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134Y1 -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134Y1
KR910009134Y1 KR2019900001147U KR900001147U KR910009134Y1 KR 910009134 Y1 KR910009134 Y1 KR 910009134Y1 KR 2019900001147 U KR2019900001147 U KR 2019900001147U KR 900001147 U KR900001147 U KR 900001147U KR 910009134 Y1 KR910009134 Y1 KR 910009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ly
rod
oil
coil spring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1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701U (ko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 filed Critical 김철
Priority to KR2019900001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134Y1/ko
Publication of KR9100157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7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1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 F23K5/14Details thereof
    • F23K5/16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fuel supplies
    • F23K2900/05141Control or safety devices in liquid fuel supply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일부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발취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일러동체 5 : 급유펌프
6 : 급유구 7 : 급유유도통
8 : 니들밸브 8a : 경이큰 원통부
9 : 급유조절기 10 : 재치원판
11 : L형 급유관 12 : 개폐변
13 : 호형탄편 14, 17, 26 : 코일스프링
15 : 사각작동봉 15a : 상부작동봉
16 : 연결봉 18 : 피스톤
18a : 피스톤봉 19 : 열팽창 왁스
20, 23 : 실린더 21 : 온수가열조
22 : 연결구 24 : 지지턱
25 : 괘지핀 27 : 괘지홈
본 고안은 보일러등에 사용되는 석유연소기의 과열로 인하여 보일러의 온수가열조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석유연소기의 급유를 순각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 석유연소기의 급유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급유조절기에 설치한 급유조절밸브는 사용자가 직접 밸브를 잠거야 급유를 차단시킬수 있었기 때문에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하는 것을 잊을 경우에 화재의 위험이나 보일러의 폭발위험이 뒤따르게 되어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1989년 제19644호는 보일러의 온수가열조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될 경우에 온수가열조에 설치된 실린더내에 충전된 열팽창 왁스가 순간적으로 팽창하면서 실린더내에 설치한 피스톤을 하강시켜 상하작동봉을 하강시키면 코일스프링과 호형탄편이 하강되어 호형탄편의 중앙 저면에 설치한 개폐변이 급유관의 단부를 막아 급유를 차단하여 소화되게 하였으나 이는 온수조의 물이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 열팽창 왁스가 응축되므로 호형탄편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하작동봉이 상승하여 급유관을 막고 있는 개폐변이 열리어 급유되므로 완전 소화가 되지않은 경우에는 재연소가 시작되므로 연소기나 보일러의 불완전상태에서 가열하게 되는 문제가 있어 이와같은 문제점을 적게 하기 위하여 연소기나 보일러가 일정온도 이상이 될 경우에 급유를 차단하게 되면 개폐변이 인위적이 아니면 다시 열리지 않게 세정장치를 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동체(1) 내부에 심지(2)를 삽입시킨 심지재치반(2a)을 설치하여 그 하부에 T형 급유관(3)을 연관시키고 심지재치반(2a)의 상부에 내외연소통(4), (4a)을 설치하고 보일러동체(1)의 일측 하부에 급유 펌프(5)를 설치하고 급유구(6)의 상부에는 급유유도통(7)을 단일체로 형성하여 니들밸브(8)의 중앙부에 단일체로 형성한 경이큰 원통부(8a)와 나합시킨 급유조절기(9)를 수평으로 설치하고 급유유도통(7)의 일측에는 상단부에 재치원판(10)을 부착시킨 L형 급유관(11)을 연결시켜 개폐변(12)을 중앙에 설치한 호형탄편(13)을 재치원판(10)에 재치하고 호형탄편(13)의 상부에는 코일스프링(14)을 설치하여 사각작동봉(15)으로 압지케하고 사각작동봉(15)의 상단에는 상단부를 절곡시킨 연결봉(16)을 연결시키고 코일스프링(17)과 피스톤(18)를 차례로 설치하고 내부에 열팽창 왁스(19)를 충전시켜 밀폐시킨 실린더(20)를 온수가열조(21)하단에 나합고정시키고 상부작동봉(15a)을 피스톤봉(18a)에 접지시켜 연결봉(16)의 절곡부와 연결구(22)로 상호연결시킨 것에 있어서, 사각작동봉(15)에 근접되게 급유조절기(9)의 상면에 실린더(23)를 설치하여 횡으로 관통되게 중앙에 지지턱(24)을 갖은 괘지핀(25)을 설치삽입시켜 코일스프링(26)으로 일측에 밀어주어 탄지시켜 사각작동봉(15)에 형성한 괘지홈(37)에 괘지핀(25)의 단부가 괘지되게 하여서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동체(1)의 일측에 설치한 급유조절기(9)내에 설치된 니들밸브(8)를 잠근채로 급유펌프(5)를 자가동시켜 T형 급유관을 통하여 심지재치반(2a)에 삽입시킨 심지(2)에 급유시켜 점화시킨 다음 급유조절기(9)에 설치된 니들밸브(8)을 열어주면 L형 급유관(11)을 통하여 급유유도통(7)에 공급된 석유가 급유구(6)를 통하여 급유펌프(5)에 공급되어 충만되어, 이와같이 충만된 석유는 T형 급유관(3)을 통하여 심지(2)에 급유조절기(9)의 유면과 같은 유면이 유지되게 공급되어 연소하게 되는데 이때 연소량이 과다하여 보일러동체(1)가 과열되어 온수가열조(21)내의 물의 온도가 일정온도 즉 80℃-90℃이상으로 상승될 경우에는 온수가열조(21)하단에 나합고정시킨 실린더(20)에 충전시킨 열팽창 왁스(19)가 순간적으로 팽창하여 피스톤(18)을 하강시켜 피스톤봉(18a)과 접지시킨 상부작동봉(15a)을 연결구(22)로 연결시킨 연결봉(16)을 하강시켜 사각작동봉(15)을 하강하면 코일스프링(14)이 일정압력까지 압축되고 그 이상 압출될 경우에는 호형탄편(13)이 제3도에서와 같이 순간적으로 하강되어 호형탄편(13)의 저면 중앙에 설치한 개폐변(12)이 L형 급유관(11)의 단부를 막아 급유를 차단케 된다.
이때 사각작동봉(15)에 근접되게 급유조절기(9)의 상면에 실린더(23)를 설치하여 횡으로 관통되게 설치한 괘지핀(25)이 코일스프링(26)의 탄발력에 의하여 사각작동봉(15)에 형성한 괘지홈(27)에 괘지되는바 개폐변(12)이 L형 급유관(11)의 단부를 막아 급유를 차단하면 급유유도통(7)내에 들어있는 석유는 밀폐상태가 되어 급유구(6)로 공급되지 않아 심지에 공급된 석유만 연소되면 자동으로 소화되므로 화재나 폭발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동시에 필요이상의 연료를 소모시키지 않게 되며 급유차단으로 인하여 연소가 중단되면 온수가열조(21)내의 물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열팽창 왁스(19)가 용축되므로 코일스프링(14)과 호형탄편(13)의 탄발력에 의하여 사각작동봉(15)을 상승시키면서 L형 급유관(11)의 단부를 막고 있는 개폐변(13)이 열리려하나 사각작동봉(15)의 괘지홈(27)에 괘지핀이 괘지되어 있어 L형 급유관(11)은 막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급유되지 않으므로 완전소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급유되는 것을 방지하여 완전소화 할 수 있고 보일러나 연소기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수리한뒤 괘지핀(25)을 손으로 당기어 괘지홈(27)에서 해지시키면 코일스프링(14)의 탄발력과 호형탄편(13)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승되면서 개폐변(13)이 열리어 급유되어 전술한 바와같은 과정을 거쳐 연소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보일러동체(1)의 일측 하부에 급유펌프(5)를 설치하고 급유구(6)의 상부에는 급유유도통(7)을 단일체로 형성하여 니들밸브(8)의 중앙부에 단일체로 형성한 경이큰 원통부(8a)와 나합시킨 급유조절기(9)를 수평으로 설치하고 급유유도통(7)의 일측에는 상단부에 재치원판(10)을 부착시킨 L형 급유관(11)을 연결시켜 개폐변(12)을 중앙에 설치한 호형탄편(13)을 재치원판(10)에 재치하고 호형탄편(13)의 상부에는 코일스프링(14)을 설치하여 사각작동봉(15)으로 압지케하고 사각작동봉(15)의 상단에는 상단부를 절곡시킨 연결봉(16)을 연결시키고 코일스프링(17)과 피스톤(18)를 차례로 설치하고 내부에 열팽창 왁스(19)를 충전시켜 밀폐시킨 실린더(20)를 온수가열조(21)하단에 나합고정시키고 상부작동봉(15a)을 피스톤봉(18a)에 접지시켜 연결봉(16)의 절곡부와 연결구(23)로 상호 연결시킨 것에 있어서 사각작동봉(15)에 근접되게 급유조절기(9)의 상면에 실린더(23)를 설치하여 횡으로 관통되게 중앙에 지지턱(24)를 갖은 괘지핀(25)을 설치삽입시켜 코일스프링(26)으로 일측에 밀어주어 탄지시켜 사각작동봉(15)에 형성한 괘지홈(27)에 괘지핀(35)의 단부과 괘지되게 하여서 된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KR2019900001147U 1990-02-01 1990-02-01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KR910009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147U KR910009134Y1 (ko) 1990-02-01 1990-02-01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147U KR910009134Y1 (ko) 1990-02-01 1990-02-01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701U KR910015701U (ko) 1991-09-25
KR910009134Y1 true KR910009134Y1 (ko) 1991-11-25

Family

ID=1929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1147U KR910009134Y1 (ko) 1990-02-01 1990-02-01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1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701U (ko) 199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73576A (en) A pressure regulator for a fuel gas
KR910009134Y1 (ko)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RU2006129168A (ru) Регулирующий/отсечной газовый клапан и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циркуляции теплой вод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газового клапана
KR910009135Y1 (ko)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KR910009138Y1 (ko)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KR930004419Y1 (ko)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KR920000281Y1 (ko)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KR920002422Y1 (ko)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KR910009136Y1 (ko)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KR910009137Y1 (ko)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US2226313A (en) Floor furnace
US2488330A (en) Safety shutoff device for carbonaceous fuel burners
MXPA03009286A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quemador de gas, especialmente en un aparato de coccion.
KR200373491Y1 (ko) 휴대용 안전 가스렌지
KR920000279Y1 (ko) 석유연소기의 과열시 급유차단장치
US1839229A (en) Thermostatic valve
US1885530A (en) Combustion apparatus
KR910001008Y1 (ko) 심지고정용 석유연소기의 불씨보존장치
JPS5818053Y2 (ja) 燃焼器具における安全装置
KR900003242Y1 (ko) 보일러용 석유 연소기의 자동급유 차단장치
KR920006517Y1 (ko) 개스버너의 안전밸브장치
US1962776A (en) Valve
CN220061749U (zh) 燃气分流调节装置
US1995029A (en) Safety burner
US1506402A (en) Automatic fuel control for water hea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