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029Y1 - 카메라용 자동촛점 및 노출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자동촛점 및 노출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029Y1
KR910009029Y1 KR2019890009453U KR890009453U KR910009029Y1 KR 910009029 Y1 KR910009029 Y1 KR 910009029Y1 KR 2019890009453 U KR2019890009453 U KR 2019890009453U KR 890009453 U KR890009453 U KR 890009453U KR 910009029 Y1 KR910009029 Y1 KR 910009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slide plate
contact
leve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94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218U (ko
Inventor
김성곤
최종성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송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송세창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94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029Y1/ko
Publication of KR910001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0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메라용 자동촛점 및 노출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자동촛점기구에 관련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자동노출제어기구에 관련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제2도 자동노출재어기구에서 제2 슬라이드판에 의한 전기적 접속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는 진자제어회로의 게통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즈 3 : 제1슬라이드판
6a, 6b, 6n : 계합홈 8 : 작동래치
11 : 솔레노이드 22 : 개폐레버
24 : 제2슬라이드판 28 : 정지홈
29 : 스톱퍼 29a : 일단부
본 고안은 카메라의 자동촛점 조절과 노출을 동시에 할 수 있게 구성된 카메라용 자동촛점 및 노출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의 경박소형화가 발점됨에 따라 조작이 쉬우면서도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는 방향으로 기술이 진보되고 있다.
일 예를 들면, 스냅사진 촬영에 적합한 35미리 소형카메라는 내부에 집적회로(마이컴)를 내장하여 놓고, 이 집적회로가 자동촛점과 자동노출의 제어에 필요한전기적 신호를 송출하게 함과 아울러 이 전기직 신호로 자동촛점기구와 자동노출제어기구의 작동은 물론 필름의 장전과 감기, 되감기도 내장된 모우터를 작동시켜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발진되는 추세에 있다.
이 종류 자동카메라에 있어서 자동촛점기구는 대체로 촬영이 가능한 최단거리부터 무한대까지의 촛점거리를 4단계로 나누고, 거리계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집적회로(마이콤)가 연산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치에 맞추어 렌즈의 촛점거리를 변동시켜 피사체에 대한 촛점거리를 일치시키게 도어 있다.
상기 자동촛점기구에서 렌스의 촛점거리를 변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렌즈에는 조출레버가 연결되어 있고, 이 조출레버는 슬라이드판을 개재하여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전달받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판은 필름감기레버에 의해 인장스프링을 잡아 늘이는 방향으로 연동하게 되어 있으며, 연동된 위치에서 록커에 계지되어 위치보전하게 되어 있다.
상기 록커는 셔터버튼의 조작에 동기하여 통전 여자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슬라이드판을 해방시켜 주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만은 록커로 부터 해방되면 인장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주행하면서 조출레버를 연동시져 렌즈의 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슬라이드판은 록커와 접촉되는 면에 적어도 3개의 록킹홈을 보유하고 있고, 이 록킹홈은 솔레노이드에 흡착된 록커가 다시 슬라이드판을 계지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므로 상기 슬라이드의 주행거리는 솔레노이드의 통전 여자시간에 비례적으로 변화하게 되어 렌즈 조출을 4단계로 행하게 된다.
여기서 솔레노이드의 통진 여자시간은 집적회로의 전기적 신호 송출시간으로 결정된다.
또 자동노출방식은 셔터판의 개방도를 일정하게 설정해 놓고 카메라에 내장된 측광계를 통해 입력된 측광정보를 집적회로가 산출하여 셔터판의 개방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노출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있는 바, 이를 위한 셔터판의 개폐구성도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는 챠아지레저가 필름감기레버에 연동하여 챠아지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하고, 또 챠아지위치에서 챠아지레버는 록커에 계지되어 있다가 셔터버튼의 조작에 연동되어 챠아지레버를 해방시키게 됨으로써 챠아지레버가 인장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주행하게 되어 있다.
한편 챠아지레버는 주행중에 셔터판을 연동 개방시키는 요동레버를 간섭하게 되는데, 이 요동레버는 챠아지레버에 간섭되는 시간을 길고 짧게 하는 2개의 돌출부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돌출부중에서 짧은 시간 설정용이 항상 챠아지레버에 간섭되게 하고, 긴 시간 설정용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요동레버가 흡착되어 자세변화를 이루게 될 때 상기 챠아지레버에 접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따라서 집적회로가 어두운 피사체 혹은 저감도필름 사용중이라는 신호를 송출하는 경유에만 솔레노이드가 통전 여자되어 요동레버를 자세변환시켜 주게되고, 그 결과로 챠아지레버에 의한 요동레버의 간섭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셔터판의 개방시간이 길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셔터판의 개방시간이 길고 짧은 2단계로 자동 조절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자동촛점 및 자동노출제어기구는 동작의 시초가 모드 솔레노이드에 의해 촉발되는 구성이지만 이들의 유기적 관계가 각각 전용의 솔레노이드를 필요로 하게 되어 있다.
그 이유는 촬영조건에 맞추어 각 기구가 작동되는 과정이 항상 촛점을 노출보다 우선하여 될 수 밖에 없어서 먼저 자동촛점기구가 작동되고 이어서 자동노출제어기구가 작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각각 전용의 솔레노이드를 갖추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2개의 솔레노이드는 부품수의 증가로 인한 소형 카메라의 경박단소에 지장을 주고, 또 카메라의 전원을 상당부분 소비하게 되어 전원 교체주기를 짧게 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로 남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촛점기구와 자동노출제어기구가 하나의 솔레노이드를 공유하는 구성으로 되어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카메라의 자동촛점 및 자동노출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통상의 솔레노이드로 흡착 연동되는 작동래치에 선택적으로 계합되는 다수의 계합홈을 보유하는 제1슬라이드판과, 상기한 솔레노이드에 흡착 연동되는 스톱퍼의 일단부에 계합되는 정지홈을 보유하고 또 개폐레버를 연동시키는 캠홈이 형성된 제2슬라이드판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한 작동래치와 스톱퍼의 흡착단이 각각 상기한 솔레노이드의 양극에 대향배치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슬라이드판은 렌즈의 전방에서 동일방향으로 주행 가능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자동촛점기구의 구조를 도시한다.
렌즈(1)의 외주에 부착된 조출레버(2)는 그 일단부가 제1슬라이드판(3)의 장공(4)에 계합되어 있고, 이 제1슬라이드판(3)은 인장스프링(5)에 의해 일정방향의 인장력을 받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슬라이드판(3)의 밑면에는 다수의 계합구(6a), (6b), (6n)가 소정간격을 이루어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제1슬라이드판(3)의 선단부에는 정지턱(7)이 절결 형성되어 있어서, 작동래치(8)의 계합핀(9)에 의해 결려져 있다.
상기 작동래치(8)는 계합핀(9)의 반대측 흡착단(10)이 솔레노이드(11)의 한쪽 극에 흡착될 수 있게 대향하는 위치에서 중간부가 고정축(1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고정축(12)에는 토오션스프링(13)이 설치되어 상기 작동래치(8)에 탄성복좌력을 가하게 되어 있다.
솔레노이드(11)는 카메라에 내장되는 통상의 집적회로에서 송출되는 신호로 정해지는 시간동안 통진 여자되어 작동래치(8)를 흡착 연동시키는 것이다.
작동래치(8)가 솔레노이드(11)에 흡착 연동되면 그 계합핀(9)이 제1슬라이드판(3)의 정지턱(7)에서 벗어나 이를 해방시키게 된다.
제1슬라이드판(3)은 종래와 동일하게 필름감기레버(도시 생략)가 조작될 때 연동되어 인장스프링(5)을 잡아늘이면서 챠아지위치로 이동해서 상기 작동래치(8)의 계합핀(9)에 의해 톡킹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셔터버튼(도시 생략)이 눌려졌을 때 상술한 바 있듯이 작동래치(8)가 솔레농드(11)에 흡착연동되어 제1슬라이드판(3)을 해방하게 되면 인장스프링(5)에 축적되어 있던 탄성복원력이 제1슬라이드판(3)을 경인하여 도면의 1점 쇄선으로 도시한 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작동래치(8)는 솔레노이드(11)의 자력이 소멸되면 토오션스프링(13)에 의해 원래위치로 복귀해서 다시 계합핀(9)을 제1슬라이드판(3)에 접촉하게 되나 이 시기에서 정지턱(7)은 계합핀(9)의 위치를 통과한 때이므로 이번에는 계합구(6a), (6b), (6n)중에서 가장 가까운 것과 계합되어 제1슬라이드판(3)을 계지하게 된다.
그 결과로 제1슬라이드판(3)의 주행거리는 솔레노이드(1l)의 통전 여자시간에 따라 4단계로 제어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계합구(6a), (6b), (6n)의 형상은 그 중의 히나에 작동래치(8)의 계합핀(9)이 맞물리게 되면 제1슬라이드판(3)이 필름감기레버에 연동하여 챠아지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이들 사이의 맞물림이 해체되게 배려되어 있다.
따라서 일단 계합핀(9)의 계합구(6a), (6b), (6n)중의 어느 하나에 맞물린 후에는 술레노이드(11)가 재통전 여자되어도 작동래치(8)가 흡착되지 않으므로 제1슬라이드판(3)의 주행거리제어가 오동작하는 일은 생기지 않게된다.
이와 같이 제1슬라이드판(3)이 주행을 시작한 일정시기에 조출레버(2)는 그 일단이 연계된 장공(4)에 계지되어 요동하게 되고, 그 결과로 렌즈(1)가 선회 연동되어 렌즈(1)의 축방향 이동이 행해지게 됨으로써 렌즈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제2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적용된 자동노출제어기구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렌즈(1)를 개폐하는 1쌍의 셔터판(20)은 축(21)에 의해 축지지된 개폐레버(22)의 일단측 아암(23)과 연동하여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이 개폐레버(22)의 타단측에는 제2슬라이드판(24)의 캠홈(25)을 타고 전동(轉動)하는 활동핀(2)이 고정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개폐레버(22)도 토오션스프링(27)에 의해 탄압되어 양 셔터판(20)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슬라이드판(24)이 챠아지위치에 있을 때 상기 활동핀(2)은 캠홈(25)의 높은 위치에 접촉 계지되어 있고, 그 결과로 계폐레버(22)의 아암(23)온 양 셔터판(20)을 폐쇄상으로 보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2슬랑드판(24)은 캠홈(25)의 전방축에 정지홈(28)을 보유하고 있는 점에서 제1슬랑드판(3)과는 상이하게 동작한다.
즉, 제2슬라이드판(24)의 한쪽으로 스톱퍼(29)가 상술한 솔레노이드(11)의 다른쪽 극에 흡착연동될 수 있는 위치로 배치되어 있고, 이 스톱퍼(29)의 일단부(29a)에 의해 상기 제2슬라이드판(24)의 선단부가 게지되어 있다가 솔레노이드(11)의 통전 여자로 인해 스톱퍼(29)로 부터 해방되어 코일스프링(30)의 탄성력으로 견인 주행하게 되는 작동과정은 제1슬라이드판(3)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제2슬라이드판(24)의 주행시에는 솔레노이드(11)가 짧은 시간에 여자-소자-재여자의 순서로 작동하여 스톱퍼(29)의 알단부(29a)는 여자과정에서 제2슬라이드(24)의 선단부를 해방하여 주행이 시작되게 하고, 소자과정에서 이동 위치한 정지홈(28)을 계지하여 주행이 중단되게 하며, 또 재여자과정에서 정지홈(28)을 해방시켜 제2슬라이드판(24)이 다시 주행되게 한다.
상기 소자과정에서 제2슬라이드판(24)의 정지홈(28)에 스톱퍼(29)의 일단부(29a)계지되어 주행이 중단되어 있을 때, 활동핀(26)과 접촉되어 있던 캠홈(25)의 높은 위치는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약간 위치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동등핀(26)은 제2슬라이드판(24)으로 부터 일시적으로 간섭을 받지않는 상태로 되고, 그 결과로 토오션스프링(27)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개폐레버(22)의 회동이 시작된다.
개폐레버(22)의 회동은 활동핀(22)이 제2도의 부호(26a)로 나타 낸 위치로 이동되어 캠홈(25)의 V자상 낮은 위치에 놓여질 때 까지 계속되며, 이로 인하여 개폐레버(22)의 일측아암(23)은 양 셔터판(20)을 개방시켜 주게된다.
양 셔터판(20)의 개방시간은 솔레노이드(11)가 소자되고 나서 재여자될 때 까지이다.
솔레노이드(11)가 재여자되면 제2슬라이드판(24)의 거듭되는 주행으로 활동핀(26)이 다시 캠홈(25)을 타고 천동하여 개폐레버(22)를 상기와는 반대로 연동되게 함으로써 양 셔터판(20)이 닫혀지게 된다.
상술한 자동노출제어기구를 자공촛점기구와 함께 연관지어 설명하면, 솔레노이드(11)이 일정시간만큼 여자될 때, 자동촛점기구의 작동래치(8)와 자동노출기구의 스톱퍼(27)가 흡착 연동되어, 제2 및 제2슬라이드판(3), (24)이 주행하게 되는 것이고, 또 솔레이노이드(11)가 소자되면 제1슬라이드판(3)은 작동래치(8)에 의해, 그리고 제2슬라이드판(24)도 스톱퍼(27)에 의해 각각 다시 제동이 걸리는 것이며, 그 결과로 조출레버(2)는 렌즈(1)의 조출을 행하고, 또 개폐레버(22)의 활동핀(26)은 캠홈(25)의 낮은 위치에 놓여져서 양 렌즈판(20)의 개방을 통한 노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렌즈판(20)의 개방시간은 집적회로에 의해 제어되어 적정노출이 이루어진다.
즉, 솔레노이드(11)는 집적회로가 측정된 노출치에 해당되는 시간동안 무신호처리할 때 소자되고, 다시 신호가 재송출되면 즉시 재여자되어 제2슬라이드판(24)를 스톱퍼(29)로 부터 다시 해방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제2슬라이드판(24)은 주행을 계속하여 활동핀(26)을 캠홈(25)의 최상부로 밀어올리는 동작을 통해 자동노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자동촛점기구와 자동노출기구는 설명의 편의상 분리시켜 놓았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렌즈(1)의 전면에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제2슬라이드판(24)의 후단부에는 1쌍의 가동접점(31)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가동접점(31)의 이동궤적상에는 자동촛점기구와 자동노출기구를 잔자제어하기 위한 신호패턴(3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슬라이드판(3), (24)는 촬영자가 필름을 재장전할 때, 필름감기레버에 의해 스타트위치, 즉 양 스프링(5), (30)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주행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한 가동접점(31)은 신호패턴(32)의 소자접점(Dt) 상에 놓여지게 되고, 촬영자가 셔터버튼을 눌러주면, 가동접점(31)은 신호패턴(32)을 타고 슬라이드 되면서 1-3단계의 거리접점(Onn), (On), (Om)과 솔레노이드접점(Mg) 사이를, 그리고 노출접점(St), 리세트접점(Rs) 및 공통접점(Gnd) 상이를 점속접여 주고, 마지막에는 전원접점(Vcc)과 종료접점(End)사이를 접속한 채로 정지하게 된다.
제4도는 가동접점(31)과 신호패틴(32) 사이의 전기적 접촉에 따르는 신호처리예를 도시한다.
지금 가동접점(31)의 주행시 시작되었다고 하면, 가동접점(31)이 소자접점(Dt)에서 덜어짐과 동시에 솔레노이드(11)는 여자되어 작동래치(8)와 스톱퍼(29)를 흡착시키게 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2슬라이드판(3), (24)의 주행이 시작된다.
다시 말해서, 집적회로(Mc)로 부터 아무런 신호가 나오지 않으면 솔레노이드(11)의 스위칭소자(Q)는 저항(R1), (R2)을 통해 바이어스되므로 턴-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집적회로(Mc)가 통상의 거리 및 노출측정 수단으로 부터 피사체와의 거리 및 직정노츨치를 읽어 들여서, 피사체와의 거리가 최근거리일 경우에는 1단계 거리점점(Onn)을 통하여 신호를 발하고, 또 근거리일 경우에는 2단계 거리접점(On), 또 원거리일 경우에는 3단계 거리점점(Om), 무한대는 모든 접점(Onn), (On), (Om)에서 무신호처리를 행하므로, 예컨대 무한대일 경우에는 솔레노이드(11)의 여자가 오래 지속되어 렌즈(1)는 무한대까지 조출되어지고, 또1단계 거리접점(Onn)으로 신호가 송출되고, 이 접점(Onn)이 솔레노이드접점(Mg)와 접속 되었을 경우에는, 신호가 저항(R1)에서 솔레노이드접점(Mg)과 1단게 거리접점(Onn)을 경유하여 집적회로(Mc)로 흐르게 되므로 스위칭소자(Q)는 순간적으로 턴-오프 되며, 이에 따라, 작동래치(8)의 계합핀(9)이 제1슬라이드판(3)의 1단계 계합구(6a)에 끼워져서 측정된 거리에 맞게 렌즈(1)를 조출하고정지상으로 된다.
한편, 제2슬라이드판(24)는 솔레노이드(11)이 최초에 여자되었을 때, 상기한 제1슬라이드판(3)과 동시에 주행을 시작하지만, 렌즈조출을 위하여 솔레노이드(11)이 소자되어도 스톱퍼(29)의 일단부(29), (a)는 아직 정지홈(28)에 계합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주행은 계속되어지며, 가동단자(31)이 노출접점(St)에 점촉되었을 때, 비로소 정지홈(28)이 스톱퍼(29)의 일단부(29a)이 걸려서 멈추게 되어 양 셔터판(20)은 개방상태로 된다.
이 시점에서 집적회로(Mc)는 적정노출에 상당하는 시간동안 노출접점(St)측으로 신호를 발하게 된다.
그 결과로 상기한 스위칭소자(Q)는 턴-오프상으로 되어 양 셔터판(20)의 개방상태는 유지된다.
적정노출시간이 경과하면, 노출접점(St)을 통해 송출되는 집적회로(Mc)의 신호가 끊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스위칭소자(Q)는 다시 턴-온으로 되어 솔레노이드(11)가 재여자됨과 동시에, 스톱퍼(29)가 흡작 연동하여 제2슬라이드판(24)를 해방시켜 주게 된다.
그러므로 제2슬라이드판(24)은 재주행을 시작하면서 개폐레버(22)를 캠홈(25)의 상측으로 밀어 올려 양 셔터판(20)이 닫혀지게 하는 것이다.
가동접점(31)은 노출접점(St)을 지난 다음부터 리세트접점(Rs)에 접촉되어 집적회로(Mc)가 읽어 들인 모든정보의 삭제가 이루어지게 한 다음, 전원접점(Vcc)과 종료접점(End)에 접속됨으로써, 거리측정수단과 측광수단을 제외한 모든 작동부가 휴지상태로 들어가게 하여 다음번 촬영에 대비하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자동촛점기구와 자동노출기구를 제어하는 집적회로(Mc)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카메라용 IC와 동일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솔레노이드에 의해 자동촛점과 자동노출작동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므로, 카메라의 경박 소형화에 큰 진전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통상의 솔레노이드(11)로 흡작 연동되는 작동래치(8)에 선택적으로 계합되는 다수의 계합홈(6a), (6b), (6n)을 보유하는 제1슬라이드판(3)과, 상기한 솔레노이드(11)애 흡착 연동되는 스톱퍼(29)의 일단부(29a)에 계합되는 정지홈(28)을 보유하고 또 개폐레버(26)를 연동시키는 캠홈(26)이 형성된 제2슬라이드판(24)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한 작동래치(8)와 스톱퍼(29)의 흡착단이 각각 상기한 솔레노이드(11)의 양 극에 대향배치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슬라이드판(3), (24)은 렌즈(1)의 전방에서 동일방향으로 주행 가능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자동촛점 및 노출제어장치.
KR2019890009453U 1989-06-30 1989-06-30 카메라용 자동촛점 및 노출제어장치 KR910009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9453U KR910009029Y1 (ko) 1989-06-30 1989-06-30 카메라용 자동촛점 및 노출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9453U KR910009029Y1 (ko) 1989-06-30 1989-06-30 카메라용 자동촛점 및 노출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18U KR910001218U (ko) 1991-01-24
KR910009029Y1 true KR910009029Y1 (ko) 1991-11-21

Family

ID=1928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9453U KR910009029Y1 (ko) 1989-06-30 1989-06-30 카메라용 자동촛점 및 노출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0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18U (ko) 1991-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43797A (ja) 電動巻き上げ装置
US4368967A (en) Camera data recording device
US3821757A (en) Camera having an electric shutter
KR910009029Y1 (ko) 카메라용 자동촛점 및 노출제어장치
CA1057549A (en) Electro-mechanical shutter system having mechanical latch
US4441800A (en) Driving system in camera
US4272171A (en) Single-lens reflex camera
US4047211A (en) Mechanical exposure control means for electric shutters
US4078765A (en) Cinematographic apparatus
US4610523A (en) Operation control mechanism for camera
US4118724A (en) Camera with selector for either electromagnetic release or mechanical release
US4003067A (en) Automatic photographic shutter control apparatus
US3927416A (en) Shutter for cameras
US4306797A (en) Electromagnetically driven shutter
US4502769A (en) Quick-return mirror driving mechanism for single-lens reflex cameras
KR910009532B1 (ko) 렌즈 셔터장치
US4215925A (en) Photographic curtain-type shutter with electromagnetic actuation control
US4629301A (en) Camera having a motor winding mechanism
US4313660A (en) Release device for a camera
JPS6148140B2 (ko)
JPH0346643A (ja) カメラ等の光量調整装置の制御方法
SU1191868A1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затвор дл фотоаппарата
CA1115107A (en) Electromagnet controlled scanning shutter blade arrangement
JPH079140Y2 (ja) カメラの絞りリセット機構
US4219262A (en) Camera electrical self-ti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