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018B1 - 마찰 방적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찰 방적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018B1
KR920000018B1 KR1019840003323A KR840003323A KR920000018B1 KR 920000018 B1 KR920000018 B1 KR 920000018B1 KR 1019840003323 A KR1019840003323 A KR 1019840003323A KR 840003323 A KR840003323 A KR 840003323A KR 920000018 B1 KR920000018 B1 KR 920000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erforated
grooves
yar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794A (ko
Inventor
파커 알란
Original Assignee
홀링스 워즈(영국) 리미티드
에드워드 길레스피 스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8316341A external-priority patent/GB2141448A/en
Application filed by 홀링스 워즈(영국) 리미티드, 에드워드 길레스피 스몰리 filed Critical 홀링스 워즈(영국)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50004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4/00Open-end spinning machines or arrangements for imparting twist to independently moving fibres separated from slivers; Piecing arrangements therefor; Covering endless core threads with fibres by open-end spinning techniques
    • D01H4/04Open-end spinning machines or arrangements for imparting twist to independently moving fibres separated from slivers; Piecing arrangements therefor; Covering endless core threads with fibres by open-end spinning techniques imparting twist by contact of fibres with a running surface
    • D01H4/16Friction spinning, i.e. the running surface being provided by a pair of closely spaced friction drums, e.g. at least one suction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찰 방적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 방적장치의 마찰 방적 로울러들의 부분 단면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천공된 로울러의 내측 투관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내측투관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4-4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선 5-5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천공된 로울러 2a,6a,7a,17a,17b : 구멍
3 : 천공되지 않은 로울러 4 : 내측투관
5,6,7,15-20 : 홈부 8 : 흡인도관
11 : 흡인원 12 : 중간투관
14 : 내측투관
본 발명은 마찰 방적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찰 방적에 있어서 천공된 표면에 성형사를 보유시키기 위해 흡인력을 부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실의 마찰 방적에 대한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이 특히 본 출원인의 영국 특허공보 제2,042,599A호(프래트 사코 로웰 리미티드 명의로 최초 출원됨) 및 “닥터, 에른스트 페르어”, “바르막 바르머 아게”, 및 “비즈쿰니 우스타프 바비나르스키”에 의하여 제안되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마찰방적 방법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2개의 표면사이, 예를들어, 동일한 정도로 회전하는 2개의 밀접하게 자격이 떨어져 있는 로울러들의 표면들 사이, 또는 드럼의 내측표면과 그 드럼내에 편심되어 장착된 로울러의 외측 표면 사이의 닙(nip)사이로 공기중에 떠 있는 불연속 섬유들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국특허공보제 2,023,196A호(비즈쿰니 우스타프 바비나르스키)에 있어서 제16도에 구멍들의 집단이 실의 방출방향으로 배열상태의 변화가 도시되어져 있다.
그러나 각 구멍을 통한 압력강하가 일정하지 않을 것이라는 아무런 제시도 되어있지 않다.
미국특허 제4,168,601호(발명자:“디덱크”외, 양수인:비즈쿰니 우스타프 바비나르스키”)에는 실의 방출방향을 따라 흡인 효과가 증가되어지고, 이러한 흡인효과의 증가는 실의 방출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로울러에 형성된 흡인 구멍들의 크기들로 인해 성취되어짐이 기술되어 있다.
큰 구멍에서는 그 구멍을 통해 흐르는 공기흐름의 단면이 크게 되고, 또한 공기속도가 크게 되어 구멍들에서의 공기의 전체 압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그러나, 이것은 드럼의 길이를 따라 정압(靜壓)을 변경시키는 것을 요하지는 않는다.
반대로, 본 발명은 실을 형성하는 섬유다발을 천공된 마찰 방적 표면과 접촉한 채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실을 형성하는 섬유다발을 가로 질러서의 정압차가 하류 위치에서 보다는 성형사의 첨단부에서 낮게되는 마찰 방적 방법이 제공된다.
공기 정압에 있어서 이러한 중대한 증가에 따라, 물론 공기 유량 및/또는 공기속도에 있어서 변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정압이 이 방법에 의한 실의 형성에 있어서 중대한 변수인 것으로 믿고 있다.
가해지는 정압을 실의 방출 방향을 따라 증가시킬 때, 섬유다발의 여린 첨단부에 가해진 정압은, 섬유들 대부분이 성형사의 첨단부에 인접하게 들어간 섬유들과 서로 결합되고 실의 꼬임이 구조적으로 완전하게 되는 하류위치에 가해지는 정압보다 낮게 된다.
실을 따라 하류측에서 보다 구멍의 단면이 작게되는(여린 첨단부에 인접한)위치에서 실을 교차하는 정압차가 너무 높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의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켜 실의 절단을 방지시키고 장치를 새롭게 고쳐야 하는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는 천공되어 있고 서로 협동적으로 이동 가능한 표면들과, 그 천공된 표면의 이동방향에 수직인선을 따라 각기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정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인수단 및 각기 다른 압력 위치들의 상기 선에 평행한 실 형성선을 따라 협동하여 움직이는 표면들로부터 실을 방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고, 천공표면을 통하여 가해지는 정압이 실의 방출방향으로 감소되어 하류부분에서 보다 성형사의 첨단부에서 약한 흡인력이 가해지도록 된 마찰 방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장치는 본 출원인의 일본특허공보 제2,042,599A호에는 도시된 일반적인 타입의 것이다.
따라서, 섬유개면장치(opening unit)와 로울러로 섬유를 공급하는 섬유 공급도관과 같은 마찰 방적기의 주요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들 구성요소들은 각각 상기 영국특허공보 제2,042,599A호로부터 쉽게 이해될 것이며, 본 발명이 실에 가변적인 정압을 가하는 것에 관한 것이므로 본 출원인은 선행기술에 해당 구성요소들과 다른 요소들만을 도면에 나타내었다.
제1도는, 표면의 상단한 부분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작은 직경 구멍(2a)들이 있고, 천공되지 않은 로울러(3)와 나란하게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천공된 로울러(2)를 구비한 마찰 방적장치(1)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는 이러한 작은 직경의 구멍들은 도면을 복잡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크기가 확대되어져 도시되어 있다.
천공된 로울러(2)내에는 천공된 로울러(2)와 천공된 로울러와 인접하여 같이 작동하는 천공되지 않은 로울러(3)사이의 닙에 인접하게 그리고 평행하게 뻗는 홈을 한정하는 직선 홈(13)이 있는 제1 또는 중간 투관(sleeve)(12)이 설치되어 있다.
중공의 천공된 로울러(2)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또는 내측 투관(4)에는 로울러(2)와 (3)사이의 닙을 향하여 있는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3개의 홈부(5,6,7)가 있어 그 홈부(5,6,7)와 천공된 로울러(2) 표면의 구멍(2a)를 통하여 흡인력이 부여되어 섬유들을 2개의 로울러(2)와 (3)사이 닙쪽으로 끌어들이게 된다.
홈부(5)에서 가해진는 흡인력은 중공의 천공된 로울러(2)와 동축으로 연장되는 흡인도관(8)을 통해 흡인원(11)(도시안됨)로부터 전달되어진다.
이러한 흡인도관(8)은 3개의 홈부(5,6,7)모두와 연통되어 있다.
흡인도관(8)을 통하여 발생된 흡인력은 3개의 홈부(5,6,7)각각에 공급되어지는데, 좌측 홈부(5)에는 어떤 흡인력의 감소되어짐없이 가해지는 반면, 중앙의 홈부(6)에는 그 홈(6)의 저부에 있는 4개의 동일간격으로 배치된(제1직경의) 구멍들(6a)을 통해 가해지고, 마찬가지로, 홈부(7)에는 구멍(6a)의 것보다 작은 제2직경의 4개의 동일 간격으로 배치된 구멍(7a)를 통해 가해지게 된다.
그리하여, 중앙의 홈부(6)에서 보다 낮은 정압이 좌측 홈부(5)에서 발생되고, 중앙의 홈부(6)에서는 실을 형성하는 섬유다발의 여린 첨단부가 위치되는 우측 홈부(7)에서 보다 낮은 정압이 발생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3개의 홈부(5,6,7)는 길이가 동일(예를들어 40mm)하고 구멍(6a)은 3mm의 직경을 가지며, 구멍(7a)은 2mm의 직경을 가진다.
그리하여, 홈부(7)에서는 10인치 액면계(water garge)(2.5Kpa)의 흡인력이 발생하고, 홈부(6)에서는 20인치 액면계(5Kpa)의 흡인력이 발생되며, 좌측 홈부(5)에서는 30인치 액면계(7.5Kpa)의 흡인력이 발생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홈부(6)의 바닥이 또한 완전히 개방되어 7.5Kpa의 높은 흡인력이 내측투관(4)의 3개의 홈부(5,6,7)중 2개의 홈부를 따라 부여될 수 있다.
구멍(6a) 및 (7a)들이 홈부(5)로부터의 통로와 비교하여 홈부(6)과 (7)로부터의 유체 흐름통로를, 서로 다른 정도로 조절한다.
내측투관(4)내의 정압을 섬유 다발의 여린 첨단부가 위치되는 좌측 단부에서 보다 우측단부에서 낮게(그곳에서의 흡인력은 더욱 강함)함에 의해 섬유 다발의 약한 첨단부는 천공된 로울러(2)의 표면과 접촉하여 유지되는데 충분한 최소 흡인작용을 받게되고, 반면에 천공된 로울러(2)의 표면을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핑관(10)을 통한 실의 방출 방향(9)으로 꼬임블로킹(blocking)실 이송로울러(도시안됨)사이에는 흡인효과가 더욱 크게 되어 성형사 사이에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천공된 로울러의 표면에 수직인 힘인 수직 반작용이 일어나게 되고 따라서 최대 마찰력과 최대의 꼬임 모우엔트가 실에 부여하게 된다.
꼬임 블로킹이란 실이 로울러사이에서 압착될 때 두 로울러 사이의 닙을 통하여 미끄럼없이 실을 전진시키기 위해 실에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필요한 압착력을 가하는 실이송 로울러(13)의 작용을 말한다.
본 발명의 매우 유익한 결과를 달성하게 되는 정확한 메카니즘은 완전히 이해되지는 않거나, 전체 섬유 다발과 실의 인접단부가 실이송로울러와 같은 하류측의 꼬임-블로킹 수단에 대하여 회전하는 연속적인 원통체로 작용함으로써, 그실에 실제 꼬임을 부여하게 되고 따라서 방적작업이 행해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흡인 효과는 실이 천공된 로울러(2)의 표면과 천공되지 않은 섬유다발 사이의 필요한 마찰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고, 따라서 천공된 로울러(2)의 표면과 천공되지 않은 로울러(3)의 사이의 닙안으로 실을 끌어 들여 그 실에 마찰적인 꼬임 모우멘트를 부여하는 2차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모든 섬유들이 부착되게 되는 섬유 다발의 단부(즉, 방출 수단에 가까운 단부)에서 최대의 흡인효과를 달성하고, 유 다발의 첨단부에는 완전한 흡인효과가 발휘되지 않게 함에 의해 그 흡인효과를 경제적으로 부여하는 잇점이 있다. 이것은 또한 섬유다발의 약한 첨단부를 파손시킬 수 있는 높은 흡인 및 마찰 효과가 그 약한 단부에 부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가적인 중요한 잇점을 가진다.
내측투관(4)의 제2실시예가 제3∼5도에서 번호 “14”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경우, 흡인 홈부가 3개의 별도의 홈부(15,16,17)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홈부(15,16,17)는 제1도 및 제2도의 홈부(5,6,7)와 사실상 일치하지만, 여기에는 그 홈부가 내측투관(14)의 원주상의 나선 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서는 홈부(15)와 (16)은 완전히 개방되어 있는 반면, 홈부(17)은 3개의 구멍(17a)들과 그들 3개의 구멍보다 작은 직경의 제4의 구멍(17b)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홈부(15,16)와 직접적으로 일치하는 천공된 로울러(2)의 표면에서의 정압이 사실상 균일하게 되고, 홈부(17)와 일치하는 곳에의 정압은 대기압에 가깝게 되고 불균일하여 가장 작은 직경의 우측 구멍(17b)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대기압에 가장 가까운 값의 정압이 발생된다.
내측 투관(14)에는 홈부(15,16,17)가 형성된 측부와 정반대의 측부에, 3개의 홈부(18,19,20)으로 이루어진 나선형의 별도의 홈부를 가지고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첫 번째 실시예에 내측투관(4)에 더하여 두 번째 실시예의 내측투관(14)의 잇점은, 정압이 흡인홈을 따라 변하는 제1홈부(15,16,17) 또는 정압 또는 흡인력이 홈을 따라 사실상 일정한 제2흡인 홈부(18,19,20)중 어느 하나의 홈을 제공하기 위해 그 내측투관이 180도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2개의 홈부들중 하나에서 정압이 사실상 일정하지만, 또 다르게는 그들 홈부 모두가 각 홈부에서 서로 다른 변동 패턴의 정압 변동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고, 마찰 방적 장치의 천공된 로울러를 형성하는 천공된 로울러(2)의 표면에 적용가능한 각기 다른 정압 패턴을 가지는 2개 이상의 나선 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형태로 홈이 형성된 투관을 사용함으로써, 전체장치를 분해할 필요없이 단순히 내측 투관을 회전시켜 각기 다른 흡인 홈이 천공된 로울러 조립체의 중간 투관(제1도에 도시안됨)의 홈과 일치되게 함에 의해 천공된 로울러(2)을 따라 정압 패턴을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제3,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홈의 나선 배치 및 제2도에 도시된 홈부(5,6,7)의 각기 다른쪽에 폭에 의해 야기되는 효과에 의해 내측 투관(4 또는 14)이 직선 홈(13)을 가지며(본 출원인의 유럽특허공보제 0,034,427호 및 제0,052,412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중간 투관의 모체를 따라 배치된 직사각형의 홈을 가진 중간홈(blanking)투관(12)과 상호작용할 때, 그 중간 홈 투관의 홈을 따라 흡인작용의 점진적인 부여가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이 절단되는 가능성이 없고, 천공된 로울러(2)를 따라 구멍(2a)의 밀도 또는 크기를 변동시킬 필요가 없이 보다 신뢰성 있는 마찰 방적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실에 대한 변경(요구할때)과 함께 구멍 크기 및 밀도와 같은 인자들을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표면이 천공되어 있는 2개의 상호작용하는 이동가능한 로울러(2)(3)의 표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울러(2) 표면을 통하여 가해질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인수단 및 실의 형성선을 상기 상호작용하는 로울러의 표면들로부터 실을 방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 마찰 방적장치에 있어서, 드럼내의 정압의 천공된 로울러 표면의 운동 방향에 수직인 선을 따라 형성된 홈부(5,6,7)(15,16,17)에서 각기 다르고, 실의 방출 방향으로 감소되어 상기 하류홈부(5),(15)보다 약한 흡인력이 천공된 로울러의 표면을 통하여 성형사의 첨단부 홈부(7)(17)에 가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방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다른 압력값들의 실 형성선의 양단부 사이에 각기 다른 일정정압의 여러 홈부(5,6,7)(15,16,17)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방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기 다른 일정 정압의 상기 홈부들이 상기 천공된 로울러의 표면 뒤쪽 내측투관의 축방향선을 따라 격리된 홈부(5,6,7)(15,16,17)에 의해 한정되어지고, 정압차가 상기 홈부들 각각으로부터 흡인원(11)쪽으로 각기 다르게 조절되어진 유체흐름 통로들에 기인하고, 상기 흡인 수단이 상기 내측투관(4)(14) 및 상기 흡인원(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방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홈부들중 적어도 하나(6 또는 7)(17)는, 흡인원(11)과 상기 홈부를 연통시키고, 그 홈부로부터 조절로된 흐름 통로를 구성하는 구멍(6a 또는 7a)(17a)이 천공되어진 바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방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된 홈부들이 상기 내측투관(14)를 따라 배치된 제1홈부(15-17)를 한정하고, 별개의 선을 따라 한정되어지고, 상기 제1홈부에 의해 발생되는 것과 다른 정압 패턴을 천공된 로울러표면의 외부에 발생시키도록 서로 다르게 설계된 제2홈부(18-20)을 포함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의 내측투관(14)의 회전이 상기 제1홈부 또는 제2홈부가 실의 형성선과 일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방적장치.
  6. 제3,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된 로울러의 표면이 천공된 외측 투관에 의해 한정되어지고, 상기 내측투관(4)(14)이 상기 홈부(5,6,7)(15,16,17)들을 가진 내측 투관이며 그 내측 투관의 반경 방향외측에, 그러나 천공된 로울러의 반경방향 내측에 있는 중간 홈 투관(12)를 포함하고, 그 중간 홈 투관에는 그 중간 홈투관(12)의 모체에 형성된 단일의 직선 홈(13)이 있으며 또는 상기 내측 투관의 각 홈부(5-7)(15-17)가 일반적으로 나선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방적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중 하나의 로울러(2) 표면이 천공되어 있고 그와 연결된 흡인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로울러(3)의 표면은 천공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방적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찰 방적표면들이 평행한 원통형로울러(2,3)들의 외측 표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방적장치.
  9. 실을 형성하는 섬유다발을 천공된 로울러 표면(2)과 접촉한 채 유지시키기 위하여 실을 형성하는 섬유다발을 가로질러서의 정압차가 하류위치의 홈부(5,15)에서 보다 성형사의 첨단부의 홈부(7)(17)에서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방적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성형사의 첨단의 홈부(7)(17)에서는 그 섬유다발을 가로질러서의 정압차가 사실상 일정하고, 하류위치의 홈부(5)(15)에서는 실의 일부분을 따라, 실을 가로질러서의 정압차가 사실상 일정하게 더욱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방적방법.
KR1019840003323A 1983-06-15 1984-06-13 마찰 방적장치 및 방법 KR920000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316341 1983-06-15
GB08316341A GB2141448A (en) 1983-06-15 1983-06-15 Open-end friction spinning
GB8402838 1984-02-02
GB848402838A GB8402838D0 (en) 1983-06-15 1984-02-02 Friction spin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794A KR850004794A (ko) 1985-07-27
KR920000018B1 true KR920000018B1 (ko) 1992-01-06

Family

ID=26286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323A KR920000018B1 (ko) 1983-06-15 1984-06-13 마찰 방적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37021A (ko)
EP (1) EP0132045B1 (ko)
KR (1) KR920000018B1 (ko)
DE (1) DE3464066D1 (ko)
ES (1) ES86069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5980A1 (de) * 1984-07-14 1986-01-23 W. Schlafhorst & Co, 4050 Mönchengladba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gedrehten fadens aus spinnfasern
US4590756A (en) * 1984-08-10 1986-05-27 Hans Stahlecker Open-end friction spinning
DE3530996A1 (de) * 1984-09-03 1986-03-13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Kariya, Aichi Friktions-spinneinheit
DE3521756A1 (de) * 1985-06-18 1987-01-08 Schubert & Salzer Maschin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offenend-friktionsspinnen
DE3527212A1 (de) * 1985-07-30 1987-02-12 Schubert & Salzer Maschin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offenend-friktionsspinnen
US4606185A (en) * 1985-08-26 1986-08-19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Friction spinning frame
DE3532060A1 (de) * 1985-09-09 1987-03-12 Fritz Stahlecker Vorrichtung zum oe-friktionsspinnen
AT391888B (de) * 1985-11-04 1990-12-10 Fehrer Textilmasch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garnes
GB2210388A (en) * 1988-09-29 1989-06-07 Hollingsworth Uk Ltd Friction spinning
GB8827367D0 (en) * 1988-11-23 1988-12-29 Lawrence C A Spinning of yarn
US6209867B1 (en) * 1999-08-18 2001-04-03 Hewlett-Packard Sliding valve vacuum holddow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39778B (de) * 1976-03-22 1977-11-10 Fehrer Ernst Gmbh Vorrichtung zum spinnen textiler fasern
FR2383253A1 (fr) * 1977-03-09 1978-10-06 Vyzk Ustav Bavlnarsky Procede et dispositif de filage de fil par friction suivant le principe open-end
ATA170978A (de) * 1977-03-30 1990-09-15 Schlafhorst & Co W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pinnen eines fadens aus einzelfasern
CS209209B1 (en) * 1978-05-17 1981-11-30 Stanislav Didek Method of yarn friction spinning based on spinning with open end and apparatus used for execution of the said method
ATE10957T1 (de) * 1980-02-16 1985-01-15 Hollingsworth (U.K.) Limited Offen-end-spinnvorrichtung und -verfahren.
DE3168150D1 (en) * 1980-10-08 1985-02-21 Hollingsworth Uk Ltd Friction open-end spinning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8606917A1 (es) 1986-05-01
EP0132045B1 (en) 1987-06-03
US4537021A (en) 1985-08-27
EP0132045A1 (en) 1985-01-23
KR850004794A (ko) 1985-07-27
ES533330A0 (es) 1986-05-01
DE3464066D1 (en) 1987-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018B1 (ko) 마찰 방적장치 및 방법
CS216816B2 (en) Facility for spinning with open end
IT9048476A1 (it) Dispositivo per riprodurre filati.
US4676062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formation of spinning fibers
CS215068B2 (en) Appliance for making the yearn
US6209304B1 (en) Spinning device
US4483136A (en) Pneumatic fiber control arrangement for open end friction spinning machines
KR100200403B1 (ko) 직조된 실에서 비틀림 모멘트의 감소를 위한 보조실가닥-직조장치에서의 장치
US44855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afting fiber strands
US4858420A (en) Pneumatic false-twist spinning process and apparatus
EP1518949B1 (en) Air vortex spinning machine with special fibre introductions passages
US4165600A (en) Apparatus for open-end spinning of fibers
GB2151265A (en) Drafting method and apparatus in spinning machine
US482354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alse-twist spinning
US4571932A (en) Friction spinning roller arrangement
US4392343A (en) Friction spinning apparatus
US4202162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pinning textile fibres
US4704853A (en) Spinning of yarn
KR910021501A (ko) 방적(紡績)방법 및 장치
CA2076414A1 (en) Nozzle device and yarn processing method
US4573312A (en) Friction spinning apparatus
KR910006401B1 (ko) 마찰 방적에 의한 복합사 제조장치
US5778653A (en) Suction roller for an open-end spinning machine
GB2141448A (en) Open-end friction spinning
JPS6018338B2 (ja) 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