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676B1 - Maghnetic memory medium - Google Patents

Maghnetic memory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676B1
KR910008676B1 KR1019840005664A KR840005664A KR910008676B1 KR 910008676 B1 KR910008676 B1 KR 910008676B1 KR 1019840005664 A KR1019840005664 A KR 1019840005664A KR 840005664 A KR840005664 A KR 840005664A KR 910008676 B1 KR910008676 B1 KR 910008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ic layer
layer
coercive forc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60002785A (en
Inventor
사도루 야마구지
쵸우 조우 시미즈
고우사부로우 사도
하루오 안도우
Original Assignee
히다찌마구세루 가부시기가이샤
나가이 아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마구세루 가부시기가이샤, 나가이 아쯔시 filed Critical 히다찌마구세루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4000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676B1/en
Publication of KR860002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7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6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ly the magnetic material without bonding agent
    • G11B5/66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ly the magnetic material without bonding agent the record carriers consisting of several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Magnetic feature

Landscapes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자기 기록 매체Magnetic recording media

제1도는 자성 분말의 평균 단일 입자 지름과 노이즈 레벨과의 관계도.1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of the magnetic powder and the noise level.

제2도는 자성 분말의 평균 단일 입자 지름과 충진도와의 관계도.2 is a relation between the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and the filling degree of the magnetic powder.

제3도는 보자력과 소거울과의 관계도.3 is a relation between coercive force and elimination wool.

제4도는 주파수와 출력과의 관계도.4 is a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and output.

제5도는 주파수와 일정왜곡 최대 출력 레벨과의 관계도.5 is a relation between frequency and maximum constant distortion level.

제6도는 주파수와 S/N와의 관계도.6 is a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and S / N.

제7도는 상하 양 자성층의 두께와 각 주파수에 있어서의 출력 및 노이즈 레벨과의 관계도.7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s and the output and noise level at each frequency.

본 발명은 저성층을 2층 구조로 한 자기 기록 매체, 특히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주파수 특성과 감도가 양호하고 노이즈가 적은 자기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recording medium having a low-layer two-layer structure, particularly a magnetic recording medium having good frequency characteristics, high sensitivity and low noise in all frequency bands.

자성층을 2층 구조로한 자기 기록 매체에 있어서, 하층의 보자력을 낮게 하고 상층의 보자력을 높게하면, 저주파 및 고주파 대역에서의 감도와 주파수 특성을 향상히킬 수 있는 것이 종래로부터 알려져 있었다.In a magnetic recording medium having a magnetic layer having a two-layer structure, it has been known that sensitivity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low and high frequency bands can be improved by lowering the coercive force of the lower layer and increasing the coercive force of the upper layer.

이와 같은 자기 기록 매체는 통상 폴리에스테르 필름등의 매체 위에 비교적 보자력이 낮은 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자성 도료를 먼저 도포, 건조해서 하층의 자성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이 하층의 자성층위에 비교적 보자력이 높은 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자성 도료를 도포, 건조해서 상층의 자성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있다.Such a magnetic recording medium is usually coated with a magnetic coating containing a magnetic powder having a relatively low coercive force on a medium such as a polyester film first, followed by drying to form a lower magnetic layer, and then a magnetic powder having a relatively high coercive force on the lower magnetic layer. It is made by apply | coating and drying the magnetic paint containing this to form an upper magnetic layer.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자기 기록 매체는 상하 양 자성층에 대략 같은 정도의 입자 지름의 γ-Fe2O3분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노이즈를 충분히 저감할 수가 없고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을 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보다 높게 하는 것에 의해 저주파 및 고주파 대역에서의 감도와 주파수 특성이 향상되나, 주파수 특성중의 특성선이 휘어지는 현상이 생겨서 중간대역에서의 주파수 특성이 저하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type of conventional magnetic recording medium uses γ-Fe 2 O 3 powders of approximately the same particle diameter for both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s, so that noise cannot be sufficiently reduced and the coercive force of the upper magnetic layer is lower than the magnetic layer. By increasing the coercivity of, the sensitivity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the low frequency and high frequency bands are improved,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haracteristic line i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is bent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the intermediate band are deteriorated.

특히, 하층에 γ-Fe2O3분말을 사용하고, 상층에 CrO2분말을 사용한 것은 양호한 특성이 얻어지는 반면 주파수 특성의 왜곡이 크고, 중간대역에서의 주파수 특성이 크게 저하하는 단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use of γ-Fe 2 O 3 powder in the lower layer and the use of CrO 2 powder in the upper layer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 distortion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is large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in the intermediate band is greatly reduced while obtaining good characteristics.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현상을 감안해서 여러가지 검토를 한 결과, 하층의 자성층의 자성 분말로서 평균 단일 입자 지름(장축 지름)이 0.4∼0.7μm인 자 성분말을 사용하고, 상층의 자성층의 자성 분말로서 평균 단일 입자 지름(장축 지름)이 0.15∼0.35μm인 자성 분말을 사용해서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을 370∼460에르스텟으로 함과 동시에 상층의 보자력/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의 비를 1.05∼1.5로 하면, 주파수 특성의 왜곡이 생겨 중간대역에서 주파수 특성이 저하한다는 일도 없고, 모든 주파수대역에서 양호한 주파수 특성과 감도가 얻어짐과 동시에 노이즈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various studies in consideration of such a phenomenon, and as a result, the magnetic powder of the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long-axis diameter) of 0.4-0.7 micrometer is used as a magnetic powder of a lower magnetic layer, and it averages as a magnetic powder of an upper magnetic layer Using magnetic powder having a single particle diameter (major axis diameter) of 0.15 to 0.35 μm, the coercive force of the upper magnetic layer is 370 to 460 EST, and the coercivity of the upper layer and the coercive force of the lower magnetic layer is 1.05 to 1.5.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ound that the distortion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does not caus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to deteriorate in the intermediate band, and that good frequency characteristic and sensitivity can be obtained in all frequency bands and noise can be sufficiently reduced.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 특성의 왜곡이 없고 모든 주파수대역에서 주파수 특성과 감도가 양호하고 노이즈가 적은 자기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recording medium having no distortion of frequency characteristics, good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sensitivity in all frequency bands, and low noise.

본 발명에 있어서, 상층의 자성층에서 사용하는 자성 분말은 노이즈를 충분히 저감하고 자성층 중에서의 충진도가 높아 출력이 높고, 고주파 대역에서 충분한 출력이 얻어지도록 하기 위해 평균 단일 입자 지름(장축 지름)을 0.15∼0.35μm의 미세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powder used in the upper magnetic layer has an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long axis diameter) of 0.15 in order to sufficiently reduce noise and have a high filling degree in the magnetic layer, so that the output is high and sufficient output is obtained in the high frequency ba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fine thing of -0.35 micrometer.

또 하층의 자성층에서 사용하는 자성 분말은 저주파 대역에서 충분한 출력이 얻어지도록 하기 위해 평균 단일 입자지름(장축 지름)은 0.4∼0.7μm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균 단위 입자 지름(장축 지름)이 0.4μm 이하의 미세한 것은 배향성이 좋지 않으므로 저주파 대역에서의 출력을 충분히 양호하게 할 수 없다.In order to obtain sufficient output in the low frequency band, the magnetic powder used in the lower magnetic layer is preferably used with an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long axis diameter) of 0.4 to 0.7 μm, and the average unit particle diameter (long axis diameter) is used. Fine particles of 0.4 µm or less are not good in orientation, and thus the output in the low frequency band cannot be sufficiently good.

제1도는 자성분말의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노이즈 레벨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것이며, 제2도는 자성분말의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충진도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것이다.FIG. 1 shows the effect of the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of the magnetic powder on the noise level, and FIG. 2 shows the effect of the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of the magnetic powder on the filling degree.

이들의 도면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노이즈 레벨은 자성분말의 입자 지름이 적으면 적을수록 낮아지지만, 충진도가 나빠져서 상층의 자성층에서 사용하는 자성분말의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은As is clear from these figures, the noise level is lower as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magnetic powder is smaller, but the filling degree is worse, so that the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of the magnetic powder used in the upper magnetic layer is

0.15∼0.35μm의 범위내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2∼0.3μm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게되었다.It turned out that it is good to set it in the range of 0.15-0.35 micrometer, Preferably you may be in the range of 0.2-0.3 micrometer.

또, 이와 같은 각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의 자성분말을 사용하는 상하 양 자성층의 보자력은 저주파 및 고주파 대역에서의 감도와 주파수 특성을 양호하게 한다.In addition, the coercive force of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s using the magnetic powder of each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improves the sensitivity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the low frequency and high frequency bands.

또한 , 주파수 특성중의 왜곡에 의한 중간대역에서의 주파수 특성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고, 소거 특성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을 370∼460에스르텟의 범위내로 하고,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의 비를 1.05∼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이 370에르스텟보다 적으면 충분한 출력을 얻을 수 없고, 460에르스텟보다 크면 소거 특성에 나쁜 영향을 준다.In addition, the coercive force of the upper magnetic layer is in the range of 370 to 460 eStets in order not to deteriorat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in the intermediate band due to distortion i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and to not adversely affect the erasing characteristics. It is preferable to set the ratio of the coercive force of the magnetic layer of the lower layer to 1.05 to 1.5. If the coercive force of the upper magnetic layer is less than 370 Hersted, sufficient output cannot be obtained.

또, 양 자성층의 보자력의 비를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으로 하여 1.05보다 적어지면 중간대역 및 저주파대역에서 충분한 출력을 얻을 수 없고, 1.5보다 커지면 특성의 휘어짐이 일어나서 중간대역에서의 주파수 특성이 저하한다.If the ratio of the coercive force of both magnetic layers is the coercivity of the upper magnetic layer / the coercive force of the lower magnetic layer, when the ratio is less than 1.05, sufficient output cannot be obtained in the middle band and the low frequency band. Decreas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제3도는 상층의 자성층에서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0.25μm 및 0.5μm의 자성분말을 사용하였을 때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이 소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것으로, 그래프 A는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0.25μm의 자성분말을 사용하였을 때, 그래프 B는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0.5μm의 자성 분말을 사용하였을 때의 소거율과 보자력과의 관계를 도시한다.3 shows the effect of the coercive force of the upper magnetic layer on the scavenging characteristics when magnetic powders having an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of 0.25 μm and 0.5 μm are used in the upper magnetic layer. Graph A shows that the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is 0.25 μm. Using the magnetic powder of, graph B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imination rate and the coercive force when a magnetic powder having an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of 0.5 μm was used.

이들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성층을 2층 구조로 한 자기 기록 매체에서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은 직접 고역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보자력을 너무 올리면 소거 특성이 나빠진다.As can be seen from these graphs, the coercive force of the upper magnetic layer directly affects the output of the high frequency in 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having the magnetic layer as a two-layer structure, while the higher coercive force deteriorates the erase characteristic.

이 영향은 자성 분말의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적을수록 현저하며, 평균 단일 입자 지름(장축 지름)이 0.15∼0.35μm의 것이라면, 보자력은 480에르스텟이 한계이고, 이 이상 보자력을 높이면 소거 특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청감에 있어서도 고역의 출력이 너무 높아져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어,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을 370∼460에르스텟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is effect is more pronounced when the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of the magnetic powder is smaller, and when the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long axis diameter) is 0.15 to 0.35 μm, the coercive force is limited to 480 Herstets. It was found that the output of the high range was too high also in hearing, which is not preferable,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coercive force of the upper magnetic layer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370 to 460 rustes.

또, 제4도는 상하 양 자성층의 보자력의 비가 주파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것으로, 그래프 A는 상층에 형성하는 자성층의 보자력을 410에르스텟, 잔류 자속 밀도를 1300가우스, 두께 2.5μm로 해서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의 비를 1.8로 하였을 때 각 주파수에서의 출력을 표시하며, 그래프 B는 마찬가지로 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만을 변경하여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의 비를 1.5로 하였을 때, 그래프 C는 마찬가지로 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만을 변경하여,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의 비를 1.2로 하였을 때, 그래프 D는 마찬가지로 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만을 변경하여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의 비를 1.05로 하였을 때, 또 그래프 E는 마찬가지로 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만을 변경하여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의 비를 1.0으로 하였을 때의 각 주파수에서의 출력을 표시한 것이다.4 shows the effect of the ratio of the coercivity of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s 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Graph A shows that the coercive force of the magnetic layer formed on the upper layer is 410 Hersted, the residual magnetic flux density is 1300 gauss, and the thickness is 2.5 μm. When the ratio of the coercive force of the magnetic layer to the coercive force of the lower magnetic layer is 1.8, the output is displayed at each frequency, and graph B similarly changes only the coercivity of the lower magnetic layer and the coercivity of the upper magnetic layer and the lower magnetic layer. When C is 1.5, graph C similarly changes only the coercive force of the lower magnetic layer, and when the ratio of the coercive force of the upper magnetic layer to the coercive force of the lower magnetic layer is 1.2, the graph D similarly changes only the coercive force of the lower magnetic layer. When the ratio of the coercive force of the upper magnetic layer to the coercive force of the lower magnetic layer is 1.05, graph E is similarly To display the output at each frequency at the time to change only the coercive force of the layer of the hayeoteul of the magnetic coercivity of the upper layer / lower layer non-magnetic coercivity to 1.0.

이들의 그래프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의 비를 1.5보다 크게 하면 특성선의 휘어짐이 커지고, 역으로 1.05보다 적게하면 중간대역 및 저주파 대역에서의 출력이 나오지 않아 자성층을 2층 구조로한 효과가 감소되지만, 이들에 대해서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의 비가 1.2의 것은 특성선의 휘어짐이 없어서 모든 주파수대역에 걸쳐서 높은 출력의 것이 얻어진다.As is clear from these graphs, when the ratio of the coercivity of the upper magnetic layer to the coercive force of the lower magnetic layer is greater than 1.5, the curvature of the characteristic line increases, and conversely, when the ratio is less than 1.05, the magnetic layer does not come out of the middle band and the low frequency band. Although the effect of having a two-layer structure is reduced, the ratio of the coercive force of the upper magnetic layer to the coercive force of the lower magnetic layer is 1.2 with no distortion of the characteristic line, so that a high output is obtained over all frequency bands.

따라서,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의 비는 1.05∼1.5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1∼1.3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ratio of the coercive force of the upper magnetic layer to the coercive force of the lower magnetic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5 to 1.5,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1 to 1.3.

또, 제5도는 상층의 자성층의 잔류 자속 밀도와 일정왜곡 최대 출력레벨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자성분말로서는 각각 입자 지름이 일정하고, 하층의 자성층으로는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0.5μm인 γ-Fe2O3분말을 사용하고, 상층의 자성층으로는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0.25μm인 γ-Fe2O3분말을 사용해서 상하 2층의 자성층을 형성한다.5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ual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upper magnetic layer and the constant distortion maximum output level. As a magnetic powder, γ-Fe 2 O 3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5 μm is used as the magnetic layer of the lower layer, respectively, and γ-Fe having an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of 0.25 μm as the upper magnetic layer. 2 O 3 powder is used to form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s.

하층의 자성층은 보자력 345에르스텟, 잔류 자속 밀도 1800가우스, 두께를 3.0μm로 하고, 상층의 자성층은 두께와 보자력을 각각 2.5μm 및 410에르스텟으로 일정하게 하여 잔류 자속 밀도만을 여러가지로 변경할 때 각 주파수에서의 일정 왜곡 최대 출력레벨을 도시한 것이다.The lower magnetic layer has a coercive force of 345 ersted, the residual magnetic flux density of 1800 gauss, and a thickness of 3.0 μm. The upper magnetic layer has a constant thickness and coercive force of 2.5 μm and 410 ersted, respectively. It shows constant distortion maximum output level.

여기서, 그래프 A는 잔류 자속 밀도를 1000가우스로 하였을 때, 그래프 B는 잔류 자속 밀도를 1300가우스로 하였을 때, 그래프 C는 잔류 자속 밀도를 1600가우스로 하였을 때의 각각의 2층 구조의 자기 기록 매체의 각 주파수에서의 일정왜곡 최대 출력레벨을 표시한 것이다.Here, the graph A shows 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of each two-layer structure when the residual magnetic flux density is 1000 gauss, the graph B the residual magnetic flux density is 1300 gauss, and the graph C the residual magnetic flux density is 1600 gauss. The maximum output level of constant distortion at each frequency is shown.

이들 그래프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상층의 자성층의 잔류 자속 밀도가 1300가우스 이하로 되면, 서서히 특성선의 휘어짐 현상이 크게 됨과 동시에 일정왜곡 최대 출력레벨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상층의 자성층의 잔류 자속 밀도를 1300가우스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600가우스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As evident from these graphs, when the residual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upper magnetic layer becomes 1300 gauss or less, the curvature of the characteristic line gradually increases and a decrease in the constant distortion maximum output level is achieved. Therefore, the residual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upper magnetic layer is 1300. It is preferable to use more than Gaussian, and it is understood that more than 1600 Gaussian is more preferable.

제6도는 각각 입자 지름이 다른 자성 분말을 상하 양 자성층 또는 단층의 자성층에 사용하였을 때, 각 주파수에서의 S/N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S / N at each frequency when magnetic powders having different particle diameters are used for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s or the magnetic layers in the single layer.

도면에 있어서 그래프 A는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0.5μm인 γ-Fe2O3분말을 사용해서 보자력이 360에르스텟의 단층의 자성층을 형성하였을 때, 그래프 B는 상층의 자성층에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0.25μm인 γ-Fe2O3분말을 사용하고 하층의 자성층에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0.5μm인 γ-Fe2O3분말을 사용하며, 보자력을 상하 양 자성층 모두 360에르스텟으로 하였을 때, 그래프 C는 상하 양 자성층에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0.5μm인 γ-Fe2O3분말을 사용하여 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을 345에르스텟으로 하고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을 410에르스텟으로 하였을 때, 그래프 D는 상층의 자성층에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0.25μm인 γ-Fe2O3분말을 사용하고, 하층의 자성층에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0.5μm인 γ-Fe2O3분말을 사용해서 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을 345에르스텟으로 하고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을 410에르스텟으로 하였을 때 각각의 각 주파수에서의 S/N를 표시한 것이다.In the figure, when graph A shows a monolayer magnetic layer having a coercive force of 360 ersted using γ-Fe 2 O 3 powder having an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of 0.5 μm, graph B shows an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of 0.25 in the upper magnetic layer. when all μm in γ-Fe 2 O 3 powder used and uses the average single particle size of 0.5μm-Fe 2 O 3 powder to the γ of the lower magnetic layer, the coercive force of both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s hayeoteul to 360 oersteds, a graph C is When γ-Fe 2 O 3 powder having an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of 0.5 μm is used for both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s, the coercivity of the lower magnetic layer is 345 ersted, and the coercivity of the upper magnetic layer is 410 ersted, and the graph D shows the upper magnetic layer.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0.25μm using a single-Fe 2 O 3 powder of γ, an average single particle size of the of the lower magnetic layer by using a 0.5μm-Fe 2 O 3 powder of 345 γ of the coercive force of the magnetic layer in the lower layer Oersted And a is one when the coercive force of the upper magnetic layer in oersteds 410 displays the respective S / N at each frequency.

이들의 그래프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상층의 자성층에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0.25μm인 γ-Fe2O3분말을 사용하고 하층의 자성층에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이 0.5μm인 γ-Fe2O3분말을 사용한 것이 S/N이 양호하며, 특히 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을 345에르스텟으로 하고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을 410에르스텟으로 한 것이 S/N이 좋다.As is clear from these graphs, an average single particle size of 0.25μm in-Fe 2 O 3 powder to the γ of the upper magnetic layer and the average single particle size of 0.5μm-Fe 2 O 3 powder to the γ of the lower magnetic layer S / N is good in use, and S / N is particularly preferred in which the coercive force of the lower magnetic layer is 345 ersted and the coercive force of the upper magnetic layer is 410 ersted.

이들의 그래프에서 상층의 자성층에서 사용하는 자성 분말을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을 0.15∼0.35μm의 범위내로 함과 동시에 하층의 자성층에서 사용하는 분말의 평균 단일 입자 지름을 0.4∼0.7μm의 범위내로 하고, 또 보자력은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을 370∼460에르스텟 으로 함과 동시에 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을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의 1.05∼1.5배의 범위내로 하면 S/N이 한층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se graphs, the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of the magnetic powder used in the upper magnetic layer is in the range of 0.15 to 0.35 μm, and the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of the powder used in the lower magnetic layer is in the range of 0.4 to 0.7 μm. In addition, the coercive force of the magnetic layer of the upper layer is 370 to 460 ersted, and the coercivity of the lower magnetic layer is within the range of 1.05 to 1.5 times the coercivity of the magnetic layer of the upper layer.

또, 상하 양 자성층의 두께는 상층의 자성층의 두께를 1.5∼3.0μm 범위내로 하고 하층의 자성층의 두께를 2.5∼3.5μm의 범위내로 해서, 상층의 자성층의 두께 대하층의 자성층의 두께의 비가 3대 7∼6대 5의 범위내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s is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upper magnetic layer is within the range of 1.5 to 3.0 µm and the thickness of the lower magnetic layer is within the range of 2.5 to 3.5 µm. It is desirable to be in the range of 7 to 6 to 5.

하층의 자성층 두께에 비해서 상층의 자성층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중간대역 및 저주파 대역에서의 출력이 저하하고, 너무 얇으면 고주파 대역에서의 출력이 저하하며, 또 노이즈를 충분히 저감할 수가 없다.When the thickness of the upper magnetic layer is too thick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lower magnetic layer, the output in the middle band and the low frequency band is lowered. When the thickness is too thin, the output in the high frequency band is lowered and noise cannot be sufficiently reduced.

제7도는 상하 양 자성층 두께의 비가 노이즈 레벨과 출력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것으로, 상하 양 자성층의 모든 두께를 5.5μm로 하고, 또한 하층의 자성층은 보자력을 345에르스텟, 잔류 자속 밀도를 1800가우스로 하고, 상층의 자성층은 보자력을 410에르스텟, 잔류 자속 밀도를 1300가우스로 해서 상하 양 자성층 두께의 비율을 여러가지로 변화시킬 때, 각 주파수에서의 출력과 노이즈 레벨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다.FIG. 7 shows the effect of the ratio of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 thicknesses on the noise level and the output.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s have all thicknesses of 5.5 μm, and the lower magnetic layer has a coercive force of 345 ersted and a residual magnetic flux density of 1800 gauss. The upper magnetic layer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and the noise level at each frequency when various ratios of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 thicknesses are varied with coercive force of 410 ersted and residual magnetic flux density of 1300 gauss.

이 도면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상층의 자성층의 두께를 3μm보다 두껍게 하면, 노이즈 레벨은 좋아지나 중간대역 및 저주파 대역에서 출력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또 상층의 자성층의 두께를 1.5μm 보다 얇게 하면 고주파 대역에서의 출력이 저하함과 동시에 노이즈 레벨이 크게 된다.As is clear from this figure, when the thickness of the upper magnetic layer is thicker than 3 μm, the noise level is improved, but the output is remarkably lowered in the middle band and the low frequency band, 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upper magnetic layer is thinner than 1.5 μm, the high frequency band is obtained. Output decreases and noise level increases.

따라서, 상하 양 자성층의 두께는 상층의 자성층의 두께를 1.5∼3.0μm 범위내로 하고, 하층의 자성층의 두께를 2.5∼3.5μm의 범위내로 해서, 상층의 자성층의 두께 대 하층의 자성층의 두께의 비를 3대 7∼6대 3의 범위내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층의 자성층의 두께는 1.7∼2.8μm 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erefore, the thicknesses of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s are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upper magnetic layer is within the range of 1.5 to 3.0 μm, the thickness of the lower magnetic layer is within the range of 2.5 to 3.5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upper magnetic layer to the thickness of the lower magnetic layer is in the range. It is preferable to make it into the range of 3 to 7-6: 3, and it turns out that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upper magnetic layer into the range of 1.7-2.8 micrometers.

이와 같은 상하 양 자성층에서 사용되는 자성 분말로서는 예를 들어 γ-Fe2O3분말, Fe3O4분말, Co함유 γ-Fe2O3분말, Co 함유 Fe3O4분말등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서 사용된다.As the magnetic powder used in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s, for example, γ-Fe 2 O 3 powder, Fe 3 O 4 powder, Co-containing γ-Fe 2 O 3 powder, Co-containing Fe 3 O 4 powder, and the like are most suitable. Used.

상하 양 자성층의 형성은 통상의 방법에 준해서 행하면 좋으며, 예를 들면, 우선 폴리에스테르 필름등의 매체 위에 평균 단일 입자 지름(장축 지름)이 0.4∼0.7μm인 자성 분말, 결합제 수지, 유기 용제 및 그외의 첨가제를 포함한 자성 도료를 통상의 수단으로 도포, 건조해서 하층의 자성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이 하층의 자성층 위에 평균 단일 입자 지름(장축 지름)이 0.15∼0.35μm인 자성 분말, 결합제 수지, 유기 용제 및 그외의 첨가제를 포함한 자성 도료를 통상의 수단으로 도포, 건조해서 상층의 자성층을 형성하면 좋다.The formation of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s may be carried ou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first, magnetic powders having a mean single particle diameter (longer axis diameter) of 0.4 to 0.7 μm, a binder resin, an organic solvent, and the like on a medium such as a polyester film. A magnetic paint containing other additives is applied and dried by conventional means to form a lower magnetic layer, and then the magnetic powder, binder resin, or organic material having an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long axis diameter) of 0.15 to 0.35 μm on the lower magnetic lay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pply and dry a magnetic paint containing a solvent and other additives by a normal means, and to form an upper magnetic layer.

여기서 상하 양 자성층에서 사용하는 결합제 수지로서는 염화비닐-초산 비닐계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섬유소계 수지, 이소시안산 화합물등 종래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결합제 수지가 사용된다.Here, as the binder resin used in the upper and lower magnetic layers, a binder resin conventionally used such as vinyl chloride-vinyl acetate copolymer, polyvinyl butyral resin, fibrin resin, and isocyanate compound is used.

또, 유기 용제로서는 메틸 이소부틸 케톤, 메틸 에틸 케톤, 시크로헥사논, 톨루엔, 초산 에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 포름아미드등이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해서 사용된다.Moreover, methyl isobutyl ketone, methyl ethyl ketone, cyclohexanone, toluene, ethyl acetate, tetrahydrofuran, dimethyl formamide, etc. ar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as an organic solvent.

그리고, 자성 도료중에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분산제 , 윤활제, 연마제, 대전방지제 등을 임으로 첨가해서 사용하여도 좋다.In the magnetic paint, various additives commonly used, for example, a dispersant, a lubricant, an abrasive, an antistatic agent, and the like may be added arbitrarily.

다음에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실시예]EXAMPLE

(하층용 자성 도료의 조제)(Preparation of magnetic paint for lower layers)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1

(일본 폴리우레탄 공업사 제, 3관능성 저분자량 이소시안산 화합물)(Polyurethane industry company, trifunctional low molecular weight isocyanate compound)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2

이 조성물을 볼밀 중에서 72시간 혼합 분산해서 하층용 자성 도료를 제조하였다.This composition was mixed and dispersed in a ball mill for 72 hours to prepare a lower magnetic coating material.

(상층용 자성 도료의 조제)(Preparation of magnetic paint for upper layer)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3

이 조성물을 볼밀 중에서 72시간 혼합 분산해서 상층용 자성 도료를 조제하였다.This composition was mixed and dispersed for 72 hours in a ball mill to prepare an upper magnetic coating material.

(2층 자기 테이프 제조)(2 layer magnetic tape production)

두께 약 12μm의 폴리 에스테르 베이스 필름위에 상기 하층용 자성 도료를 도포, 건조하여 표면 처리 를 행한후, 또다시 60℃에서 24시간 건조하여 3μm 두께의 하층의 자성층을 형성하였다.The lower magnetic coating material was applied to the polyester ba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2 μm, dried, and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followed by further drying at 60 ° C. for 24 hours to form a low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3 μm.

이어서 이 자성층에 다시 상기 상층용 자성 도료를 도포, 건조하고, 표면 처리를 행하여 2.5μm 두께의 상층의 자성층을 형성한 후, 소정의 폭으로 재단해서 2층 자기 테이프를 만들었다.Subsequently, the magnetic layer coating material for the upper layer was applied to the magnetic layer, dried, and surface treated to form a magnetic layer having an upper layer of 2.5 μm thickness, and then cut to a predetermined width to form a two-layer magnetic tape.

얻어진 2층 자기 테이프는 하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이 345에르스텟, 잔류 자속 밀도가 1800가우스이고, 상층의 자성층의 보자력이 410에르스텟, 잔류 자속 밀도가 1300가우스였었다.The resulting two-layer magnetic tape had a coercivity of the lower magnetic layer of 345 ersted, a residual magnetic flux density of 1800 gauss, a coercive force of the upper magnetic layer of 410 ersted, and a residual magnetic flux density of 1300 gauss.

실시예1에서 얻어진 자기 테이프에 대해서 주파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각 주파수에서의 출력, 일정왜곡 최대 출력레벨(M.O.L.), S/N특성을 조사한 결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자기 테이프는 제4도의 그래프 C, 제5도의 그래프 B및 제6도의 그래프 D로 표시되는 관계가 얻어졌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magnetic tape obtained in Example 1, the output, constant distortion maximum output level (MOL), and S / N characteristics at each frequency were examined. The relationship shown by C, the graph B of FIG. 5, and the graph D of FIG. 6 was obtained.

이들의 그래프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지는 자기 기록 매체는 주파수 특성중의 특성선의 휘어짐도 없고 모든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양호한 주파수 특성과 좋은 감도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As is clear from these graphs, it can be seen that 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d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 line i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obtains good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good sensitivity in all frequency bands.

또,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지는 자기 기록 매체는 노이즈가 충분히 저감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sufficiently reduced noise.

Claims (2)

매체 위에 평균 단일 입자 지름(장축 지름)이 0.4∼0.7μm 인 자성분말을 포함하는 제1의 자성층을 형성하고, 그위에 평균 단일 입자 지름(장축 지름)이 0.15∼0.35μm인 자성 분말을 포함하고 보자력이 370∼460에르스텟인 제2의 자성층을 2층 형성하여, 상기 상층의 제2자성층의 보자력/하층의 제1의 자성층의 보자력의 비를 1.05∼1.5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매체.Forming a first magnetic layer comprising a magnetic powder having an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long axis diameter) of 0.4 to 0.7 μm on the medium, and containing thereon a magnetic powder having an average single particle diameter (long axis diameter) of 0.15 to 0.35 μm A magnetic recording medium comprising two layers of a second magnetic layer having a coercive force of 370 to 460 erstets, wherein the ratio of the coercive force of the second magnetic layer of the upper layer to the coercive force of the first magnetic layer of the lower layer is set to 1.05 to 1.5.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층의 제2자성층의 두께/하층의 제1의 자성층의 두께의 비가 3/7∼6/5의 범위내에 있는 자기 기록 매체.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agnetic layer in the upper layer / the thickness of the first magnetic layer in the lower layer is in the range of 3/7 to 6/5.
KR1019840005664A 1984-09-17 1984-09-17 Maghnetic memory medium KR9100086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5664A KR910008676B1 (en) 1984-09-17 1984-09-17 Maghnetic memory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5664A KR910008676B1 (en) 1984-09-17 1984-09-17 Maghnetic memory me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785A KR860002785A (en) 1986-04-30
KR910008676B1 true KR910008676B1 (en) 1991-10-19

Family

ID=1923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664A KR910008676B1 (en) 1984-09-17 1984-09-17 Maghnetic memory med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67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785A (en) 1986-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3823A (en) Magnetic recording elements and process of preparation
US4442159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US4624883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US4486496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60124025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US4451535A (en) Magnetic recording elements, process for making the same and their use in recording
EP0175339B2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H087256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US5792570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KR910008676B1 (en) Maghnetic memory medium
JP2744114B2 (en) Multi-frequency superimposed magnetic recording method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for multi-frequency superimposed magnetic head recording
JPH07326035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US4946374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US4818608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2802518B2 (en) Magnetic recording media
JPS59129933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EP0090053A1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2912979B2 (en) Flexible magnetic disk
JP2989874B2 (en) Magnetic recording media
JP2803052B2 (en) Magnetic recording media
JP280276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6032123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H0619829B2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S59129935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H0729151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