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331Y1 - 이동 물체 추적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발신장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이동 물체 추적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발신장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331Y1
KR910005331Y1 KR2019880016838U KR880016838U KR910005331Y1 KR 910005331 Y1 KR910005331 Y1 KR 910005331Y1 KR 2019880016838 U KR2019880016838 U KR 2019880016838U KR 880016838 U KR880016838 U KR 880016838U KR 910005331 Y1 KR910005331 Y1 KR 910005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ulse
circuit
cod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902U (ko
Inventor
전순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6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331Y1/ko
Publication of KR900008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9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3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14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 G01S3/28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mplitude comparison of signals derived simultaneously from receiving antennas or antenna systems having differently-oriented directivity characteristics
    • G01S3/32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mplitude comparison of signals derived simultaneously from receiving antennas or antenna systems having differently-oriented directivity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different combinations of signals from separate antennas, e.g. comparing sum with difference
    • G01S3/325Automatic track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78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3/782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 G01S3/785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djustment of orientation of directivity characteristics of a detector or detector system to give a desired condition of signal derived from that detector or detector system
    • G01S3/786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djustment of orientation of directivity characteristics of a detector or detector system to give a desired condition of signal derived from that detector or detector system the desired condition being maintained automatical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동 물체 추적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발신장치 제어회로
제 1 도는 이동발신 장치 블록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블록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일실시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펄스발생기 201-204 : 제 1, 2, 3, n 스위칭회로
205 : 정전압회로
본 고안은 이동물체 추적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물체에 탑재되어 이동물체의 이동 상황을 알리기 위한 이동발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발신장치의 송수신 모드 절환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물체 추적시스템은 일정수의 기지국과 이동물체에 탑재되어 이동물체의 이동간 위치를 알리기 위한 이동발신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기지국들은 상기 이동발생장치로부터 발진되는 고주파수신호를 수신하여 이동물체의 이동상황을 감시추적하게 된다.
그리고 최근 상기 이동물체 추적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발신장치는 통제국으로부터 호출하는 고유의 호출정보가 실린 고주파신호가 수신될때에만 일정기간 고유의 응답정보를 대역 확산방식에 의해 변조한 고주파신호를 송출하는 형태의 대역확산방식 이동발신장치가 본원에 의해 개발되었는데 상기 이동발신장치는 제 1 도와 같이 구성되며 그 작동은 하기와 같다.
듀플렉서(70)은 제어부(80)의 제 1 출력단자의 출력에 따라 송신모드 또는 수신모드로 작동하는데 평상시에는 수신모드 작동상태로 공중선(ANT)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신호를 제 1 증폭부(1)로 출력하고, 송신모드시에는 제 2 증폭부(60)로부터 전력증폭된 송신용 고주파신호를 공중선(ANT)를 통해 송출한다.
그리고 제 1 증폭부(10)는 상기 듀플렉서(70)으로부터 출력되는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증폭하여 복조부(20)로 출력한다.
상기 제 1 증폭부(10)로부터 수신증폭된 고주파신호를 입력하는 복조부(20)는 자체내에서 발생되는 국부발진 주파수로 혼합함으로 중간주파수신호를 발생하여 증폭한다음 복조함으로서 고유호출정보인 코드신호와 수신된 반송파신호를 발생하여 코드신호를 코드해독부(30)로 출력하고 국부발진주파수를 변조부(50)로 출력한다.
그리고 복조부(20)는 제어부(80)의 제 2 출력단자의 출력에 의해 복조된 수신반송신호를 샘플링한 다음 호울딩함으로서 상기 수신복조된 반송파 신호를 변조부(50)로 인가하는 한편 클럭신호를 발생하여 의사잡음발생부(40)로 출력한다.
상기 복조부(20)로부터 클럭신호가 인가될 때 의사잡음발생부(40)는 클럭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미리 세팅되거나 저장된 응답용 의사잡음신호를 발생하여 변조부(5)로 출력한다.
상기 의사잡음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응답용 의사잡음신호는 이동물체에 부여된 고유코드번호로서 이동체의 이동상황을 알리기 위해 세트제작시 제작자에 의해 세트하거나 운용자에 의해 가변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한편 상기 복조부(20)로부터 복조된 코드신호를 입력하는 코드해독부(30)는 입력된 코드신호가 자신의 고유호출정보인지 해독하기 위해 미리 세팅된 고유의 코드번호와 승산하여 승산된 결과로 고유호출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함으로서 단일펄스 형태의 코드인지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8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80)는 상기 코드해독부(30)로부터 입력되는 코드인지 신호의 논리상태로 고유호출정보가 수신되었는가 판단하여 듀플렉서(70) 및 복조부(20)와 제 2 증폭부(60)를 제어하는데 평상시에는 듀플렉서(70) 및 복조부(20)와 제 2 증폭부(60)를 제어하여 수신모드로 작동하게 되고, 코드해독부(30)로부터 고유호출정보가 수신되었다는 코드인지신호가 입력되면 듀플렉서(7) 및 복조부(20)와 제 2 증폭부(60)를 제어하여 송신모드로 작동하게 한다.
한편 송신모드시 복조부(20)로부터 국부발진주파수와 수신복조된 반송파 신호를 입력하고 의사잡음발생부(40)로부터 고유응답정보의 의사잡음 신호를 입력하는 변조부(50)는 상기 수신복조된 반송신호로 상기 의사잡음신호를 일차 변조한 다음 일차변조된 신호를 상기 국부발진주파수와 혼합함으로서 송신용 고주파신호를 발생하여 제 2 증폭부(6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변조된(50)로부터 송신용 고주파신호를 입력하게 되는 제 2 증폭부(60)는 제어부(80)의 제 3 출력단자의 출력에 의해 송신모드시 작동을 개시함으로 상기 변조부(50)의 출력을 전력증폭하여 듀플렉서(7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80)는 평상시 수신모드상태로 듀플렉서(70) 및 제 2 증폭부(60)를 작동시키며 복조부(20)는 수신복조하는 반송파신호를 샘플링하도록 제어하다가 상기 코드 해독부(30)로부터 단일펄스형태의 의사잡음인지신호가 인가될 때 복조부(20)로 인가하게 하는 한편 듀플렉서(70)을 송신모드상태로 그리고 제 2 증폭부(60)의 증폭작동을 수행토록 제어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코드 해독부의 출력에 의해 복조부의 주파수 샘플 호올드 작동 및 듀플렉서의 송수신 모드작동과 제 2 증폭부의 증폭작동 제어뿐만 아니라 이동발신장치의 다른 각부분까지도 제어할 수 있는 이동발신장치 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블록도로서 코드 해독부로부터 펄스형태의 의사잡음 인지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다수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기(200)와, 상기 펄스발생기(200)의 제어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스위칭작동을 함으로서 각각 대응되는 이동발신장치의 각 회로에 작동전압을 공급을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칭회로(201-204)와, 상기 외부로부터 공급전원을 입력하여 상기 펄스발생기(200) 및 다수의 스위칭회로(201-204)에 안정된 작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정전압회로(205)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정전한 회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공급전원을 입력하여 일정레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작동전원을 펄스발생기(200) 및 다수의 스위칭회로(201-204)에 공급한다.
그리고 코드해독부로부터 코드인지신호를 입력하게 되는 펄스발생기(200)는 고유의 호출정보가 수신될 시 펄스형태의 코드인지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코드 인지신호에 의해 일정 펄스폭을 갖는 펄스 형태의 제어신호를 다수 발생한다.
이때 상기 펄스발생기(200)의 다수개의 제어신호들에 각각 대응된 다수의 스위칭회로(201-204)들은 각각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각각 해당된 회로부에 작동에 필요한 작동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회로들의 개수는 상기 듀플렉서(70)의 송수신모드의 전환을 제어하고 제 2 증폭부(60)도 수신모드시는 작동을 하지 않으며 송신모드시에만 작동함으로 작동시 작동전압의 공급을 제어하며, 복조부(20)도 수신복조된 반송파신호를 샘플링할 때와 호울딩할때의 전력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여 제어하고 싶은 다른 회로부분까지도 제어할 수 있는 의미로 확대됨을 말한다. 그리고 제 3 도는 제 2 도의 일실시예의 구체회로도로서 트랜지스터(Q1) 및 두 개의 콘덴서(C1,C2)와 3개의 저항(R1-R3) 및 두 개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ono Stable Muti-Vibrator)(300, 301)로 구성된 부분이 펄스발생기(200)에 대응하고, 세 개의 저항(R4-R6) 및 두 개의 트랜지스터(Q2, Q3)로 구성된 부분이 제 1 스위칭회로(21)에 대응하며, 여섯 개의 저항(R7-R12) 및 세 개의 트랜지스터(Q4-Q6)로 구성된 부분이 제 2 스위칭회로(202)에 대응하고, 저항(R13) 및 트랜지스터(Q7), 다이오드(D1), 릴레이(RLT)로 이루어진 부분이 제 3 스위칭회로에 대응하며, 제 2 도와 동일부호 및 명칭과 동일기능을 갖는 정전압회로(205)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 3 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정전압회로(205)는 공급전원(Vcc)로 입력하여 일정레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작동전원(VDD)를 발생함으로 상기 작동전원(VDD)를 라인(1)을 통해 펄스발생기(200) 및 제 1-3스위칭회로(201-203)에 공급한다.
그리고 펄스발생기(200)은 코드 해독부로부터 단일 펄스형태의 코드인지신호가 인가될 때 상기 코드인지신호에 의해 일정 큰 펄스폭을 갖는 제 1-2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그 작동을 상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저항(R1)과 트랜지스터(Q1)은 라인(2)을 통해 코드 해독부로부터 인가되는 단일 펄스형태의 코드인지신호를 반전시켜 라인(3)을 통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 트리거단자(T)로 출력함으로서 상기 코드인지신호를 완충출력하는 버퍼링수단으로 작용한다.
상기 라인(3)을 통해 상기 버퍼링수단으로 작용하는 트랜지스터(Q1)의 출력을 트리거단자(T)로 입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0)은 로우논리상태의 펄스형태를 갖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어 콘덴서(C1) 및 저항(R2)의 시정수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출력의 펄스폭에 무관하게 일정의 펄스기간을 갖는 정의 펄스형태를 갖는 제 1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라인(4)를 통해 제 1 및 제 2 스위칭회로(201, 202)로 출력함으로서 저항(R2) 및 콘덴서(C1)과 함께 제 1 펄스폭 조절수단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0)의 반전출력단자로부터 반전된 제 1 제어신호를 트리거단자(T)로 입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1)도 상기 반전된 제 1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 1 제어신호와 동일 위상의 펄스형태를 갖는 제 2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라인(5)을 통해 제 2 스위칭회로(203)으로 출력하는데 이때 제 2 제어신호의 펄스폭은 콘덴서(C2) 및 저항(R3)에 의해 결정된 시정수에 따라 조절됨으로 상기 저항(R3) 및 콘덴서(C2)와 함께 제 2 펄스폭 조절수단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의 출력인 제 1 제어신호를 라인(4)를 통해 입력하는 제 1 스위칭회로(201)은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작동함으로 공급전원(Vcc)를 라인(6)을 통해 제 1 도중 제 2 증폭기(60)로 공급하게 되는데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두 저항(R4, R5) 및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된 부분은 하나의 인버터로 작용하고, 저항(R5) 및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 부분은 하나의 버퍼로 작용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출력에 의해 라인(7)을 통해 인가되는 공급전원을 라인(6)을 통해 제 1 도상의 제 2 증폭기(6)로 공급함으로서 상기 라인(4)상의 제 1 제어신호와 라인(6)상의 전압레벨을 매칭시키는 역할이 주목적이다.
한편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300)의 출력인 제 1 제어신호를 라인(4)를 통해 입력하게 되는 제 2 스위칭회로(202)도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라인(1)을 통해 인가되는 작동전압을 라인(8)을 통해 복조부(20)로 출력되고 있는 것을 뮤트하게 되는데 그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두 개의 저항(R3, R8) 및 트랜지스터(Q4)로 구성된 부분은 하나의 인버터로 작용하여 상기 제 1 제어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고, 저항(R8) 및 트랜지스터(Q5)로 구성된 부분은 하나의 버퍼로 작용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출력을 완충출력하며, 세 개의 저항(R10-R12) 및 트랜지스터(Q5)로 구성된 부분은 하나의 인버터로 작용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출력에 의해 형상시 라인(8)을 통해 제 1 도중 복조부(20)에 공급하던 작동전원을 뮤트한다.
그리고 제 2 스위칭회로(202)에서 인버터수단과 버퍼링수단, 인버터수단의 수순으로 접속시킨 것은 제 1 제어신호의 완충뿐 아니라 극히 미소한 시간지연의 효과를 필요로 할 경우에 적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의사잡음 해독부의 단일 펄스 형태의 의사잡음 인지신호에 의해 이동발신장치의 듀플렉서(70), 복조부(20), 제 2 증폭부(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하고 싶은 다른 회로 부분까지도 함께 제어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코드 해독부르 구비한 이동발신장치에 있어서, 코드 해독부로부터 펄스형태의 코드인지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다수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기(200)와, 상기 펄스발생기(200)의 제어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스위칭작동을 함으로서 각각 대응되는 이동발신장치의 각회로에 작동전압을 공급을 제어하는 다수의 스위칭회로(201-204)와, 상기 외부로부터 공급전원을 입력하여 상기 펄스발생기(300) 및 다수의 스위칭회로(201-204)에 안정된 작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정전압회로(205)로 구성되어 이동발신장치의 각 회로부분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발신장치의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펄스발생기가 코드 해독부의 단일펄스 형태의 코드 인지신호를 완충출력하기 위한 버퍼링수단과, 상기 버퍼링수단의 출력에 종속접속되어 코드인지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함으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각각 대응된 다수의 스위칭회로(201-204)로 출력하는 다수의 펄스폭조절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발신장치의 제어회로.
KR2019880016838U 1988-10-14 1988-10-14 이동 물체 추적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발신장치 제어회로 KR910005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838U KR910005331Y1 (ko) 1988-10-14 1988-10-14 이동 물체 추적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발신장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838U KR910005331Y1 (ko) 1988-10-14 1988-10-14 이동 물체 추적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발신장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902U KR900008902U (ko) 1990-05-03
KR910005331Y1 true KR910005331Y1 (ko) 1991-07-22

Family

ID=1928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838U KR910005331Y1 (ko) 1988-10-14 1988-10-14 이동 물체 추적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발신장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3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902U (ko) 199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2181A (en) Transmitting receiving apparatus
KR960039671A (ko) 송신 장치용 파워 제어 회로 및 파워 제어 방법
KR890013911A (ko) 무선통신장치
US4755773A (en) Phase modulator apparatus for generating a burst phase-modulated wave
KR910005331Y1 (ko) 이동 물체 추적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발신장치 제어회로
KR19990013370A (ko) 무선통신장치 및 그 수신신호레벨 제어방법
KR910005247B1 (ko) 대역 확산 방식을 이용한 이동발신장치
US3613003A (en) Transceivers with calling devices
US3441854A (en) Encoder-decoder circuit including diode switching of a stage from an amplifier to an oscillator
US3617888A (en) Encoder-decoder device for selective signalling
US3339140A (en) Solid-state two-way radio switching system application
US3250997A (en) Encoder-decoder device for selective signaling
JP3264834B2 (ja) 時分割通信装置
KR940013275A (ko)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
JP3102731B2 (ja) 無線送受信機
JPH0119110Y2 (ko)
KR960002671B1 (ko) 위성수신기의 저잡음 블럭변환기용 제어신호발생회로
KR920010983B1 (ko) 전원 공급 장치
JPS572145A (en) Radio transmission system
SU14635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странени "обратной работы" в каналах св зи с фазовой манипул цией
JPS5846593Y2 (ja) トランシ−バ装置
KR100435555B1 (ko) 반이중 통신용 송수신기
JPH07321767A (ja) Agc回路
JPH10341266A (ja) ディジタル通信用送信機
JPH0522170A (ja) スケルチ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