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93B1 - Three dimensional parking garage - Google Patents

Three dimensional parking gar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93B1
KR910008093B1 KR1019870008595A KR870008595A KR910008093B1 KR 910008093 B1 KR910008093 B1 KR 910008093B1 KR 1019870008595 A KR1019870008595 A KR 1019870008595A KR 870008595 A KR870008595 A KR 870008595A KR 910008093 B1 KR910008093 B1 KR 910008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ain shaft
platform
cha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5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80011434A (en
Inventor
요리오 미야지
가쯔요시 사메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미야자끼뎃고쇼
요리오 미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미야자끼뎃고쇼, 요리오 미야지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미야자끼뎃고쇼
Publication of KR88001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4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ewage (AREA)
  • Confectioner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입체주차장치Solid parking

제1도 내지 제1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도는 입체주차장치의 전체면정도.1 to 17 show one embodiment of a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n overall view of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제2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2 is a right side view of FIG.

제3도는 펠리트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pellets.

제4도는 승강대 및 이송장치의 확대정면도.4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platform and the transfer device.

제5도는 제4도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FIG.

제6도는 제4도의 요부의 측면도.6 is a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승강대의 요부확대 횡단면도.7 and 8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latform of the platform, respectively.

제9도는 제5도의 확대도.9 is an enlarged view of FIG.

제10도 및 제11도는 각각 이송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확대종단면도.10 and 11 are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of the main portion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transfer device, respectively.

제12도는 체인랙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chain rack.

제13도(a)(b)는 상기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구조도.Figure 13 (a) (b)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제14도는 계합장치 및 그 주변의 확대측면도.14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engaging device and its surroundings.

제15도는 제14도의 횡단면도.FIG. 15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14. FIG.

제16도 및 제17도는 계합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5도의 측면도 및 요부확대도.16 and 17 are side and enlarged views of Fig. 15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ngaging device.

제18도는 종래의 입체주차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구조도.18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100' : 수용랙 200 : 펠리트100,100 ': Rack 200: Pellet

300 : 승강장치 310 : 승강대300: lifting device 310: lifting platform

400 : 이송장치 A : 자동차400: transfer device A: automobile

503 : 계지판 503b,503c : 보스부503: panel 503b, 503c: boss portion

506,507 : 제1, 2의 절결부 508 : 주축506,507: Notch of first and second 508: Spindle

515a,515b : 제1, 2의 위치결정용핀.515a, 515b: positioning pins of the first and second.

본 발명은 한정된 부지내에서 다수대의 자동차를 다단으로 주차시키는 입체구조의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value for parking multiple cars in multiple stages within a limited site.

최근, 자동차의 증가에 따라, 시가지등의 특히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주차장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한정된 설치스페이스에서 다수대의 자동차를 수용할 수 있는 입체주차장치가 보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increase of automobiles, parking lots have to be secured especially in areas with high traffic volume, such as urban areas, and therefore, a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large number of automobiles in a limited installation space has become widespread.

상기 종래의 입체주차장치의 일례를 제18도에 도시하고, 이하 설명한다.An example of the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is shown in FIG. 18 and will be described below.

도면에 있어서, (1)은 구동스프로킷, (2)는 구동스프로킷(1)의 연직(鉛直)하부방향에 배설된 종동스프로킷, (3)은 상기 구동스프로킷(1)과 종동스프로킷(2) 사이에 현가된 체인(4),(4)…는, 상기 체인(3)에, 소정피치마다 배설되어서 내부에 자동차를 수용하는 케이지를 표시한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drive sprocket, 2 a driven sprocket disposed in a vertical lower direction of the drive sprocket 1, and 3 a space between the drive sprocket 1 and the driven sprocket 2; Chains (4), (4) suspended on the edges; Denotes a cage that is disposed in the chain 3 for each predetermined pitch to accommodate the automobile therein.

상기 구동스프로킷(1)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서 정역(正逆) 양 방향으로 적절히 회전방향을 절환해서 구동되고 , 이 구동스프로킷(1)에 현가된 체인(3)을 종동스프로킷(2)과의 사이에서 순환이동시킨다.The drive sprocket 1 is driven by appropriately switch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in both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a drive device (not shown), and drives the chain 3 suspended in the drive sprocket 1 to the driven sprocket 2. It cycles between and.

상기 케이지(4)(4)…는, 체인(3)에 대해서 각각 요동가능하게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체인(3)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age 4, 4. Is configured to always maintain a horizontal state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chain 3 by appropriate means so as to be able to oscillate with respect to the chain 3, respectively.

또한, 자동차의 출입구는 최하방위치의 케이지(4)와 대체로 동일한 위치[제18도의 P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Incidentally,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vehicle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position P in Fig. 18) as the cage 4 in the lowermost position.

상기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출입을 행하려면, 구동스프로킷(1)을 적절히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소망의 자동차를 수용한 케이지(4) 혹은 빈케이지(4)를 최하방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이 위치에 형성된 출입구로부터 자동차의 출입을 행한다.In the above-described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in order to move in and out of a car, the drive sprocket 1 is appropriately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move the cage 4 or the blank cage 4 containing the desired car to the lowest position. The vehicle enters and exits from the doorway formed at this posi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입체주차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순환하는 무단체인(3)에, 소정피치마다 자동차를 수용하는 케이지(4)(4)…를 부착한 구조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has a cage (4) (4)... Because of the structure attached, there was the following problem.

상기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출입시에 소정의 케이지(4)를 최하방의 출입구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체인(3)의 순환구동에 의해서 케이지(4)(4)…를 모두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상기 소정의 케이지(4)를 출입구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가 복잡하며, 체인(3)의 구동원으로도 대출력의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모든 케이지(4)(4)… 및 케이지(4)(4)…에 수용되는 자동차의 중량은, 상기 체인(3) 및 체인(3)의 구동스프로킷(1)에 의해서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강고한 지지구조가 필요하여 장치가 대형화됨과 동시에 고가인 것이 된다.In the above-described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in order to move the predetermined cage 4 to the lowermost entrance and exit when the vehicle enters and exits, the cages 4, 4,... All of them must be moved, and the control for moving the predetermined cage 4 to the entrance is complicated, and a large output is also required as a drive source of the chain 3. And all the cages (4) (4)... And cage 4 (4)... Since the weight of the automobile accommodated in the structure is supported by the chain 3 and the drive sprocket 1 of the chain 3, a rigid support structure is required, and the apparatus becomes large and expensive.

또한, 상기 체인(3)의 순환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케이지(4)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케이지(4)(4)…끼리가 간섭하지 않도록 케이지(4)(4)…의 배설피치 및 구동스프로킷(1)의 직경을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공간이용률의 향상에 제약을 받는다.Regardless of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the chain 3, it is necessary to always keep the cage 4 horizontal, and at the same time, the cages 4, 4,... Cages 4 and 4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Since it is necessary to set the excretion pitch and the diameter of the drive sprocket 1, the space utilization rate is limited.

또한, 입지조건의 변화에 대응시켜서 상기 장치의 자동차수용능력을 변경하는 것은, 그 구조상의 제약에 의해서 매우 곤란하다.In addition, it is very difficult to change the vehicle accommodation capacity of the apparatu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location conditions due to its structural constraint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대향배치된 다단의 수용랙의 한쪽에 상승강하하는 승강대를 가진 승강장치를 배설하고, 자동차가 재치되는 펠리트를 상기 승강대에 배설된 이송장치에 의해서 상기 수용랙과 승강대 사이에서 이송변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에 세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판과, 이 프레임판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고, 직경방향으로 돌출한 계지클릭 및 축선방향으로 돌출한 보스부를 가진 계지판과, 이 계지판의 보스부 양단에 형성된 제1,제2의 절결부와, 상기 계지판에 동축적으로 접동자재케 감장(嵌裝)된 주축과, 이 주축에 관설(貫設)된 제1,제2의 위치결정용핀과, 상기 계지판의 한쪽의 보스부로부터 소정거리 돌출하는 주축의 선단부에 고정용핀을 개재해서 고착된 원주형상의 수압부재와, 상기 계지판의 다른쪽의 보스부로부터 돌출하는 주축의 후단부에 축선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관설된 회전저지용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주축의 접동에 따라서 제1,제2의 위치결정용핀과 제1,제2의 절결부(507)와의 감탈에 의해서 상기 계지판을 소정각도 회전시켜서 펠리트와의 계합, 이탈을 반복하는 계합장치를 상기 이송장치에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elevator device having a platform for lifting and lowering is provided on one side of an opposingly arranged multi-stage receiving rack, and the accommodation device includes a pellet on which the vehicle is placed by the transfer device installed on the platform.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transfer between a rack and a platform, comprising: a base plate, a pair of frame plates vertically and vertically mounted on the base plate, and locking clicks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ame plate. And a stop plate having a boss portion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first and second cutout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ss portion of the stop plate, and a main shaft coaxially and slidingly mounted on the stop plate. And fixing pin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pins attached to the main shaft and the fixing pins at the tip of the main shaft protr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of the bosses of the locking plate. It consists of a cylindrical hydraulic member and a rotation blocking pin perpendicularly to the axis line at the rear end of the main shaft protruding from the other boss of the locking plate, according to the sliding of the main shaft. The transfer device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device for repeating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with the pellets by rotating the locking plate by a predetermined angle by desorption of the positioning pins and the first and second cutouts 507. It is a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는 자동차를 펠리트상에 재치하고, 이 자동차를 펠리트와 함께 승강장치에 의해서 수용 랙의 소정의 단의 높이까지 상승강하시킨 후, 이송장치에 의해서 승강대와 수용랙과의 사이에서 상기 펠리트를 이동 변환하는 것이다. 이때에, 펠리트와 계합장치와의 계합, 이탈을 반복해서 각 수용랙의 각 단에 대해서 자동차를 출입하도록 한 것이다.In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is placed on a pellet, the vehicle is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pellet to the height of the predetermined stage of the storage rack by a lifting device, and then the lifting device and the storage rack are moved by the transfer device. The conversion of the pellets in between. At this time,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pellets and the engagement device is repeated to allow the vehicle to enter and exit the respective stages of each accommodation rack.

제1도 내지 제1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 to 17 show an embodiment of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100)(100')은 수용랙, (200)은 펠리트, (300)은 승강장치, (A)는 자동차를 표시한다.In FIG. 1 and FIG. 2, (100) (100 ') represents a receiving rack, (200) a pellet, (300) a lifting device, (A) shows a motor vehicle.

상기 수용랙(100)(100')은 적절한 형강을 사용해서 구성된 프레임형상의 구축물로서 각각은, 자동차(A)를 재치한 상태의 펠리트(200)를 각단(Ⅰ)(Ⅱ)(Ⅲ)(Ⅰ')(Ⅱ')(Ⅲ')에 1매씩 합계 3매 수용하고, 예비의 빈펠리트(200')를 최하부의 수용선반(102)(102')에 1매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각 펠리트(200)(200')의 수용부위에는, 수용랙(100)(100')의 전면 및 배면쪽에, 폭방향[제1도의 좌우방향]을 따라서 레일(101)(101)…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레일(101)(101)…의 한쪽의 소정위치에는 후술하는 소토퍼부재(110)(110)…가 배치고정되어 있다.The accommodation racks 100 and 100 'are frame-like structures constructed by using a suitable section steel, each of which has a pellet 200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A is mounted. A total of three sheets may be accommodated in each of (I ') (II') and (III '), and one spare bin pellet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lower accommodation shelves 102 and 102 '. On the receiving portion of each of the pellets 200, 200 ', the rails 101, 101,... Are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 1)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receiving racks 100, 100'. This is excreted. And each of the rails 101 and 101.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one of the small stopper members 110, 110, ... Is fixed to the layout.

상기 펠리트(200)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강(201)(201)…, (201')(101')…을 격자형상으로 결합하여, 상부면에 금속판(202)(202)을 부착한 것이므로, 길이방향의 양단부 양쪽에는 상기 펠리트(200)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캐스터(203)(203)…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펠리트(200)의 폭방향 양쪽에는 자동차(A)로부터의 승무원의 승강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스텝(205)(205)이 배설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펠리트(200) 이면에 있어서의 폭방향 양쪽의 각 2개소에는 후술하는 후크부재(210)(210)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수용랙(100)(100')중, 한쪽의 수용랙(100)에는 승강장치(300)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승강장치 (300)는 제1도 및 제2도,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대(310)와, 구동기구(350)와, 펠리트(200)의 이송장치(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랙(100)에 있어서의 수용랙(100')과의 대향하는 쪽에 배설되어 있다.The pellets 200 are formed in the shape steel 201 and 201 as shown in FIGS. 1 to 3. , 201 ', 101'... And the metal plates 202 and 202 ar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casters 203 and 203 for moving the pellets 200 in the width direction are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excreted. Steps 205 and 205 are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ellets 200 to facilitat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rew from the automobile A. Further, the widths on the rear surface of the pellets 200 are provided. The hook members 210 and 210 which are mentioned later are arrange | positioned at each two places of both directions. The elevating device 300 is disposed in one accommodation rack 100 among the accommodation racks 100 and 100 '.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4 to 6, the elevating device 300 includes an elevating table 310, a driving mechanism 350, and a conveying device 400 of the pellet 200. ) And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accommodation rack 100 'in the accommodation rack 100.

상기 승강대(310)는, 형강을 L자형으로 형성한 전후의 프레임(311)(311')을 파이프(312) 및 사다리형상의 연결부재(313)로 연결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313)의 양단부 상부면에는, 수용랙(100)(100')에 설치된 레일 (101)(101)…과 마찬가지의 레일(314)(314)이, 상기 레일(101)(101)…과동 일한 방향, 동일한 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311)(311')의 수직부분에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소 2종류의 안내로울러(316)(317)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안내로울러(316)(317)는 상기 프레임(311)(31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설되고, 상기 수납랙(100)의 양쪽의 I형상(104)(104')의 오목부에 당접시키고 있다. 상기 대형의 안내로울러(316)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형강I(104)(104')의 오목부의 양측면에 당접해서 상기 승강대(310)의 폭방향의 진동,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소형의 안내로울러(317)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I형강 (104)(104')의 오목부의 바닥면에 당접해서 상기 승강대(310)의 길이방향의 진동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대(310)는 안내로울러(316)(317)와 수납랙(100)의 I형강(104)(104')의 오목부와의 당접에 의해서,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수납랙(100)의 측면을 상승강하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lifting platform 310 is formed by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frames 311 and 311 ′ formed with an L-shape with a pipe 312 and a ladder-shaped connecting member 313, and the connecting member 313. Rails 101 and 101 provided on the receiving racks 100 and 100 'on the upper surfaces of both ends. Rails 314 and 314 which are similar to the rails 101 and 101 are provided. Exposed at equal intervals in the same direction. Two types of guide rollers 316 and 317 are disposed in the vertical portions of the frames 311 and 311 ',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guide rollers 316 and 317 are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ames 311 and 311 ', respectively, and are formed in the recesses of the I-shape 104 and 104' on both sides of the storage rack 100. We are in contact. The large guide roller 316 abuts on both sides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beams I 104 and 104 ′ as shown in FIG. 7 to prevent vibration and tilt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form 310. As shown in FIG. 8, the compact guide roller 317 abuts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I-shaped steel 104 and 104 'to prevent the tilting of the platform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Therefore, the platform 310 is always in a horizontal state by abutting the guide rollers 316, 317 and the recesses of the I-shaped steels 104, 104 'of the storage rack 100,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rack 100 can be raised and lowered.

상기 구동장치(350)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강 (104)(104') 위쪽의 수용랙(100) 정상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구동원인 모우터(M1), 스프로킷(351), 모우터(M1)와 스프로킷(351)과의 사이에 개재시킨 기어복스(352) 및 스프로킷(351)에 현가된 체인(353)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riving device 350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receiving rack 100 above the steel 104 and 104 ', and includes a motor M1 and a sprocket as driving sources. 351, a gearbox 352 interposed between the motor M1 and the sprocket 351, and a chain 353 suspended on the sprocket 351.

상기 스프로킷(351)은 수용랙(100)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폴리머블록(354)(354')에 의해서 회전자재케 지지된 샤프트(355)의 양단에 일체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모우터(M1)로부터 기어복스(352)를 개재해서 구동력이 전달된다.The sprocket 351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rack 100 and is integrally fixed to both ends of the shaft 355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olymer blocks 354 and 354 ', and a motor (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M1) via the gearbox 352.

상기 스프로킷(351)(351')에 현가된 체인(353)(353')의 일단은 브래킷(356)(356')을 개재해서 승강대(310)의 프레임(311)(311')의 수직부분의 상부에 계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인(353)(353')의 타탄쪽의 스프로킷(351)(351')으로부터 수직으로 늘어진 부분은, 상기 수용랙(100)과 수직방향으로 배설된 파이프(도시하지 않음)내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체인(353)(353')의 타단에 추를 부착하여 불필요한 진동이나 체인의 벗겨짐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모우터(M1)에 의해서 적절한 방향으로 회동구동되는 스프로킷(351)(351')과 체인(353)(353')의 맞물림에 의해서 상기 승강대(310)는 상승 하강한다.One end of the chains 353 and 353 'suspended on the sprockets 351 and 351' is vertical to the frames 311 and 311 'of the platform 310 via the brackets 356 and 356'. It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n, the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prockets 351 and 351 'on the tartan side of the chains 353 and 353' is accommodated in a pipe (not shown)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accommodation rack 100. At the same time, weights are attached to the other ends of the chains 353 and 353 'to prevent unnecessary vibration and peeling of the chain. Accordingly, the lifting platform 310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engagement of the sprockets 351 and 351 'and the chains 353 and 353' which are rotated and driven in the proper direction by the motor M1.

상기 펠리트(200)의 이송장치(400)는 승강대(310)의 수용랙(100)(100') 사이에서 펠리트(200)를 이송하는 것으로서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식의 신축식아암(410)과, 펠리트(200)와의 계합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신축식 아암(410)은 승강대(310)의 연결부재(313)의 상부면의 앞쪽과 뒤쪽의 합계 2개소에, 승강대(310)의 폭방향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하 한쪽의 이송장치(400)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conveying apparatus 400 of the pellet 200 is to transfer the pellet 200 between the receiving rack 100, 100 'of the platform 310 as shown in Figures 4 to 6 Composed of a multi-stage telescopic arm 410 and the engaging device of the pellet 200, the telescopic arm 410 is a total of two front and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313 of the platform 310 It attaches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form 310 at the place, and demonstrates one conveyance apparatus 400 below.

상기 신축식 아암(410)은, 3본의 아암(420)(440)(460)으로 이루어지며, 1단째의 제1아암(420)은 상기 연결부재(313)에 고정되어 있다.The telescopic arm 410 is composed of three arms 420, 440 and 460, and the first arm 420 of the first stage is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313.

상기 제1아암(420)은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310)의 연결부재(313)에 있어서의 파이프형상부재(315)상에 배치된 2본의 단면이 C자 형상인 안내레일 (421)(421)과, 상기 안내레일(421)(421)의 내측양쪽부분에 상기 안내레일 (421)(421)을 따라서 배설된 체인(422)(422)과, 구동용모우터(M2)로 구성된다. 상기 각 체인(422)(422)은 각 안내레일(421)(421)의 내측 양단부에 회전자재케 배설된 로우프풀리(423)(423),(424)(424)에 각각 현가되고, 또한 각 안내레일(421)(421)의 내측 대략 중앙부분에 배설된 구동스프로킷(425)(425)에 현가되어서 상기 구동스프로킷(425)(425)의 전후에 배설된 로우프풀리(426)(426),(427)(427)에 걸쳐서 현가된다. 상기 체인(422)(422)의 상부쪽은 안내레일(421)(421)에 부착된 단면이 L자형상인 체인레일(428)(428)에 의해서 느슨해지지 않도록 지지되고, 상기 체인(422)(422)의 하부쪽은 상기 파이프형상부재(315)상에 배설된 체인레일(429)(429)에 의해서 느슨해지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스프로킷(425)(425)은 플러머블록 (432)(432)에 의해서 축지된 샤프트(433)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 샤프트(433)에 일체적으로 고착된 또다른 하나의 스프로킷(434)과 구동모우터(M2)의 출력축에 고착된 스프로킷(435)사이에 현가된 구동체인(436)에 의해서 구동모우터(M2)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422)(422)은 구동용모우터(M2)에 의해서 구동스프로킷(425)(425)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체인레일(428)(428),(429)(429)에 의해서 느슨해지지않도록 지지된 상태로 양단부의 로우프풀리(423)(423),(424)(424)사이를 순환회전한다. 또한, 상기 체인레일(429)(429) 사이에는, 이체 인레일(429)(429)과 평행으로 또 다른 하나의 체인레일(430)이 파이프 형상부재(315)에 대해서 고정되고, 이 체인레일(430)의 양단부에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체로 D자형상을 이루고, 곡선형상 가장자리부에 체인과 맞물리는 톱니부(431a)(431a)…를 형성한 랙형상부재[이하 체인랙이라 칭함](431)(431)가 고정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 to 11, the first arm 420 has two cross sections C disposed on the pipe member 315 of the connecting member 313 of the platform 310. Guide rails 421 and 421 having a magnetic shape, chains 422 and 422 disposed along the guide rails 421 and 421 on both inner portions of the guide rails 421 and 421, and driving. It is composed of a dragon motor (M2). The chains 422 and 422 are suspended on rope pulleys 423, 423, 424 and 424, which are disposed on both inner ends of the guide rails 421 and 421, respectively. Rope pulleys 426 and 426 suspended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driving sprockets 425 and 425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guide rails 421 and 421, respectively. Suspension over (427) (427). The upper sides of the chains 422 and 422 are supported so as not to be loosened by the chain rails 428 and 428 having L-shaped cross sections attached to the guide rails 421 and 421, and the chains 422 ( The lower side of 422 is supported so as not to be loosened by the chain rails 429 and 429 disposed on the pipe-shaped member 315. The drive sprockets 425 and 425 are integrally attached to the shaft 433 which is moistened by the plummer blocks 432 and 432 and another sprocket integrally fixed to the shaft 433.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M2 is transmitted by the driving chain 436 suspended between the 434 and the sprocket 435 fix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ing motor M2. Therefore, the chains 422 and 422 rotate the driving sprockets 425 and 425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driving motor M2 to the chain rails 428, 428 and 429. Rotating between the rope pulleys 423, 423, 424, 424 at both ends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so as not to loosen by. In addition, between the chain rails 429 and 429, another chain rail 430 is fixed to the pipe-shaped member 315 in parallel with the transfer in-rails 429 and 429. The teeth 431a and 431a... Which have a substantially D-shape at both ends of 430 and that are engaged with the chain at the curved edges as shown in FIG. 12. Rack-shaped memb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ain racks) 431 and 431 which are formed thereon are fixedly installed.

제2아암(440)은 상기 제1아암(420)상에, 길이방향을 일치시켜서 복설(覆設)되어 있다.The second arm 440 is arranged on the first arm 42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2아암(440)은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편이 대체로 ㄷ자형상을 이루고, 내측 양쪽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안내플레이트(441)(441)… 및 안내로울러(442)(442)…가 교호로 배설되어 있다. 이 제2아암(440)의 안내플레이트(441)(441)… 및 안내로우러(442)(442)는 상기 제1아암(420)의 안내레일(421)(421)의 오목홈(421a)(421a)에 끼워 넣어져 있으며, 상기 안내플레이트(441)(441)…가 폭방향의 진동을 규제하고, 상기 안내로울러(442)(442)…가 상하방향의 진동을 규체함과 동시에 제2아암(440) 및 제2아암(44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함으로서, 상기 제2아암(440)은 제1아암(4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 to 11, the second arm 440 has a generally c-shaped piece, and guide plates 441, 441... And guide rollers 442 and 442. Are alternately excreted. Guide plates 441 and 441 of the second arm 440. And guide rollers 442 and 442 are fitted into the concave grooves 421 a and 421 a of the guide rails 421 and 421 of the first arm 420, and the guide plates 441 and 441. )… The vibra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regulated, and the guide rollers 442 and 442 are provided. The second arm 440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rm 420 by supporting the loads applied to the second arm 440 and the second arm 440 at the same time. It is movable.

상기 제2아암(440)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오목부(4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443)의 폭방향의 중앙부에는 상기 오목부(44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의 체인레일(444)이 배설되어 있다.A recess 443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rm 44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cess 444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ss 443 i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ss 444. The chain rail 444 similar to description is arrange | positioned.

또한, 상기 오목부(443)에 있어서의 체인레일(444)의 양단부 근처에는 창구멍(445)(445)이 뚫려 설치되고, 이 창구명(445)(445)내에는 로우프폴리(446)(446)가 회전자재케 수용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우프풀리(446)에는 무단체인(447)이 현가되어 있고, 이 체인(447)의 상부부분은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로 상기 체인레일(444)에 의해서 느슨해지지 않도록 지지되고, 하부쪽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부분 혹은 전체가 제1아암(420)의 체인레일(430)에 의해서 지지됨과 동시에 제1아암(420)의 체인랙(431)(431)과 맞물린다.In addition, window holes 445 and 445 ar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both ends of the chain rail 444 in the concave portion 443. Rope polys 446 and 446 are provided in the window openings 445 and 445. ) Is housed in a rotating position. In addition, the rope pulley 446 has a suspension 447 is suspended, the upper portion of the chain 447 is supported so as not to be loosened by the chain rail 444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side will be described later As described above, a part or the whole thereof is supported by the chain rail 430 of the first arm 420 and engaged with the chain racks 431 and 431 of the first arm 420.

상기 제2아암(440)의 길이방향 양단부 부근의 양쪽에 있어서의 내측상부벽부에는, 각각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의 체인랙(448)(448)…이 합계 4개 배치고정되어 있으며, 이 체인랙(448)(448)…은, 상기 제1아암(420)의 체인(422)(422)의 상부쪽과 맞물린다. 따라서, 제2아암(440)은, 제13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아암(420)의 로우프풀리(423)(423),(424)(424)사이를 순환하는 체인(422)(422)과, 체인랙(448)(448)과의 맞물림에 의해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아암(420) 및 제2아암(440)은 길이방향으로 대칭형이므로, 제13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아암(440)은 길이방향으로 대칭형이므로, 제13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아암(440)은 오른쪽방향으로의 이동뿐만아니라, 체인(422)(422)을 역방향으로 순환시킴으로서, 왼쪽방향으로도 이동한다. 그런데 제2아암(440)의 체인랙(448)(44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호형상부에 톱니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2아암(440)의 이동에 의해서 제1아암(420)의 체인(422)과 적절히 결합이탈이 가능하고, 상기 제2아암(440)의 이동시에 있어서는, 진행방향 뒤쪽의 2개의 체인랙(448)(448)이 각각 제1아암(420)의 체인(422)(422)과 맞물리고, 앞쪽의 2개의 체인랙(448)(448)은 체인(422)(422)으로부터 이탈한다.Chain racks 448, 448,... Which are the same as the above description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inner upper wall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second arm 440. These four batch racks are fixed, and the chain racks 448 and 448. Is engaged with the upper side of the chains 422 and 422 of the first arm 420.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3A, the second arm 440 is a chain circulating between the rope pulleys 423, 423, 424, 424 of the first arm 420. 422) 422 and the chain racks 448 and 448 mo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rm 420 and the second arm 440 are symmetri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arm 440 is symmetri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As shown in (a), the second arm 440 moves not only in the right direction but also in the left direction by circulating the chains 422 and 422 in the reverse direction. However, the chain racks 448 and 448 of the second arm 440. Since the tooth is formed in the arc-shaped por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arm 440 can be appropriately disengaged from the chain 422 of the first arm 420 by moving the second arm 440. At the time of movement of the 440, the two chain racks 448 and 448 at the rear of the advancing direction mesh with the chains 422 and 422 of the first arm 420, respectively, and the two front chain racks 448. ) 448 deviates from the chains 422, 422.

또한, 상기 제2아암(440)의 외측양쪽면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안내플레이트(449)(449)… 및 안내로울러(450)(450)가 교호로 배설되어 있다.Further, guide plates 449, 449,...,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upper sides of the outer sides of the second arm 440. And guide rollers 450 and 450 are alternately arranged.

상기 제3아암(460)은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대체로 ㄷ자형상을 이루고, 내측양쪽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안내홈(461)(4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461)(461)과, 상기 제2아암(440)의 안내플레이트(449)(449)… 및 안내로울러(450)(450)…와의 감삽(嵌揷)에 의해서 제3아암(460)을, 제2아암(44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아암(440)의 길이방향과 일치시킨 상태로 복설되어 있다. 상기 제3아암(460) 내측상부 벽부의 길이방향 양단부 부근에 있어서의 폭방향 중앙부분에는,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의 체인랙(462)(462)이 배치고정되고, 이 체인랙(462)(462)은 제2아암(440)에 배설된 체인(443)의 상부쪽 부분과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 to 11, the third arm 460 has a substantially c-shaped cross section, and guide grooves 461 and 461 are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guide grooves 461 and 461 and the guide plates 449 and 449 of the second arm 440. And guide rollers 450 and 450. The third arm 460 is duplicated in a state coinciding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arm 440 so that the third arm 460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arm 440 by interpolation with the vortex. Chain racks 462 and 462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are disposed and fixed to the widthwise center portions near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third arm 460 inner upper wall portion, and the chain racks 462 and 462.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chain 443 disposed on the second arm 440.

따라서, 상기 제3아암(460)은, 제13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아암(440)의 이동에 따라서 제1아암(420)의 체인랙(431)과의 맞물림에 의해서 로우프풀리(446)(446)사이를 순환하는 제2아암(440)쪽의 체인(447)과, 제3아암(460)의 체인랙(462)과의 맞물림에 의해서, 제1아암(420)에 대한 제2아암(440)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제2아암(440)에 대해서 이동한다. 또한, 제1내지 제3아암(420)(440)(460)은 모두 길이방향에 대해서 대칭이므로, 제13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방향으로의 이동뿐만아니라, 제1아암(420)의 체인(422)(422)을 역방향으로 순환시킴으로서, 왼쪽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각 체인(431)(431),(462)(462)은 상술한 체인랙(448)(448)…과 마찬가지로 제2, 제3아암(440)(460)의 이동에 따라서 적절히 체인(447)과 결합, 이탈한다.Accordingly, the third arm 460 is engaged with the chain rack 431 of the first arm 420 as the second arm 440 moves, as shown in FIG. 13 (b). The first arm 420 is engaged by the chain 447 of the second arm 440 circulating between the rope pulleys 446 and 446 and the chain rack 462 of the third arm 460. It mov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arm 440 at the same speed as the movement speed of the second arm 440 relative to. In addition, since the first to third arms 420, 440, and 460 are all symmetric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to third arms 420, 440, and 460 are no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circulating the chains 422 and 422 of the arm 420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chains 431, 431 and 462 can be moved in the left direction. 448)... Similarly, as the second and third arms 440 and 460 move, the chain 447 is appropriately engaged and disengaged.

또한, 상기 제3아암(460)의 외측 한쪽면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대체로 중앙 부근의 2개소에는 상기 펠리트(200)와의 계합장치(500)(500)가 배설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ngaging devices 500 and 500 with the said pellet 200 are arrange | positioned in two places near the center substanti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outer one side of the said 3rd arm 460.

상기 계합장치(500)는, 제14도 및 제15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아암(460)의 외측벽에 고착되는 베이스판(501)과 ,베이스판(501)에 세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판(502a)(502b)과, 프레임판(502a)(502b)에 지지된 계지판(503)과, 계지판(503)에 배설된 직선운동-회전운동의 변환기구(504)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engaging device 500 is perpendicular to the base plate 501 and the base plate 501 which are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third arm 460. A pair of frame plates 502a and 502b provided in the frame; a locking plate 503 supported by the frame plates 502a and 502b; and a converter mechanism 504 for linear-rotational movement disposed on the locking plate 503. It is composed of

상기 계지판(503)은,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계지클릭(503a)(503a) 및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보스부(503b)(503c)를 가진 것이고. 프레임판(502a)(502b)에 베어링(505)(505)를 개재해서 회전자재케 지지된다. 상기 보스부(503b)(503c)의 각각의 단부에는,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한 기울기를 가진 안내면(506a)(507a)과, 안내면(506a)(507a)에 연결된 곡부(谷部)(506b)(507b)로 이루어진 제1, 제2의 절결부(506)(507)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제1, 제2의 절결부(506)(507)는 연속해서, 일정한 피치[보스직경을 d라고 하면. 피치는 π/4×d로 표시되는 거리]로 형성되고, 제1의 절결부(506)가 동도면에서 수직선에 대해서 +θ。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하여, 제2의 절결부(507)는 동도면에서 수직선에 대해서 -θ°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제1, 제2의 절결부(506)(507)끼리는 일정한 거리 [π/12×d로 표시되는 거리]떨어진 상태에 있다.The locking plate 503 has locking clicks 503a and 503a projecting in the radial direction and bosses 503b and 503c projecting in the axi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14 and 15. . The frame plates 502a and 502b are rotatably supported via the bearings 505 and 505. At each end of the boss portions 503b and 503c, the curved portions connected to the guide surfaces 506a and 507a and the guide surfaces 506a and 507a have a constant slope as shown in FIG. First and second cutouts 506 and 507 made up of 506b and 507b are formed. These 1st, 2nd notch parts 506 and 507 are continuous, and let suppose a fixed pitch (boss diameter is d). The pitch is formed by a distance represented by π / 4 × d, and the second cutout 507 has a slope of + θ °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in the same plane as the first cutout 506. Has an inclination of -θ °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in the same drawing, and the first and second cutouts 506 and 507 are in a constant distance [distance indicated by [pi] / 12xd].

상기 변환기구(504)는, 계지판(503)과 동축적으로 감장된 주축(508)을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주축(508)은 제3아암(460)의 이동방향 즉, 펠리트(200)의 이송방향과 병행하게 접동가능한 상태에 있다. 상기 계지판(503)의 한쪽의 보스부(503b)로부터 소정거리 돌출하는 주축(508)의 선단부에는 대체로 원주형상의 수압부재(509)가 고정용핀(510)를 개재해서 고착되고, 한쪽의 프레임판(502a)의 외측벽에 부착된 스프링시이트(511)와 수압부재(509)와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512)을 개재시키고 있다. 또 계지판(503)의 다른쪽의 보스부(503c)로부터 돌출하는 주축(508)의 후단부에는 회전저지용핀(513)이 축선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관설됨과 동시에, 다른쪽의 프레임판(502b)의 외측벽에는 서로 대향해서 만나는 오목부(514a)(514a)를 형성한 한쌍의 안내바아(514)(514)를 수직으로 설치해서, 상기 회전저지핀(513)의 양단부를 안내바아(514)(514)사이에 감장하고 있다. 상기 수압부재(509)는 신축식아암(400)을 수용랙(100)(100')쪽으로 신장시켰을 경우, 제3아암(460)이 소정위치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수용랙(100)(100')에 설치된 스토퍼부재(110)에 당접하고, 상기 제3아암(460)의 최대이동위치까지의 이동에 따라서, 소정스트로우크 압압된다. 이때에 상기 주축(508)은 회전저지핀(513)이 안내바아 (514)(514)에 의해서 협지되어 있으므로, 회전시키지 않고 축선방향으로 접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주축(508)의 계지판(503)의 보스부(503b)(503c)로부터 돌출하는 양단부분에는 1쌍의 제1,제2의 위치결정용핀(515a)(515b)이 축선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관설되어 있다. 따라서, 주축(508)의 접동에 따라서 제1의 위치결정핀(515a)이 한쪽의 보스부(503b)의 제1의 절결부(506)에 감입함과 동시에, 제2의 위치결정핀(515b)이 다른쪽의 보스부(503c)의 제2의 절결부(507)로부터 빠져서 계기판(503)을 일정한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킨다.The converter tool 504 uses a main shaft 508 coaxially wound with the stopper plate 503, and the main shaft 508 moves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hird arm 460, that is, of the pellet 200. It is in a slidable state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A cylindrical cylindrical hydraulic member 509 is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main shaft 508 project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boss portion 503b of the locking plate 503 via a fixing pin 510, and one frame A compression spring 512 is interposed between the spring sheet 511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plate 502a and the hydraulic member 509. At the rear end of the main shaft 508 protruding from the other boss portion 503c of the locking plate 503, the rotation stopping pin 513 is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axis line and the other frame plate 502b. A pair of guide bars 514 and 514 that form concave portions 514a and 514a opposed to each other on the outer wall of the vertical wall, so that both ends of the rotary blocking pin 513 are guide bars 514. I am wearing between 514. When the hydraulic member 509 extends the stretchable arm 400 toward the receiving rack 100, 100 ′, the receiving rack 100, 100 when the third arm 460 mov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predetermined stroke are p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to the stopper member 110 provided at the ') and up to the maximum movement position of the third arm 460. At this time, the main shaft 508 is the rotation blocking pin 513 is sandwiched by the guide bar 514, 514, so that it can slide in the axial direction without rotating. However, a pair of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pins 515a and 515b are provided at both ends protruding from the boss portions 503b and 503c of the locking plate 503 of the main shaft 508 with respect to the axis line. It is administ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positioning pin 515a penetrates into the first cutout portion 506 of one boss portion 503b as the main shaft 508 slides,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positioning pin 515b. ) Comes out of the second notch 507 of the other boss 503c, and the instrument panel 503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constant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주축(508)의 접동에 따라 계지판(503)의 회전동작을 제16도 및 제17도를 참조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초기상태에서는 압축스프링(512)에 의해서 수압부재(509)가 일정한 방향 [제15도에서 화살표(Ⅰ)로 표시함]으로 부세되고 있으므로, 계기판(503)의 제1의 위치결정용핀(515a)은 제1의 절결부(506)와 이격하고, 제2의 위치결정용 핀(515b)은 제2의 절결부(507)의 곡부(507b)에 감입하고 있으며, 계지클릭(503a)(503a)은 프레임판(502a)(502b)내에 수용되어 있다. [제16도 및 제17도에서 (a)로 표시함.]그리고, 제3아암(460)을 신장시켜서 스토퍼부재(110)와 수압부재(509)를 당접시키고, 이 상태로부터 제3아암(460)의 최대이동위치까지의 이동에 따라서, 수압부재(509)가 압압[제15도에서 화살표(Ⅱ)로 표시함]로 되므로 제1의 위치결정용 핀(515a)이 제1의 절결부(506)의 안내면(506a)을 따라서 곡부(506b)에 감입함과 동시에 제2의 위치결정용 핀(515b)이 제2의 절결부(507)의 곡부(507b)로부터 빠진다[제17도에서 (b)(c)로 표시함]. 상기 제1의 위치결정용 핀(515a)의 제1의 절결부(506)의 감입에 따라서, 계지판(503)이 일정한 방향[제16도에서 화살표(Ⅲ)로 표시함]으로 60℃ = (π/6) 회전하고, 계지클릭(503a)(503b)이 프레임판(502a)(502b)으로부터 돌출해서 펠리트(200)의 후크부재(210)와의 계합이 행해진다 [제16도에서 (c)로 표시함]. 그 후, 신축식아암(410)이 축소되어서 수압부재(509)와 스토퍼부재(110)가 이격하면, 압축스프링(51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주축(508)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돌출한다[제15도에서 화살표위치로 표시함]. 이 수압부재(509)가 복귀함에 따라서 제1의 위치결정용 핀(515a)은 곡부(506b)로부터 빠짐과동시에, 제2의 위치결정용핀(515b)은 제2의 절결부(507)의 안내면(507a)에 당접한다 [제17도에서 (d)로 표시함]. 또한 이 상태로부터 제2의 위치결정용 핀(515b)은 안내면(507a)을 따라서 곡부(507b)에 감입하고[제17도에서 (e)로 표시함]. 상기 제2의 위치결정용 핀(515b)에 의해서 계지판(503)이 일정한 방향[제16도에서 화살표(Ⅲ)로 표시함]으로 30°[=π/12]회전한다. [제16도에서 (e)로 표시함]. 이때, 후크부재(210)와 계지클릭(503a)과의 계지상태는 유지되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주축 (508)의 왕복직선운동에 의해서 계지판(503)은 결과적으로 90°[π/4]씩 회전하게 되어서, 후크부재(210)와의 계합, 이탈을 반복하는 것이다.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locking plate 503 according to the sliding of the main shaft 508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6 and 17. In the initial state, since the hydraulic member 509 is bias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I in FIG. 15) by the compression spring 512, the first positioning pin 515a of the instrument panel 503.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tout 506, the second positioning pin 515b is inserted into the curved portion 507b of the second cutout 507, and the locking clicks 503a and 503a are inserted. Is housed in the frame plates 502a and 502b. (It is indicated by (a) in FIG. 16 and FIG. 17.) Then, the third arm 460 is extended to abut the stopper member 110 and the hydraulic member 509. From this state, the third arm ( As the hydraulic member 509 becomes pressurized (indicated by arrow II in FIG. 15)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to the maximum moving position of the 460, the first positioning pin 515a becomes the first notch. The second positioning pin 515b is pulled out of the curved portion 507b of the second cutout 507 along with the guide surface 506a of 506 along the guide surface 506a (in FIG. 17). (b) denoted by (c)]. In accordance with the indentation of the first notch 506 of the first positioning pin 515a, the locking plate 503 is 60 deg. C in a constant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III in Fig. 16) = (π / 6), the locking clicks 503a and 503b protrude from the frame plates 502a and 502b, and engage with the hook member 210 of the pellet 200. [Fig. c). After that, when the elastic arm 410 is contracted and the hydraulic member 509 and the stopper member 110 are spaced apart, the main shaft 508 is projected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512. [Indicated by the arrow position in FIG. 15]. As the hydraulic member 509 returns, the first positioning pin 515a is pulled out of the curved portion 506b, and the second positioning pin 515b is the guide surface of the second cutout 507. As shown in FIG. Abut 507a (indicated by (d) in FIG. 17). From this state, the second positioning pin 515b is inserted into the curved portion 507b along the guide surface 507a (indicated by (e) in FIG. 17). By the second positioning pin 515b, the locking plate 503 is rotated by 30 ° [= pi / 12] in a fixed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III in FIG. 16). [Indicated by (e) in FIG. 16]. At this time, the locking state between the hook member 210 and the locking click 503a is maintained, and as a result of the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of the main shaft 508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plate 503 is 90 ° [π / 4]. ] To rotate by, repeating engagement with the hook member 210, the separation.

다음에, 상기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의 자동차의 수용 및 인출요령을 설명한다. 또한,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수용랙(100)(100')에 전혀 자동차(A)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것이라 하고, 승강장치(300)는 그 승강대(310)를 최강하 위치까지 강하시킨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이 초기상태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310)의 레일(314)(314)에는 미리 승강장치(300) 및 이송장치(400)를 적절히 조작함으로서, 수납랙(100)(100')의 적당한 단위치, 예를 들면,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에 배설되어 있던 펠리트(200)가 재치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Next, how to store and take out a car in the above-described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the initial state,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A is no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racks 100 and 100 'at all, and the lifting device 300 lowers the lifting platform 310 to the lowest position. Assume it is stationary. In this initial state, the rails 314 and 314 of the platform 310 are appropriately operated in advance by appropriately operating the lifting device 300 and the conveying device 400 so that the storage racks 100 and 100 'can be properly disposed. The unit value, for example, the pellet 200 disposed at the upper end III of the accommodation rack 100 is placed.

먼저, 자동차(A)를 수용하는데 있어서는, 상기 승강대(310)상의 펠리트(200)상에 경사판(150)(150)을 경유해서 자동차(A)를 이동시켜서 정차시킨다.First, in accommodating the motor vehicle A, the motor vehicle A is stopped by moving on the pellets 200 on the platform 310 via the inclination plates 150 and 150.

다음에 승강장치(300)를 동작시켜서, 자동차(A)가 정차한 상기의 펠리트(200)가 본래 수용되어 있던 단(Ⅲ)의 높이가 될 때까지 상기 승강대(310)를 상승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의 단(Ⅲ)의 레일(101)(101)와 승강대(310)의 레일(314)(314)이 동일한 수평면상에 직선형상으로 위치하고 있다.Next, the lifting device 300 is operated to raise the lifting platform 310 until the height of the stage III in which the pellet 200 on which the vehicle A is stopped is originally stored. In this state, the rails 101 and 101 of the stage III and the rails 314 and 314 of the platform 310 are linearly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그리고,이송장치(400)(400)의 구동용모우터(M2)를 소정방향으로 작동시킨다. 그렇게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아암(440)은 구동용모우터(M2)에 의해서 로우프풀리(423)(423),(424)(424)사이를 순환하는 체인(422)(422)과 제2아암(440)의 체인랙(448)(448)과의 맞물밀에 의해서 소정방향, 즉 도면에서 오른쪽으로 수용랙(100)을 향해서 제1아암(420)으로부터 돌출한다. 동시에 이 제2아암(440)의 이동에 따라서, 제2아암(440)에 배설된 체인(447)은 제1아암(420)의 체인랙(431)과의 맞물림에 의해서 로우프폴리(446)(446)사이를 순환하고, 이 체인(447)의 순환동작은, 이 체인(447)과 맞물리는 제3아암(440)의 체인랙(462)에 의해서 제3아암(460)에 전달되고, 상기 제3아암(460)은 제2아암(440)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제2아암(440)에 대해서 돌출한다.Then, the driving motor M2 of the transfer apparatus 400 or 400 is oper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arm 440 and the chain 422, 422 circulating between the rope pulleys 423, 423, 424, 424 by the driving motor (M2) The engagement of the second arm 440 with the chain racks 448 and 448 protrudes from the first arm 420 toward the receiving rack 10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at is, to the right in the drawing.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arm 440, the chain 447 disposed on the second arm 440 is engaged with the chain rack 431 of the first arm 420 by the rope poly 446 ( 446 cycles through, the circulation operation of the chain 447 is transmitted to the third arm 460 by the chain rack 462 of the third arm 440 engaged with the chain 447, The third arm 460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arm 440 at the same spe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arm 440.

그리고, 상기 제3아암(460)과 계합상태에 있는 펠리트(200)는, 제3아암(460)과 동일한 속도로, 승강대(310)의 레일(314)(314)상으로부터 단(Ⅲ)의 레일(101)(101)을 향해서 이동하고, 상기 제3아암(460)이 소정위치까지 돌출하면, 제3아암(460)의 길이방향 오른쪽에 배설된 계합장치(500)의 수압부재(509)가 수용랙(100) 쪽의 스토퍼부재(110)의 당접해서 상대적으로 압압되기 때문에 주축(512)이 접동한다. 그렇게 하면, 제1,제2의 위치결정용 핀(515a)(515a)과, 제1, 제2의 절결부(506)(507)와의 감탈에 의해서, 계지판(503)은 소정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스토퍼부재(110)와의 당접의 해제에 따라서 소정방향으로 회전하여, 펠리트(200)의 후크부재(210)와 계지판(503)의 계지클릭(503a)과의 계합상태가 해제되어, 상기펠리트(200)는 자동차(A)를 탑재한 상태에서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의 레일(101)(101)상에 재치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검출기구에 의해서 상기 신축식 아암(410)의 작동은 정지되어 있으며, 또, 상기 펠리트(200)는 도시하지 않은 자동로크기구에 의해서, 상기 레일(101)(101)상에 확실하게 재치된 상태로, 레일(101)(101)상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로크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ellet 200 in engagement with the third arm 460 is stepped from the rails 314 and 314 of the platform 310 at the same speed as the third arm 460. The hydraulic member 509 of the engaging device 500 disposed on the righ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arm 460 when the third arm 460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moves toward the rails 101 and 101 of the second arm 460. Is pressed against the stopper member 110 on the receiving rack 100 side, and the main shaft 512 slides. In doing so, the stopper plate 503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decay of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pins 515a and 515a and the first and second cutouts 506 and 507. Further, by rot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lease of the contact with the stopper member 110, the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hook member 210 of the pellet 200 and the locking click 503a of the locking plate 503 is released. In addition, the pellets 200 are placed on the rails 101 and 101 of the upper end III of the accommodation rack 100 in the state in which the automobile A is mounted. In this state, the operation of the telescopic arm 410 is stopped by a detector mechanism not shown, and the pellets 200 are operated by the automatic locking mechanism (not shown). It is locked so that it may not move on the rail 101 (101) in the state mounted on the image reliably.

다음에, 상이 이송장치(400)의 구동모우터(M2)를 상기와 반대로 역회전시켜, 상기와 반대의 요령으로 제2,제3아암(460)(460)을 제1아암(420)상에 복귀시킨다.Next, the drive motor M2 of the transfer apparatus 40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and the second and third arms 460 and 460 are mounted on the first arm 420 in the opposite manner to the above. Return to

그리고, 수용랙(100)(100')의 다른 단(I)(II), (Ⅰ')(Ⅱ')(Ⅲ')의 레일(101)(101)상의 빈펠리트(200)중의 하나를 승강대(310)상에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장치(300) 및 이송장치(400)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도면에서 왼쪽의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의 펠리트(200)를 수용할 경우, 상기 승강대(310)을 상TNF한 최상위치에서 정지시킨 상태로, 이송장치(400)의 구동용모우터(M2)를 역회전시켜서, 상기 설명한 요령으로 제2아암(440), 제3아암(460)을 도면에서 왼쪽방향으로 향해서 돌출시킨다. 그리고 제3아암(460)이 소정위치까지 이동하면, 제3아암(460)의 길이방향 왼쪽에 배설한 계합장치(500)의 수압부재(509)가 수용랙(100')쪽의 스토퍼부재(110)와 당접해서 상대적으로 압압되게 됨으로서 계지판(503)이 60°소정방향으로 회전해서 펠리트(200)의 후크부재(210)의 계합되고, 스토퍼부재(110)와의 당접해제에 따라서 30°소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검출기구에 의해서, 상기 신축식아암(410)의 작동이 정지되어 있으며, 또 도시하지 않는 자동로크기구에 의해서, 레일(101)(101)상에서의 펠리트(200)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And one of the hollow pellets 200 on the rails 101 and 101 of the other stages I (II) and (I ') (II') (III ') of the accommodation racks 100 and 100'. In order to accommodate the on the platform 310, the lifting device 300 and the transfer device 400 is operated.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pellet 200 of the uppermost stage (III ') of the accommodation rack 100' on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the platform 310 is stopped at the uppermost value of the upper TNF, the transfer apparatus The driving motor M2 of 400 is rotated in reverse to protrude the second arm 440 and the third arm 460 toward the left in the drawing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When the third arm 460 moves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hydraulic member 509 of the engaging device 500 disposed on the lef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arm 460 is disposed at the stopper member (the side of the receiving rack 100 '). The pressing plate 503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contacting with the 110, thereby engaging the hook member 210 of the pellet 200 and disengaging the stopper member 110. ° Rotate in the prescribed direction.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telescopic arm 410 is stopped by a detector mechanism not shown, and the pellets on the rails 101 and 101 are stopped by an automatic locking mechanism (not shown). The locked state of 200 is released.

이 상태에서, 이송장치(400)의 구동용모우터(M2)를 경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2,제3아암(440)(460)을 제1아암(420)상에 복귀시키면 이 제3아암(460)의 퇴입동작에 의해서 계합장치(500)에 의해서 제3아암(460)과 계합상태에 있는 펠리트(200)는,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의 레일(101)(101)로부터 승강대(310)의 레일(314)(314)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승강장치(300)를 작동시켜서, 상기의 승강대(310)를 최하위까지 강하시킨후, 상기 승강장치(300)를 정지시킨다.In this state, when the driving motor M2 of the feeder 400 is rotate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second and third arms 440 and 460 are returned to the first arm 420. The pellet 200 which is engaged with the third arm 460 by the engaging device 500 by the retracting operation of the 460 is the rail 101 of the upper end (III ') of the accommodation rack 100'. It moves from 101 to the rails 314 and 314 of the platform 310. In this state, the elevator 300 is operated to lower the platform 310 to the lowest level, and then the elevator 300 is stopped.

이 상태의 승강대(310)상의 펠리트(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로로서도 가능하고 있고, 이 상태로부터 다시 자동차(A)를 수용랙(100) 혹은 (100')에 수용하려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 승강대(310)상의 펠리트(200)에 자동차(A)를 정차시킨후, 승강장치(300) 및 이송장치(400)를 작동시켜서 상기 펠리트(200)를 자동차(A)와 함께 본래의 위치 즉,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의 레일(101)(101)상에 수용시킨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310)를 최하강위치까지 하강시킬때에는, 상기 수용랙(100)(100')의 빈펠리트(200)중의 하나를 승강대(310)상에 이동시키고나서 강하시킨다.The pellet 200 on the platform 310 in this state can be used as a passag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accommodate the vehicle A again in the accommodation rack 100 or 100 'from this state, Similarly, after stopping the vehicle A on the pellets 200 on the platform 310, the elevator 200 and the transfer device 400 are operated to move the pellets 200 together with the vehicle A. In other words, it is accommodated on the rail 101, 101 of the upper end (III ') of the receiving rack (100'). When the platform 310 is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one of the empty pellets 200 of the accommodation racks 100 and 100 'is moved on the platform 310 and then lowered.

그리고, 상기 조작을 반복하여, 각 수용랙(100)(100')의 모든 단에 자동차(A)가 수용되면, 상기 승강대(310)를 최하강위치까지 강화시키고, 그리고 수용액(100)(100')의 최하위치에 설치된 예비펠리트(200')의 수용선반 (102)(102')의 어느 것인가로부터 1매의 예비펠리트(200')를 이송장치(400)에 의해서 승강대(310)상에 이동시키고, 이 예비펠리트(200')를 통로로서 이용한다.And, by repeating the operation, if the car (A) is accommodated in all the ends of each receiving rack (100) (100 '), the platform 310 is reinforced to the lowest position, and the aqueous solution (100) (100) One or more preliminary pellets 200 'are lifted by the transfer device 400 from any one of the receiving shelves 102 and 102' of the preliminary pellets 200 'installed at the lowest position of " The preliminary pellets 200 'are used as passages.

한편, 상기 수용랙(100)(100')으로부터 소망의 자동차(A)를 인출한 경우, 예를들면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에 수용된 자동차(A)를 꺼낼경우는, 먼저 이송장치(400)를 작동시켜서, 승강대(310)상의 예비펠리트(200')를 본래의 수용선반(102) 혹은 (102')에 이송해서 수용한 후, 승강장치(300)를 작동시켜 소망의 자동차(A)를 수용한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의 높이까지 승강대(310)를 상승시킨다. 다음에 이송장치(400)를 작동시켜서 제3아암(440) 및 제2아암(430)을 상기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을 향해서 제1아암(420)으로부터 신장이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sired vehicle A is withdrawn from the accommodation racks 100 and 100 ',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A accommodated in the uppermost stage III of the accommodation rack 100 is taken out, it is transferred first. The device 400 is operated to transfer the preliminary pellets 200 'on the platform 310 to the original receiving shelf 102 or 102', and then to be accommodated. The lifting platform 310 is raised to the height of the uppermost stage III of the accommodation rack 100 which accommodates the automobile A. As shown in FIG. Next, the transfer device 400 is operated to extend the third arm 440 and the second arm 430 from the first arm 420 toward the upper end III of the accommodation rack 100.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3아암(460)이 소정위치까지 이동하면, 제3아암(460)의 길이방향 오른쪽에 배설된 계합장치(500)가 작동해서, 계지판(503)이 60°, 다시 30°소정방향으로 회전하여, 펠리트(200)의 후크부재(210)와 계합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ird arm 460 moves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engaging device 500 disposed on the righ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arm 460 operates to operate the stopper plate 503 at 60 °. Again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30 °, engaging with the hook member 210 of the pellets 200.

이후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해서 제2,제3아암(440(460)을 제1아암(420)상에 복귀시킴으로서, 상기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의 레일(101)(101)상으로부터 승강대(310)의 레일(314)(314)상에 자동차(A)를 재치한 펠리트(200)를 이동시켜서, 승강장치(300)를 작동시킴으로서, 상기의 승강대(310)를 최하강위치까지 강하시킨다. 그 후에는, 이 펠리트(200)상으로부터 자동차(A)를 발진시키면 된다.Thereafter, the second and third arms 440 and 460 are returned to the first arm 42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rails 101 and 101 of the upper end III of the accommodation rack 100 can be returned. By moving the pellet 200 on which the vehicle A is placed on the rails 314 and 314 of the platform 310, the elevator 300 is operated to lower the platform 310 above. The vehicle A can be started from the pellet 200 after the dropping to the position.

이 상태로부터 다시 자동차(A)를 수용랙(100)(100')으로부터 인출한 경우는, 상기 상태에서 승강대(310)상에 재치되어 있는 빈 펠리트(200)를 원위치 즉, 수용랙(100)의 최상단(Ⅲ)으로 이송한 후, 소망의 자동차(A)가 수용된 수용랙(100)혹은 (100')의 단의 높이까지, 상기 승강대(310)를 이동시키고, 소망의 자동차(A)가 재치되어 있는 펠리트(200)를 이송장치(400)에 의해서 승강대(310)상에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310)를 최하강위치까지 강하시킨후, 자동차(A)를 펠리트(200)로부터 발진시키면 된다.When the vehicle A is again taken out from the accommodation racks 100 and 100 'from this state, the empty pellet 200 mounted on the platform 310 in the above state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the accommodation rack 100. After moving to the uppermost stage (III) of), the platform 310 is moved to the height of the stage of the accommodation rack 100 or 100 'where the desired vehicle A is accommodated, and the desired vehicle A The pellets 200 are placed on the platform 310 by the transfer device 400. After the platform 310 is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the vehicle A may be started from the pellet 200.

이후는 S, 이상의 조작에 의해서 적절히 수용랙(100)(100')에 대한 자동차의 수용 및 인출을 행하면 된다.Thereafter, S and the like may be suitably accommodated and taken out of the vehicle to the accommodation racks 100 and 100 'by the above operation.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각 수용랙(100)(100')은 3단식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는 3단식의 수용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워주차등, 10단, 20단 쌓는 수용의 주차장치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랙(100)(100')을 복수조, 제2도의 폭방향으로 연결해서 이용하여, 복수의 열로 연결한 경우, 리프터, 시프터가 부착된 전용주행대차를 수용랙 중앙부에 평행하게 뻗게하여, 수용시간의 단축과 사람이 랙중앙부를 빠져나오는 시간이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할수 있다. 또 제2도에서 종방향으로 리프터를 설치할 경우는, 좁은 도로등의 자동차수납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종형수납에도 이상과 같은 횡형수납과 마찬가지로, 이 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또 수납대상물은 자동차에 한정되지않으며, 자동창고로서, 중량물등의 수납장치로 이용해도 된다. 또, 승강장치(300)를 배설한 쪽의 수용랙(100)만을 사용하는 것이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each of the accommodation racks 100 and 100 'is a three-stage type, but in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hree-stage accommodation racks. However, it can also be used as a parking lot value for storage of 20 steps. In addition, when the accommodation racks 100 and 100 'are connected by using a plurality of tanks in the width direction of FIG. By stretching, it can shorten the receiving time and protect people from the risk of leaving the rack center or time. In addition, when the lifter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IG. 2, it can be used for storing automobiles such as narrow roads. That is, you may use this apparatus for vertical type | mold similarly to the above-mentioned horizontal type | mold storing. The object to be stored is not limited to a car, but may be used as a storage device such as a heavy object as an automatic warehouse. Moreover, you may use only the accommodation rack 100 of the side which installed the lifting device 30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대(310)는 모우터(M1)의 구동력에 의해서 스프로킷(351)(351')과 체인(353)(353')의 맞물림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우터(M1)는 유압모우터등이어도 되며, 또 이 모우터(M1)로부터 승강대(310)로의 구동전달수단은 상기와 같은 체인전동에 의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수용랙(100)쪽에 상하방향으로 뻗은 랙을 설치하고, 승강대(310)쪽에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 및 피니언의 구동용모우터를 설치하여, 이랙과 피니언의 맞물림에 의해서 상기 승강대(310)를 상승,하강시키도록 한 것이어도 되고, 또 타단의 주차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와 같이 와이어로우프를 사용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latform 310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engagement of the sprockets 351, 351 'and the chain (353, 353')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M1). However, in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M1 may be a hydraulic motor or the like, and the drive transmission means from the motor M1 to the lifting platform 310 is controlled by the chain transmission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by installing a rack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eceiving rack 100 side, and the drive motor of the pinion and pinion to be engaged with the rack on the platform 310 side, to engage the rack and pinion. The lifting platform 310 may be raised or lowered by the above, or a wire rope may be used at the other parking lot value as in an elevator.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장치(400)의 다단식의 신축식아암(410)은, 체인(422)(422),(447)과 체인랙(431)(431),(448)(448)…,(462)(462)과의 맞물림에 의해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는, 랙과 피니언기구에 의해서 상기 신축식아암(410)을 신축시키도록 해도 되며, 또 신축식아암(410)을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등을 사용해서 승강대(310)와 수용랙(100)(100')과의 사이에서 상기 펠리트(200)를 이송변환하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multi-stage telescopic arm 410 of the transfer device 400 includes chains 422, 422 and 447 and chain racks 431, 431 and 448 and 448. )… Although it is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by engaging with (462) and (462), in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lescopic arm 410 may be expanded and contracted by a rack and a pinion mechanism. Without using the arm 410, for example, a hydraulic cylinder or the like may be used to transfer the pellet 200 between the platform 310 and the receiving rack 100, 100 '.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는, 자동차를 재치하고, 이 자동차를 펠리트와 함께 승강장치에 의해서 수용랙의 소정의 단의 높이까지 상승강하시킨 후, 이송장치에 의해서 승강대와 수용랙 사이에서, 상기 펠리트를 이송변환하도록 해서 각 수용랙의 각단에 대해서 자동차를 출입하도록 하였으므로, 자동차의 출입에 있어서 1대의 자동차를 이동시킬뿐 이므로, 에너지절약화가 도모되고, 구동장치도 소형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경량이며 값이 싸고, 입지조건의 변화에 대응시켜서 수용랙의 단(段)수나, 수용랙수를 변경해서 자동차의 수용대수를 용이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장치는 상기 승강대의 최강하위치에 있어서, 이 승강대상에 빈 펠리트를 재치해 놓으면, 이 펠리트를 통로로해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강대를 대기시켜 놓기 위한 특별한 공간이 불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is placed, and the vehicle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device to the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torage rack by the lifting device, and then the lifting table and the receiving device are transferred by the transfer device. Since the pellets are transferred between the racks so that the cars can be moved in and out at each end of each receiving rack, only one car is moved in and out of the cars, thereby saving energy and driving the drive. Can be used. In addition, since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igi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light in weight and inexpensive, and the number of storage racks or the number of storage racks is change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location conditions so as to accommodate the number of automobiles. It can be easily increased or decreased.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assage when the empty pellets are placed on the lifting target at the lowest position of the platform, so that the platform can be placed in a special space for waiting the platform. This is unnecessar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축의 직선운동으로부터 계지판의 회전운동으로의 변환이 간단한 구조의 계합장치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현되고, 펠리트와 이송장치와의 계합, 이탈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적으로 유리한 계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rsion from the linear movement of the main shaft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ocking plate is easily realized by the engagement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the engagement and separation of the pellets and the transfer device can be reliably perform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gaging device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quipment.

Claims (1)

대향 배치된 다단의 수용랙(100)(100')의 한쪽에 상승강하하는 승강대(310)를 가진 승강장치(300)를 배설하고, 자동차가 재치되는 필리트(200)를 상기 승강대(310)에 배설된 이송장치(400)에 의해서 상기 수용랙(100)(100')과 승강대(310) 사이에서 이송변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판(501)가, 이 베이스판(501)에 세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판(502a)(502b)과, 이 프레임판(502a)(502b)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고, 직경방향으로 돌출한 계지클릭(503a)(503a) 및 축선방향으로 돌출한 보스부(503b)(503c)를 가진 계지판(503)과, 이 계지판(503)의 보스부(503b)(503c) 양단에 형성된 제1,제2의 절결부(506)(507)와 상기 계지판(503)에 동축적으로 접동자재케 감장된 주축(508)과, 이 주축(508)에 관설된 제1,제2의 위치결정용 핀(515a)(515b)과, 상기 계지판(503)의 한쪽의 보스부(503b)로부터 소정거리 돌출하는 주축(508)의 선단부에 고정용핀(510)을 개재하여 고착된 원주형상의 수압부재(509)와, 상기 계지판(503)의 다른쪽의 보스부(503c)로부터 돌출하는 주축(508)의 후단부에 축선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관설된 회전저지용 핀(513)으로 구성되어, 상기 주축(508)의 접동에 따라서 제1,제2의 위치결정용 핀(515a)(515b)과 제1,제2의 절결부(506)(507)와의 감탈에 의해서 상기 계지판(503)을 소정각도 회전시켜서 펠리트(200)와의 계합, 이탈을 반복하는 계합장치(500)를 상기 이송장치(400)에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치.The elevating device 300 having a lifting platform 310 which descends and descends on one side of the multi-stage receiving racks 100 and 100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lift table 310 in which the vehicle is mounted is mounted. In the apparatus for transferring conversion between the receiving racks 100, 100 'and the platform 310 by means of the transfer device 400 disposed in the base plate, the base plate 501 is vertically attached to the base plate 501. A pair of frame plates 502a and 502b provided in parallel and vertically,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ame plates 502a and 502b, protruding radially, and engaging clicks 503a and 503a and in the axial direction. A locking plate 503 having protruding boss portions 503b and 503c, and first and second cutout portions 506 and 507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ss portions 503b and 503c of the locking plate 503. ) And the main shaft 508 slidably and coaxially attached to the locking plate 503,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pins 515a and 515b associated with the main shaft 508, and To one boss portion 503b of the locking plate 503 Protruding from the cylindrical hydraulic member 509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main shaft 508 protr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in shaft 508 via the fixing pin 510 and the other boss portion 503c of the stopper plate 503. A rotation stopping pin 513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shaft 508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line, and according to the sliding of the main shaft 508,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pins 515a ( 515b) and the first and second cutouts 506 and 507 by desorption of the engaging plate 503 by rotating the engaging plate 503 by a predetermined angle to repeat the engagement with the pellet 200, the engaging device 500 Stereo par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transfer device (400).
KR1019870008595A 1987-03-19 1987-08-05 Three dimensional parking garage KR91000809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66654A JPS63277377A (en) 1987-03-19 1987-03-19 Sky parking device
JP62-66654 1987-03-19
JP87-66654 1987-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434A KR880011434A (en) 1988-10-28
KR910008093B1 true KR910008093B1 (en) 1991-10-07

Family

ID=1332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595A KR910008093B1 (en) 1987-03-19 1987-08-05 Three dimensional parking gara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277377A (en)
KR (1) KR9100080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43379C1 (en) * 2017-02-27 2018-02-01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Осипенко Device for moving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19353B2 (en) 1992-03-30
JPS63277377A (en) 1988-11-15
KR880011434A (en) 198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0130A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4358239A (en) Warehouse crane including inclinable tote pan puller
CN1049036C (en) Motor vehicle parking installation
US5618149A (en) Vehicle elevator
EP0544990A1 (en) Multistory multicolumn storing installation
JP3314325B2 (en) Article storage facility
KR910008093B1 (en) Three dimensional parking garage
US3486653A (en) Extractor mechanism for a warehouse system
CN115872078A (en) Multi-linkage lifting device and transfer robot
KR910008114B1 (en) Device for securing palettes
JP2002356205A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warehouse and its transfer equipment
JPS63272704A (en) Three-dimensional storage warehouse
JP3335044B2 (en) Pallet fall prevention device for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JPH10238154A (en) Article storing device
US20240017920A1 (en) Dynamic storage system and methods thereof
JPH0419352B2 (en)
SU1357333A1 (en) Arrangement for vertical motion of load-lifting mechanism
JPH0689612B2 (en) Multi-level parking device
AU679950B2 (en) Vehicle elevator
JP2790012B2 (en) Elevator parking equipment, etc.
JPH0913731A (en) Multi-story parking lot
JPS6114521Y2 (en)
JPH0647097Y2 (en) Elevator slide type parking device
CN112978412A (en) Loading device
JPH11280286A (en) Device for positioning lift table of mechanical multistoried par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