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148Y1 - 수광관용 콘넥터 - Google Patents

수광관용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148Y1
KR910006148Y1 KR2019910008502U KR910008502U KR910006148Y1 KR 910006148 Y1 KR910006148 Y1 KR 910006148Y1 KR 2019910008502 U KR2019910008502 U KR 2019910008502U KR 910008502 U KR910008502 U KR 910008502U KR 910006148 Y1 KR910006148 Y1 KR 910006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ater pipe
potentiometer
voltage
potentiome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제베르그 발터
Original Assignee
텔레풍켄 페른제 운트 룬트풍크 게엠베하
플로렌쯔 윌러-마헨스, 로베르트 아인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853525639 external-priority patent/DE3525639A1/d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풍켄 페른제 운트 룬트풍크 게엠베하, 플로렌쯔 윌러-마헨스, 로베르트 아인젤 filed Critical 텔레풍켄 페른제 운트 룬트풍크 게엠베하
Priority to KR2019910008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45Holders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광관용 콘넥터
도면은 수상관용 콘넥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연하우징 2 : 접촉부(contact)
3, 5, 8 : 도체 4, 7 : 전위차계
6 : 조절노브(knob) 9 : 소켓
본 고안은 수상관용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텔레비젼 장치에 있어서 수상관용 콘넥터는 프린트 회로기판(PCB)에 납땜되어 있었다. 이 회로기판은 수상관에 대한 집속전압의 조절 또는 그레이 밸런스(grey balance)를 위한 전위차계와 같은 다른 구성부품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전위차계는 프린트된 도체에 의해 수상관 콘넥터용 결합점과 연결되어 있다. 부가하여, 수상관 콘넥터에 의해 수상관의 그리드에 가해진 집속전압은 예를들면 8KV에 달하게 된다. 이 비교적 높은 전압은 아아크 및 누설이 발생하므로 회로 기판의 프린트된 도체에 의해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가해질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집속전압을 가하기위해서는 특별한 장치 예를들면, 분리절연선이 필요하다. 이 선은 한쪽은 전위차계의 콘넥터에, 다른쪽은 콘넥터의 상응하는 접촉부에 납땜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해결책은 딥(dip)납땜 공정에서는 만들어질 수 없는 부가적인 납땜질을 필요로 한다. 더우기 고전압에서는 그와같은 납땜질이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불가피한 땜납증기가 결합의 품질에 나쁜영향을 줄수 있기 때문이다. 그외에, 납땜 연결을 하려면 부가적인 수동조작이나 기계조작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이 부가되어 있다.
집속전압을 위한 전위차계에는 고전압이 접촉되는 곳에 대해 적절한 보호를 보장해주는 높은 품질의 절연재료로 구성된 하우징이 제공되어야 한다. 부가하여, 높은 물질의 절연체는 수산광 콘넥터에 대해서도 필요하며, 그 절연체는 한편으로는 양호한 열안정성과 다른 한편으로는 개개의 접촉부 서로에 대한 적절한 절연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상관 콘넥터와 전위차계 특히, 집속 전위차계 사이를 연결시키기위한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합리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문제는 본 고안에 의해 해결된다.
본 고안에서는 수상관 콘넥터와 전위차계가 공동절연 하우징내에 하나의 유니트로서 배열되어 있다. 이 합리적인 해결책은 촛점 조절기의 적어도 두개의 접촉부가 수상관 콘넥터, 즉 조절된 접속전압이 유도되는 새시(chassis) 및 슬라이더 테이크ㅡ오프와 결합되고 있으므로 유리하다. 이 결합은 납땜하지 않고도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 하우징의 함몰부에 형상금속부품을 배열함으로써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삽입가능한 도전성 고무부품에 의해 수상관 콘넥터 지점에 집속전압을 연결 할수 있다.
부가하여, 촛점 조절기 및 수상관 콘넥터와 함께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공동절연하우징내에 또 다른 전위차계를 도입할수 있다. 예를들면, 촛점제어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되어있고 그레이 밸러스를 위한 스크린 그리드 전압조절용 전위차계가 절연하우징에 배치될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은 촛점조절기 및 스크린 그리드 전위차계를 구비한 어셈블리 유니트로서의 수상관 콘넥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수상관 콘넥터용 접촉부(2)는 전위차계(4, 7)와 함께 절연하우징(1)에 배치되어 있다. 전위차계는 스핀들(spindle) 전위차계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의 슬라이더는 조절노브(6)에 의해 조절될수 있다. 전위차계와 콘넥터 접촉부(2)사이의 연결은 형상부품으로서 하우징(1)에 집어넣어져있는 도체(3, 5)에 의해 이루어 진다. 이 연결에서 전류와 전압강하가 작으므로 집속전압을 가하기위한 연결피스(5)는 도전성 고무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위차계(4, 7)에 전압을 가하는 것은 도체(8)을 이루어지며, 그것은 플라이백 트랜스로부터 필요한 고전압을 공급받는다. 이 도체는 격리 하우징의 소켓(9)내에 삽입될 수 있다.
격리 캡을 사용함으로써 (도시되어 있지않음), 전위자계 및 콘넥터의 집속연결점을 부주위로 인한 접촉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다.

Claims (5)

  1. 콘넥터 접촉부(2)와 하나이상의 전위차계(4, 7)가 조합하여 전기적으로 절연인 하우징과 함께 하나의 유니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관용 콘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위차계(4, 7)중의 하나가 촛점조절용 전위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관용 콘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위차계 및 수상관 콘넥터 접촉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형상금속부품으로 만들어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관용 콘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위차계와 콘넥터 사이의 연결이 형상을 이룬 도전성의 고무부품에 의해 만들어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집속전압을 가하기위한 고전압 콘넥터가 절연하우징 상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KR2019910008502U 1985-07-18 1991-06-10 수광관용 콘넥터 KR910006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502U KR910006148Y1 (ko) 1985-07-18 1991-06-10 수광관용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525639.7 1985-07-18
DE19853525639 DE3525639A1 (de) 1985-07-18 1985-07-18 Fassung fuer eine bildroehre
KR1019860004926A KR880001073A (ko) 1985-07-18 1986-06-20 수상관용 접속자
KR2019910008502U KR910006148Y1 (ko) 1985-07-18 1991-06-10 수광관용 콘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148Y1 true KR910006148Y1 (ko) 1991-08-17

Family

ID=27193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502U KR910006148Y1 (ko) 1985-07-18 1991-06-10 수광관용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1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1164A (en) Electronic device with connecting/disconnecting screw
JP2002530821A (ja) 接続装置
US20220006270A1 (en) Busbar connecting device
US5657196A (en) Coaxial transmission line surge arrestor
KR910006148Y1 (ko) 수광관용 콘넥터
US4748437A (en) Connector for a picture tube
US4400645A (en) CRT Socket assembly
CN100514867C (zh) 调谐器
KR950000289B1 (ko) 영상 표시장치용 고전압 변압기
EP0813269A3 (de) Elektrischer Verbinder
EP0184192B1 (de) Hochspannungserzeuger
CN218772515U (zh) 电极组件及等离子体设备
EP0530096B1 (en) Printed circuit substrat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KR100311817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포커스유니트와 케이블 연결장치
KR870002973Y1 (ko) 아댑터(adaptor)
KR930018939A (ko) 텔레비전 세트용 라인 출력 변압기
KR900010950Y1 (ko) 코넥터
US4600859A (en) Cathode ray tube protection systems
JPH0316259Y2 (ko)
JPH097717A (ja) Crtソケット
JP2727922B2 (ja) 高電圧発生装置
CN85107097A (zh) 带有电视机显象管插座的印刷电路板
CN1170942A (zh) 高压变压器
GB2192100A (en)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EP0303370A3 (en) Circuit board component spa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