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760Y1 - 불도우저용 주차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불도우저용 주차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760Y1
KR910007760Y1 KR2019890007133U KR890007133U KR910007760Y1 KR 910007760 Y1 KR910007760 Y1 KR 910007760Y1 KR 2019890007133 U KR2019890007133 U KR 2019890007133U KR 890007133 U KR890007133 U KR 890007133U KR 910007760 Y1 KR910007760 Y1 KR 910007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rake
lever
pedal
rotated
bulldo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7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20551U (ko
Inventor
하상석
김재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김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김연수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7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760Y1/ko
Publication of KR9000205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205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with locking and release means, e.g. providing parking brak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불도우저용 주차브레이크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종래의 불도우저용 주차브레이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차브레이크 2 : 페달레버
3 : 걸림핀 4 : 오목홈
5 : 레버고리 6 : 힌지축
7 : 주차브레이크레버 8 : 스프링
9 : 콘트롤박스 9a : 측벽부
10 : 핀 11 : 샤프트
12 : 페달
본 고안은 중장비용 주차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여 정비 및 조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도 절감되도록 한 블도우저용 주차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불도우저용 주차브레이크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페달(21)을 A방향으로 밟아주면 톱니바퀴로드(22)가 B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톱니바퀴(23)가 톱니바퀴축(24)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로드(25)가 당겨지면서 무한궤도에 제동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동된 상태에서 제동력을 지속시켜주기 위해서는 회동된 상기 톱니바퀴(23)가 역방향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또다른 하나의 톱니바퀴(26)가 상기 톱니바퀴(23)에 물려지도록 되어 있는 바, 즉 주차브레이크레버(27)을 C방향으로 당겨주면 주차브레이크 레버로드(28)가 D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또다른 톱니바퀴로드(29)를 E방향으로 밀어주게 되어, 상기 양톱니바퀴(23, 26)가 서로 맞물려져 불도우저가 계속 제동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작동되는 종래의 주차브레이크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페달(21)과 주차브레이크 레버(27)가 별도로 구성되어 조작시 번거롭고, 부품수가 많아 조립시간이 많이 걸리며, 특히 정비시 다수개의 로드 등을 조정해주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많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도가 간단하면서도 무한궤도의 제동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켜줄수 있도록 한 불도우저용 주차브레이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2개의 페달레버의 소정부위에 걸림핀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페달레버 사이에는 레버고리와 일체로 형성된 주차브레이크레버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레버고리의 한쪽 단부에는 걸림핀이 선택적으로 걸려지게 오목홈이 절곡형성됨과 더불어 그의 길이방향을 따른 소정부위와 마주보는 콘트롤박스의 측벽부에는 스프링으로 연결된 핀이 각각 고정부착되어, 상기 페달을 제동상태로 밟아주고 나서 상기 레버를 시계방향 회동시켜주면 레버와 일체로 형성된 레버고리의 오목홈에 상기 걸림핀이 걸려져 페달레버가 고정되게 됨으로써, 불도우저의 무한궤도에 제동을 지속적으로 걸어줄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불도우저용 주차브레이크(1)에는 브레이크의 페달레버(2) 중앙하부에 2개의 걸림핀(3)이 서로 마주보게 고정부착되고, 이 걸림핀(3)은 한쪽이 절곡되어 형성된 레버고리(5)의 오목홈(4)에 선택적으로 걸려지게 되어 있으며, 또 이 레버고리(5)는 힌지축(6)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된 주차브레이크 레버(7)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고리(5) 중앙부와 주차브레이크(1)가 설치된 콘트롤 박스(9)의 측벽부(9a)중앙부에 각각 2개의 핀(10)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이 핀(10)들 사이에는 주차브레이크 레버(7)에 일정한 힘이 걸려지도록 스프링(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콘트롤박스(9)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샤프트(11)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 페달레버(2)의 하단에는 운전자가 발로 밟을 수 있도록 페달(2)이 설치되고, 이 페달(12)을 밟아줌에 따라 기공지된 방식으로 불도우저의 무한궤도(도시안됨)가 제동되게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주차브레이크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불도우저를 주차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페달(12)에 소정의 외력이 가해진 잠금상태를 계속 유지시켜주어야 하는바, 즉 상기 페달(12)을 밟아 잠금위치 "가"로 이동시켜 주고나서 상기 주차브레이크 레버(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이 주차브레이크 레버(7)와 일체로 형성된 레버고리(5)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되어 상기 레버고리(5)의 오목홈(4)부위에 상기 페달레버(2)에 설치된 걸림핀(3)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 주차브레이크(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불도우저의 무한궤도에는 계속적으로 제동이 걸린 상태로 되어 주차를 가능하게 해준다.
한편 상기 무한궤도에 걸려있는 제동을 풀어주기 위해서는 상술된 바의 역순으로 자곧하면 되는데, 즉 주차브레이크 레버(7)를 힌지축(6)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주면, 상기 레버고리(5)의 오목홈(4)으로부터 페달레버(2)의 걸림핀(3)이 빠져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페달(2)은 그에 내장 설치된 스프링수단(도시안됨)에 의해 잠금상태에서 풀림상태로 이동되게 된다.
한편, 주행중 운전자가 페달(12)을 밟아 "가"위치로 이동시켜 제동을 걸어주더라도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브레이크 레버(7)나 레버고리(5)는 이를 방해하지 않는 곳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도에 도시된 종래의 불도우저용 주차브레크에 이용되는 다수개의 로드(28, 29) 및 톱니바퀴(23, 26)이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간단하면서 지속적으로 제동을 걸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브레이크 레버(7)와 페달레버(2)가 전후로 장착되어 그 조작이 간단해지고, 따라서 이를 조립, 정비하는데에도 소모되는 시간이 단축됨과 더불어 제작비용까지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샤프트(11)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2개의 페달레버(2)의 소정부위에 걸림편(3)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페달레버(2) 사이에는 레버고리(5)와 일체로 형성된 주차브레이크 레버(7)가 힌지축(6)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레버고리(5)의 한쪽 단부에는 걸림핀(3)이 선택적으로 걸려지게 오목홈(4)이 절곡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레버고리(5)와 콘트롤박스(9)의 측벽부(9a)사이에 탄력스프링(8)이 설치된 불도우저용 주차브레이크.
KR2019890007133U 1989-05-30 1989-05-30 불도우저용 주차브레이크 KR910007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133U KR910007760Y1 (ko) 1989-05-30 1989-05-30 불도우저용 주차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133U KR910007760Y1 (ko) 1989-05-30 1989-05-30 불도우저용 주차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551U KR900020551U (ko) 1990-12-13
KR910007760Y1 true KR910007760Y1 (ko) 1991-10-05

Family

ID=1928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7133U KR910007760Y1 (ko) 1989-05-30 1989-05-30 불도우저용 주차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7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551U (ko) 199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9433A (en) Variable ratio brake operating device
US2964135A (en) Brake mechanism
DE19629048B4 (de) Fußbetätigte Fahrzeug-Parkbremsen-Steuervorrichtung
US3625087A (en) Step ratio parking brake control
JPS6241903B2 (ko)
KR910007760Y1 (ko) 불도우저용 주차브레이크
KR840004386A (ko) 유압식 건축기계의 만능 레버장치
US4054187A (en) Wheel-brak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US3839924A (en) Parking brake control mechanism
DE2740509A1 (de) Trommelbremse mit innenliegenden bremsschuhen
TWI635012B (zh) Link set for preventing swinging and locking device with two front wheel carriers
US4629206A (en) Reverse device for a vehicle
JPH07112794B2 (ja) 自動車のギアシフトレバー解錠用のブレーキベダル装置
JPH0833166B2 (ja) ドラムブレーキ捩じり/圧縮ストラットバネ
US3602064A (en) Parking brake control
TWM562251U (zh) 用於具兩前輪載具之防止搖擺、具鎖定裝置的連桿組
KR860000079B1 (ko) 3륜차의 파아킹록 장치
GB1152523A (en) Variable-Ratio Lever Mechanisms.
US3077790A (en) Cable brake for trucks
DE19744138A1 (de) Feststellbremse für Fahrräder
DE926225C (de) Verriegelungsvorrichtung fuer Bremsen, vorzugsweise bei Schleppern
DE4033680A1 (de) Trommelbremse
US2903907A (en) Parking brake for vehicles
KR100387795B1 (ko) 주차브레이크 케이블 장력 조절 장치
KR0145429B1 (ko) 이중레버구조를 갖는 파킹브레이크 조작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3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