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877Y1 - 텔레비젼의 자동화상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텔레비젼의 자동화상 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877Y1
KR910005877Y1 KR2019880009383U KR880009383U KR910005877Y1 KR 910005877 Y1 KR910005877 Y1 KR 910005877Y1 KR 2019880009383 U KR2019880009383 U KR 2019880009383U KR 880009383 U KR880009383 U KR 880009383U KR 910005877 Y1 KR910005877 Y1 KR 910005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st
brightness
level
diod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901U (ko
Inventor
전성호
이세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9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877Y1/ko
Publication of KR9000019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9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8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텔레비젼의 자동화상 보정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레벨조정부 10 : 화질보상부
VR1,VR2, VR3: 가변저항 R1-R6: 저항
D1-D3: 다이오드
본 고안은 텔레비젼의 콘트라스트(Contrast)조정 상태에 따라 화면의 밝기(Brightness)를 자동으로 보상해 주어 적절한 화상을 재현시킬 수 있도록한 텔레비젼의 자동 화상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트라스트와 밝기 조절은 제 1 도에서와 같이 저항(R1)(R2)으로 분배된 전압을 가변저항(VR1)으로 가변시켜 주어 영상 처리 집적소자(IC1)의 콘트라스트 조절부를 제어해 주므로서 콘트라스트 조절을 행하고 저항(R3)(R4)으로 분배된 전압은 가변저항 (VR2)(VR3)으로 가변시켜 주어 영상처리집적소자(IC1)의 밝기 조절부를 제어해 주므로써 밝기 조절을 행하였다.
즉 종래에는 콘트라스트와 밝기 조절을 개별적으로 가변저항(VR1)(VR2)을 사용하여 가변시켜 주었기 때문에 콘트라스트가 최소(minimum)이고 밝기가 최대(maximum)일 경우 화면이 밝은 상태에서 화면의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의 차가 줄어 들기 때문에 뿌연 화면이 나타나 눈에 거슬리게 되며 또한 콘트라스트가 최대이고 밝기가 최소일 경우에는 화면이 어둡기 때문에 화면의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의 큰 차이가 실제 화면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콘트라스트나 밝기를 조절하여 화면을 적절히 보상시켜 시청하기 위해서는 콘트라스트나 밝기를 동시에 조절해 주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콘트라스트의 가변에 따라 화면의 밝기도 변하게 하여 화상을 적절히 보상해 주도록 하므로써 적절한 화상을 재현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콘트라스트가 최소인 경우 밝기 레벨도 낮춰주어 부드러운 화상이 재현되게 하고 콘트라스트가 최대인 경우에는 자동 밝기 제한 회로(Automatic Bright Limit)에 전류를 중첩시켜 주어 고압을 떨어뜨려 주므로써 화면이 밝게 되도록 하며 또한 주위의 온도가 상승될때 밝기 레벨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해 주어 화상을 보정시켜 주도록 한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써 각각의 콘트라스트와 밝기를 조절하는 레벨조정부(5)의 레벨 조정전압을 가변시켜 콘트라스트에 따라 화질을 보상해주는 화질 보상부(10)를 콘트라스트 조절부와 밝기 조절부가 형성된 영상 처리 집적소자(IC1)에 연결되게 구성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저항(R1)(R2)으로 분배된 전압을 가변저항(VR1)으로 가변시켜 주어 영상처리 집적소자(IC1)의 콘트라스트 조절부에 인가시킴과 동시에 다이오드(D2)와 콘덴서(C1) 및 저항(R5)을 통하여 가변저항(VR3)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저항(R3)(R4)으로 분배된 저압은 가변저항(VR2)으로 가변시켜 주어 영상처리 집적소자(IC1)의 밝기 조절부에 인가됨과 동시에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콘트라스트 조절부에 인가되게 구성하며 가변저항(VR3)에는 저항(R6)과 온도 보상용 다이오드(D3)를 연결함과 동시에 자동 밝기 제한회로(ABL)가 연결되게 구성한 것이다.
결국 본 고안은 콘트라스트 최소시 자동을 밝기 레벨을 낮추어 주고 콘트라스트 최대시 자동으로 밝기 레벨을 올려 주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콘트라스트 조절을 저항(R1)(R2)으로 분배된 전압이 가변저항(VR1)으로 가변되어 영상처리집적소자(IC1)의 콘트라스트 조절부에 인가되므로써 콘트라스트 레벨에 따른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조절하게 된다.
즉 가변저항(VR1)의 중앙 탭 단자가 A위치에 놓이게 되면 콘트라스트 레벨이 최대가 되어 선명한 화상을 재현시키고 B위치에 놓이게 되면 콘트라스트 레벨이 최소가 되어 뿌연 화면을 만들게 된다.
이같이 콘트라스트 레벨이 변하여 최소가 될때 즉 B위치에 놓이게 되면 화면이 뿌해져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차이는 줄어들게 되나 이때 가변저항(VR1)에 의해 가변되는 밝기 레벨은 변하지 않고 그대로 밝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목적하고자 하는 콘트라스트를 줄여 부드러운 화면을 재현시키고자 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수 없게 된다.
따라서 콘트라스트를 조절하여 콘트라스트 레벨이 낮고 휘도레벨이 높을 경우에는 다이오드(D1)의 캐소드전압보다 다이오드(D1)의 애노드 전압이 높게 되어 다이오드(D1)가 "온"되게 되므로 가변저항(VR2)에 의해 가변되는 밝기 조절 전압이 상대적으로 내려가게 되어 밝기가 적절하게 조절된다.
즉 가변저항(VR1)을 이용하여 콘트라스트 레벨을 낮추면 화면이 뿌연 상태가 되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차가 줄어드나 밝기 레벨은 그대로 밝은 상태를 유지하여 부드러운 화면을 얻을 수 없으므로 콘트라스트 레벨이 낮을 때 다이오드(D1)의 애노드 전압이 캐소드 전압보다 높게되어 다이오드(D1)를 "온"시키게 되므로써 밝기 레벨이 상대적으로 내려가게 되어 콘트라스트 레벨이 낮을때 자동적으로 밝기 레벨로 낮추어 주어 부드러운 화상을 재현시키도록 보상해 주게 된다.
그러나 콘트라스트 레벨이 최대시 즉 가변저항(VR1)의 A위치에 중앙 탭 단자가 놓게 되면 화면의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의 큰 차이로 인하여 선한 화상을 재현시키게 되나 이때 콘트라스트 최대 레벨과는 상대적으로 밝기 레벨이 낮게 되어 화면이 어둡기 때문에 선명한 화상을 재현할수가 없는 것이다.
이같은 점을 없애 주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콘트라스트 레벨이 최대시 다이오드(D2)의 애노드 전압이 캐소드 전압보다 높을 경우 다이오드(D2)가 "온" 되고 다이오드(D2)가 " 온" 되면 다이오드(D2)를 통과한 전압은 콘덴서(C1)에서 노이즈가 제거된후 보조 밝기 조절용 가변저항(VR3)을 통하여 자동 밝기 제한회로(ABL)에 인가되게 되므로써 자동 밝기 제한회로(ABL)에 흐르는 전류가 중첩되어 증가하게 되므로 고압이 낮아지게 되어 화면의 밝기가 증가하게 된다.
즉 콘트라스트 레벨 최대시 다이오드(D2)에 순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다이오드(D2)가 "온"되므로 가변저항(VR3)을 통하여 자동 밝기 제한회로(ABL)에 전류를 증가시켜 주어 고압이 낮아지게 하므로써 화면을 밝게 보정해 준다.
따라서 콘트라스트 최대시 밝기 레벨을 상대적으로 높여 주어 화면을 밝게 해 주므로써 선명한 화상이 재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텔레비젼 세트의 주위 온도가 올라가게 되어 저항치가 상승하게 되어 밝기 레벨이 상승하게 되는 것을 다이오드(D3)를 연결해 주므로써 다이오드(D3)를 통해 밝기 레벨 상승분을 떨어뜨려 주어 화상을 보상시켜 줄수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콘트라스트 최소시 자동으로 밝기 레벨을 낮추어 주므로 부드러운 화면을 재현시킬수 있고 콘트라스트 최대시에는 자동으로 밝기 레벨을 올려주므로 선명한 화면을 재현 시킬수 있도록 한것으로써 종래와 같이 콘트라스트와 밝기를 동시에 조절해주어 원하고자 하는 화면을 재현시키는 불편함 없이 간단히 콘트라스트만을 조절해 주어도 밝기를 자동으로 보상해 주어 화상을 부드럽고 선명하게 재현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레벨 조정부(5)로 콘트라스트와 밝기가 조절되는 영상처리 집적소자(IC1)에 있어서, 레벨조정부(5)의 콘트라스트 레벨조정 전압에 따라 밝기 레벨조정전압을 가변시켜 주어 콘트라스트 변화에 따른 밝기를 보상해주는 화질 보상 수단을 연결 구성한 텔레비젼의 자동 화상 보정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화질 보상 수단은 콘트라스트 레벨에 따라 구동되어 밝기 레벨을 제어하는 다이오드(D1)(D2)와, 상기 다이오드(D2)의 출력을 자동 밝기 제한회로(ABL)에 인가시켜 주는 가변저항(VR3)과 상기 가변저항(VR3)에 연결되어 온도 보상을 행하는 다이오드(D3)로 구성된 텔레비젼의 자동 화상 보정회로.
KR2019880009383U 1988-06-18 1988-06-18 텔레비젼의 자동화상 보정회로 KR910005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383U KR910005877Y1 (ko) 1988-06-18 1988-06-18 텔레비젼의 자동화상 보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383U KR910005877Y1 (ko) 1988-06-18 1988-06-18 텔레비젼의 자동화상 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901U KR900001901U (ko) 1990-01-19
KR910005877Y1 true KR910005877Y1 (ko) 1991-08-05

Family

ID=19276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383U KR910005877Y1 (ko) 1988-06-18 1988-06-18 텔레비젼의 자동화상 보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8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901U (ko) 199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1849A (en) Plural operating mode ambient light responsive television picture control
US6175384B1 (en) Video camera apparatus having an exposure control device
EP0393946B1 (en) Video control circuit
RU213023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ки яркости и контраста в телевизионном приемнике
CA2072234A1 (en) Intensity correction device
KR910005877Y1 (ko) 텔레비젼의 자동화상 보정회로
US4376288A (en) Signal gain control with DC compensation
CA1299740C (en) Black level drift compensator for use in a television receiver
JPH0215423Y2 (ko)
JP3261809B2 (ja) 黒伸長補正のフィードバック制御装置
KR970004902Y1 (ko) 21핀 유로 모니터짹의 전환스위칭(FAST/swithing)을 이용한 화면축소회로
KR100458386B1 (ko) 응답속도를 보상하는 자동 밝기제한 회로
KR910004793Y1 (ko) 칼라텔레비젼의 화면밝기 자동조절회로
KR200188159Y1 (ko) 레귤레이션 보정회로
KR910007199Y1 (ko) 자동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KR930002367Y1 (ko) 역광 보정 회로
KR200146248Y1 (ko) 수평보정회로
JPS62120169A (ja) 自動画質調整回路
JP2000101942A (ja) カラーテレビ受像機
KR970006986Y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흑레벨 보정회로
KR960000842Y1 (ko) 칼라이득 자동조절장치
JPH0683465B2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H04322300A (ja) 表示装置
JPH05336407A (ja) 直流伝送率補正回路
JPH057350A (ja) 映像メニユーによるablのビーム電流制限値コントロール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