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904Y1 - 진공 청소기의 집진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집진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904Y1
KR910006904Y1 KR2019870019210U KR870019210U KR910006904Y1 KR 910006904 Y1 KR910006904 Y1 KR 910006904Y1 KR 2019870019210 U KR2019870019210 U KR 2019870019210U KR 870019210 U KR870019210 U KR 870019210U KR 910006904 Y1 KR910006904 Y1 KR 910006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indicator
contact plate
fixed contact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9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233U (ko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9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904Y1/ko
Publication of KR8900102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2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9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집진 표시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뚜껑을 연 상태에서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종래 집진 표시 장치의 종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기 2,2e : 고정 접점판
3 : 스프링 4 : 피스톤
5 : 가동 접점판
본 고안은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되는 양을 외부로 알려주도록 한 것으로, 외부의 먼지나 오물을 흡입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통로와 병렬로 표시기를 설치하고, 표시램프가 각각 접속된 다수의 고정접점판이 일측 내벽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표시기의 내부에 스프링이 탄지된 피스톤을 내장하여, 외부로 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피스톤이 이동하면서 이의 일측에 융착한 가동접점이 표시기의 일측 내벽에 고정된 고정접점판과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램프를 점등시키므로 진공 청소기의 내부로 집진되는 오물이나 먼지의 양을 외부로 알려주도록 한 진공 청소기의 집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공 청소기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에서 먼지나 오물등이 흡입되는 흡입 통로와 병렬로 표시기를 구성하되, 본체(11)의 일측 개구부에 설치한 스폰지(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피스톤(13)을 밀어주도록하고, 타측의 커버(11-1)와의 사이에 스프링(14)이 탄지되어 탄성을 받으며 피스톤(13)의 내면에 접착된 가동접점(13-1)이 피스톤(13)과 함께 이동하면서 커버(11-1)의 내면에 돌출된 고정접점(11-2)과 접속되도록 하므로, 일단은 고정접점(11-2)으로 공급되는 AC 전원의 타단은 스위치(SW')와 모터(M')및 램프(L')를 경유하여 커버(11-1)의 내면과 스프링(14) 사이에 내장된 단자편(15)으로 공급되도록한 상태에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흡입통로가 막혀 공기가 흡입되지 않을때 스폰지(12)를 통해 흡입되어 튜브(16)를 거쳐 진공청소기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피스톤(13)을 완전히 밀어주어 가동접점(13-1)과 고정접점(11-2)이 접속되면 스프링(14)의 도전력으로 램프(L')가 점등되면서 진공청소기의 집진 정도를 알려주도록 하였으나, 이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통로를 통해 집진되는 먼지나 오물의 양이 많아져 흡입통로가 막힌 경우에 스폰지(1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서 가동접점(13-1)과 고정접점(11-2)이 접속되어야만 램프(L')가 점등되도록하였으므로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는 중에 접진의 정도는 전혀 알 수가 없었고 다만 집진이 끝난 상태만 램프(L')의 점등으로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여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중에 집진되는 정도를 상세히 알수 있도록 한 것으로, 표시기의 일측 내벽에 다수의 고정접점판을 내설하여 각각의 고정 접점판에서 병렬로 램프를 연결하므로, 진공 청소기의 흡입 통로를 통해 먼지나 오물이 집진되면서 흡입통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듬에 따라 표시기의 공기 흡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피스톤이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피스톤의 일측에 융착된 고정접점판도 이동하며 표시기의 일측 내면에 내설한 고정접점판과 순차적으로 접속되면서 각 고정접점판에 연결된 램프를 점등시키며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는 중에 램프의 점등상태만 보면 집진 정도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 청소기에서 흡입통로와 병렬로 표시기를 구성시키되, 일단에 외부와 통하는 공기 흡입공(1-1)이 천공된 표시기(1)의 일측내면에 다수의 고정접점판(2)의 단자(2-1)와 돌기(2-2)가 끼워지는 홈(1-2) 및 삽입공(1-3)을 각각 형성하고, 표시기(1)의 내부에서 스프링(3)이 탄지되어 탄성으로 왕복이동하며 전면에 단턱(4-2)을 구비한 피스톤(4)의 일측면 돌편(4-1)에는 가동접점판(5)을 용접하여 고정시키고, 표시기(1)의 일측 내벽에 내설되는 고정접점판(2),(2a),(2e)의 단자 (2-1),(2-1a)-(2-1e)에서 각각 저항(R1),(R2)-(R6) 및 램프(L1),(L2)-(L6)를 병렬로 접속하여 AC전원의 일단이 스위치(SW)와 모터(M)를 경유하여 입력되도록 하는 한편, AC 전원의 하단은 가동접저판(5)으로 인가되도록 한 것이다.
미 설명 부호 1-4는 공기 토출공이며, 6은 진공 청소기의 흡입통로와 연결되는 튜브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표시기(1)는 진공 청소기에서 먼지나 오물등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나 오물을 집전하는 흡입통로와 병렬로 설치한 것으로, 진공 청소기에 집진되는 먼지나 오물의 양에 따라 흡입통로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표시기(1)의 공기 흡입공(1-1)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표시기(1)의 내부를 거치고 튜브(6)를 통해 유입된다.
그러므로 진공 청소기에 집전되는 먼지나 오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표시기(1)의 공기 흡입공(1-1)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면서 그 공기압에 의하여 전면의 단턱(4-2)으로 인해 공기흡입력을 최대로 받도록한 피스톤(4)이 제2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피스톤(4)의 일측에 부착된 가동접점판(5)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표시기(1)의 일측 내벽에 다수 내설한 고정 접점판(20-(2e)과 순차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면 AC전원이 가동접점판(5)과 고정접점판(2)-(2e)을 거쳐 이의 단자(2-1)-(2-1e)에 각각 병렬로 접속한 램프(L1)-(L6)를 순차적으로 점등시키므로 점등된 램프로 진공 청소기에 집진되는 먼지나 오물의 양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진공 청소기를 처음 사용할 때에는 스프링(3)의 탄성으로 피스톤(4)이 제2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가동접점판(5)과 고정접점판(2)이 접속되지 않아 램프(L1)는 점등되지 않는다.
그러다가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여 내부로 먼지나 오물이 집전되면 이에 따라 흡입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줄어드는 반면에, 표시기(1)의 공기 흡입공(1-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면서 이의 공기압에 의해 피스톤(4)이 스프링(3)을 압축시키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동접점판(5)이 고정접점판(2)-(2e)들과 순차적으로 접속되므로, 각 고정접점판(2)-(2e)의 단자(2-1)-(2-1e)에 각각 연결된 램프(L1)-(L6)가 점등되어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는 중에 어느 램프가 점등되었는가만 보면 진공 청소기의 내부에 집전되는 먼지나 오물의 양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는 중에 집전되는 먼지나 오물의 양을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음은 물론 본 고안을 흡인력을 이용한 기기나 계측기에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표시기가 흡입통로와 병렬로 설치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표시기(1)의 일측 내벽에 다수의 고정접점판(2)-(2e)을 내설하여 각각의 고정접점판(2)(2e)에서 표시용 램프(L1)-(L6)를 병렬로 접속하고, 스프링(3)의 탄지된채 표시기(1)의 내부에서 왕복이동하여 전면에 단턱(4-2)이 구비된 피스톤(4)의 일측면 돌편(4-1)에 가동접점판(5)을 융착하여, 진공 청소기의 집진 정도에 따라 표시기(1)의 공기 흡입공(1-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면서 가동접점판(5)이 고정접점판(2)-(2e)과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집진의 양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진공 청소기의 집진 표시장치,
KR2019870019210U 1987-11-06 1987-11-06 진공 청소기의 집진 표시 장치 KR910006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210U KR910006904Y1 (ko) 1987-11-06 1987-11-06 진공 청소기의 집진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210U KR910006904Y1 (ko) 1987-11-06 1987-11-06 진공 청소기의 집진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233U KR890010233U (ko) 1989-07-07
KR910006904Y1 true KR910006904Y1 (ko) 1991-09-17

Family

ID=1926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9210U KR910006904Y1 (ko) 1987-11-06 1987-11-06 진공 청소기의 집진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9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233U (ko) 1989-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15378A (en) Indica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s
US4481692A (en) Operating-condition indicator for vacuum cleaners
US5199177A (en) Level
KR870007683A (ko) 진공청소기용 광학적표시 및 작동감시장치
KR970073504A (ko) 진공청소기
JPH05245081A (ja) 真空掃除機
KR910006904Y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표시 장치
KR102180432B1 (ko) 진공 청소기용 노즐 및 진공 청소기
US2307745A (en) Hydrometer
KR200165800Y1 (ko)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
CN214631941U (zh) 一种吸尘器用吸头
US2146152A (en) Suction cleaner construction
KR200143204Y1 (ko) 램프 부재를 갖는 휴대형 청소기
KR100222923B1 (ko) 진공청소기의 포집된 먼지량 인지장치
KR19990038396U (ko) 진공청소기의 조명장치
KR0164470B1 (ko) 진공청소기
ATE177302T1 (de) Anschlussstutzen für einen staubsauger
KR960003441Y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 표시장치
FR2382224A1 (fr) Dispositif de reglage et d'indication de la force d'aspiration dans les aspirateurs de poussieres
KR200178902Y1 (ko) 핸디형 진공청소기
JPH0323156Y2 (ko)
KR920009014Y1 (ko) 팬히터의 전기방전식 집진장치 설치구조
KR200161350Y1 (ko) 진공소제기
JPH0482526A (ja) 電気掃除機
JPS6349115A (ja) アプライト形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