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599Y1 - 지주설치용 앵커장치 - Google Patents
지주설치용 앵커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6599Y1 KR910006599Y1 KR2019870023002U KR870023002U KR910006599Y1 KR 910006599 Y1 KR910006599 Y1 KR 910006599Y1 KR 2019870023002 U KR2019870023002 U KR 2019870023002U KR 870023002 U KR870023002 U KR 870023002U KR 910006599 Y1 KR910006599 Y1 KR 91000659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member
- cylindrical body
- mounting plate
- concrete structure
-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관한 지주설치용 앵커장치의 분해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조립하는 앵커장치를 중, 고층 콘크리트 주택베란다의 전면 기립벽부에 설치하였을때의 수직단면도.
제3도는 그 기립벽부의 요부평면도.
제4도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과 개부재를 떼낸 상태의 수직단면도.
제5도는 난간의 지주를 설치고정한 상태의 수직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형상본체 1a : 이탈방지용요철부
2 : 콘크리트구조물 3 : 난간의 지주
4 : 개부제 5 :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6 : 취부프레이트 7 : 나사봉
8 : 니트부 9 : 너트부
10 : 지주고착용몰탈 11 : 개부재의 투공
12 : 통상부재의 투공 13 : 취부프레이트의 투공
14 : 고착공 15 : 고착구
16 : 고착공
본 고안은 베란다 난간등의 지주를 베란다의 전면 기립벽부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고정 하는데 사용되는 앵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통형상의 본체를 매설 고정하고, 그 통형상의 본체에 지주하단부를 삽입고정하도록 한 지주설치용 앵커장치는 일본국 실.공.소 57-4297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으나, 이 종래 장치에는 통형상 본체상방개구부에 개부재가 없고, 개방상태로 방치 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개방형의 앵커장치에서는 통형상본체에 타설 콘크리트 및 몰탈의 일부 또는 그 잉여수가 침수하거나, 빗물이 유입해버리는 사태는 실제상 회피할 수가 없다.
이와같은 이유로해서 지주를 세울때 펌프로 통상본체내의 물을 퍼낼 필요가 있는등 작업성이 불량하나 또 침입한 콘크리트 및 몰탈의 경화층은 통형상의 본체에 대한 지주가 박히는 양을 감소시키게 되고 지주의 지지강도를 저하 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통형상 본체에의 몰탈등의 이물 및 물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콘크리트 구조물 타설시 통형상의 본체를 소정위치에 고정유지하는 작업이 간편하고 또 시공 코스트를 낮출수 있는 지주설치용 앵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 지주설치용 앵커장치의 실시예로써, 부호 1은 통형상 본체로써 후술하는 콘크리트 구조물(2)에 매설되는 지주(3)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이탈방지용 요철부(1a)를 절곡하여 콘크리트 구조물(2)에 매설시 일체화 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중심부 저면에 상호 연통되게 토공(12)과 고정너트부(8)를 일체화 시킨다.
부호4는 개부재로써, 외형유지성과 용이한 절삭성을 가지는 발포스치로폴을 사용하며, 그 이외에 상술한 작용효과를 가지는 재질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개부재(4)는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하단에 소경부(4a)를 형성하여 상기 통형상본체(1)의 상단에 끼워서 통형상본체(1)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하고, 중심부에 투공(11)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후술하는 나사봉(7)이 설치되게 한다.
부호 6은 취부프레이트로써, 양단을 하향절곡시켜 판부(6a)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투공(13)을 형성하며 양측판부(6a)에 고착용(14)(16)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고착공(14)은 판부(6a)의 전, 후방에 각각 형성하여 고착구(15)를 못으로 사용할때 그 고착공(14)을 통해 고정시키도록 하고, 다른 고착공(16)은 상기 2개의 고착공(14))사이에 형성하여 고착구(15)를 볼트로 사용할때 그 고착공(16)을 통해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나사봉(7)에는 상단에 별도의 너트부(9)를 나사식 결합하여 둔다.
그리고, 부호2는 콘크리트 타설하여 양생된 베란다 난간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며, 부호 5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2)의 타설을 위해 설치하는 거푸집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5도에서와 같이 베란다 난간의 형성시 본 고안의 본 고안의 지주설치용 앵커장치를 매설하고자 할때, 먼저 베란다 난간등의 콘크리트 구조물(2)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거푸집(5)을 설치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지주설치용 앵커장치는 제1도 및 제3도에서와같이 취부플레이트(6)의 하부에 개부재(4)와 통형상본체(1)를 각각 위치시켜 각 투공(13), (11), (12) 및 너트부(8)와 일치시킨뒤 나사봉(7)의 하단을 너트부(8)에 나사식 결합시킨다.
이때 개부재(4)의 소경부(4a)의 통형상본체(1)의 상단에 끼워서 통형상본체(1)의 내부를 밀폐시켜 몰탈등의 이물질 및 물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그후, 나사봉(7)의 상단에 결합된 너트부(8)에 조여서 취부플레이트(6), 개부재(4) 및 통형상본체(1)를 일체화 시킨다.
즉, 나사봉(7)의 하단은 통형상본체(1)의 너트부(8)에 나사식결합되어 있어 나사봉(7)은 통형상본체(1)와 일체화된 상태이고 그 나사봉(7)에 끼워진 취부프레이트(6)와 개부재(4)는 너트부(8)에 조임에 의하여 지주설치용 앵커부재가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지주설치용 앵커부재의 조립후 취부플레이트(6)의 양측 판부(6a)를 양측 거푸집(5)의 상단에 고정설치하는바, 이때 취부플레이트(6)를 거푸집(5)에 고정시킬때 고착구(15)를 못으로 사용할때에는 판부(6a)의 고착공(14)을 통해 제2도와 같이 고정설치하고 고착구(15)를 볼트로 사용할때에는 (6a)의 고착공(16)을 통해 고정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지주설치용 앵커장치의 설치상태는 개부재(4)와 통형상본체(1)가 양측 거푸집(5) 사이에 수직상태로 매달려 위치하게 된다.
그후, 베란다 난간의 설치를 위해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양생시키면 통형상본체(1)와 개부재(4)는 콘크리트 구조물(2)에 매설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2)에 매설된 지주설치용 앵커장치중 개부재(4)와 취부프레이트(6)를 분리하여 통형상본체(1)에 지주(3)를 설치하고자 할때, 먼저 나사봉(7)을 분리시켜야 되는데 나사봉(7)의 하단은 약간 콘크리트 구조물(2)에 매설되어 있을수도 있기 때문에 이 때에는 나사봉(7)을 힘있게 돌려서 콘크리트 구조물(2)에서 분리되게 하여 빼낸다.
그후, 취부프레이트(6)의 양측판부(6a)를 고정시킨 고착구(15)를 거푸집(5)에서 빼내어 취부프레이트(6)가 간단하게 분리시킨다.
또한, 개부재(4)도 콘크리트 구조물(2)에서 빼내야만 통형상본체(1)에 지주(3)를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그 개부재(4)도 상기 나사봉(7)과 같이 회전시키던가 또는 요동시키면서 빼내면 된다.(제4도 상태)
그러나, 발포스치로폴등의 개부재(4)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2)과 지나치게 결합되어 떼내기가 용이하지 않을때는 개부재(4)를 절단하여 제거할 수도 있으며, 이때 잔존물이 있을 때에는 버너로 태워 제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부재(4)의 제거후 지주(3)의 하단을 통형상본체(1)에 설치한뒤 개부재(4)의 제거로 인하여 형성된 공동(2a)과 통형상본체(1)내에 몰탈(10)을 충전경화시키므로써 지주(3)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설치할 수가 있는것이다.
그러나 지주(3) 설치작업을 즉시 하지않을 경우에는 개부재(4)를 통형상본체(1)에 끼워진 상태로 방치하여 둔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2)에 매설된 통형상본체(1)는 외주면에 요철부(1a)가 형성되어 있어 그 통형상 본체(1)는 콘크리트 구조물(2)에 견고하게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되거나 분리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부재(4)와 취부프레이트(6)의 고정수단을 상술한 나사봉(7)과 너트(9)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어 개부재(4)와 취부프레이트(6)를 비스등으로 직접 고정설치하고, 개부재(4)의 소경부(4a)와 통형상본체(1)를 나사 등으로 직접 고정시켜 지주설치용 앵커장치를 조립할수도 있다.
또, 취부프레이트(6)와 개부재(4)를 일체로 제작하여 개부재(4)를 통형상본체(1)의 외주면 상단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식 결합하는 방법으로 비틀어서 조립할 수도 있다.
또, 통형상본체(1), 개부재(4), 취부프레이트(6), 지주(3)등의 형상 구조, 칫수, 재질등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요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는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지주설치용 앵커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되는 통형상본체 상방개구부가 개부재에 의하여 폐쇄되기 때문에 통형상본체내에 몰탈등의 이물질 및 물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개부재를 개재하여 통형상본체에 연결된 취부프레이트를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직접 고정하는 것이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설시 통형상본체를 소정위치에 고정유지할 치구 또는 부재가 필요없게 되고, 통형상본체의 고정유지작업을 간단하게 하면서도 시공단가를 현저하게 낮출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 콘크리트타설용 양측 거푸집(5)에 취부프레이트(6)를 고정설치한 뒤 그 취부프레이트(6)의 중간하부에 개부재(4)와 통형상본체(1)를 순서대로 위치설치한뒤 나사봉(7)으로 끼워 고정시켜 일체화 하고, 콘크리트 구조물(2)에 통형상본체(1)를 매설한뒤 취부프레이트(6)와 개부재(4)를 통형상본체(1)에서 떼어내어 통형상 본체(1)에 지주(3)의 하단부를 끼워 고정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고정용 앵커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본체(1)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이탈방지용 요철부(1a)를 절곡하여 콘크리트 구조물(2)에 매설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고정용 앵커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부재(4)는 원추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주고정용 앵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7-161876 | 1987-10-22 | ||
JP1987161876U JPH05492Y2 (ko) | 1987-10-22 | 1987-10-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8947U KR890008947U (ko) | 1989-05-29 |
KR910006599Y1 true KR910006599Y1 (ko) | 1991-08-26 |
Family
ID=3144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70023002U KR910006599Y1 (ko) | 1987-10-22 | 1987-12-24 | 지주설치용 앵커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05492Y2 (ko) |
KR (1) | KR910006599Y1 (ko) |
-
1987
- 1987-10-22 JP JP1987161876U patent/JPH05492Y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12-24 KR KR2019870023002U patent/KR910006599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167225U (ko) | 1989-04-28 |
KR890008947U (ko) | 1989-05-29 |
JPH05492Y2 (ko) | 1993-0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9446B1 (ko) |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 |
KR910006599Y1 (ko) | 지주설치용 앵커장치 | |
KR910006600Y1 (ko) | 지주설치용 앵커장치 | |
KR100675814B1 (ko) | 슬라브 매립 앵커볼트 | |
KR200317236Y1 (ko) | 난간지주 고정구 | |
JPS639622Y2 (ko) | ||
KR200408589Y1 (ko) | 휀스용 포스트의 기초구조 | |
KR200209007Y1 (ko) | 난간가설용지지구 | |
KR200142434Y1 (ko) |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 |
JPH0455134Y2 (ko) | ||
KR200180006Y1 (ko) | 수평파이프 결속용 클램프 | |
KR200192133Y1 (ko) | 건축용 인서어트 받이 | |
JPH1068232A (ja) | 仮囲い支柱支持金具 | |
KR200183468Y1 (ko) |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 |
KR820002430Y1 (ko) | 난간지주의 고정장치 | |
KR200337016Y1 (ko) | 갱폼측 폼타이 | |
KR200334801Y1 (ko) | 난간동자용 쐐기형 조립식 앵커 | |
KR200193191Y1 (ko) | 건축용 앵글의 고정구 | |
KR200354094Y1 (ko) | 거푸집 해체시 헛돌지않는 거푸집 간격유지구 | |
KR20070046296A (ko) | 휀스용 포스트의 기초구조 | |
KR200358130Y1 (ko) | 앙카볼트용 고정체 | |
JP3696991B2 (ja) | 手摺り付き立上りalc壁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 |
JPH01203566A (ja) | スラブ開口部に於ける手摺取付用アンカーおよびその先付け工法 | |
JPH028001Y2 (ko) | ||
KR200177205Y1 (ko) | 낙석방지용 보강휀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