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084Y1 - 복사기의 토너 잔량 검지장치 - Google Patents

복사기의 토너 잔량 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084Y1
KR920000084Y1 KR2019880013096U KR880013096U KR920000084Y1 KR 920000084 Y1 KR920000084 Y1 KR 920000084Y1 KR 2019880013096 U KR2019880013096 U KR 2019880013096U KR 880013096 U KR880013096 U KR 880013096U KR 920000084 Y1 KR920000084 Y1 KR 920000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isc
detection
spring pin
agi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3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396U (ko
Inventor
심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2019880013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084Y1/ko
Publication of KR900005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3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88Arrangements for detecting toner level or concentration in the 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사기의 토너 잔량 검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외형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검지부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검지원리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토너에 의한 회전부하가 걸린 상태도, (b)는 무부하시의 상태도.
제4도는 검지결과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원판 1a : 제1스프링핀
1b : 안내장공 2 : 제2원판
2a : 제2스프링핀 3 : 회전축
4 : 토너기어 5 : 스프링
6 : 검지홈 7 : 광센서
본 고안은 복사기의 현상기에 있어서 토너 공급통 또는 현상기에 잔류하는 토너의 양을 검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현상방식에는 1성분 및 2성분 방식으로 대별되는 대양자 모두 토너의 잔량을 검지하여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주어 연속적인 복사를 가능케하고 기계의 수명을 연장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즉, 그 성분 현상 방식에서는 토너와 현상제와의 혼합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반사센서와 자기센서를 사용하고 있으며, 1성분 현상방식에는 단지 토너의 잔량만을 검지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주로 압력센서 및 자기센서등의 센서를 이용하거나 감속비가 매우 큰 기어군을 사용하여 그 잔량을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압력 및 자기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은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나 감지가 불완전하며, 주로 토너 잔량의 유무만을 검지가능한 단점이 있었으며, 비교적 코스트가 놓은 결점임 있었다. 또한, 감속비가 큰 기어군에 의한 방법은 단지 복사량에 의한 검지만을 행하게 하므로 실제 토너의 잔략이 있어도 없는 것으로 검지하거나 반대의 경우도 생기는 등의 신뢰도가 매우 낮은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 토너의 유무 및 잔량의 검지를 신뢰성있게 실행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식토너를 사용하고 아지테타로 토너의 교반을 행하는 복사기 현상장치에 있어서, 아지테타(8)가 연결된 회전축(3)에 제2스프링핀(2a)을 돌설한 제2원판(2)이 고정된 토너기어(4)를 회전자재토록 유삽하고, 상기 회전축(3)의 끝단에는 제1스프링핀 (1a)과 안내장공(1b)이 형성된 제1원판(1)을 고정시켜 제1스프링핀(1a)과 제2스프링핀(2a)을 스프링(5)으로 연결하여 상기 아지테타(8)와 잔류토너와의 회전부하차에 의한 토너의 잔량검지를 행하도록 된것으로 상기 제1,2원판(1) (2)의 주연부에는 다수의 검지홈(6)을 형성하여 투과형광센서(7)에 의한 토너잔량을 검지토록 되어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9와 10은 커프링, 11은 코너통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외부기어(13)에 의해 토너기어(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토너기어(4)에 고정된 제2원판(2)이 회전을 하게된다. 즉, 토너기어(4)와 제2원판(2)은 회전축(3)에 회전자재토록 유삽되어 있기 때문에 토너기어(4)의 회전에 의하여 제2원판(2)만이 회전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제2원판(2)은 회전축(3)의 끝단에 고정 설치된 제1원판(1)과 스프링 (5)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원판(2)의 회전력은 제1원판(1)으로 전달되어 회전축(3)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제2도의 단면도에서 보듯이 제1원판(1)에 돌설된 제1스프링핀(1a)과, 제1원판(1)의 안내장공(1b)에 삽설되는 제2원판(2)의 제2스프링핀(2a)이 스프링(5)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기어(13)의 회전력은 토너기어 (4)→제2원판(2)→제1원판(1)→회전축(3)을 거쳐 아지테타(8)에 전달되어 토너의 교반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아지테타(8)가 토너가 있는 부분을 통과하면 토너(12)와 아지데타(8)와의 회전부하에 의하여 스프링(5)이 힘을 받아 제3도의 (a)의 상태와 같이 스프링(5)이 신장되어 제2원판(2)의 제2스프링핀(2a)이 안내장공(1b)의 하단부까지 이동되어 제1원판(1)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제1,2원판(1) (2)의 주연부에 형성된 검지홈(6)이 전부 막히게 되므로써 광센서(7)의 빛이 투과되지 않아 검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며, 아지테타(8)가 토너(12)가 없는 부위를 회전하게 되면 이때에는 무부하 상태가 되어 스프링(5)의 인장탄력에 의하여 제3도의 (b)와 같이 제2원판(2)의 제2스프링핀(2a)이 제1원판(1)의 안내장공(1b)상단부에 위치한 상태로 제2원판(2)과 제1원판(1)의 회전이 이루어져 제1,2원판(1) (2)에 형성된 검지홈(6)이 서로 일치하게 되어 광센서 (7)에서 발사되는 빛이 검지홈(6)을 통과하게 되므로 투과형 광센서(7)가 검지 신호를 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아지데타(8)가 토너잔량이 없는 곳을 통과하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투과형 광센서(7)의 검지신호가 증가되고 토너잔량이 없으면 투과형 광센서(7)의 검지신호수와 제1원판(1) 및 제2원판(2)의 홈수가 일치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관계가 제4도에 잘 나타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토너잔량의 유무에 따라 제1원판(1)과 제2원판(2)의 검지홈(6)이 엇걸리거나 일치되어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정확하게 토너 잔량을 검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연속적인 복살 가능하게 하고 복사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투과형 광센서(7)의 위치와 아지테타(8)의 교반부 위치가 임의의 위치이어도 검지가 가능하여 토너통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사용 신뢰도가 놓으며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한 그 실사용가치가 일층고양된 신규의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건식토너를 사용하고 아지테타로 토너의 교반을 행하는 복사기의 토너잔량 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지테타(8)가 연결된 회전축(3) ; 상기 회전축(3)의 일측에 고정되며 제1스프링핀(1a)과 안내장공(1b)의 다수의 검지홈(6)이 형성된 제1원판(1) ; 상기 안내장공(1b)에 삽입되는 제2스프링핀(2a)과 상기 제1원판(1)과 동일한 형상의 검지홈(6)이 형성된 제2원판(2) ; 상기 제2원판(2)을 고정하며 회전하는 토너기어(4) ; 상기 토너기어(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외부기어(13) ; 상기 제1스프링핀(1a)과 상기 제2스프링핀(2a)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프링(5) ; 상기 제1원판(1)과 상기 제2원판(2)의 검지홈(6)을 통하여 빛을 검지하는 광센서(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토너잔량 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지테타(8)가 토너가 없는 부분을 통과시에만 상기 제1원판(1)과 상기 제2원판(2)의 검지홈(6)이 일치되도록 하여 상기 광센서(7)의 빛이 투과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의 토너 잔량 검지장치.
KR2019880013096U 1988-08-09 1988-08-09 복사기의 토너 잔량 검지장치 KR920000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096U KR920000084Y1 (ko) 1988-08-09 1988-08-09 복사기의 토너 잔량 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3096U KR920000084Y1 (ko) 1988-08-09 1988-08-09 복사기의 토너 잔량 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396U KR900005396U (ko) 1990-03-08
KR920000084Y1 true KR920000084Y1 (ko) 1992-01-15

Family

ID=19278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3096U KR920000084Y1 (ko) 1988-08-09 1988-08-09 복사기의 토너 잔량 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0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832B1 (ko) * 2005-01-13 2006-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잔량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396U (ko) 199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6462A (en) Toner residual amount detecting mechanism
JP3263533B2 (ja) トナー残量検出装置及びそのトナー収納装置
KR900005648B1 (ko) 화상형성장치
KR20010060329A (ko) 현상제 카트리지 및 현상제 카트리지의 제조방법
US4666290A (en) Cartridge loading device for a copying machine
KR920000084Y1 (ko) 복사기의 토너 잔량 검지장치
JPH0535076A (ja) 現像装置の回転力入力ギア配置構造
US5016053A (en) Stirrer roller of developing device i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US4868601A (en) Developing unit for electrophotography with toner sensor
JP2004046011A (ja) トナー残量検出装置
KR100243236B1 (ko) 잉크교반방법
JP2001175070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960006815B1 (ko) 현상기의 잔류토너량 감지장치
KR100327240B1 (ko) 습식 인쇄기의 잉크 잔량 검출장치_
KR930008219B1 (ko) 전자사진응용기기의 농도제어방법
JPH0460669A (ja) 乾式現像装置
KR820002396Y1 (ko) 현상액 교반기
JPS61158354A (ja) 現像制御装置
JPH0588551A (ja) トナーエンド検出装置
US4684236A (en) Toner concentration detecting device for dry type electrographic copy machine
KR910003792B1 (ko) 복사기의 토너 농도 검지센서 오염방지장치
JP3326459B2 (ja) 現像装置
JPH06258946A (ja) トナー残量検出装置
JPS6022361Y2 (ja) 現像装置
KR100279727B1 (ko) 현상기 장착 여부 및 현상제 잔량 상태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