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634B1 - 섀도우마스크구조체 - Google Patents

섀도우마스크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634B1
KR910009634B1 KR1019880009074A KR880009074A KR910009634B1 KR 910009634 B1 KR910009634 B1 KR 910009634B1 KR 1019880009074 A KR1019880009074 A KR 1019880009074A KR 880009074 A KR880009074 A KR 880009074A KR 910009634 B1 KR910009634 B1 KR 910009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spring
shadow mask
hol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376A (ko
Inventor
고오지 구끼
쯔도무 구니야스
사또시 무또
겐지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미따 가쯔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미따 가쯔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Publication of KR890004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05Mounting arrangement of assembly to vessel
    • H01J2229/0711Spring and plate (clip)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16Mounting arrangements of aperture plate to frame or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2Fram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섀도우마스크구조체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섀도우마스크구조체의 스프링부와 그 주변부를 예시하는 개략사시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섀도우마스크구조체의 패널로의 장착도중의 상태를 패널을 단면으로 예시하는 개략도.
제3도 및 제4도는 제1도의 섀도우마스크와 패널과의 조립후의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제3도는 이 조립체의 배면도.
제4도는 섀도우마스크구조체의 스프링 구멍에서의 계합의 확대예시도.
제5도 내지 제9도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섀도우마스크구조체의 스프링부착 마스크지지프레임의 일례의 설명도로서,
제5도는 전자총쪽에서 본 마스크지지프레임의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마스크지지프레임의 배면도.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마스크지지프레임의 평면도.
제8도는 제5도에 도시된 마스크지지프레임의 밑면도.
제9도는 제5도에 도시된 마스크지지프레임의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섀도우마스크구조체 20 : 섀도우마스크
25 : 스커어트부 30 : 지지프레임
31,33 : 긴변 32 : 짧은변
35 : 개구부 36,37 : 변
38 : 축방향단부 40 : 스프링
45 : 스프링구멍 50 : 패널
60 : 패널핀 70 : 전자비임
80∼83 : 구멍 85 : 내부시일드
본 발명은 컬러텔레비젼 및 컬러표시장치 등의 컬러음극선관에 사용되는 섀도우마스크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섀도우마스크구조체는, 마스크의 지지프레임에 고착된 섀도우마스크와, 일단부가 이 지지프레임의 외측면부에 각각 공정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섀도우마스크구조체에는, 상기 마스크와는 반대쪽 또는 떨어진 부분, 즉 조립된 관내의 전자총에 대면하는 쪽에 위치하는 축방향단부가 일평면내에 위치하는 형상의 마스크지지프레임을 가지는 형태의 것과,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588,56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섀도우마스크로부터 떨어진 축방향단부가 오목면상으로 만곡하여 있는 마스크지지프레임을 가지는 형태의 것이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이 지지프레임의 상기 축방향단부에 장착되는 내부시일드의 장착단면을 평면형상으로 하여야만 하므로 이 내부시일드의 제조 및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문제는 피할 수 있을지라도, 이 내부시일드의 장착단면의 형상을 지지프레임의 축방향단면 등의 형상과 일치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비용 및 시간소비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의 형태로 된 섀도우마스크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성으로 된 섀도우마스크구조체는, 상기 각 스프링의 지지프레임에 고착되지 않은 타단부에 형성된 각 스프링구멍을 상기 스프링에 대응하여 패널의 주변부의 내면 내지 안쪽 벽부에 설치된 대응하는 패널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패널의 안쪽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설된다.
섀도우마스크구조체를 패널에 장착하는 때는, 대응하는 패널핀에 스프링구멍의 위치맞춤을 행한다. 그런데 상기 전자의 형태의 섀도우마스크구조체에서는, 작업기준위치를 나타내는 스프링구멍은 지지프레임의 바닥면 즉 상기 축방향 단부가 위치하는 평면보다 섀도우마스크쪽에 가까운 위치(축방향으로 보아 이 단부보다도 섀도우마스크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패널핀에 스프링구멍의 위치맞춤을 행할 때, 패널핀과 스프링구멍은 지지프레임에 의해 가려져서, 위치맞춤이 행하여진 것인지의 확인이 곤란하여, 장착작업성이 나빠질 뿐 아니라, 패널에 섀도우마스크가 부딪칠 위험이 있다. 패널에 섀도우마스크가 부딪히면, 섀도우마스크를 변형시켜버릴 우려가 높다. 그런데, 컬러음극선관의 형광면을 만드는 경우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의 형성 및 컬러도트패턴(color dot pattern)의 형성을 위해 적어도 수회 각 섀도우마스크구조체를 그 섀도우마스크구조체 전용의 패널에 탈착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위치맞춤을 행할때의 오작업의 영향은 중대하다.
또, 본 발명과는 목적은 다르지만, 원래는 전자의 형태와 섀도우마스크구조체의 지지프레임의 상기 축방향단면의 일부를 각 스프링에 대한 스프링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하게 되도록 한 것도 미합중국 특허 제3,931,540호에 제안되어 있지만, 이 섀도우마스크구조체에서는, 상기 후자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비추어서 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내부시일드의 제조 및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핀과 스프링구멍의 위치맞춤이 용이하여, 조립작업성이 향상된 섀도우마스크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상기 복수의 스프링중, 하나의 스프링이 고정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크기보다 훨씬 작고 상기 하나의 스프링의 스프링구멍의 크기보다 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이 상기 패널로의 상기 지지프레임의 축방향단부에 근접하여 치우친 위치에 그리고 전자비임이 차폐되는 영역내에 형성되어 있는 섀도우마스크구조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섀도우마스크구조체에서는, 이 섀도우마스크구조체를 패널에 장착할 때, 지지프레임의 측면부에 형성한 개구부 즉 구멍을 통해서 패널핀에 대한 스프링구멍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기타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확실히 이해될 것이다.
제1도(및 후술하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섀도우마스크구조체(10)는, 4주변단부를 따라 스커어트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평면도에서 대략 장방형인 섀도우마스크(20)와, 각각 L자형상체를 가지는 4측부로 구성되며 대략 장방형이고, 상기 L자형상체의 축방향(제4도의 화살표(E)로 표시한 방향)으로 연장된 폭을 가진 변(36)에 상기 섀도우마스크(20)의 4주변단부의 각각, 즉 스커어트부(25)가 고착되는 마스크지지프레임(30)과, 지지프레임(30)의 하나의 긴변(31)과 2개의 짧은변(32)에 용접등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는 각 단부(41) 및 단부(42)를 각각 가지는 3개의 스프링(40)(제3도 참조)을 가진다. 지지프레임(30)은 섀도우마스크(20)와 축방향으로 떨어진 또는 반대쪽의 위치에 축방향 단부 또는 단면(38)을 가지며, 이 단부(38)는 일평면내에 위치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스프링(40)은, 둘이상의 서브 스프링(sub-spring)을 조합하거나 단일 부재로 해도 된다. 지지프레임(30)에는, 스프링(30)의 자유단으로 되어 있는 타단부(42)에 형성된 스프링구멍(45)에 대응하는 긴변부(31)중 이 스프링구멍(45)에 대략 대면하는 위치에 스프링구멍(45)보다 큰 구멍을 가지는 개구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35)의 위치는, 이하에 제2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실제로는 축방향 단부(38)가 위치하는 평면에 대해 어느 정도의 각도(H)로 기울어진 방향(J)에서 본 경우에, 개구부(35)와 대응하는 스프링구멍(45)과 대략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든지, 그렇지 않으면, 지지프레임(30)이 소망의 강도를 가지는 범위내에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35)를 스프링의 크기보다는 훨씬 작고 스프링구멍(45)보다는 충분히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섀도우마스크구조체(10)의 패널(50)에의 장착은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하여 행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적당한 지지수단에 의해서, 패널(50)을, 수직방향(F)에 대해 각도(G), 예를 들면 약 30도 정도 경사진 상태로 지지 내지 고정하여 둔다. 이 경사각도(G)는 30도보다도 크게하거나 적게하여도 되며, 수직선에 상당하는 0°로 해도된다.
그후, 제3도에 도시한 좌우의 위치(A),(B)에서 스프링(40)을 지압(指壓)에 의해 안쪽으로 구부린 상태로, 섀도우마스크구조체(10)를 유지한다. 그리고, 아래쪽의 위치(작업기준위치)(C)의 스프링(40)의 스프링구멍(45)을 패널(50)의 패널핀(60)에 중심을 맞춘다. 이 경우, 지지프레임(30)에 형성된 개구부(35)를 통하여 스프링구멍(45) 및 패널핀(60)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중심을 맞추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섀도우마스크(20)를 패널(50)에 부딪치지 않고 중심을 맞출 수 있어, 섀도우마스크(20)를 변형시킬 위험이 없다. 이 중심 맞추는 작업을 종료한 후, 섀도우마스크구조체(10)를 패널(50)의 소정위치에 삽입하고, 섀도우마스크구조체(10)를 화살표(M)방향(제2도)으로 회전시키고, 좌우위치(A),(B)의 스프링(40)의 스프링구멍(45)을 패널핀(60)에 중심을 맞추고, 좌우위치(A),(B)의 스프링(40)에 부여한 지압을 해제하여 좌우의 스프링(40)의 스프링구멍(45)에 대응하는 패널핀(60)을 걸어맞추어, 섀도우마스크구조체(10)의 장착을 완료한다.
그런데, 개구부(35)를 크게하면, 노광시의 빛의 누설 및 CRT(음극선관)의 작동시의 전자비임 할레이션(electron-beam halation)이 문제로 되지만, 이것은 개구부(35)의 크기, 위치를 규정하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즉,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L자형상인 지지프레임(30)의 2개의 변(36),(37)중의 한쪽의 변(37)에 의해 전자비임(70)이 차폐되는 범위내에 개구부(35)를 설치하면 된다.
또, 지지프레임(30)의 L자형상의 비교적 넓은 변(37)으로 전자비임(70)을 차폐하는 대신에, 이 변(37)을 비교적 짧게 또는 실질적으로 제거해도 되며 이 변(37)의 대응 위치에 제4도중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별개의 전자비임 차폐부재(37a)를 부착해도 되며, 지지프레임(30) 및/또는 내부시일드(도시하지 않음)로 이 차폐부재(37a)를 고정해도 된다.
또, 개구부(35)는 작업기준위치(C)(제3도 참조)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형성해도 되나, 좌우위치(A),(B)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가적으로 개구부(35)를 형성해도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위쪽(D)에는 스프링(40)을 설치하지 않았으나, 바닥쪽의 작업기준위치에 대칭인 위쪽(D)에도 개구부(35a)(후술하는 제7도 참조)를 형성해도 된다. 위쪽(D)에도 개구부(35a)를 형성하면, 지지프레임(30)의 두 긴변(31),(33)의 어느 하나에 스프링(40)의 부착이 한정되지 않으므로, 섀도우마스크구조체(10)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물론, 위쪽(D), 즉 지지프레임(30)의 위쪽의 긴변(33)의 외주부에도 스프링(40)을 설치하여, 이 스프링(40)의 스프링구멍(45)에 대응하는(부가적인) 패널핀을 걸어맞춤해도 된다. 지지프레임이 장방형인 경우, 작업기준위치는, 작업을 행하기 쉽게하기 위하여 바닥쪽(C)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측방(좌 혹은 우) 또는 상측으로 설정해도 된다. 또, 이상에서는, 지지프레임이 장방형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지지프레임은 장방형이외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섀도우마스크구조체(10)의 지지프레임(30) 및 스프링(40)은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제5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제5도 내지 제9도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4도의 부재 내지 요소와 마찬가지인 것에는 같은 부호로 표시한다.
또, 제5도 및 제6도에 있어서, 구멍(80),(81),(82),(83)은 지지프레임(30)의 대략 L자형의 각각의 변(37)에 형성되고, 이 구멍(80),(81),(82),(83)을 개재해서, 제7도에서 제9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내부시일드(85)가 지지프레임(30)의 평탄한 축방향 단부(38)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8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의 아래쪽 긴변(31)의 개구부(35) 또는 스프링(40)의 스프링구멍(45)에 대해 축방향 단부(38)측에 치우쳐 있다. 또, 이 예의 경우, 이 치우침의 정도는, 비교적 크고, 섀도우마스크구조체(10)의 패널(50)로의 장착시, 내부시일드 장착구멍(82)을 개재해서 개구부(35)를 볼 수 있고, 그때 이 개구부(35)를 개재해서 스프링구멍(45)을 볼 수 있도록 한 위치관계로 개구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7도 내지 제9도중, (90)은, 섀도우마스크(20)를 개재해서 형광면의 컬러도트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등에 이용되는 물 등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멍이다. 또, 지지프레임(30)에 형성된 개구부(35) 및 구멍(35a)은, 마찬가지로, 배수구멍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더우기, 개구부(35)는 스프링(40)을 지지프레임(30)에 용접하는 때의 위치구멍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프레임의 한 측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스프링구멍과 패널핀의 위치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섀도우마스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지지프레임(30)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35) 및 구멍(35a)은, 섀도우마스크구조체(10)를 자동적으로 패널(50)에 장착하기 위해, 테이퍼형상으로 된 핀형상부재로 섀도우마스크구조체의 위치결정을 하고자 하는 경우, 이 핀형상부재를 스프링구멍(45)에서 개구부(35),(35a)를 개재해서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개구부(35),(35a)등이 형성되어 있으면, 핀형상을 연장해서 사용할 수 있어, 위치결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개구부(35) 및 구멍(35a)은, 또, 예를 들면, 광원과 광검출기를 이용하여, 개구부(35) 또는 개구부(35) 및 구멍(35a)과 스프링구멍(45)를 통과한 광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5)

  1. 섀도우마스크와, 이 섀도우마스크의 주변부가 고정지지되고, 이 섀도우마스크와 축방향으로 떨어진 축방향단부가 일평면내에 위치하는 형상의 마스크지지프레임와,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복수개의 측부중 한 측부의 대응하는 대응하는 바깥면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패널의 주변부의 내면에 설치된 대응하는 패널핀과 걸어맞춤되는 스프링구멍이 형성된 복수개의 스프링을 구비한 섀도우마스크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중 하나의 스프링이 고정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크기보다 훨씬 작고 상기 하나의 스프링의 스프링구멍의 크기보다 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은, 상기 패널로의 상기 지지프레임의 장착시 작업기준위치로 사용되며 상기 스프링구멍에 대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축방향 단부에 근접하여 치우친 위치에 그리고 전자비임이 차폐되는 영역내에 형성되며, 상기 구멍은, 상기 일평면에 대해서 소정각도 경사진 선을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측부의 이 구멍을 통해 볼때, 상기 하나의 스프링의 상기 스프링구멍과 위치맞춤되므로서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구멍에 상기 패널핀이 걸어맞춤되어 상기 패널에의 상기 지지프레임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마스크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면이 L자형상체이며, 이 L자형상체는 상기 일평면내에 연장된 측부를 포함하면서 전자비임 차폐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마스크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주변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기 축방향 단부 및 상기 패널의 상기 주변부가 대략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마스크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대략 장방형의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 측부는,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일평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선을 따라 보았을때, 상기 스프링구멍과 위치맞춤되는 상기 스프링구멍에 대해서 치우친 위치에 하나의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마스크구조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장방형의 지지프레임은, 작업기준위치로 되는 상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이 고착된 상기 측부와 대향하는 한 측부에 하나의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마스크구조체.
KR1019880009074A 1987-08-21 1988-07-20 섀도우마스크구조체 KR910009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06279A JP2528891B2 (ja) 1987-08-21 1987-08-21 シヤドウマスク構体
JP62-206279 1987-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376A KR890004376A (ko) 1989-04-21
KR910009634B1 true KR910009634B1 (ko) 1991-11-23

Family

ID=1652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074A KR910009634B1 (ko) 1987-08-21 1988-07-20 섀도우마스크구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528891B2 (ko)
KR (1) KR910009634B1 (ko)
CN (1) CN1012309B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958U (ko) * 1976-06-25 1978-01-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09B (zh) 1991-04-03
JP2528891B2 (ja) 1996-08-28
CN1031623A (zh) 1989-03-08
JPS6450345A (en) 1989-02-27
KR890004376A (ko) 198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634B1 (ko) 섀도우마스크구조체
KR94001193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프레임과 인너시일드의 조립구조
KR880001012B1 (ko) 컬러텔레비젼 브라운관용 서포오트 프레임(Support Frame)
US6046536A (en) Inner shield for CRT
KR0161091B1 (ko) 칼라음극선관 및 마스크, 프레임 용접장치
KR100824326B1 (ko) 내부 자기 차폐 기능을 가지는 컬러 음극선관
KR930007364B1 (ko) 컬러음극선관
KR200142032Y1 (ko) 음극선관의 프레임과 홀더의 결합구조
KR950001221Y1 (ko) 인너실드 프레임 조립체
KR930009360B1 (ko) 칼라 음극선관
KR0133814Y1 (ko) 인너시일드 조립구조
KR0153735B1 (ko) 브라운관
KR200198838Y1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프레임과 인너 시일드의 조립체
KR970007170Y1 (ko) 음극선관의 코너스프링
KR950003535Y1 (ko) 칼라브라운관용 판넬-훤넬 콘넥터
KR0132753Y1 (ko) 수상관용 프레임 구조
KR100239244B1 (ko) 칼라 음극선관
KR950000406Y1 (ko) 칼라 음극선관의 고압도통장치
KR0124008Y1 (ko) 마스크 프레임 홀더
KR200269154Y1 (ko) 음극선관용마스크프레임
KR100778495B1 (ko) 인너 실드 및 이 인너 실드를 구비하는 음극선관
KR0140111Y1 (ko) 인너실드와 프레임 결합용 클립
KR100457618B1 (ko) 음극선관의인너쉴드
KR920001573Y1 (ko)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KR0133687Y1 (ko) 디가우싱 코일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