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949Y1 - 너트 서어트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너트 서어트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949Y1
KR910005949Y1 KR2019880022647U KR880022647U KR910005949Y1 KR 910005949 Y1 KR910005949 Y1 KR 910005949Y1 KR 2019880022647 U KR2019880022647 U KR 2019880022647U KR 880022647 U KR880022647 U KR 880022647U KR 910005949 Y1 KR910005949 Y1 KR 910005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holder
mounting
nut insert
mount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2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430U (ko
Inventor
윤무열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신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신훈철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2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949Y1/ko
Publication of KR9000124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4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9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16B37/042Releasable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16B43/02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engaging surfaces which are not perpendicular to a bolt axis or do not surround the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너트 서어트 장착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 장치의 측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하면도.
제 3 도는 동 요부의 일부 분해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 장치를 너트 서어트를 장착하는 과정의 연속도로서, (a)도는 준비상태, (b)도는 장착상태, (c)도는 이탈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래칫 렌치(rachet wrench) 2 : 홀더(holder)
2a : 암나사부 3 : 장착볼트
3a : 숫나사부 3b : 노브(knob)
4 : 회전지지부 4a : 칼라(collar)
4b : 지지판(bearing plate) 4c :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
본 고안의 너트 서어트(nut-sert)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른 재질의 판이나 박판(sheet plate)에 너트 서어트를 장착하는데 적합한 너트 서어트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판에 볼트등을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판에 구멍을 뚫어 탭(tap)을 내는 방법을 통상 사용하여 왔으나 박판인 경우에는 나사산이 부족하여 체결력이 부족하고, 알루미늄이나 구리판등과 같이 무슨 재질이 경우에는 나사산이 손상될 우려가 있어서, 특히 알루미늄 박판의 경우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 서어트를 판에 형성된 구멍에 장착하여 볼트를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공압을 이용한 너트 서어트 장착전용구(nue-sert gun)가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공압라인(air line)의 설치가 필요하고 상당히 대형이어서 큰 작업공간을 요구할 뿐 아니라 모서리 부위등과 같이 좁은 곳에서는 작업이 불가능하고,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제한을 받게 되므로 큰 칫수의 너트 서어트 장착의 경우 잘 이뤄지지 않으며 작은 칫수의 너트 서어트 장착의 경우는 변형이 커서 작업불량이 매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본 특개소 56-66515호에 개시된 너트 서어트 및 너트 서어트 취부용 타입헤드가 있는 바, 이는 너트 서어트가 드라이빙헤드의 홈에 접촉된 상태에서 드라이빙헤드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핀들과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너트 서어트와 이 너트 서어트가 접촉되는 드라이빙헤드의 홈부위의 마찰력이 크기때문에 드라이빙헤드의 회전토오크가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홈부위의 마모가 심하여 그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치의 회전토오크를 줄일 수 있으며 마모로 인한 장치의 수명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로 한 너트 서어트 장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너트서어트 장착장치는 외주에는 너트 서어트가 나사결합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후단에는 노브가 형성된 장착볼트와, 그 내경부에 상기 장착볼트의 숫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를 고정결합하는 래칫렌치를 구비하여 된 너트서어트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선단에, 이에 고정설치되는 칼라의 내부에 지지판과 스러스트베어링이 회전자재로 수납되도록 된 회전지지부가 마련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보인 본 고안 너트서어트 장착장치는 래칫렌치(rachet wrench; 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홀더(holder; 2) 및 장착볼트(3)로 구성된다.
장착볼트(3)는 그 외주에 장착될 너트서어트(N), 즉 체결될 볼트의 규격에 대응하는 숫나사부(3a)가 형성되며 후단에는 너얼링(knurling) 가공된 노브(knob; 3b)가 형성되고 노브(3b)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보조핸들(7; 제 4 도에 도시됨)이 결합되는 바람직하기로는 육각 볼트 홈형태의 보조핸들 결합홈(3c)이 형성된다.
홀더(2)는 그 내경부(boss)에 상기 장착볼트(3)의 숫나사부(3a)에 대응하여 이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2a)가 형성되며, 그 선단에는 회전지지부(4)가 결합되는데, 회전지지부(4)는 홀더(2)의 단에 고정된 칼라(collar; 4a)의 내부에 선단부터 지지판(bearing plate; 4b)과 볼(ball) 또는 롤러(roller) 베어링등으로된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 4c)이 회전 자재로 수납되어 있으며, 지지판(4b)의 외주에는 홈이 형성되어 칼라(4a)의 선단이 이 홈에 절곡되어 들어감으로써 축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 이 회전지지부(4)의 후방홀더(2)와 래칫렌치(1)와의 경계부에는 홀더(2)의 축방향 지지를 위해 플랜지부(flange portion; 2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래칫렌치(1)와의 반대측 경계부는 홀더(2)의 원주방향 지지를 위해 적절한 형태의 키이홈(key grove : 2c)이 형성되어 래칫렌치(1)에 형성되어 있는 키이홈(1a)과의 사이에 키이(5)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키이홈(1a, 2c) 및 키이(5)의 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테이퍼(taper)를 가진 쐐기형(wedge)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홀더(2)의 후단측에는 장착볼트(3)의 상대운동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핸들(6)의 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고정구멍(2d)이 형성된다.
또 래칫렌치(1)는 일방향 회전만을 전동시키는 통상의 것이므로 그 상세는 생략한다.
이와 같은 요소들로서 본 고안 너트 서어트 장착장치를 구성하는 방법은 먼저 노브(3b)를 돌려 장착볼트(3)를 홀더(2)에 나사결합한 뒤 이 장착볼트(3) 및 홀더(2) 결합체를 래칫렌치(1)의 전방으로부터 이에 삽입하면 홀더(2)의 플랜지부(2b)가 래칫렌치(1)에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래칫렌치(1)의 후방으로부터 양키이홈(1a, 2c)에 키이(5)를 삽입하면 장착볼트(3) 및 홀더(2) 결합체가 래칫렌치(1)에 축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고정 결합됨으로써 본 고안 너트 서어트 장착장치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러한 본 고안 너트 서어트 장착장치로 너트서어트(N)를 장착될판(P)에 장착하는 방법은 먼저 홀더(2)의 전방으로 약간 돌출된 장착볼트(3)의 선단에 너트서어트(N)를 대고 노브(3b)를 회전시킴으로써 너트서어트(N)를 장착볼트(3)에 나사결합한다. (여기서 장착볼트(3)에 대해 너트서어트(N)를 회전시켜 결합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으나 연속사용상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착볼트(3)의 선단이 홀더(2)에 대해 약간밖에 돌출해 있지 않으므로 노브(3a)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음 이 홀더(2) 및 장착볼트(3) 및 너트서어트(N) 결합상태를 장착될 판(P)에 형성된 장착구멍(H)에 삽입한다.(제 4a 도)
다음 래칫렌치(1)를 나사의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고착된 홀더(2)가 환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장착볼트(3)는 홀더(2)와 상대이동을 하며 도면의 하방으로 당겨지며 너트서어트(N)를 압착 병형하도록 하는 강제력을 발휘하게 된다. (제 4b 도)이때 장착볼트(3)는 홀더(2)에 대해서만 상대이동을 하며 너트서어트(N)에 대해서는 상대이동을 하지않게 되는데, 이것은 회전지지부(4)의 작동에 의한 것으로, 즉 장착볼트(3) 및 너트서어트(N)와 함께 장착될 판(P)에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판(4b) 및 스러스트 베어링(4c)의 상측과 홀더(2)와 함께 회전하는 스러스트 베어링(4c)의 하측이 상호 미끄러져 구름 운동함으로써 이뤄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너트서어트(N)는 장착될 판(P) 및 지지판(4b)과 장착볼트(3) 사이에서 압축력을 받게 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소성변형을 하여 장착구멍(H)의 상하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됨으로써 장착이 이뤄지는 것이다.
너트서어트(N)의 장착이 완료된 후 본 고안 너트서어트 장착장치를 장착된 너트서어트(N)로부터 이탈시키는 방법은 노브(3b)를 회전시킴으로서 할 수 있는데 그 회전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제 4c 도에 보인 바와 같이 노브(3b)의 후단에 형성된 보조핸들 결합홈(3c)에 보조핸들(7)을 결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이탈시키면 다음작업을 위해 새로운 너트서어트(N)를 결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는 달리 홀더(2)의 고정구멍(2d)에 고정핸들(6)을 결합함으로써 장착볼트(3)와 홀더(2)가 상대운동을 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래칫렌치(1)를 회전시킴으로써 너트서어트(N)와 장착볼트(3)가 상대운동을 하여 이탈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술한 본 고안 작동에 있어서 칫수가 다른 너트서어트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키이(5)를 제거한 뒤 다른 칫수의 홀더(2) 및 장착볼트(3)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너트서어트 장착장치는 홀더의 선단에 지지판과 스러스트 베어링을 구비하는 회전지지부가 마련되어 너트서어트가 장착볼트와 함께 회전되지 않게 됨에 따라 종래 발생되면 마모로 인한 장치의 수명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장치의 회전토오크를 줄일 수 있게 되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외주에는 너트서어트가 나사결합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후단에는 노브가 형성된 장착볼트와, 그 내경부에 상기 장착볼트의 숫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를 고정결합하는 래칫렌치를 구비하여 된 너트서어트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2)의 선단에, 이에 고정설치되는 칼라(4a)의 내부에 지지판(4b)과 스러스트베어링(4c)이 회전자재로 수납되도록 된 회전지지부(4)가 마련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서어트 장착장치.
KR2019880022647U 1988-12-31 1988-12-31 너트 서어트 장착장치 KR910005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647U KR910005949Y1 (ko) 1988-12-31 1988-12-31 너트 서어트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647U KR910005949Y1 (ko) 1988-12-31 1988-12-31 너트 서어트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430U KR900012430U (ko) 1990-07-03
KR910005949Y1 true KR910005949Y1 (ko) 1991-08-12

Family

ID=1928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2647U KR910005949Y1 (ko) 1988-12-31 1988-12-31 너트 서어트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9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430U (ko) 199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6984B2 (en) Mechanism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bearing
JPH09329120A (ja) ロッキングナット
JPS5853208B2 (ja) 固定装置
CA1249738A (en) Stud installer
GB2027134A (en) Axially adjustable bearing assembly
US4476617A (en) Bearing installation tool
EP0802021B1 (en) Swaging tool for bearing installation
US5855065A (en) Method for assembling a rotary apparatus with gap-controlling features
US5363721A (en) Bicycle pedal crank dismounting device
KR910005949Y1 (ko) 너트 서어트 장착장치
US6931966B2 (en) Adjustable socket
US5570980A (en) Spindle apparatus
US5067220A (en) Front wheel drive hub puller
JPH034324B2 (ko)
US6148690A (en) Cam follower mounting assembly
US5111575A (en) Swaging tool for bearing installation
US3858300A (en) Jackscrew device
JPH071257Y2 (ja) 軸受け装着用治具
EP0028019A1 (en) Device consisting of a blind nut and drive head for mounting same, and method of operation
US5474387A (en) Axle bearing positioning system
JPH06346910A (ja) ねじ具
JPH10263902A (ja) スピンドル装置
JPS6337123Y2 (ko)
JPH0218347Y2 (ko)
JPH0752055A (ja) ドライ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