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819Y1 - 테이프 절단기의 스톱퍼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절단기의 스톱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819Y1
KR910007819Y1 KR2019880011874U KR880011874U KR910007819Y1 KR 910007819 Y1 KR910007819 Y1 KR 910007819Y1 KR 2019880011874 U KR2019880011874 U KR 2019880011874U KR 880011874 U KR880011874 U KR 880011874U KR 910007819 Y1 KR910007819 Y1 KR 910007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topper
shaped
cas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1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940U (ko
Inventor
박선동
Original Assignee
박선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동 filed Critical 박선동
Priority to KR2019880011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819Y1/ko
Publication of KR9000029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9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8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절단기의 스톱퍼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분해하여 보인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커버를 생략한 실시상태의 측면도로서, a도는 테이프의 접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b도는 절단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 제2도 b도의 A-A선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커버 4 : 케이스
5 : 파수공 5' : ""자형 파수부
6, 6' : 통공부 10 : ""자형 작동구
10' : 활판(弓板) 12 : 판스프링
15 : 드럼 16 : ""자형 안내홈
17 : 스톱퍼 17' : 괘정부
17" : 괘정공
본 고안은 테이프의 접착과 절단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테이프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용으로 비교적 많이 사용되는 폭(幅)이 넓은 테이프(Measure Tape)에 의한 접착작업을 지속적으로 행하기위한 테이프 절단기의 스톱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내의 괘지공을 고정축으로 괘지시킨 ""자형의 작동구를 활판(弓板)과 일체로 형성하여 이를 판스프링에 탄지하고 그 선단에는 가이드롤러와 접동롤러로 구성함과 동시에 파수공(把手孔)내에 ""자형의 파수부를 형성시킨 드럼을 활판의 내측으로 구성시키고 이에 절개부를 형성한 부싱을 끼워서 된 테이프를 상기 드럼에 삽설하였다.
이와같이 테이프를 삽설하여 구성한 상기 ""자형의 작동구를 케이스내에 수용하고 커버를 닫아주면 커버의 내벽으로 돌출된 돌기가 케이스의 내주벽의 홈구로 견고히 삽착됨에 따라 ""자형 작동구의 파수공은 케이스의 통공부와 상통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인출구 부위에는 접동롤러와 일치하는 선상에 내벽면으로 돌출된 돌기에 절단도를 갖는 회동판이 설치되고 이 회동판에는 활판의 외벽으로 돌설한 작동돌기가 회동판에서 돌기 방향을 향해 요설된 ""자형 작동홈에 걸려진다.
상기 활판의 뒤쪽하부에는 케이스의 내저면에 형성한 ""자형의 안내홈으로 안내삽탈하는 스톱퍼의 괘정보를 돌려끼우기 위한 괘정공이 뚫려 있다.
즉 본 고안 제 2 도의 a도와 같이 파수공으로 엄지를 제외한 다른 4손가락을 넣어 파수부를 "→"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활판과 일체로 형성된 ""자형의 작동구가 고정축을 중심으로 그 선단부가 하강함에 따라 회동판이 작동돌기에 의해 ""표 방향으로 회동하여 절단로로 폐쇄되어 있던 인출구가 개방된다.
그러므로 가이드룰러를 통한 테이프가 접동롤러에 의해 피접착물에 간단히 접착되고 또 파수부를 놓게 되면 판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상승하는 ""자형의 작동구에 의해 다시 ""표 방향으로 회동하는 절단도가 테이프를 간단히 절단시켜 주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피접착물의 접착길이가 짧은 경우는 스톱퍼를 정방향으로 삽착하여 사용하지만 접착길이가 긴 피접착물의 접착작업은 ""자형 작동구의 하강상태를 그대로 고정 유지시켜 접착작업을 지속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스톱퍼의 괘정부를 반대방향으로 돌려끼울 수 있게 한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 테이프를 인출구로 인출하여 접착시키고 절단하는 가이드롤러와 접동롤러 및 ""자형의 작동홈으로 안내된 돌기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판의 절단도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실용원 제87-17808호)된 구성의 기술사상과 동일하다.
다만 선행기술의 테이프 절단기는 폭이 좁은 스카치테이프를 사용할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어서 가압부를 적은 힘으로 가압하여도 테이프의 접착과 절단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나 포장용으로 사용하는 테이프는 비교적 그 폭이 넓기 때문에 접착작업시 많은 가압력을 요함과 동시에 절단작업에서도 강한 탄발력을 필요로하는 기술이 요망되어 왔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포장용 테이프의 지속적인 접착작업과 순간적인 절단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절단기의 스톱퍼를 제공할 목적으로 고안된 것인바 이하 첨부한 도면의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을 분해하여 보인 전체사시도로서 내주벽면(1)과 내벽면(1')에 형성한 홈구(2)와 돌기(2')에 의해 커버(3)를 케이스(4)에 결합시키고 각기 그 양측면 방향에 다음에 설명되는 파수공(5)과 상통하는 통공부(6)(6')를 천공하였다.
상기 케이스(4)의 선단저면부는 인출구(7)를 절개하되 이 인출구(7)의 부위에서 좌우로 회동하는 절단도(8)와 일체로 구성한 회동판(9)을 케이스(4)의 내벽돌기(9')에 삽착하고 이에 ""자형의 작동홈(9")으로 ""자형 작동구(10)에 의한 호라판(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돌기(10")가 걸려지도록 하므로서 상기 ""자형 작동구(10)의 승강작동에 따라 전달도(8)가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다.
상기 ""자형의 작동구(10)는 한쪽 활판(10')이 일체로 형성되고 괘지공(11)을 고정축(11')에 괘지하여 케이스(4)의 내주벽면(1)으로 형성한 홈구(2)와 사이로 탄지된 판스프링(12)으로 이를 탄지시켜 주고 상기 ""자형 작동구(10)의 선단에는 가이드롤러(13)와 접동롤러(13')로 인출되는 테이프(14)가 절개부(14')에 의한 부싱(14")으로 끼워져서 활판(10')의 드럼(15)으로 삽착되어 있다.
또 드럼(15)의 파수공(5)에는 ""자형의 파수부(5')가 도면 제2도의 a,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4손가락에 의해 "→"표방향으로 잡아당겨줄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고 또 활판(10')의 뒤쪽 하부에는 케이스(4)의 내저면에 구성시킨 ""자형의 안내홈(16)으로 테이프(4)의 접착상태에서 따라 돌려끼울 수 있는 스톱퍼(17)의 괘정부(17')에 의해 ""자형의 작동구(10)를 하가이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괘정공(17")이 뚫려 있다.
미설명부호 3'는 접착작업시 테이프의 압지상태를 높이기 위해 통공부(6')에 형성한 요구이며 18은 피접합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서두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스카치테이트에 의한 접착과 절단작업도 가능하지만 포장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폭이 넓은 테이프(14)의 사용을 주목적으로 한 것이어서 ""자형의 작동구(10)를 지지하고 있는 판스프링(12)의 탄발강도에 맞추어 상기 ""자형의 작동구(10)가 케이스(4)내에서 승강작동을 원활히 행할 수 있도록 활판(10')의 내측으로 부싱(14")을 끼워 드럼(15)에 삽착시킨 테이프(14)를 통공부(6)(6')와 상통하는 파수공(5)내에 형성한 ""자형의 파수부(5')를 본 고안 제2도의 a도와 같이 엄지손가락은 케이스(4)의 상부 후미에 위치시키고 나머지 4손가락은 파수공(5)으로 안내시켜 "→"표 방향으로 가볍게 잡아당겨서 테이프(14)의 접착과 절단작업을 판스프링(12)에 의해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접착작업을 지속적으로 행하고저 할때는 활판(10')의 뒤쪽하부에 형성한 괘정공(17")으로 괘정된 스톱퍼(17)를 ""자형의 안내홈(16)으로 부터 뺀다음 이 스톱퍼(17)를 반대로 돌려끼우면 스톱퍼(17)의 괘정부(17')가 다시 괘정공(17")으로 괘정되기 때문에 ""자형의 파수부(5')를 계속잡아당기고 있지 않더라도 ""자형의 작동구(10)는 상승하지 아니하여 접착작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통공부(6')에 형성한 요구(3')에 의해서 케이스(4)의 가압력을 더하여줌에 따라 테이프(14)의 접착상태를 양호히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형 파수부(5')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자형 작동구(10)의 선단에서 가이드롤러(13)를 통해 인출구(7)로 안내인출되는 테이프(14)는 본 고안 제2도는 b도에서와 같이 접동롤러(13')에 의해 피접합물(18)에 견고히 접착되고 또 접착작업이 완료된 테이프(14)를 절단도(8)로 절단시키는 작업은 선행기술에 서와 같이 활판(10')의 외벽으로 형성한 돌기(10")가 케이스(4)의 내벽에 돌출된 돌기(9')에 의해 삽착되어 있는 회동판(9)의 ""자형 작동홈(9")으로 안내된 상태에서 상기 ""자형 작동구(10)의 상승작동으로 회동판(9)이 돌기(9')을 중심으로 좌우 일정한 거리로 왕복회동하는 것에 의해 이루워지는 것이다.
즉 접착작업시는 절단도(8)가 인출구(7)로 부터 ""표 방향으로 회동하고 절단작업시는 다시 ""표 방향으로 회동하므로서 접착과 절단작업이 간단히 이루워지는 본 고안은 비교적 폭이 넓은 테이프(14)를 사용하기 위해 절단도(8)의 폭도 상대적으로 넓게 구성함과 동시에 절단도(8)에 순간적인 절단력을 부여하기 위해 탄발강도가 높은 판스프링(12)으로 ""자형의 작동구(10)를 지지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엄지손가락만으로 가압하여 접착절단작업을 시도해왔던 테이프의 절단장치와는 달리 엄지와 4개의 손가락 및 스톱퍼를 사용하므로서 테이프의 접착 및 절단작업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케이스(4)의 내벽돌기(9')에 의한 회동판(9)의 절단도(8)에 의해서 절단되도록 ""자형의 작동홈(9")으로 작동돌기(10")를 안내시키고 이에 절개부(14')를 갖는 부싱(14")에 테이프(14)를 삽착시킨 것에 있어서 ""자형의 작동구(10)와 일체로 형성된 활판(10')의 내측으로 케이스(4) 및 커버(3)의 통공부(6)(6')와 상통하는 피수공(5)에 ""자형의 파수부(5')를 형성시킨 드럼(15)을 설치하여 이에 일단을 판스프링(12)으로 괘지하되 상기 활판(10')의 뒤쪽하부에 뚫린 괘정공(17")에 케이스(4)의 내저면으로 형성한 ""자형의 안내홈(16)으로 괘공(17')를 갖는 스톱퍼(17)를 안내삽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절단기의 스톱퍼장치.
KR2019880011874U 1988-07-22 1988-07-22 테이프 절단기의 스톱퍼장치 KR910007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874U KR910007819Y1 (ko) 1988-07-22 1988-07-22 테이프 절단기의 스톱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874U KR910007819Y1 (ko) 1988-07-22 1988-07-22 테이프 절단기의 스톱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940U KR900002940U (ko) 1990-02-07
KR910007819Y1 true KR910007819Y1 (ko) 1991-10-05

Family

ID=1927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1874U KR910007819Y1 (ko) 1988-07-22 1988-07-22 테이프 절단기의 스톱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8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957B1 (ko) * 2001-07-31 2006-07-03 사까에 우루시자끼 점착테이프 부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957B1 (ko) * 2001-07-31 2006-07-03 사까에 우루시자끼 점착테이프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940U (ko) 199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4688A (en) Envelope opener
ES462904A1 (es) Herramienta de corte para corta rmaterial en forma de hoja.
KR910007819Y1 (ko) 테이프 절단기의 스톱퍼장치
US20030024651A1 (en) Adhesive tape adhering device
GB2253805A (en) Hand-held tools
CN218836125U (zh) 一种便于调节的门窗生产用开孔装置
KR200235660Y1 (ko) 접착용 테이프가 구비된 공작용 칼
KR930004338Y1 (ko) 봉투개봉 겸용 테이프 컷터기
JPH0131435Y2 (ko)
JPS5849176A (ja) 紙箱切断器具
JPS57141356A (en) Cutter for cutting tape with lapel
KR900007055Y1 (ko) 가압인출식 테이프에 있어서 접착 및 절단장치
KR910004313Y1 (ko) 스크랩 용구
FR2342827A1 (fr) Appareil de coupe manoeuvrable d'une seule main
JPS59182072A (ja) パンチ装置を備えたリム−バ−
KR200364504Y1 (ko) 줄자가 구비된 커터칼
JP3083700U (ja) テープ類のカッター付きバッグ
KR880000893Y1 (ko) 테이프 자동 접착기
KR970003318Y1 (ko) 사무용 칼이 부설된 가위
KR910004310Y1 (ko) 사무용구
KR870002534Y1 (ko) 테이프 케이스
KR920001443Y1 (ko) 테이프 연속접착 및 자동절단기
KR200153404Y1 (ko) 구멍 뚫기 편리한 펀치
JPH02121Y2 (ko)
JPS5982469U (ja) 手持ち式の開閉作業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