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983B1 - New device for manufacturing clothes or fitted and curved wrappers means of pivots - Google Patents

New device for manufacturing clothes or fitted and curved wrappers means of pivo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983B1
KR910007983B1 KR1019840000041A KR840000041A KR910007983B1 KR 910007983 B1 KR910007983 B1 KR 910007983B1 KR 1019840000041 A KR1019840000041 A KR 1019840000041A KR 840000041 A KR840000041 A KR 840000041A KR 910007983 B1 KR910007983 B1 KR 910007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utting
cut
tight
referenc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40007512A (en
Inventor
몬탈토 안토넬로
Original Assignee
몬탈토 안토넬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몬탈토 안토넬로 filed Critical 몬탈토 안토넬로
Publication of KR840007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5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9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00Patterns for cutting-out; 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such patterns, e.g. on the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허리가 타이트하거나 곡선형인 상의 또는 외투의 새로운 재단 방법New cutting methods for tight or curved tops or coats

제1도 내지 제3도는 기존 방법의 3개의 패널을 도시한 패턴의 평면도.1 to 3 are plan views of patterns showing three panels of a conventional method.

제4도는 기존 방법의 재봉 작업을 도시한 패턴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a pattern showing a sewing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method.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옷감의 치수를 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패턴의 평면도.5 and 6 are plan views of patterns showing a method of dimensioning cloth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장식구멍의 선을 만드는 원리를 도시한 패턴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a pattern showing the principle of making lines of decorative holes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발명 방법의 장식구멍을 재단한 패턴의 평면도.8 is a plan view of a pattern cut through a decorative hole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본 발명 방법의 패널들을 선회 이동한 패턴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a pattern in which the pane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ivoted.

제10도는 본 발명 방법의 상의의 좌측을 나타낸 측면 사시도.10 is a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ft side of a top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본 발명 방법의 소매의 장식구멍을 재단한 패턴의 평면도.11 is a plan view of a pattern cut through the decorative hole of the sleeve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는 본 발명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재단한 패턴의 평면도.12 is a plan view of a pattern that cuts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2, 3 : 패널 4 : 연결점(Point)1, 2, 3: Panel 4: Point of Connection

5 : 아암호울(arm hole) 6 : 앞칼라의 이면5: arm hole 6: back side of front collar

7, 8 : 어깨 솔기선 9 : 능형다아트(dart)7, 8: shoulder seam 9: dart

10 : 능형 슬릿(slit) 11 : 깃10: ridged slit 11: feather

12 : 뒷칼라의 이면 13 : 데꾸쁘(

Figure kpo00001
; 장식구멍)12: The other side of the back color 13: Decupe (
Figure kpo00001
; Hole)

14 : 기준점(pivot) 15 : 옷감조각14: pivot 15: piece of cloth

16 : 어깨점(s.p.) 17 : 상한 포인트16: shoulder point (s.p.) 17: upper limit point

19 : 등길이 20 : 장방형 옷감19: equal length 20: rectangular cloth

21 : (앞판의)상부 22 : (옷감조각의)상한면21: Upper part of front panel 22 Upper part of fabric piece

23 : (뒷판의)상부 24 : 장방형 옷감23: upper part 24: rectangular cloth

25, 26 : 패널 27 : 아암호올25, 26: Panel 27: Arm Hool

28 : 기준점 29 : 포인트28: reference point 29: points

31 : (앞판의)중앙부 32 : 소매의 하단31: Center part (front) 32: Bottom of the sleeve

33 : (뒷판의)중앙부 34 : 윗 소매33: center part 34: upper sleeve

35 : 밑 소매 36 : 장방형 옷감35: sleeve 36: rectangular cloth

41 : (앞판의)하부 43 : (뒷판의)하부41: Lower part of front panel 43 Lower part of rear panel

45, 46 : 옷감조각 47, 48 : V자 슬릿(slit)45, 46: piece of cloth 47, 48: V-shaped slit

A, B, C, D, E, F : 패널들의 구분점 화살표 : 패널의 선회 방향A, B, C, D, E, F: Panel's breakpoint arrow: Panel's turning direction

본 발명의 방법은 특히 외양에 굴곡이 많은 의류 또는 외투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단순화 작업인 옷감의 데꾸쁘(

Figure kpo00002
: 장식구멍)를 만드는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fabrication of garments or coats that are highly curved in appearance.
Figure kpo00002
It's about a new way to make holes.

데꾸쁘 작업은 특히 허리부분이 타이트한 의류, 오목하거나 볼록한 형 또는 볼록한 곡선의 옷이 되도록 재봉한 작업복이나 외투의 재단에서 옷감의 손실이 없도록 솔기의 수(數)를 한정하면서 의류를 산업상의 목적으로 제작하려는 것이다 본 신규 발명의 목적은 1회의 재단에서 옷의 주요 패널들을 이동시킴으로써 굴곡지거나 허리가 타이트한 옷으로 재단하는 옷감이나 직물의 패널을 특징으로 하며, 이동한 후에 사이즈에 맞게 선정한 덧붙이는 옷감조각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실제로 지금까지는 굴곡이 많은 의류나 작업복의 재단시에, 조각 조각을 재봉으로 이은 충분한 개수의 옷감조각 또는 직물조각으로 만든 데꾸쁘는 신체나 대상물에 잘 맞는 외투의 구성부분을 이루었다.The work is especially designed for industrial purposes, limiting the number of seams so that there is no loss of cloth in the workwear or the cut of the coat, which is sewn to be tight clothing, concave, convex or convex curves. The object of this new invention is to feature a panel of fabric or fabric that is bent or cut to a tight waist by moving the main panels of clothing in a single cut, and then added to the selected piece of fabric to suit its size after moving. Fix using. In fact, up to now, when cutting a lot of curved clothing or work clothes, a piece of a coat that suits a body or object that is made of a sufficient number of pieces of cloth or fabric pieces which are made by sewing pieces of pieces is formed.

일반적으로 옷감의 전체 치수는 완성된 옷의 치수보다 월등히 넓다. 상기 옷감의 과잉분은 재봉이나 이어붙이기(꼴라쥬)로 옷감조각들을 잇는데 쓰인 부분이다.In general, the overall dimensions of the cloth are much wid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finished garment. The excess of the fabric is the part used to tie the pieces of cloth together by sewing or stitching (collage).

데꾸쁘는 이미 옷을 재단하는데 이용되었었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기존의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3개의 패널이 허리가 타이트한 의류의 좌측판을 구성하였다. 상기 의류를 완성하기 위해 의류의 우측판을 만들 수 있도록 옷감을 2겹으로 하였다. 적절한 형태로 재단한 패널들을 등길이에서 재봉하여 이어 붙이었다. 상의(上衣)의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고 재봉하기 위해서는 옷감의 패널이 상의의 재단 사이즈보다 더 커야했다.Decup was already used to tailor clothes. 1 to 3 illustrate a conventional method, wherein three panels constitute a left side plate of a garment with a tight waist. To complete the garment, two layers of cloth were used to make the right side of the garment. Panels cut to the appropriate shape were sewn and joined at the same length. In order to sew without changing the size of the jacket, the panel of cloth had to be larger than the cutting size of the jacket.

제4도에는 제1도 내지 제3도의 패턴의 재봉 작업이 도시되어 있다. 일예로서, 등길이를 따라 재봉하면 상의의 좌측판이 형성되고, 등길이의 외형을 따라 이어 붙이면 허리가 타이트한 상의를 얻을 수 있다4 shows a sewing operation of the pattern of FIGS. 1 to 3. For example, when sewing along the back length, the left side plate of the top is formed, and by joining it along the contour of the back length, a waist tight waist can be obtained.

종래에는 상의의 좌, 우측판을 이어 붙일 때 그 등판의 솔기선에서 이어 붙이었다.In the past, when the left and right plates of the top were joined, they were joined at the seam of the back plate.

솔기로 이어 붙이는 많은 옷감조각을 이용하려면, 좌, 우측판의 두 개의 어깨의 연결점이 몇센티미터 멀리 떨어져 있게 되고 옷감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 솔기나 아암호올에서 주로 옷감의 낭비가 있게 된다. 반면, 이어 붙이는 작업은 전문 노동력을 필요로 하여 의류의 값을 인상시키는요인이다.To use a lot of fabric pieces that go to the seam,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shoulders on the left and right panels is a few centimeters away, and there is a waste of cloth mainly on seams or armholes where the fabric is heavily used. On the other hand, the attaching work requires a professional labor force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clothing.

게다가 솔기의 수가 많다는 것은 의류의 강도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In addition, the large number of seams also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rength of the garment.

결국, 제작시에 상의의 형태마다 특별히 응용해야 하며 산업 자동화나 자동기계화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없을 것이다.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apply specially to the form of the garment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cannot be easily realized by industrial automation or automatic mechanization.

본 발명은 한 차례의 실행으로 의류의 대부분을 재단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불편한 점을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작은 치수 및 적합한 형태의 옷감이나 직물조각을 이용하여 만드는 볼록한 곡선이나 타이트한 선은 선회(旋回)기준점에 부분적으로 나타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eliminate inconvenience by using a method of cutting most of the garment in one run. Convex curves or tight lines made of small dimensions and pieces of cloth or fabric of appropriate shape appear partially at the turning point.

"허리가 타이트하거나 곡선형인 상의 또는 외투의 새로운 재단방법"이라는 명칭의 본 발명에서, 옷감이나 직물 또는 플라스틱은 간단하게 겹쳐 잇대는 솔기를 이용해서 솔기면을 없애는 종래 방식의 의류나, 또는 단지 이론적으로 패널의 도면상에서 옷감을 2겹으로 하여 가위나 펀치(punches)를 사용해서 재단하는 특징이 있고, 재봉과 마무리 손질 및 접기 작업 이전에 의류에 볼록한 곡선이나 타이트한 선을 만들어 주고 그 형태를 잡을 수 있도록 치수와 형태에 따라 선택된 옷감조각을 배치하기 위해서 상의의 주요 패널들이 그 기준점을 중심으로 이동할 때 슬릿(slit)과 V자 슬릿(slit) 및 아암호올에 의해 형성되는 본 도면의 독특한 재단 방법으로 재단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entitled "a new method of cutting a tight or curved top or coat of a waist", cloth, fabric or plastic is conventionally garment or simply theoretical in which the seam surface is removed by simply overlapping seams. In the drawing of the panel, two layers of cloth can be cut using scissors or punches, and convex curves or tight lines can be made and shaped on the garment before sewing, finishing, and folding. Unique cutting method of this figure formed by slit, V-slit, and armhole as the main panels of the jacket move about their reference point to arrange the selected piece of cloth according to the dimension and shape so that It is cut to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특징이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and features.

첫째, 특히 타이트형, 곡선 및 형태상에 굴곡이 많은 외투 및 상의의 1차재단이 매우 간단하다.First, the primary foundation of the overcoat and the top, which is particularly curved in the form of tight, curved and shaped, is very simple.

둘째, 한편으론 의류나 외투의 제작에 필요한 솔기의 수를 줄일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론 불필요한 옷감의 낭비를 더욱 줄일 수 있도록 재단하여 옷감이 많이 절약된다.Second, on the one hand, the number of seams needed to make clothes or coats can be reduced, and on the other hand, the fabric is saved to reduce unnecessary waste of fabric.

셋째, 숙련공이 필요치 한다.Third, skilled workers are required.

넷째, 솔기의 수가 많아서 생기는 거북함이 더 이상 없게 되고, 옷감의 훼손이 크게 감소된다.Fourth, there is no more turbulence caused by the number of seams, and damage to the fabric is greatly reduced.

다섯째, 형태나 외양을 불문하고 상의나 외투를 만드는데 드는 시간이 크게 절약된다.Fifth, the time required to make tops and coats, regardless of form or appearance, is greatly saved.

여섯째, 상의나 외투의 제작을 자동화하는 작업이 간단하다.Sixth, the task of automating the creation of a coat or coat is simple.

일곱째, 상의와 외투 또는 작업복 등의 제작에 드는 단가를 절약함으로 해서 가격이 떨어진다.Seventh, the price is reduced by saving the unit cost for the production of tops, coats and work clothes.

그외에 가스 및 유독성 물질로부터 안전한 작업복을 제작하는데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의류의 불침투성은 크게 증가될 것이다. 실제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방법은 유독물질로부터 안전한 옷감의 재료인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샌드위치(sandwich)재 직물로 된 작업복의 제작에 용이하게 응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fabricate work clothes that are safe from gas and toxic substances, the impermeability of the garment will be greatly increased. Indeed, the meth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workwear made of a sandwich material fabric made of carbon fiber, which is a material of a safe cloth from toxic substances.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며, 단지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직물, 플라스틱, 굴절성 있는 철망, 종이 또는 샌드위치(sandwich)재 직물 등의 재료를 이용한 실행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또한, 신축성있는 기준점(축)을 중심으로 연결하는 것과 관련있고 복제하기 위해서 2겹으로 하는 등의 동일한 재단 방법을 이용하여 외투를 포함한 다양한 의류를 제작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will only be easier to understand. Implementations using materials such as fabrics, plastics, refractive wire mesh, paper or sandwich fabric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nufacture a variety of garments, including cloaks, using the same cutting method, such as double layering, to duplicate and replicate the elastic reference point (axis).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상의를 만드는데 필요한 옷감의 정확한 치수를 정하는 작업의 제1단계를 도시한 것이다.5 and 6 illustrate the first step in the task of accurately dimensioning the fabric needed to make a garment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에는 상의 앞판을 완성하는데 이용되는 옷감의 치수를 정하는 작업이, 제6도에는 상의의 등판이 도시되어 있다.FIG. 5 shows the task of sizing the fabric used to complete the front plate of the upper garment, and FIG. 6 shows the back of the upper garment.

제7도에서는 소매를 잇기위한 솔기면을 없애고 아암호올(5)의 면을 최소화하도록 종래의 포개는 방식으로 재단한 패널을 이용하면서 상의의 좌, 우측판의 데꾸쁘를 재단하는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의의 아치형 재단을 패턴처럼 이용할 때의 겹치는 부분이 표면되어 있다.7 shows the principle of cutting the left and right plates of the top while removing the seam for connecting the sleeves and minimizing the side of the arm hose 5 while using a panel cut in a conventional way. It is. In this embodiment, the overlapped portions when using the arcuate cutting of the top like a pattern are surfaced.

제8도에서는 제7도에 도시된 겹치는 부분을 실행한 후에 만들어진 데꾸쁘의 재단이 도시되었고, 아치형의 원형(패턴)에서 상의(上衣)패널의 상한(上限)포인트인 연결점을 정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아암호올을 그리고 재단하였다.In Fig. 8, the decoupe foundation made after executing the overlapping parts shown in Fig. 7 is shown, and in the arched circular pattern, a new point needed to set the connection point which is the upper limit point of the upper panel is shown. Amhool was drawn and cut.

제9도에서는 최종적인 형태를 확보하기 위해서 상의 패널들이 선회 이동한 것이 도시되었고, 기준점(14)에 인접한 아암호올에 배치되어 있으면서 옷감이 의류의 외형을 잡아준다.In FIG. 9, the top panels are pivoted to secure the final shape, while the fabric is arranged in the armhole adjacent to the reference point 14 to allow the fabric to shape the garment.

제10도에서는 반을 접은 상의의 좌측면을 도시한 것이다.In FIG. 10, the left side of the half folded top is shown.

제12도는 본 발명의 방법의 동일한 원리를 이용한 데꾸쁘와 상의의 재단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의 허리가 타이트한 상의는 좌, 우측방향의 이중(二重)선회 이동으로 얻을 수 있느 것으로 의상의 상부와 하부와 관련해서 모두 허리부분을 타이트하게 만드는 능형(菱形)슬릿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FIG. 1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decut and top cut using the same principle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waist tight top is obtained by double turning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example, in relation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garment, it rotates around the ridge slit that makes the waist tight.

제5도에 있어서, 의상의 앞판을 완성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옷감으로 재단할 수 있는 패턴의 재단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면상의 패턴은 솔기로 이용되는 면이 없고 장방형 옷감(20)으로 대신하는 종래의 상의에서 차용된 것이다. 종래의 방식에 따라 재단한다면, 장방형 옷감(20)의 총길이는 상의의 길이와 같고 폭과 마찬가지로 솔기의 길이와도 같다. 따라서, 솔기로 이용될 면은 솔기없이 제작하는 새로운 방법에 의하면 절약되는 부분이 된다. 상의에서 21, 31과 41은 각각 앞판의 상부(21), 중앙부(31) 및 하부(41)이다. 패턴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패턴이 어깨점(s.p.)(16)에서 만나도록 앞칼라의 이면(6)들도 배치한다. 그리고, 패턴에서 상의의 앞판의 중심점이 되는 기준점(14)의 위치를 설정했다. 어깨 솔기선(7)(8)은 상의의 어깨부분이 되고, 상의의 제작시 재단된 등판부분에 이어 붙이게 된다.In FIG. 5, a cut of a pattern that can be cut with a minimum of cloth to complete the front of the garment is shown. The pattern on the drawing is borrowed from a conventional top that has no face to be used as a seam and is replaced by a rectangular cloth 20. If cut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total length of the rectangular cloth 20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top and the length of the seam as well as the width. Therefore, the surface to be used as the seam is a saving part according to the new method of manufacturing without the seam. In the upper part, 21, 31 and 41 are the upper part 21, the center part 31 and the lower part 41 of the front plate, respectively. To complete the pattern, the back side 6 of the front collar is also arranged so that the two patterns meet at the shoulder points (s.p.) 16. And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point 14 used as the center point of the front plate of a top in the pattern was set. The shoulder seam (7) (8) becomes the shoulder portion of the top, and is attached to the back plate cut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top.

제6도에서는, 상의 등판(뒷판)이 도시된 것으로, 뒷판의 제작시에 필요한 최소한의 면을 정하기 위해서 솔기에 드는 옷감이 없는 종래의 의상의 재단 방법을 이용한 것이다. 상기의 절약되는 부분은 장방형 옷감(20)으로 표시된 부분이다. 제6도의 23,33,43은 본 유형의 상의의 재단에서 처럼 패턴을 구성하는 뒷판의 상부(23), 중앙부(33) 및 하부(43)가 된다. 솔기없이 타이트한 허리부분을 만들기 위해서는 뒷판의 중앙부(33)와 하부(43)의 사이에 있는 골반선에 기준점(14)이 위치하도록 하거나, 뒷 칼라의 이면(12)의 위치와 경사를 이루는 상의의 옷감조각들을 선회시키는 등의 이동을 통해 서로 가능하다. 도면에서, 어깨점(16)에서 만난 뒷칼라의 이면(12)은 완성형으로 배치할 때 모두 패널이상의 연장부분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In FIG. 6, a back plate (back plate) is shown, and a conventional garment cutting method without a seam cloth is used to determine the minimum face required for fabrication of the back plate. The saving part is the part indicated by the rectangular cloth 20. 23, 33, 43 in FIG. 6 become the upper portion 23, the center portion 33 and the lower portion 43 of the back plate constituting the pattern as in the cutting of this type of top. To make a tight waist without seam, the reference point 14 is positioned at the pelvic line between the center portion 33 and the lower portion 43 of the back plate, or the top of the top collar inclined with the position of the back surface 12 of the back collar. It is possible for each other through movements such as turning the pieces of cloth. In the figure, the rear face 12 of the back collar, which meets at the shoulder point 16, will all be located in the extension beyond the panel when placed in the finished form.

또한 제5도 및 제6도의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상의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정확한 옷감의 치수를 확정하는 방법상의 기준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확정된 옷감의 치수는 동시에 그리고 재단하도록 좌측판과 우측판의 2겹으로 접어서 실시한다.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FIGS. 5 and 6 will provide a methodological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exact fabric dimensions needed to fabricate the garment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dimension of the determined cloth is carried out by folding in two layers of the left side plate and the right side plate simultaneously and cutting.

제7도에서는 상의의, 좌, 우측판의 데꾸쁘를 재단하는 방법이 도시되었다. 제7도에서는 제4도에 도시된 상의의 패널(1)(2)(3)들을 겹쳐 놓았다.In FIG. 7, a method of cutting the deck of the top, left and right plates is shown. In FIG. 7, the panels 1, 2, 3 of the upper garment shown in FIG. 4 are superimposed.

패널(1)(2)(3)들을 종래 방식의 상의의 치수로 재단하고 이어 붙인 것으로 패널(2)에 의해서 패널(1)과 패널(3)의 겹치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겹친부분은 사선으로 표시된 것이다. 옷감을 더욱 절약하기 위해서는 패널(1)과 패널(3)의 어깨점(4)들이 최대로 접근한 상태로 하고, 또한 그러한 결과로 상의의 상부와 중앙부 및 하부는 폭이 일정한 장방형 옷감(20)내에 배치된다. 이렇게 맞춰진 2겹으로 배치된 옷감 위에 전체를 그리고 재단한다. 그린 선과 재단으로 연결점(4)으로부터 시작해서 상의의 상부에 한정된 첫 번째 아암호올(5)을 나타내준다. 어깨 솔기선(7)(8)은 패널(1)과 패널(3)의 상한 포인트의 연결점(4)을 감안해서 그리고 배치하였고, 그리고 나서 후에 평행면 내에 배치되어야 하며, 최종적으로 연결할 때에 앞칼라의 이면(6)의 위치와 동일하다. 뒷칼라의 이면(12)은 제작 형태에 따라서 동일한 옷감이나 상이한 옷감으로 덧대거나 또는 목 선에서 마감되는 칼라부분이다.The panels 1, 2, 3 are cut and joined to the dimensions of the conventional top, resulting in an overlap of the panels 1 and 3 by the panel 2. The overlap is shown by the diagonal lines. In order to further save the cloth, the panel 1 and the shoulder points 4 of the panel 3 are in the state of maximum approach, and as a result, the top, center, and bottom of the upper garment have a uniform width 20. Disposed within. Draw and cut the whole on the two layers of fabric so arranged. The first armhool (5) defined at the top of the top, starting from the connection point (4) with the green line and the cut, is shown. The shoulder seam (7) (8) has been laid out in view of the connection point (4) of the upper limit point of the panel (1) and the panel (3), and then afterwards must be arranged in parallel planes, It is the same as the position of the back surface 6. The back side 12 of the back collar is a collar portion which is padded with the same cloth or different cloth or finished at the neck line depending on the production form.

제8도에서는 제7도에 도시된 바 대로 상의의 패널(1)(2)(3)들을 겹침으로써 확보된 데꾸쁘의 선이 도시되었다. 상의의 좌, 우측판의 데꾸쁘를 도시한 본 도면에서, 연결점(4)에서부터 시작하는 소매를 연결하는 아암호올(5)을 그리고 재단하였고, 상기 아암호올(5)은 패널(1)과 패널(3)의 중심점을 고정시키면서 옷감조각을 잇게되는 데꾸쁘(13)에 의해서 상의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패턴상에서 상기 중심점이란 허리가 타이트한 상의를 만들도록 재단한 능형 슬릿(slit)(10)의 기준점(14)이 된다. 상기 기준점(14)은 패널(1)과 (3)이 선회하는 하부 패널은 물론 중앙부나 상부의 패널이 있을때에는 옷의 모든 중심점 마다 놓이게 될 것이다. 능형 다아트(9)와 능형 슬릿(10)은 요구에 따라 허리가 몸에 꼭 맞도록 해주는 다아트나 데꾸쁘의 예이다. 또한, 상의의 패널(2)은 패널(1)과 패널(3)을 연결시킨다. 결과적으로 제7도에서 처럼 앞칼라의 이면(6), 뒷칼라의 이면(12), 어깨 솔기선(7)(8)등은 상의를 완성형으로 배치하기 위해서 차후의 패널(1)과 (3)의 이동을 고려하면서 경사지게 재단한 것이다.In FIG. 8, as shown in FIG. 7, a line of decoups secured by overlapping the panels 1, 2, 3 of the top is shown. In this figure, which shows the decoups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of the top, an armhool 5 connecting and sleeves starting from the connection point 4 is drawn and cut, and the armhool 5 is a panel 1. It extends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rt by the decup 13 which connects a piece of cloth, fixing the center point of the panel 3 and it. The center point in the pattern is the reference point 14 of the ridged slit 10 cut to make the waist tight. The reference point 14 will be placed at every center point of the garment when there is a central or upper panel as well as the lower panel that the panels 1 and 3 pivot. Ridge Daat (9) and ridged slit (10) are examples of Daat or Decupe, which allows the waist to fit the body on demand. In addition, the upper panel 2 connects the panel 1 with the panel 3. As a result, as shown in FIG. 7, the back side 6 of the front collar, the back side 12 of the back collar, the shoulder seam 7, 8, and the like are arranged in the following panels 1 and 3 in order to arrange the top to the completed form. It is cut inclined while considering the movement of).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에 의하면, 제9도 및 제10도에는 패널(1)과 (3)의 선회 이동이 도시되었다. 제9도에 의하면, 패널(1)과 패널(3)은 벌려 있는 가위처럼 공통 기준점(14)에서 상호 멀리지면서 선회 이동한다. 제10도에는 본 실시예의 좌, 우측판을 완성하여 최종적으로 접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According to an important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ivoting movement of panels 1 and 3 is shown in FIGS. 9 and 10. According to FIG. 9, the panel 1 and the panel 3 are pivotally moved away from each other at the common reference point 14 like open scissors. FIG. 10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plates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completed and finally folded.

제8도에서, 데꾸쁘(13)에서 패널(1)과 패널(3)은 패널(2)의 선과 어깨 연결점(4)에서 연결된다. 제9도에는 상의의 능형 슬릿(10)에 위치해 있는 기준점(14)을 중심으로 화살표의 방향으로 선회하는 패널(1)과 패널들의 간격을 떼기 위한 이동이 도시되어 있다. 간격을 떼기위한 이동으로 아암호올(5)의 상한 포인트인 연결점(4)은 아암호올(5)의 하한 포인트를 능형슬릿(10)에 이어주는 데꾸쁘(13)처럼 벌려진다. 상기의 이동으로 아암호올(5)과 솔기나 꼴라쥬로 이어 붙이는 옷감조각(15)을 연결하도록 재단한 데꾸뿌(13)는 동시에 확대시키게 된다. 상기 옷감조각(15)은 패널(1)과 (3)의 배치를 고정시키고 원하는 외형을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덧붙인 옷감조각(15)의 형태나 치수 및 종류 등은 원하는 외형이나 이용도 등을 감안해서 선택해야 할 것이다.In FIG. 8, the panel 1 and the panel 3 are connected at the decoup 13 at the line and shoulder joint 4 of the panel 2. FIG. 9 shows the panel 1 pivo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bout the reference point 14 located in the ridge slit 10 of the top and the movement for separating the panels. The connection point 4, which is the upper limit point of the arm hool 5, is opened like a decuit 13 which connects the lower limit point of the arm hool 5 to the ridge slit 10 as a movement for separating the gap. With the above movement, the dekupu 13 cut to connect the arm foil 5 and the piece of cloth 15 attached to the seam or the collage is enlarged at the same time. The piece of cloth 15 functions to fix the arrangement of the panels 1 and 3 and to determine the desired appearance. The shape, dimensions, and kind of the fabric pieces 15 added above should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esired appearance, the degree of use, and the like.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며, 데꾸쁘(13)에 이어 붙이게 되는 옷감조각(15)은 다소 타원형인 형태를 갖는다. 옷감조각(15)의 상한면(22)은 아암호올(5)의 구멍을 완성하는 볼록한 외형이 되도록 재단하였다. 옷이 허리에 맞도록 조절하여 재단하는 능형 슬릿(10)의 상한선을 연장하도록 포인트(17)를 옷감조각(15)의 하단부분까지 판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abric pieces 15 to be attached to the deck 13 have a somewhat elliptical form. The upper limit surface 22 of the piece of cloth 15 was cut out to have a convex shape that completes the holes of the arm hoses 5. The point 17 will be sold to the lower end of the piece of cloth 15 to extend the upper limit of the ridge slit 10 to adjust the clothes to fit the waist.

제9도에서 상의 패널(1)(3)들의 이동으로:With the movement of the panels 1, 3 in FIG. 9:

-상의의 등판(뒷판)이 형성되도록 뒷칼라의 이면(12)을 수펑으로 배치하고,-Place the back surface 12 of the back collar so that the back plate of the top is formed,

-각각 연장선에서 어깨를 만들 수 있도록 어깨 솔기선(7)(8)을 배치하고,-Arrange shoulder seams (7) (8) to make shoulders at each extension line,

-단추를 달 수 있도록 상의 깃(11)의 연장면에서 뒷칼라의 이면(12)이 경사지도록 해준다.Allow the backside 12 of the back collar to be inclined at the extension face of the upper feather 11 so that the button can be attached.

결과적으로, 등길이(19)는 상의 좌, 우판을 연결하는데 사용된 부분이다. 상기에서, 등길이(19)는 솔기없이 연결하는 상의의 우측판에서 연장선에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equal length 19 is a portion used to connect the upper left and right plates. In the above, the equal length 19 is in an extension line in the right side plate of the connecting top without seam.

제9도에서, 가봉 시에 옷을 허리에 꼭 맞추는데 이용되는 능형 다아트(9)와 능형 슬릿(10)이 도시되어 있다.In FIG. 9, the ridged daart 9 and the ridged slit 10 are shown, which are used to fit the garment to the waist during gabon.

제10도는 반으로 접은 후의 상의의 좌측판의 실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도면상으로는 이음선이 없는 패널(1)과 패널(3)로 도시되어 있고, 아암호올(5)은 상의의 외형을 만드는 이어 붙인 옷감조각(15)을 이용해서 타원형으로 만들었고, 앞칼라의 이면(6)이 대응되는 뒷칼라의 이면(12)에 연결되어 칼라의 이면이 완성되어다. 최종적으로 어깨 솔기(7)(8)를 옷의 싸이즈에 맞춰 서로 이어 붙인다. 능형 슬릿(10)에 옷감조각(15)을 사용할 때에도 덧붙인 옷감조각(15)으로 형태를 완성하고 연결 방법을 단순화하여 모든 형태가 가능하게 해야할 것이다. 특히, 아암호올(5)의 패턴을 상의의 능형 슬릿(10)에 있는 기준점(14)에 직접 이어 붙일 수 있다.FIG. 10 shows an example of the left side plate of the top after being folded in half. In the drawing, there is a seamless panel 1 and a panel 3, and the arm hool 5 is elliptical, using a piece of cloth 15 attached to make the appearance of the top, and the back of the front collar. (6) is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12 of the corresponding back collar, and the back surface of the collar is completed. Finally, shoulder seams (7) (8) are attached to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clothes. Even when using a piece of cloth 15 in the slit 10, it will be necessary to complete the form with the added piece of cloth 15 and simplify the connection method to enable all shapes. In particular, the pattern of the armhool 5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reference point 14 in the ridged slit 10 of the top.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여, 제11도에는 상의 소매의 장식구멍의 패턴을 만드는 원리를 도시하였다. 이제까지 소매의 제작에는 소매의 상부와 하부를 형성하게 되는 두 개의 장방형 옷감(24)(36)의 장식구멍이 필요했었다. 그리고, 상기 장방형 옷감(24)(36)은 길이로 재봉하였다. 새로운 방법에 의해 소매를 재단하는데 필요한 옷감의 치수를 정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방식에 의해 재단하는 두가지 소매 견본을 이용하고, 재봉하기 위해 견본을 나란히 놓으면 소매구멍에 필요한 옷감의 양을 정하게 된다. 장식구멍의 도면은 제11도에서 윗소매(34)와 밑소매(35)가 하나로 제도되어 있다. 데꾸쁘에 의해 소매의 하단(32)에서 서로 이어지는 두개의 패널(25)(26)이 드러나게 된다. 연결시에 패널(25)(26)들은 아암호울(5)에서 길이로 나 있는 기준점(28)이나 포인트(29)에서 선회하게 되고 제9도 및 제10도에서 마련된 상의의 아암호울(5)에 직접 잇대게 된다. 패널(25)(26)의 선회이동으로 소매패턴에 잇대어진 이미 재단한 파여있는 아암호올(27)을 보다 크게 해준다. 아암호올(27)은 가봉시에 치수를 재조정하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FIG. 11 shows the principle of making a pattern of the decorative hole of the upper sleeve. Up until now, the manufacture of sleeves required the decorative holes of two rectangular fabrics 24 and 36 to form the top and bottom of the sleeve. The rectangular fabrics 24 and 36 were sewn to length. To measure the size of the cloth needed to cut the sleeve by the new method, use two sleeve samples cut by the existing method, and place the samples side by side to sew to determine the amount of cloth needed for the sleeve opening. In Fig. 11, the upper sleeve 34 and the lower sleeve 35 are drawn in one. Decupé reveals two panels 25, 26 leading from each other at the bottom 32 of the sleeve. In connection, the panels 25 and 26 are pivoted at a reference point 28 or point 29 extending in the length of the armhole 5, and the upper armholes provided in FIG. 9 and FIG. 5) directly. Swivel movement of the panels 25 and 26 makes the already cut hollow arm 27 connected to the sleeve pattern larger. The arm hose 27 is readjusted at the time of sealing.

본 발명의 중요한 특성에 의하면, 상의의 아치형은 패널(1)과 패널(3)을 모두 선회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바로 그 상의의 좌, 우측판이 제12도상에 도시되어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의 좌, 우측판을 만드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옷감의 양을 미리 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패턴의 기능이 옷감을 2겹으로 하여 상의의 데꾸쁘를 재단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제12도에서, 연결하기 직전의 등길이(19), 앞칼라의 이면(6)과 뒷칼라의 이면(12) 및 어깨 솔기선(7)(8)등이 도시되어 있다.According to an importan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cuate shape of the top can be obtained by turning both the panel 1 and the panel 3,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of the top are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5 and 6, it was possible to predetermine the minimum amount of cloth required to make the left and right plates of the top. The function of this pattern is to double the cloth to cut the tops of the tops. Also shown in FIG. 12 is the back length 19 just before connection, the back side 6 of the front collar and the back side 12 of the back collar, shoulder seam 7, 8, and the like.

도면에 의하면 패널(1)과 패널(3)은 아암호올(5)의 상한 포인트인 연결점(4)에서 연결된다. 상의 패널(1)과 패널(3)의 중심점인 기준점(14)은 재단된 V자 슬릿(47)(48)들의 정점이고, 패널(1)과 패널(3)의 선회이동을 용이하게 해준다. V자 슬릿(48)은 선회축(14)과 소매 부리로 이용되는 아암호올(5)을 이어준다. 선회축(14)에서 상의의 상부ABCD를 선회시킴으로써 옷의 완성형을 얻을 수 있다. 패널(1)의 AD부분은 패널(3)의 BC부분과 벌어지게 되고, 연결점(4)간의 간격을 벌리고 아암호올(5) 및 V자 슬릿(48)들의 개구(開口)등도 넓히게 된다. 상의 패널(1) 및 패널(3)의 DE부분과 CF부분은 이미 재단한 V자 슬릿(47)의 간격을 벌리는 기능을 하는 기준점(14)을 축으로 벌어진다. 상의의 완성형으로 옷감을 선회이동시키고 허리를 타이트하게 원하는 외형으로 만들기 위해서 V자 슬릿(47)(48)에 잇대어 옷감조각(45)(46)을 재봉하여 고정한다. 옷감조각(45)(46)은 모든 형태와 치수에 알맞게 이용한다.According to the figure, the panel 1 and the panel 3 are connected at the connection point 4 which is the upper limit point of the armhole 5. The reference point 14, which is the center point of the upper panel 1 and the panel 3, is the apex of the cut V-slits 47 and 48 and facilitates the pivoting of the panel 1 and the panel 3. The V-shaped slit 48 connects the pivot shaft 14 and the armhole 5 which is used as the sleeve beak. The completed form of the garment can be obtained by turning the upper ABCD of the garment on the pivot shaft 14. The AD part of the panel 1 opens with the BC part of the panel 3, widens the gap between the connection points 4, and widens the openings of the arm hoses 5 and the V-shaped slits 48, and the like. The DE part and the CF part of the panel 1 and the panel 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xis of the reference point 14, which serves to open the gap between the V-shaped slits 47 already cut. The fabric pieces 45 and 46 are sewn and fixed to the V-shaped slits 47 and 48 in order to pivot the fabric to the desired shape and to make the waist tight. Fabric pieces 45 and 46 are used to suit all shapes and dimensions.

옷감조각(45)(46)은 볼록한 곡선형의 아암호올의 윤곽을 만들기 위해서 편자형으로 할 수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을 수 있도록 나란히 배치된 어깨 솔기선(7)(8)을 배치하는 축을 고정하고 칼라의 이면(6)과 뒷칼라의 이면(12)의 위치는 각각의 연장선에 배치된다.Pieces of cloth 45 and 46 may be horseshoe-shaped in order to outline the convex curved armhool. As shown in FIG. 9, the axis for arranging the shoulder seam lines 7 and 8 arranged side by side so as to be folded is fixed, and the positions of the back side 6 of the collar and the back side 12 of the back collar are respectively extended. Is placed on.

Claims (8)

옷감이나 직물 또는 플라스틱은 간단하게 겹쳐 잇대는 솔기를 이용해서 솔기면이 없는 종래 방식의 의류나 또는 단지 이론적으로 패널의 도면으로부터 옷감을 2겹으로 하여 가위나 펀치(punches)를 사용해서 재단하며, 재봉과 마무리 손질 및 접기 작업 이전에 의류에 볼록한 곡선이나 타이트한 선을 만들어 주고 그 형태를 잡을 수 있도록 치수와 형태에 따라 선택된 옷감조각을 배치하기 위해서 상의의 주요 패널들이 그 기준점을 중심으로 이동할 때 슬릿(slit)과 V자 슬릿(slit)과 아암호올에 의해 형성되는 본 도면의 독특한 재단 방법으로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 타이트하거나 곡선형인 상의(上衣) 또는 외투의 새로운 재단 방법.Fabrics, fabrics or plastics are simply cut using conventional seams without seams, or simply theoretically doubled from the drawing of the panel with scissors or punches, using simple seams. Slit as the main panels of the jacket move around the reference point to create a convex curve or tight line in the garment and place the selected piece of fabric according to its dimensions and shape before sewing and finishing care and folding work. A new method of cutting a tight or curved waist or coa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ut by the unique cutting method of this figure, which is formed by slits and V-shaped slits and armholes. 제1항에 있어서, 상의의 재단에 필요한 옷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솔기면을 남기지 않는 종래의 방식으로 패널(1)(2)(3)을 병치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 타이트하거나 곡선형인 상의 또는 외투의 새로운 재단 방법.The waist tight or curved top of claim 1, characterized by juxtaposing the panels 1, 2, 3 in a conventional manner without leaving a seam surface in order to minimize the fabric needed to cut the top. Or a new foundation method of cloak. 제1항에 있어서, 상의의 좌, 우측판은 겹자락으로 하여 옷감을 동시에 재단하고 상의의 패널(1)과 패널(2)의 좌, 우측판을 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 타이트하거나 곡선형인 상의 또는 외투의 새로운 재단 방법.The waist and neck of claim 1, wherein the left and right plates of the top are folded to simultaneously cut the fabric and draw the left and right plates of the panel 1 and the panel 2 of the top. New Foundation Method of Tops or Coats. 제1항에 있어서, 상의의 형태를 잡기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재단된 패널(원형)에 표시되고 고정된 패널 상(上)에 배치된 기준점(14)을 중심으로 패널(1)과 패널(3)이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 타이트하거나 곡선형인 상의 또는 외투의 새로운 재단 방법.The panel (1) and the panel (3) according to claim 1, centered on a reference point (14) placed on and fixed on the panel (circle) which has been cut in a manner used to shape the jacket. ) A new method of cutting of a tight or curved waist or coat, characterized by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제1항에 있어서, 기준점(14)을 중심으로 한 상의 패널(1)과 패널(3)의 이동은 아암호올(5)에 잇달아 있는 데꾸쁘(
Figure kpo00003
:장식구멍)(13)나 기준점(4)에서 상의의 하부측에 있는 V자 슬릿(slit)(47), 또는 데꾸쁘(13)와 V자 슬릿(47)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 타이트하거나 곡선형인 상의 또는 외투의 새로운 재단 방법.
The movement of the panel (1) and the panel (3) of the phas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int (14) is successive to the armhole (5).
Figure kpo00003
: Waist characterized by a V-shaped slit 47 or a deformed 13 and a V-shaped slit 47 at the lower side of the top at the decorative hole 13 or the reference point 4 A new method of cutting a tight or curved top or coat.
제1항에 있어서, 상의 패널(1)과 패널(3)의 배치는 V자 슬릿(47)이나 V자 슬릿(48)에 덧붙이는 옷감조각(45)(46)으로 고정하고 최종 마무리 시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 타이트하거나 곡선형인 상의 또는 외투의 새로운 재단 방법.2.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panel 1 and the panel 3 is fixed with pieces of cloth 45 and 46 attached to the V-shaped slit 47 or the V-shaped slit 48 and upon final finishing. A new method of cutting of a tight or curved waist or coat characterized by connecting. 제1항에 있어서, 재단된 패널들의 선회이동에 의한 상의 또는 외투의 제작은 도면상에서 상의나 그 패널(1)(2)(3)들 사이의 정점에 위치한 기준점(14)을 이용함으로써 가능하고, 상기 기준점(14)은 제11도의 기준점(28)에서 소매를 제도할 때 처럼 본(本)치수대로 재단한 V자 슬릿(47)이나 V자 슬릿(48)에 의한 데꾸쁘의 외측선에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 타이트하거나 곡선형인 상의 또는 외투의 새로운 재단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brication of the top or overcoat by the pivoting of the cut panels is possible by using a reference point 14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top or between the panels 1, 2, 3 in the drawing. The reference point 14 is formed on the outer line of the decupe by the V-shaped slit 47 or the V-shaped slit 48 cut to the main dimension as in the case of drafting the sleeve at the reference point 28 of FIG. A new method of cutting a tight or curved waist or coat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제1항에 있어서, 3개의 패널(1)(2)(3)로 구성되는 상의 구성부분을 한번에 그리고 재단하는 방법에 의해서 옷감을 절약하게 되고, 종래의 방법으로 솔기를 만드는데 필요한 솔기면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가 타이트하거나 곡선형인 상의 또는 외투의 새로운 재단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bric is saved by a method of cutting and cutting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upper layer consisting of the three panels 1, 2, and 3 at once, and removing the seam surface necessary to make the seam by a conventional method. A new cutting method of a tight or curved waist or coat, characterized in that.
KR1019840000041A 1983-01-07 1984-01-07 New device for manufacturing clothes or fitted and curved wrappers means of pivots KR91000798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300179 1983-01-07
FR8300179A FR2539008B1 (en) 1983-01-07 1983-01-07 NEW PROCESS FOR MAKING GARMENT OR HANGER OR GALBES ENVELOPES USING PIVO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512A KR840007512A (en) 1984-12-08
KR910007983B1 true KR910007983B1 (en) 1991-10-05

Family

ID=9284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041A KR910007983B1 (en) 1983-01-07 1984-01-07 New device for manufacturing clothes or fitted and curved wrappers means of pivot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10007983B1 (en)
FR (1) FR2539008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3103A (en) * 1942-05-02 1944-02-29 White Lillian Sleeve construction
FR966094A (en) * 1948-05-07 1950-09-29 Improvements made and relating to coats, jackets and other clothing with sleeves
FR1082534A (en) * 1952-08-20 1954-12-30 Clothing cutting improvements
FR1130850A (en) * 1955-03-04 1957-02-12 Improvement in the process of cutting fabric for making male or similar garments
US3803717A (en) * 1971-01-28 1974-04-16 Scovill Manufacturing Co Method of transferring and directing the darts in a dress pattern
FR2537408B1 (en) * 1982-12-08 1986-01-17 Montalto Antonello PROCESS OF TRACING, CUTTING AND MAKING, CLOTHING AND SLEEVES FOR THE UPPER BODY AND CLOTHING MADE BY THIS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39008A1 (en) 1984-07-13
FR2539008B1 (en) 1989-03-03
KR840007512A (en) 198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7671A (en) Open, wraparound, sleeved garment
US5083315A (en) Unisex scrub shirt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4649573A (en) Garment pattern and article of clothing
US4107873A (en) Stuffed reversible doll
JP2550376B2 (en) Pieces of material for clothes and clothes manufactured from the pieces of material
CN111743254A (en) Method for tailoring jacket for men
US4635301A (en) Upper body garment construction
KR910007983B1 (en) New device for manufacturing clothes or fitted and curved wrappers means of pivots
CN111802736A (en) Method for making square-angle armhole and connecting-collar female cheongsam
US450780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lothing
CA1118956A (en) Process to realize garments with double-face woven fabrics, in particular scarves and neck-ties, as well as double-face garments obtained by means of the said process
US1211832A (en) Kimono.
CZ39497A3 (en) Process of making knitted piece of clothing
CN215124712U (en) Comfortable one-piece rotator cuff
US4364125A (en) Stiffening insert for wearing apparel
CN106490718B (en) A kind of manufacture craft of dustcoat
JPS6132967Y2 (en)
US4425712A (en) Woman's outer garment and pattern therefor
JP7244365B2 (en) jacket
US4213203A (en) Woman's outer garment and pattern therefor
FI86590B (en) AERMANORDNING OCH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RU2171320C2 (en) Knitted fabric
Thompson The Seminole/Mikasuki long shirt
Speece EC74-493 Menswear... Front & Back Interfacing for Jackets
JP2571552Y2 (en) Simple size-up construction for sleeved clot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