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064B1 - 코넥터 조립 설비물 - Google Patents

코넥터 조립 설비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064B1
KR920000064B1 KR1019830003370A KR830003370A KR920000064B1 KR 920000064 B1 KR920000064 B1 KR 920000064B1 KR 1019830003370 A KR1019830003370 A KR 1019830003370A KR 830003370 A KR830003370 A KR 830003370A KR 920000064 B1 KR920000064 B1 KR 920000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ubstrate
cable
position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612A (ko
Inventor
케이드 라이트 딘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Publication of KR84000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connecting unstripped conductors to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 cutting e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17Means to simultaneously assemble multiple, independent conductors to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35Means to fasten by de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61Means to align and advance work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65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with work-holder for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넥터 조립 설비물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넥터 조립 설비물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를 따라 얻어진 제1도의 설비물의 단면도로서 도면의 점선은 코넥터와 케이블을 도시한 것임.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선 4-4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선 5-5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넥터 조립 설비물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7-7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기판 6 : 케이블 플랫폼
8 : 장착 구멍 10 : 리지(ridge)
12 : 위치 설정 슬롯 14 : 핀 슬롯
18,20 : 위치 설정 가이드 22 : 위치 설정핀
24 : 위치 설정 핀 홈 26 : 핀 머리부
38,40 : 노치 42 : 코넥터 몸체
58 : 핀 60 : 지지핀
62 : 스프링 86 : 와셔
88 : 링 100 : 접촉기
132 : 코넥터 덮개 120 : 랜드
136 : 홈
본 발명은 전기도선 및 코넥터들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특히 조립을 위해 평면형의 유연한 케이블 및 케이블 코넥터들을 서로에 대해 위치시키기 위한 설비물에 관한 것이다.
만은 도선들을 가진 평면형 케이블은 다른 케이블이나 또는 전기장치 및 인쇄 회로판에 코넥터에 의해서 편리하게 부착되는데, 이 코넥터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각 도선들을 보통 종단하고, 정합 코넥터에 조립된다. 이런 방식으로 종단된 케이블은 도선의 순서에 혼돈을 주거나 도선을 손상시킴이 없이 용이하게 무수히 접속 및 탈속(disconnect)될 수 있다.
케이블은 개개의 절연 도선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펀형적으로 9에서 64개의 서로 각기 절연되어 함께 결합한 평행한 도선들로 구성되어 있다. 개개의 도선 사이의 간격은 1.08밀리미터와 1.91밀리미터 사이의 범위에 있으나 가장 보편적으로는 1.27밀리미터이다. 도선들은 각기 절연되어 있고 또 접착결합, 초음파 용접, 또는 용매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날 보통 개개의 도선들은 각 도선들 사이의 리브(rib)단면을 감소시키는 고형(solid)다색(muti-color)의 코팅에 의해 절연되고 결합된다. 리브는 개개의 도선들이 서로 쉽게 분리되어 지선회로를 만들 수 있게 한다.
코넥터들은 전형적으로 케이블 도선들의 간격에 대응하게 간격진 U형 접촉 소자들의 엇갈린 줄들을 포함한 플라스틱 몸체를 구비한다. 각 접촉 소자들은 도선들이 슬롯속으로 힘을 받을때 도체 절연물을 벗기는 포크형의 평행한 다리들로 형성되었다. 종단중에 이러한 다리들의 편향은 양호한 전기 접속을 유지시키는 스프링 압력을 가진 도선상에 영구적으로 조여지게 한다. 덮개는 보통 도선들이 양호하게 접촉되도록 힘을 가하고 도선들을 내부에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선과 코넥터 몸체에 대향하는 접촉단부는 케이블이 접속되는 장치, 예를들면 다른 케이블들이나, 전기 장치, 벌크 헤드 또는 회로 기판등의 장치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케이블과 코넥터의 조립은, 전형적으로 코넥터 몸체에 적당한 접촉소자를 갖는 케이블을 포함한 개개의 도선들을 정렬시키고, 코넥터 덮개를 도선위에 위치시키며 압력으로 코넥터 몸체와의 조립된 접촉부에 덮개를 압착하고, 이에 의해 도선들이 접촉부에 눌러지게 함으로서 달성된다.
도선들과 접촉부들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고 모든 코넥터 부품들과 케이블이 조립중에 적당한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여러부품들이 조립되고 프레스에 삽입될 수 있는 코넥터 조립 설비물이 사용되고 있다.
코넥터 조립 설비물은 케이블이 코넥터 몸체와 함께 정렬될때 부품들을 적절한 관계로 유지시켜야 하며 덮개는 도선위에 놓이고 코넥터 몸체속으로 눌러져 개개의 도선들이 그들 각각의 접촉부로 힘을 받아 케이블의 코넥터에 대한 조립을 완성하게 한다. 조립중에, 코넥터 조립 설비물은 도선들이 그들의 접촉부로 힘을 받을때, 코넥터에 대한 케이블의 운동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상적으로, 코넥터 조립 설비물은 부품들의 신속한 이동 및 조립체의 편리한 이동을 허용해서 고생산성을 허용해줄 수 있어야 한다. 더우기, 코넥터 조립 설비물은 다른수의 도선과 접촉부를 갖는 케이블 및 코넥터들을 수용하도록 쉽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하고, 코넥터 몸체의 여러 가지 구성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 및 코넥터의 조립 설비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조립 설비물은 서로 다른수의 접촉부 및 도선을 가진 코넥터 및 케이블을 수용하고, 코넥터를 조립체 프레스와의 적당한 관계로 유지하고, 코넥터에 대해 케이블을 정렬 및 유지시키고, 조립중에 코넥터에 대한 케이블의 운동을 수용하고, 코넥터를 조립체 프레스와의 적당한 관계로 유지하고, 코넥터에 대해 케이블을 정렬 및 유지시키고, 조립중에 코넥터에 대한 케이블의 운동을 수용하며, 조립 설비물로부터 케이블/코넥터 조립체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코넥터 몸체의 여러 구성들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넥터 조립 설비물의 한 실시예에서는 리지가 형성된 기판과 볼록하고, 경사진 케이블 플랫폼이 제공된다. 기판은 스프링 장착핀에 의해 두개의 코넥터 위치 설정 가이드가 장착된 리지들을 횡단하여 연장하는 슬롯을 가진다. 위치 설정 가이드들을 스프링 압력에 반하여 기판으로부터 가이드들을 분리시키고 슬로트를 따랄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서 서로서로로부터 멀어지거나 접근될 수 있다. 가아드들은 기판리지들과 정합되는 가이드들의 하측상에 있는 홈에 의해서 기판에 대해 각을 가지고 배열된다. 가이드들은 가이드들과 슬롯의 엣지 사이에서의 상대운동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들의 하측에 있는 횡방향의 홈과 슬롯내에 견고히 끼워진 블록에 의해서, 슬롯 및 서로에 대하여 제로방향으로 배열된다. 각 가이드는 다른 크기를 갖는 2개의 코넥터-수용-노치를 구비하며, 상기 노치들은 코넥터 가이드를 들어 올리고 180도 회전시킴으로서 여러 구성의 코넥터 몸체들을 유지시키도록 교대로 제공된다.
케이블 플랫폼은 수평으로 솟은 위치로 스프링 바이어스되고 기판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베아링 핀들 주위에서 축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플랫폼은 리지들을 포함하며 이 리지들은 기판 리지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모든 다른 케이블 리브와 결합되도록 이격되며 코넥터에 대해 케이블은 정열시킨다. 케이블을 적당한 리지들내에 위치시키기 위해, 플랫폼 리지들과 정합되는 홈을 하측부에 가진 두개의 케이블 가이드 블록이 제공된다.
코넥터 위치 설정 가이드와 비슷하게, 블록들은 플랫폼 내의 슬롯을 통해 연장한 스프링 장착면에 의해 유지되며, 스프링 압력에 반하여 플랫폼으로부터 블록들을 분리시키고 슬롯을 따라 핀을 미끄러지게 함으로서 정확히 위치되어 진다. 플랫폼은 프레스가 케이블 도선들을 코넥터 접촉소자를 향해 압력을 가할때 코넥터에 대한 케이블의 운동을 수용하도록 경사지고, 플랫폼 스프링은 코넥터에 대한 케이블의 조립후에, 및 프레스 압력이 제거된 후에 케이블 및 부착 코넥터를 코넥터위치 설정 가이드로부터 들어 올리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기판 코넥터 위치 설정 가이드들이 코넥터 몸체를 위치시킴과 동시에 조립체프레스에 의해 발생된 힘에 대향하도록 코넥터 몸체를 지지하는 역전 가능한 코넥터 위치 설정 및 지지 블록으로 교체되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코넥터 조립 설비물(2)은 기판(4) 및 케이블 플랫폼(6)을 포함하고 있다. 기판(4)은 정방향이고 기판(4)을 테이블위 또는 조립체 프레스에 장착할 수 있도록 모아 깍인 장치 구멍(8)을 구비한다. 기판(14)은 또한 그 폭을 따라 2.54 밀리미터의 양호한 간격으로 간격진 리지(10)들을 포함한다. 리지(10)의 길이를 따르는 중간부에는 위치 설정 슬롯(12)(제3도에 잘 도시되어 있음)이 위치되며, 상기 슬롯(12)은 리지(10)를 횡단하여 연장되고 기판(4)의 두개의 약 절반의 깊이로 절단되었다. 위치 설정 슬롯의 저면에는 위치 설정 슬롯(12) 내의 중앙에 위치되고 비슷하게 리지(10)를 횡단하여 연장되는 좁은 위치 설정핀 슬롯(14)이 형성된다. 기판(4)의 하측부에는 위치 설정 슬롯(12) 및 핀 슬롯(14)과 동축이고 기판(4)을 가로 질로 슬롯(12,14)에 병행하게 연장된 릴리프 슬롯(16)이 형성된다.
리지(10)상에는 두개의 코넥터 위치 설정 가이드(18,20)가 장착되는데 상기 가이드(18,20)가 장착되는데 상기 가이드(18,20)는 위치 설정슬롯(12)과 위치 설정 핀 슬롯(14)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릴리프 슬롯(16)내에서 종단되는 인치 설정핀(22)에 의해 기판(4)에 부착된다.
위치 설정 가이드(18,20)들은 위치 설정핀 요(凹)부(24)를 형성하도록 구멍이 형성되는데 이 요부는 확대된 핀두부(26)와, 상기 핀두부(26) 아래 및 핀두부(26)와 위치 설정 가이드(18,20)의 본체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20)을 수용하고 있다. 위치 설정핀(22)들은 릴리프 슬롯(16) 내에 위치된 스냅링(32)과 베어링 와셔(30)에 의해 수직 운동에 대항해서 속박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프링(28)은 기판(4)과 접촉되도록 위치 설정가이드(18,20)들을 바이어스 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치 설정 가이드(18,20)들이 기판(4)에 견고히 부착되지 않고 기판을 향해 스프링 바이어스되기 때문에, 위치 설정 가이드(18,20)들은 위치 설정 가이드(18,20)들을 들어올리고 핀 슬롯(14)을 따라 위치 설정 핀(22)을 활주시킴으로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또는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위치 설정 가이드(18,20)들은 기판(4)에 대해 적절한 각도로 유지되는데, 즉 베이스 리지(10)와 결합하는 위치 설정 가이드(18,20)의 하측부에 형성된 홈(34)들에 의해서 리지(10)에 평행하게 유지된다. 위치 설정 가이드 홈(34)은 1.27밀리미터 간격으로 파져 있어서 이 간격에 따른 점진적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리지(10)의 간격은 홈(34)의 간격의 두배로서 위치 설정 가이드(18,20)의 어느 위치에서나 홈(34)이 하나 걸러 하나씩 리지(10)와 맞물린다.
리지(10)에 대해 가이드(18,20)들을 적절히 세로방향 관계로 유지하고 이 가이드(18,20)들이 서로에 대해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치 설정 슬롯(12) 내에는 정방형의 위치 설정 블록(36)이 제공되는데, 이 블록(36)은 위치 설정 슬롯(12)에 꼭 맞게되어 있고 가이드(18,20)의 하측부에 파진 횡방향 홈(37)들과 꼭 맞도록 되어 있어 가이드(18,20)가 리지(10)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 설정슬롯(12)에 대해 상대운도하는 것을 방지한다.
횡단위치 설정 가이드 홈(37)들이 직각의 코너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홈(37)들은 기판(4)상에 있을때의 위치에서 가이드(18,20)를 고정하도록 블록(36)들이 대응한 모양을 가지는 한, 어떠한 단면을 가져도 좋다.
위치 설정 가이드(18,20)는 내부로 대향한 노치(38,40)를 포함하며, 이 노치들은 코넥터 몸체(42)(제2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됨)을 수용하며 코넥터 몸체(42)를 기판(4)에 대해 적절히 배열된 관계로 유지시킨다. 노치(38,40)들은 위치 설정 가이드(18,20)의 상명에 짤린부(44)를 가져 코넥터 몸체(4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위치 설정 가이드(18,20)는 또한 다른 구성을 가진, 보통 다른 폭을 가진 코넥터 몸체(42)를 수용하도록 노치(38,40) 보다 다른 크기의 코넥터 몸체 위치 설정노치(46,48)들은 위치 설정 가이드(18,20)를 들어 올리고 180도 회전시켜서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위치 설정 가이드(18,20)는 관측 포트(50)를 갖는다. 이 관측 포트(50)는 가이드(18,20)들의 단부에 위치되며 기판(4) 상에 표시된 번호(52)를 보기 위한 것이다. 번호(52)는 여러가지 크기의 코넥터몸체(42)를 수용하기 위해 위치 설정 가이드(18,20)들이 어디에 위치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한 것이다.
이제, 코넥터 몸체(42)에 부착되는 다중 도선 케이블(54)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케이블 플랫폼(6)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3도에는 기판(4)에 부착되고 케이블 플랫폼(6)을 기판(4) 표면상에서 지지하는 높은 블록(56)이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 플랫폼(6)은 블록(56)을 통해 연장하고 케이블 플랫폼(6)의 연부에 억압상태(도시안됨)로 있는 베아링 핀(58)에 의해 높은 블록(56)에 부착되다. 케이블 플랫폼(6)은 높은 블록(56)에 형성된 원통 요부(64)내에 및 지지핀(60)의 확대 두부(66)와 기판(4)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62)에 의해서 기판으로부터 떨어지게 바이어스된 지지핀(60)에 의해 수평으로 유지된다(제4도 참조). 지지핀(60)은 압축 고정에 의한 것과 같이 케이블 플랫폼(6)에 고착되며, 플랫폼(6)과 지지핀(60)은 지지핀 스프링(62)을 압축함으로서 베아링 핀(58) 주위에서 추축으로 선회될 수 있다.
코넥터 몸체(42)에 대해 케이블(54)을 위치시키도록 한 두 개의 케이블 가이드 블록(68,70)들은 케이블 플랫폼(6)에 부착된다. 케이블 가이드 블록(68,70)들은 기판(4)상에서 코넥터 위치 설정 가이드(18,20)를 유지하는 배열과 같이 비슷한 핀(72)과 스프링(74) 배열에 의해서 케이블 플랫폼(6)에 부착된다. 핀(72)은 케이블 가이드 블록(68,70)의 상부에 형성된 요부(78) 내에 위치되는 확대 두부(76)와 축(80)을 포함하는데, 상기 축(80)은 가이드 블록(68,70)의 관통 구멍(82)을 통해 연장하고 기판(4) 내의 위치 설정 슬롯(12)에 평행하게 케이블 플랫폼(6)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슬롯(84)을 통하여 연장된다. 핀(72)들은 베아링 와셔(86)와 스냅링(88)에 의해 케이블 플랫폼(6)에 유지된다. 스프링(74)은 핀두부(76)와 케이블 가이드 블록(68,70)의 몸체와의 사이의 요부(78) 내에 배치되고 케이블 플랫폼(6)쪽으로 가이드 블록(68,70)들을 바이어스시킨다. 가이드 블록(68,70)들은 스프링(74)의 바이어스 힘에 대항하여 들어올려서 활주시킴으로서 슬롯(84)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 블록(68,70)은 그 하부측에 1.27밀리미터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홈(90)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코넥터 몸체(42)의 세로축에 수직하게 유지되며 상기 홈(90)들은 2.54밀리미터의 간격으로 케이블플랫폼(6)의 상면에 형성된 리지(92)들과 정합된다. 리지(92)들은 가이드 블록(68,70)의 적절한 배열을 확실히 할뿐 아니랄 개개의 도선들 사이에서 케이블(54) 내에 형성된 감소 단면을 가진 리브와 결합한다.
케이블 가이드 블록(68,70)은 또한 케이블 플랫폼(6) 상에 기록된 번호(96)을 익을 수 있는 관측 포트(94)를 가진다. 기판(4)상의 번호(52)와 케이블 플랫폼(6)상의 번호(96)는 위치 설정 가이드(18,20)와 케이블 가이드 블록(68,7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 블록(68,70)의 대응 연부상에 위치한 관측포트(98)들은 케이블(54)이 어느 일측상의 마지막 도선으로부터 케이블(54)의 연부까지의 케이블 칫수를 증가시키는 차폐물에 의해 덮여지는 경우, 블록(68,70)들 사이의 부가적인 틈을 만들도록 블록(68,70)의 측면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동작중에 코넥터 위치 설정 가이드(18,20)들은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적당한 노치(38,40; 46,48)들을 제공하도록 회전되고, 접속된 도선의 올바른 수에 대응하는 번호(52)가 위치 설정가이드(18,20)상에 위치된 관측 포트(50)를 통해 관측될때까지 위치 설정 슬롯(12)을 따라 이동된다. 비슷하게, 케이블 가이드 볼록(68,70)은 적당한 관측 포트(94 또는 98)가 케이블 플랫폼(6) 상의 대응 번호(96)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코넥터 몸체(42)는 그후 위치 설정 가이드 노치(38,40 또는 46,48)에 삽입되고 리지(10)에 수직하게 유지된다.
다중 도선 케이블(54)은 케이블 가이드 블록(68,70) 사이에 삽입되어 코넥터 몸체(42)상에 놓인다. 케이블(54)은 가이드 블록(68,70)에 의해서 코넥터 몸체(42)와의 적당한 측면대 측면 관계로 유지되며, 또한 개개의 도선들이 적당히 위치되는 것을 확실히 하는 케이블 플랫폼 리지(92)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54)은 다수의 평행한 도선들로 구성되었으며 이 도선들은 개개의 도선들 사이의 단면 영역이 감소된 리브들을 발생하도록 형성된 절연물로 쌓여져 있다. 상기 개개의 도선들은 도선이 슬롯속으로 끼워질때 도선 절연물을 제거하는 포크형의 평행한 다리부를 가진 U형의 엇갈린 접촉기(100)들의 열과 결합한다.
케이블(54)이 상술한 바와 같이 코넥터 몸체(42)와 적당히 정렬이된 후, 코넥터 덮개(102)는 케이블(54)상에 놓이고 코넥터 몸체(42)와 정렬된다. 완성된 조립체를 만들기 위해서, 덮개(102)는 제2도의 화살표(103)의 방향으로 조립체 프레스(도시안됨)에 의해서 하방으로 눌러지며, 이로써 코넥터 몸체(42)에 부착된다. 조립체 프레스는 종래의 것으로 기계, 수력, 전기 수단등에 의해 동작되며, 소정의 힘에 도달할때나 또는 소정의 차폐 놀이로 닫혀진후에 그 동작을 정지한다.
덮개(102)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케이블 도선들은 접촉기(100)로 강압되어 개개의 접촉기와 도선들 사이의 전기접촉이 이뤄진다. 케이블(54)이 하방으로 기판(4)쪽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케이블 플랫폼(6)은 케이블(54)의 이동을 수용하도록 기울러진다. 플랫폼(6)의 기울어짐은 플랫폼(6)이 주축 선회되는 베아링 핀(58)과 플랫폼(6)을 수평위치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스하는 스프링 장착 지지핀(60)에 의해서 달성된다.
케이블(54)과 코넥터(42)의 조립이 달성된 후, 지지핀(60)은 덮개(102)상의 압력이 제거될때 케이블 플랫폼을 수평위치로 복귀시킨다. 플랫폼(6)의 상방향 이동은 코넥터 위치 설정 가이드(18,20)로부터 코넥터(42)를 들어올려서 조립 설비물(2)로부터 조립체의 급속한 제거가 이뤄진다.
따라서 코넥터 조립 설비물(2)은 케이블/코넥터 조립체의 여러가지 부품들은 정열시키는 것뿐 아니라 조립 설비물(2)로부터 완성된 조립체를 쉽게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6도에는 코넥터 조립 설비물(104)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었는데, 이 설비물(104)은 기판(106)상의 조립체 부분 즉, 높은 블록(108), 경사 가능 플랫폼(110), 케이블 가이드 블록(112)들이 상기한 실시예의 부품들과 서로 동일하다는 점에서 상기 조립 설비물(2)과 비슷한 것이다.
두 조립 설비물의 차이점이란, 제1-5도의 기판 홈(12)과 위치 설정 가이드(18,20)들이 코넥터 위치 설정 및 지지블록(114)으로 대체되었다는 점이다. 지지블록(114)은 기판(106)의 상면에 형성된 요부(116) 내에 끼워지고 지지판(118)을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지지판(118)은 그 지지판(118)으로부터 수직으로 및 조립설비물(104)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한 다수의 간격진 랜드(120)를 포함한다. 랜드(120)들은 코넥터의 쉘(122)과, 콘넥터(124)의 몸체에 주형된 엇갈린 접촉기(128)의 열들의 종만들(126)을 수용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랜드(120)의 배열은 케이블(130)이 조립체 프레스(도시안됨)에 의해서 제7도에 화살표(134)로 표시된대로 하방으로 힘을 받는 코넥터 덮개(132)에 의해 접촉기(128)속으로 압박될때, 코넥터(124)의 파괴를 방지하도록 코넥터(124)의 전지역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접촉기(128), 코넥터 덮개(132)및 조립체 프레스는 제1-5도의 조립 설비물(2)에 대해서 상기 설명한 것처럼 동작한다. 코넥터(124)는, 코넥터(124)의 단부를 붙잡아두고 랜드(120)를 따르는 코넥터(124)의 측면 이동을 방지하는 4개의 홈(136)들에 의해 랜드(120)의 길이를 따라 위치되어진다.
지지판(115)은 지지판(118)을 관통하여 기판(106)속으로 연장한 옹이나사(138)에 의해 기판(106)에 결합된다. 지지판(118)은 기판(106)상에서 반전될 수 있으며 기판(106)에 형성된 슬롯(142)속으로 하방으로 연장한 다수의 램프(140)의 제2세트를 포함한다. 랜드(140)의 제2세트는 비슷하게 코넥터를 지지하지만 랜드 홈(136)과는 다르게 간격진 홈(도시 안됨)을 가지고 있어서 제7도에 도시된 코넥터(124)와 다른 길이의 코넥터를 수용한다.
조립 설비물(104)은 또한 코넥터 몸체(124) 및 케이블(130)이 조립전에 또는 조립중에 상호 배열된 다른 점과 케이블 플랫폼(110)이 랜드(120)로부터 코넥터(124)를 들어 올림으로서 완성된 조립체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조립 설비물(2)과 비슷하게 동작한다.
본 발명이 특별한 실시예들로 기술되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 및 수정을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6)

  1. 다수의 도선, 및 상기 다수의 도선에 대응하는 다수의 접촉기(100,128)를 가진 전기 코넥터(42,102,124,132)로 구성되는 평면형 전기 케이블(54,130)을 정렬하기 위한 코넥터 조립 설비물에 있어서, 평면형기판(4,106)과; 코넥터(42,102,124,132)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기판(4,106)에 부착되는 코넥터 가이드 수단(18,20,114)과; 케이블(54,130)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플랫폼 수단(6,110)과; 기판(4,106)에 간격진 관계로 케이블 플랫폼 수단(6,110)을 설치하고, 케이블(54,130)이 기판(4,106)을 향하여 코넥터속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설치 수단(56,108)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코넥터 조립 설비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플랫폼 수단이 판(6,110)과 상기 설치 수단(56,108)을 포함하고, 설치수단(56,108)은 상기 기판(4,106)에 평행하게, 그리고 코넥터 가이드 수단(18,20,114)과 간격지게 상기 판(6,110)을 추축으로 설치하기 위한 수단(58)과 기판(4,106)에 평행하게 상기 판(6,110)을 탄력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60∼66)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코넥터 조립 설비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6,110)을 추축으로 설치하기 위한 수단(56,108)은 기판(4,106)에 부착된 블록(56,108)과 기판(4,106)으로부터 간격지고 블록(56,108)으로부터 상기 판(6,110)을 향해 연장한 베아링(58)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조립 설비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6,110)을 탄력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60∼66)은 상기 판(6,110)에 고정되어 기판(4,106)을 향해 연장되는 핀(60)과, 상기 기판(4,106)과 상기 핀(60)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62)을 포함하고, 상기 핀(60)은 기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을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코넥터 조립 설비물.
  5. 제1항에 있어서, 코넥터 가이드 수단(114)은 접촉기(128)에 인접한 코넥터(124)를 지지하지 위해 기판(106)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한 일련의 평행 랜드(12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코넥터 조립 설비물.
  6. 제5항에 있어서, 코넥터(124)에 결합하여 랜드(120)에 대한 코넥터(124)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랜드(120)의 길이를 가로질러 랜드속에 파인 홈(136)들을 아울러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코넥터 조립 설비물.
KR1019830003370A 1982-07-21 1983-07-21 코넥터 조립 설비물 KR920000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00342 1982-07-21
US400,342 1982-07-21
US06/400,342 US4505034A (en) 1982-07-21 1982-07-21 Locating fixtur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612A KR840005612A (ko) 1984-11-14
KR920000064B1 true KR920000064B1 (ko) 1992-01-06

Family

ID=2358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370A KR920000064B1 (ko) 1982-07-21 1983-07-21 코넥터 조립 설비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505034A (ko)
EP (1) EP0099684B1 (ko)
JP (1) JPS5933778A (ko)
KR (1) KR920000064B1 (ko)
AU (1) AU560052B2 (ko)
BR (1) BR8303893A (ko)
CA (1) CA1232432A (ko)
DE (1) DE3374105D1 (ko)
MX (1) MX1576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510Y2 (ko) * 1985-08-08 1990-02-09
DE3601792C1 (de) * 1986-01-22 1987-04-30 Minnesota Mining & Mfg Flachkabel-Anschlussvorrichtung
GB8805474D0 (en) * 1988-03-08 1988-04-07 Amp Italia Method of operating harness making machines
US4928380A (en) * 1989-12-20 1990-05-29 Amp Incorporated Apparatus for terminating a cable to a two part circular connector
US5138762A (en) * 1991-02-01 1992-08-18 Panduit Corp. Modular connector press
JP3103192B2 (ja) * 1992-02-27 2000-10-23 マニー株式会社 かしめ装置の糸ガイド及び糸ガイドの取付構造
JP2577111Y2 (ja) * 1992-11-17 1998-07-23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テンプレート
US5465479A (en) * 1994-04-06 1995-11-14 Molex Incorporated Locating fixture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DE9413561U1 (de) * 1994-08-23 1994-10-27 Panduit Gmbh Gesenk zum Kontaktieren von elektrischen Steckverbindern mit Flachkabel sowie Presse hierfür
US6108904A (en) * 1996-12-17 2000-08-29 The Whitaker Corporation Tool for aligning a ribbon cable to a connector
US6571454B1 (en) 1999-07-23 2003-06-03 Michael D. Haney Drive test fixture
US6384617B1 (en) 1999-11-17 2002-05-07 Agilent Technologies, Inc. Signal transfer device for probe test fixture
US6262571B1 (en) * 1999-11-17 2001-07-17 Agilent Technologies, Inc. Adjustable electrical connector for test fixture nest
CN2470978Y (zh) * 2001-02-08 2002-01-09 莫列斯公司 线缆连接器
CN101256199B (zh) * 2007-02-28 2010-12-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夹具
JP6589601B2 (ja) * 2015-11-27 2019-10-16 日立金属株式会社 配線部品及び配線部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0540A (en) * 1976-02-26 1977-05-03 Amp Incorporated Applicator tool
US4005518A (en) * 1976-03-15 1977-02-01 Amp Incorporated Apparatus for connecting conductors in flat cable to terminals in a connector
US4194276A (en) * 1978-12-14 1980-03-25 Amp Incorporated Connector holding fixture
US4245387A (en) * 1979-06-14 1981-01-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able harness assembly fixture
US4335497A (en) * 1980-02-19 1982-06-22 Amp Incorporated Terminating apparatus
US4308660A (en) * 1980-04-25 1982-01-05 Amp Incorporated Multiple wire insertion apparatus
US4393580A (en) * 1981-02-05 1983-07-19 Amp Incorporated One step applicator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99684A1 (en) 1984-02-01
EP0099684B1 (en) 1987-10-14
KR840005612A (ko) 1984-11-14
DE3374105D1 (en) 1987-11-19
US4505034A (en) 1985-03-19
JPS5933778A (ja) 1984-02-23
MX157657A (es) 1988-12-08
JPH0349189B2 (ko) 1991-07-26
CA1232432A (en) 1988-02-09
BR8303893A (pt) 1984-02-28
AU1712083A (en) 1984-01-26
AU560052B2 (en) 1987-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064B1 (ko) 코넥터 조립 설비물
US4076365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ductor spreading means
US4968260A (en) Bix block adapter
EP0203097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039611A (en) Connector
US4072387A (en) Multiple conductor connector unit and cable assembly
US7270567B2 (en) Connector having an actuator which is stably operable
EP0214830B1 (en) Fpc connector
KR101968790B1 (ko) 순응성 인터커넥트 요소를 이용한 제어형-임피던스 케이블 종단부
US5364294A (en) Electrical device for surface mounting on a circuit board and mounting component thereof
US4477137A (e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for flat cable
US4871315A (en) Ribbon cable connector
US4832617A (en) Circuit board socket, contac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055054A (en) High density connector
US4647131A (en) Connector with conductor retention means
US4922191A (en) Electronic testing equipment interconnection assembly
US4934953A (en) Junction box for electrical cables
EP0661779B1 (en) Multi-connector assembly
EP0276895B1 (en) Power connector
EP0397075A2 (en) Prin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US6659807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sert-molding structure
US4538870A (en) Electrical connectors
US404511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onnector
US4295696A (en) Strain relief for connector wires
US6623281B2 (en)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s on circuit bo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