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7733A - Rf 전력 증폭기 - Google Patents

Rf 전력 증폭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7733A
KR910017733A KR1019910003901A KR910003901A KR910017733A KR 910017733 A KR910017733 A KR 910017733A KR 1019910003901 A KR1019910003901 A KR 1019910003901A KR 910003901 A KR910003901 A KR 910003901A KR 910017733 A KR910017733 A KR 910017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ted
drive signal
signal
supply voltag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66363B1 (ko
Inventor
데이븐포트 스트리터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마그나복스 거번먼트 앤드 인더스트리얼 일렉트로닉스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마그나복스 거번먼트 앤드 인더스트리얼 일렉트로닉스 캄파니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ublication of KR91001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03F1/0227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using supply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Amplitude Modul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RF 전력 증폭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경로 진폭 변조로 동작하는 전력 증폭기의 출력 전력에 대한 효율을 도시한 도면,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경로 진폭 변조 RF증폭기를 갖는 송신기의 블럭선도.

Claims (18)

  1. DC공급 전압, RF구동 신호 및 가변 입력 신호로부터 진폭 변조된 RF신호를 방생시키기 위한 장치로, DC전력입력 및 RF구동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RF신호를 발생시키는 RF 전력 증폭 수단, 상기 가변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DC공급 전압을 진폭 변조하기 위한 수단, 상기 증폭 DC전력 입력에 상기 변조된 DC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 상기 가변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RF구동 신호를 진폭 변조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진폭 변조된 RF 구동 신호를 상기 진폭기 RF구동 입력에 인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RF구동 신호를 진폭 변조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RF구동 신호를 변조하기 위해 상기 DC공급 전압을 진폭 변조하는 상기 수단으로부터의 한 신호에 응답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DC 공급 전압을 변조하기 위한 수단은 펄스폭 변조기를 포함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기는 상기 DC 공급 전압을 선형으로 변조하는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기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삼각파 제 1 펄스 트레인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가변 입력 신호에 관련된 가변 듀티 사이클 및 상기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제 2 펄스 트레인을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 1 펄스 트레인과 상기 가변 입력 신호를 비교하는 수단과, DC공급 전압을 진폭 변조하기 위한 상기 2 펄스 트레인에 응답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기로부터의 출력을 DC공급 전압내의 변화에 대해 보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RF구동 신호를 진폭 변조하기 위한 수단은 주파수 믹서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믹서는 상기 RF구동 신호와 상기 진폭 변조된 DC전압을 조합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믹서는 상기 RF구동 신호를 선형으로 구동하는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믹서는 상기 RF전력 증폭기의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해 상기 변조된 RF구동 신호의 변조 레벨과 캐리어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진폭 변조된 DC전압을 DC공급 전압내의 어떤 변화에 대해 보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1. DC전력과 RF구동 입력을 RF전력 증폭기를 진폭 변조된 RF신호에 대해 동작시키기 위한 효율 개선 방법으로,가변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DC공급 전압을 진폭 변조하기 위한 단계, 상기 진폭 변조된 DC전압을 상기 증폭기 DC전력 입력에 인가하는 단계, RF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가변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RF구동 신호를 진폭 변조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된 RF구동 신호를 상기 증폭기 RF구동 입력에 인가하는 답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RF구동 신호는 상기 변조된 DC전압과 함께 진폭 변조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DC공급 전압과 상기 RF구동 신호는 최적 효율로 상기 전력 증폭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진폭 변조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DC공급 전압은 최대 전압과 제로가 아닌 최소전압 시이에서 비선형으로 변조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RF구동 신호는 비선형으로 변조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로부터 RF출력의 양의 엔벨로프 변조는 주로 상기 변조된 DC전압으로부터 얻고, 상기 증폭기의 RF출력의 음의 엔벨로프 변조는 주로 상기 변조된 RF구동 신호로부터 얻는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로부터 RF출력의 양의 엔벨로프 변조는 주로 상기 변조된 DC전압으로부터 얻고, 상기 증폭기의 RF출력의 음의 엔벨로프 변조는 주로 상기 변조된 RF구동 신호로부터 얻는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DC전압을 DC공급 전압내의 어떤 변화에 대해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03901A 1990-03-15 1991-03-12 Rf 전력 증폭기 KR0166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494,022 US5175877A (en) 1990-03-15 1990-03-15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mplitude modulated rf signal
US494022 1990-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733A true KR910017733A (ko) 1991-11-05
KR0166363B1 KR0166363B1 (ko) 1999-03-20

Family

ID=2396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901A KR0166363B1 (ko) 1990-03-15 1991-03-12 Rf 전력 증폭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75877A (ko)
EP (1) EP0447002B1 (ko)
JP (1) JPH04220805A (ko)
KR (1) KR0166363B1 (ko)
CA (1) CA2038085A1 (ko)
DE (1) DE69123861D1 (ko)
TW (1) TW2194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0687A (en) * 1996-09-30 1999-07-27 Usa Digital Radio Partners, L.P.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M-compatible digital broadcast waveform
US6256482B1 (en) * 1997-04-07 2001-07-03 Frederick H. Raab Power- conserving drive-modulation method for envelope-elimination-and-restoration (EER) transmitters
US6864668B1 (en) 1999-02-09 2005-03-08 Tropian, Inc. High-efficiency amplifier output level and burst control
US6377784B2 (en) 1999-02-09 2002-04-23 Tropian, Inc. High-efficiency modulation RF amplifier
US6366177B1 (en) 2000-02-02 2002-04-02 Tropian Inc. High-efficiency power modulators
US7212787B2 (en) * 2001-11-29 2007-05-01 Nasaco Electronics (Hong Kong) Ltd. Wireless audio transmission system
US7649958B2 (en) * 2004-06-25 2010-01-19 Sige Semiconductor (Europe) Limited Transmit signal generator and method
DE102004040278B4 (de) * 2004-08-19 2012-07-12 Infineon Technologies Ag Polarmodulator für den Mobilfunk und Verfahren zur Polarmodulation eines Signals
US8159296B2 (en) * 2009-12-30 2012-04-1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wer supply modulator linearizer
KR101213778B1 (ko) * 2011-01-11 2012-12-18 (주)펄서스 테크놀러지 노이즈 보상을 위한 전압 가변형 디지털 오디오 증폭 장치 및 그 방법
EP2808996B1 (en) * 2013-05-27 2017-04-19 HS Aerospace Dijon Voltage-controlled DC link for variable frequency generator exci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3570A (en) * 1966-02-23 1968-11-26 Collins Radio Co High efficiency rf power amplification with modulation signal controlled "on"-"off" switch varied amplifier dc potentials
US4044308A (en) * 1976-09-20 1977-08-23 Gte Sylvania Incorporated Communication transmitting apparatus with carrier level control
JPS5516527A (en) * 1978-07-19 1980-02-05 Nec Corp Ultra-high frequency amplifier
US4320391A (en) * 1979-12-12 1982-03-16 The Singer Company Instrumentation devices using synchro-resolver drive circuitry
JPS6139708A (ja) * 1984-07-31 1986-02-25 Akai Electric Co Ltd パルス幅変調アンプにおける電源電圧変動補正方法
JPS61105101A (ja) * 1984-10-29 1986-05-23 Kokusai Electric Co Ltd 高効率ssb送信機
JPS61161005A (ja) * 1985-01-09 1986-07-21 Nec Corp 振幅変調送信機
US4896372A (en) * 1986-02-25 1990-01-23 Varian Associates, Inc. Pulse width modulator for AM-RF transmitter
DE3627852A1 (de) * 1986-08-16 1988-02-18 Licentia Gmbh Leistungssender, insbesondere rundfunk-leistungssender
CH671120A5 (ko) * 1986-11-20 1989-07-31 Bbc Brown Boveri & C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47002A2 (en) 1991-09-18
EP0447002A3 (en) 1992-06-03
KR0166363B1 (ko) 1999-03-20
EP0447002B1 (en) 1997-01-02
TW219415B (ko) 1994-01-21
JPH04220805A (ja) 1992-08-11
CA2038085A1 (en) 1991-09-16
DE69123861D1 (de) 1997-02-13
US5175877A (en) 199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4824A (ko) 특수뇌파 방식의 유도장치
DE60206795D1 (de) Adaptive vorverzerrung eines phasen- oder frequenz-modulierten und amplituden-modulierten funkfrequenzsignalgenerators
KR910017733A (ko) Rf 전력 증폭기
CA2156430A1 (en) Generation of Optical Signals with RF Components
DE60144492D1 (de) Amplituden- und phasenmodulator
KR910005547A (ko) 온도보상을 가지는 펄스폭 변조형 인버터 장치
KR860002259A (ko) 고주파펄스폭 변조형 궤환전력 제어부를 갖는 외과용 전기신호 발생기
ES2075188T3 (es) Generador de tension de control para una disposicion de transmisor para señales moduladas digitalmente.
DE60109317D1 (de) Lineare modulation mit einem linearen und einem nichtlinearen verstärker
GB1504946A (en) High frequency modulator circuit
WO1995015500A1 (en) Modulating reflector circuit
GB1527762A (en) Power and modulation control in an amplitude modulator system
SE9900646D0 (sv) Ferroelektrisk modulator
EP0058724B1 (en) Power amplifier
US4122415A (en) AM transmitter with an offset voltage to the RF stage to compensate for switching time of the modulators
US60492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driver signal for use by a non-linear class S amplifier for producing linear amplification
KR840005942A (ko) 전류 감지 회로
GB1296733A (ko)
ES8204252A1 (es) Una disposicion de etapa de salida en contrafase
GB1312357A (en) Power amplifier
GB125382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mplitude modulators
KR920020939A (ko) 무선 주파수 변조기
JPS5644205A (en) Amplitude modulation system
KR200234611Y1 (ko) 피드백 케리어신호를 이용한 디지탈 음향증폭효율 개선회로
SU455448A1 (ru) Амплитудно-модулированный генератор синусоидального напр ж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