여 각 격실 체적을 변화시키고 압력을 동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송출 작용은 각 가동벽(12) 및 (13), 링크 시스템(14) 및 (15), 코드(9) 및 (10), 모터(도시안됨) 또는 공기 작동수단으로 구성된 구동 수단으로 수행된다.
코드(11)은 단방향 작동(코드(9) 및 (11)도 마찬가지임) 형태이기 때문에, 심실 격실을 수축시키는 역할만을 하게 된다. 심장 확장시에 격실내로 혈액이 유입되는 것은 구동 코드로부터 전달되는 힘과는 무관하게 이완시의 혈액압력에 의해 발생된다. 가동 벽을 조절된 또는 설정된 대향 압력에 대하여 격실들의 체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가하여 충진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적합하다. 예컨대, 벽(2) 및 (3) 사이(및 부분(12) 및 (13)의 후면)의 공간을 저장 격실(도시안됨)에 연결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일정압력으로 설정한다면, 격실들은 이 압력을 극복하고 재충진되게 되며, 유입 압력이 벽(2),(3)을 동시에 압압하거나 또는 전술한 부가적인 측벽(12) 및 (13)을 외측으로 압압할 수 없을 만큼 낮게 되면 재충진이 중지되게 된다.
제2a도 및 2b도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인공 심장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심장의 각 부분과 상사 부분을 심장 수축시 및 심장 확장시의 종결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가요성 케이싱(1′)로 구성되는데, 그 내부에는 케이싱을 두 부분으로 나누는 분할 격벽이 위치한다. 격벽은 두 개의 벽 구조물로 구성되는데, 그 각각은 내부에서 연통되는 가스(공기)가 충진된 공간(22) 및 (23)을 형성하는 1조의 벽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벽구조물의 벽(24),(25)는 링크(21) 및 코드형 작동기(30)(단방향 힘만을 발생시킴)으로 격설되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 양 벽 구조사이에는 나비 밸브(32) 및 (32′)가 설치되며, 분리 자재한 벽(24),(25)의 반대 단에는 나비 밸브(31),(31′)가 설치된다. 벽들은 그 중심 부분은 가요성이 없으나 연부 부분에는 가요성이 있어, 벨로우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밸브(32),(32′)는 한쪽 면에서 펌프 역할을 하는 심실 격실(26) 및 (27)을 형성하며, 다른쪽 면에서는 심방 결실(28) 및 (29)를 형성한다. 밀봉 수단(28′)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해 케이싱(1′)로부터 인출되는 코드(30)을 당기게 되면, 벽(24) 및 (25)는 제2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격설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격실(26) 및 (27)로부터 밸브(31),(31′)를 통하여 혈액을 송출시키게 된다. 한편, 벽(24),(25) 및 (19),(20) 사이의 공간(22) 및 (23)의 전체 체적은 증가하기 때문에, 이 공간내의 가스압은 낮아지게 된다. 공간(23)내의 가스압이 낮아지게 되면 심장 수축시에 심방 격실(28),(29)내로 혈액이 보다 용이하게 유입되게 되고, 격실(28),(29)가 혈액으로 충진되게 되면 벽(19),(20)은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격실(28) 및 (29)로 유입되는 혈액의 흐름이 동일하지 않으면 벽(19) 및 (20)의 접근 이동 속도는 각각 다르게 된다. 공간(22),(23)내의 공기의 탄성은 격실(28) 및 (29)내로 유입되는 혈액의 흐름을 완화시켜, 일정한 유입비를 유지하도록 한다.
심실 격실(26),(27)사이의 격벽의 벽(24),(25)가 심장 수축시에 밸브(32) 및 (32′)가 폐쇄된 상태일 때 한쪽 방향 또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횡측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한쪽 면의 벨로우가 그 최대 연장점까지 연장될때까지 혈액은 최저 압력이 존재하는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다음에 잔여 부분은 고압이 존재하는 유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심장 확장시(제2a도)에 벽(24) 및 (25)는 약한 스프링(33)의 작용에 의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프링(33)은 공간(22)를 압축시키고 공간(22)로부터 공간(23)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공간(23)을 팽창시킴으로써 밸브(32),(32′)를 통해 심방 격실(28),(29)로부터 유출되는 혈액의 이동을 강화시키게 된다. 벽(19) 및 (20)과 마찬가지로, 밸브(32) 및 (32′)를 통과하는 유체 흐름이 상이할 경우에는 벽(24) 및 (25)의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의 속도가 다르게 되어, 격실(26) 및 (27)의 크기가 상이하게 되고 따라서 다음 단계의 심장 수축시의 변위 체적이 상이하게 된다. 이와같은 방법에 따라, 유입되는 흐름들 사이의 압력차이는 바로 균형을 이루게 된다.
제3도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는데, 이 실시예는 실제 심장과 유사한 형태로 되어 있다. 심실 격실(42) 및 (43)은 두 개의 측방향으로 가동적인 견고한 벽(44) 및 (45)로 구성되는 이중벽 구조물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데, 벽(44) 및 (45)는 링크(55)에 연결되어 있고 밀봉수단(39)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해 케이싱(41)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코드(49)에 의해 상호 격설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벽들은 그 주위에 위치하고 케이싱(41)에 고정된 벨로우형 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격실(42) 및 (43)은 각각 나비밸브(40) 및 (40′)을 통해 심방 격실(34) 및 (35)와 연통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개구부(53) 및 (54)에서 케이싱(41)로부터 연장된 송출관 내에 송출 밸브를 장착시킨다. 각 격실(34) 및 (35)로부터의 개구부(47) 및 (48)에서 케이싱(41)로 유입관이 연장된다.
필요한 송출 효과를 얻기 위해, 심방 격실(34) 및 (35)의 일부는 그 자체의 가요성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주연부의 가동벽(50) 및 (50′)로 구성한다. 이 벽들은 실선으로 도시한 최 외측 위치와 점선으로 도시한 최 내측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여 격실(34) 및 (35)의 체적을 변화시키게 된다. 벽(50),(50′)는 그들이 고정되는 케이싱과 함께 공기가 충진되는 공간(36),(37)을 형성하는데, 이 공간들은 통로(51) 및 (52)를 통해 벽(44),(45)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46)과 연통된다. 이 구조는 제2a도 및 제2b도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나, 그 주조가 매우 간단해진다.
유입구(47),(48) 및 유출구(53),(54)는 점선으로 도시하였으나, 도시된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케이싱의 양측 단부에 위치한다. 그러나, 유입구 및 유출구는 도면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이러한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혈액이 정지 상태가 되어 응고되는 경향을 줄일 수가 있다.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양격실을 갖는 심장으로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벽(44),(45)사이의 공간(46) 및 가요성 벽(50),(50′) 외부에 위치하는 공간(36) 및 (37)에는 공기가 채워져 유입구(47),(48)에 혈액이 유입될 수 있는 최저 압력을 형성하는 보조 격실 역할을 한다. 이 보조 격실은 압력 제한 밸브를 통해 펌프 및 이에 따른 모터를 감싸는 공기 백(air-bag)과 같은 다른 격실에 연통된다. 상기 백은 전체 구조물의 비중을 흉곽 내용물의 비중과 동일하게 하여, 상기 구조물을 그 위치를 제한 받지 않고 신체 내에“이식”시킬 수 있게 한다.
벽(44),(45)사이에 비교적 약한 스프링(제3도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a도 및 제2b도 참조)을 설치하여 격실들의 충진 상태를 보조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벽(50) 및 (50′)를 탄성체로 제작한다. 벽(50) 및 (50′)의 탄성 효과는 심실 격실의 충진 상태 및 심방 격실의 유출 상태를 보조하고, 가스가 충진된 격실들내의 가스의 탄성 효과를 보상하는데, 위 두가지 효과는 심방 내로 유입되는 혈액의 제동 효과를 강화시켜, 유입되는 혈액이 송출되는 혈액이 맥동 흐름임에도 불구하고 유연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Claims (6)

  1. 하우징, 단방향 밸브가 그 내부에 각각 내장된 유체 유입구 및 유체 유출구를 각각 갖는 하우징내에 병렬로 배치된 2개의 심실격실, 격실들을 분리하고 부분적으로 그것을 형성하며 2개의 격설된 벽을 갖는 공통벽구조, 2개의 격실내에 존재하는 각 압력의 차이에 따라 이동시키며 각 격실들의 체적을 변화시켜 압력 균형을 이루기 위해 하우징내에 상기 벽을 장착하는 수단, 및 격실들의 체적을 수축시켜 각 유출구로부터 유체를 송출시키기 위해 상기 벽들을 서로 멀리 단속적 및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받아 구동되는 구동수단으로 구동되는 인공심장으로 사용하기 위한 이중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과 벽이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가변 공간을 형성하고, 또한 각각 각 심실 격실의 유입구와 유체 연통하여 1개의 유입구를 가지며 이동 자재하게 되어 있어 격실의 체적을 변화시키는 구획벽을 갖는 2개의 심방격실, 각 심방격실의 상기 구획벽과 함께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가변 공간을 형성하는 벽, 및 심방 격실과 연관된 공간에 심실 격실의 벽과 연관된 공간을 연통시키는 수단으로 구동되어, 상호 접근 및 격설되게 벽을 이동시키는 것이 상기 공간내의 가스압을 변화시키며 심실 격실의 체적 변화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심방 격실의 체적을 변화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심방 격실이 병렬로 배치된 심실 격실의 양 측면에 대향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펌프.
  4. 제2항에 있어서, 심방 격실들이 병렬로 위치하며, 그 구획벽들이 간격을 두고 상호 인접배치되고, 심방격실들과 연관된 가변공간들이 상기 벽들 사이의 공통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펌프.
  5. 제2항에 있어서, 각 벽이 견고한 부분을 포함하며, 동력을 받아 구동되는 구동 수단이 상기 두 개의 벽 부분에 상호접근하는 방향으로는 힘을 작용시키지 않으면서 두 개의 벽 부분을 멀어지도록 하는 힘을 가하기 위해 각 견고한 부분에 연결된 기계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또한 심실 격실의 공통 벽 구조물의 가동 부분을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펌프.
KR1019850002113A 1984-03-30 1985-03-29 인공심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펌프 KR920000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401779-7 1984-03-30
SE8401779A SE8401779L (sv) 1984-03-30 1984-03-30 Dubbelpump, avsedd som hjertprotes eller liknan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141A KR850006141A (ko) 1985-10-02
KR920000435B1 true KR920000435B1 (ko) 1992-01-14

Family

ID=2035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113A KR920000435B1 (ko) 1984-03-30 1985-03-29 인공심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펌프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4693714A (ko)
EP (1) EP0156782B1 (ko)
JP (1) JPS60225571A (ko)
KR (1) KR920000435B1 (ko)
AT (1) ATE81295T1 (ko)
AU (1) AU582147B2 (ko)
BR (1) BR8501415A (ko)
CA (1) CA1255051A (ko)
CS (1) CS275870B6 (ko)
DD (1) DD233942A5 (ko)
DE (1) DE3586729T2 (ko)
DK (1) DK164800C (ko)
ES (1) ES8608897A1 (ko)
FI (1) FI851281L (ko)
GR (1) GR850789B (ko)
HU (1) HU192334B (ko)
IE (1) IE850699L (ko)
IL (1) IL74526A (ko)
MX (1) MX161593A (ko)
NO (1) NO851294L (ko)
NZ (1) NZ211541A (ko)
PT (1) PT80195B (ko)
SE (1) SE8401779L (ko)
SU (1) SU1618276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0300A (en) * 1985-06-20 1989-04-11 Research Corporation Technologies, Inc. Artificial heart
AU8328487A (en) * 1986-11-14 1988-06-01 Novacor Medical Corporation Implantable biventricular circulatory support system
ES2061345B1 (es) * 1991-08-27 1995-06-01 Canizo Lopez Juan Fco Del Ventriculo artificial
US5397349A (en) * 1992-07-30 1995-03-14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uscle and air powered LVAD
US6746416B2 (en) 2001-12-05 2004-06-08 Spin Corporation Duplex blood pump for heart surgery
JP4656909B2 (ja) * 2004-10-15 2011-03-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被検体内導入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37523A (fr) * 1951-05-25 1953-09-17 Perfectionnements aux appareils dits <<coeurs artificiels>> destines à assurer la circulation sanguine au cours d'interventions chirurgicales et d'expériences de physiologie
US3733616A (en) * 1971-05-03 1973-05-22 Birch R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artificial heart
US4058857A (en) * 1976-02-12 1977-11-22 Runge Thomas M Cardiac replacement pumping devices
US4369530A (en) * 1981-05-19 1983-01-25 Foxcroft Associates Hydraulically actuated cardiac prosthesis and method of act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211541A (en) 1987-03-06
HUT38267A (en) 1986-05-28
KR850006141A (ko) 1985-10-02
AU582147B2 (en) 1989-03-16
DK164800B (da) 1992-08-24
PT80195B (en) 1986-12-11
AU4026385A (en) 1985-10-03
DE3586729D1 (de) 1992-11-12
DK123085A (da) 1985-10-01
EP0156782B1 (en) 1992-10-07
CA1255051A (en) 1989-06-06
EP0156782A3 (en) 1986-12-30
DD233942A5 (de) 1986-03-19
DK164800C (da) 1993-01-11
SE8401779D0 (sv) 1984-03-30
ATE81295T1 (de) 1992-10-15
SU1618276A3 (ru) 1990-12-30
US4693714A (en) 1987-09-15
IE850699L (en) 1985-09-30
JPH0531422B2 (ko) 1993-05-12
HU192334B (en) 1987-05-28
DK123085D0 (da) 1985-03-19
ES8608897A1 (es) 1986-07-16
IL74526A0 (en) 1985-06-30
ES541722A0 (es) 1986-07-16
DE3586729T2 (de) 1993-05-13
SE8401779L (sv) 1985-10-01
MX161593A (es) 1990-11-13
FI851281A0 (fi) 1985-03-29
CS275870B6 (en) 1992-03-18
FI851281L (fi) 1985-10-01
GR850789B (ko) 1985-11-25
PT80195A (en) 1985-04-01
NO851294L (no) 1985-10-01
BR8501415A (pt) 1985-11-26
EP0156782A2 (en) 1985-10-02
JPS60225571A (ja) 1985-11-09
IL74526A (en) 1990-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2265A (en) Implantable blood pump and integral apparatus for the operation thereof
US5429584A (en) Cardiac assist method and apparatus
US5743845A (en) Biventricular pulsatile cardiac support system having a mechanically balanced stroke volume
KR920000460B1 (ko) 혈액 펌프
EP0624084A1 (en) Cardiac assist apparatus
KR920000435B1 (ko) 인공심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펌프
RU210252U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отоком крови в экстракорпоральных системах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го кровообращения
CN115068807B (zh) 脉冲式体外肺膜动力泵及体外膜肺氧合装置
CN1011477B (zh) 一种用作人工心脏的双泵
Trumble et al. Muscle powered blood pump: Design and initial test results
PL168832B1 (pl) Sztuczne se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