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218Y1 -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218Y1
KR910005218Y1 KR2019880017090U KR880017090U KR910005218Y1 KR 910005218 Y1 KR910005218 Y1 KR 910005218Y1 KR 2019880017090 U KR2019880017090 U KR 2019880017090U KR 880017090 U KR880017090 U KR 880017090U KR 910005218 Y1 KR910005218 Y1 KR 910005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ntact
contact arm
treatment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7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709U (ko
Inventor
하루히사 도다
히로아키 후지히사
시로 무라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7794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81842U/ja
Priority claimed from JP177950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867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77949U external-priority patent/JP2545876Y2/ja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17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7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2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62Lubricating mean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7/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 H01H77/0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 H01H77/1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dynamic opening
    • H01H77/10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dynamic opening characterised by special mounting of contact arm, allowing blow-off movement
    • H01H77/104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with electrodynamic opening characterised by special mounting of contact arm, allowing blow-off movement with a stable blow-off posi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로차단기
제 1 도는 본원 고안의 제 1, 제 2, 제 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 확대도.
제 2 도는 종래의 것을 나타내는 종단면 측면도.
제 3 도는 온상태를 나타내는 제 2 도의 요부 확대도.
제 4 도는 오프상태를 나타내는 제 3 도와 같은 도면.
제 5 도는 트립상태를 나타내는 제 3 도와 같은 도면.
제 6 도는 반발상태를 나타내는 제 3 도와 같은 도면.
제 7 도는 제 6 도의 부분 종단면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자동트립장치 7 : 가동자
10 : 콘택트 암 10A : 제 1 의 콘택트 암
10B : 제 2의 콘택트 암 11 : 제 1 의 핀
12 : 지지축 14 : 가이드 구멍
14a : 끝부 14c : 핀슬라이드면
15 : 긴구멍 15a : 핀 슬라이드면
16A : 제 2의 핀 16a : 접촉면
17 : 스프링
본원 고안은 자동트립(trip)장치에 의한 차단동작과는 무관계로 대전류통전에 의한 전자(電磁)탄발력에 의해 가동자를 이반(離反)시켜서 한류(限流)를 행하도록 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회로차단기를 제 2 도 내지 제 7 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 2 도는 종단면 측면도, 제 3 도는 온상태를 나타내는 제 2 도의 요부 확대도, 제 4 도는 오프상태를 나타내는 제 3 도와 같은 도면, 제 5 도는 트립상태를 나타내는 제 3 도와 같은 도면, 제 6 도는 반발 상태를 나타내는 제 3 도와 같은 도면, 제 7 도는 제 6 도의 부분 종단면확대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차단기케이스이고, 베이스(1a)와 커버(1b)로 구성되어 있다. (2)는 베이스(1a)에 고정시킨 전원측의 고정도체, (3)은 고정도체(2)에 부착시킨 고정접점, (4)는 자동트립장치, (5)는 자동트립장치(4)에 접속된 부하측의 고정도체, (6)은 가동접점, (7)은 가동접점(6)을 고착시킨 가동자, (8)은 가동자(7)를 접속도체(9)를 통해서 자동트립장치(4)에 접속하기 위한 가요도체, (10)은 가동자(7)를 지지하는 콘택트 암이고, 후기하는 개폐기구가 연계되는 제 1 의 콘택트 암(10a)과 가동자(7)가 제 1 의 핀(11)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는 제 2의 콘택트 암(10b)이 각기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13)은 각 극의 제 1의 콘택트 암(10a)을 연결하는 크로스바, (13)은 각 극의 제 1의 콘택트(10a)을 연결하는 크로스바, (14)는 제 1의 콘택트 암(10a)에 형성되어 개폐방향으로 뻗는 가이드구멍, (15)는 제 2의 콘택트 암(10b)에 형성된 긴구멍이며, 가이드구멍(14)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16)은 가이드구멍(14)과 긴구멍(15)에 걸쳐서 걸리는 제 2의 핀, (17)은 제 1의 핀(11)과 제 2의 핀(16) 사이에 설치한 인장스프링이며, 제 2의 핀(16)에 힘을 가한다. (18)은 가동자(7)와 제 2의 콘택트 암(10b)사이에 설치한 전압스프링, (19)는 차단기의 조작핸들, (20)은 차단기의 개폐기구이며, 크래들(20a), 상부 링크(20b), 하부 링크(20c)등으로 구성된다. (21)은 크래들(20a)에 설치한 스토퍼핀, (22)는 하부 링크(20c)를 제 1 의 콘택트 암(10a)에 연계하기 위한 연결핀, (23)은 소호실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도, 제 3 도에 나타내는 온상태에서는 전원측 고정도체(2)→고정접점(3)→가동접점(6)→가동자(7)→가요도체(8)→접속도체(9)→자동트립장치(4)→부하측 고정도체(5)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조작핸들(19)을 오프조작(제 3 도의 화살표(24)의 방향)하면, 개폐기구(20)에 의해 콘택트 암(10)이 들어 올려져 가동자(7)와 함께 가동접점(6)이 제 4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접점(3)으로부터 사이가 벌어진다. 이때 인장스프링(17)에 의해 제 2의 핀(16)이 가이드 구멍(14)의 오목한 부분(14a)에 끼워져 있으므로 제 2의 콘택트 암(10a)과 일체가 되어서 개폐기구(20)에 의해 들어 올리고, 지지축(12)을 지지점으로 하여 스토퍼핀(21)에 충돌하여 정지한다.
제 2 도, 제 3 도에 나타낸 온 상태에 있어서 과부하전류가 흐르면, 자동트립장치(4)가 작동하여 크래들(20a)이 제 3 도의 화살표(25)의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이 개폐기구(20)의 동작에 의해 콘택트 암(10)이 들어 올려져서 제 5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접점(6)이 사이가 벌어져 과부하전류를 차단한다. 이른바 트립상태가 된다. 이때에도 제 4 도의 오프상태와 같이, 인장스프링(17)에 의해 제 2의 핀(16)이 가이드구멍(14)의 오목한 부분(14a)에 끼워져 있으므로, 제 2의 콘택트 암(10b)은 제 1 의 콘택트암(10a)과 일체가 되어서 개폐기구(20)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지지축(12)을 지지점으로 하여 스토퍼핀(21)에 충돌하여 정지한다.
제 2 도, 제 3 도에 나타내는 온상태에 있어서 단락전류 등의 대전류가 흐르면, 고정도체(2)와 가동자(7)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력(電磁力)의 작용에 의해 고정도체(2)에 대해 가동자(7)가 반발하여 제 6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가 벌어진다. 이때 자동트립장치(4)의 동작에 이어서 작동하는 개폐기구(20)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의 콘택트 암(10a)의 동작이 시간적으로 지연되기 때문에, 제 2의 콘택트 암(10b)은 인장스프링(17)의 가세력을 이겨내어 제 2의 핀(16)을 오목한 부분(14a)에서 벗어나게 하여 가이드 구멍(14)내를 이동시킴으로써, 지지축(12)을 지지점으로하여 제 3 도의 화살표(26)의 방향으로 벌려, 제 2의 핀(16)이 가이드구멍(14)의 끝부(14b)에 충돌하여 정지한다. 이 반발운동은 가동자(7)가 콘택트암(10)을 통해서 연결되는 개폐기구(20)의 동작보다 속동성(速動性)이 있으며, 이에 따라 한류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그리고 제 6 도의 반발상태에 이어서 자동트립장치(4)에 의해 제 1 의 콘택트암(10a)이 트립되어서 들어올려지므로, 제 2의 핀(16)이 다시 가이드 구멍(14)의 오목한 부분(14a)에 끼워져 제 5 도의 트립상태로 된다. 이 동작을 콘택트 압(10)의 리세트라 한다. 이때 제 2의 핀(16)은 인장스프링(17)에 힘을 가하여 그 접촉면(16a)에 의해 가이드구멍(14)의 핀슬라이드면(14c)에 닿은 상태로 긴구멍(15)의 핀슬라이드면(15a)위를 1왕복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로차단기에서는 제 2의 핀(16)이 제 1 의 콘택트 암(10a)의 가이드구멍(14)과 제 2의 콘택트 암(10b)의 긴구멍(15)에 걸쳐서 걸려 있으므로, 차단기의 개폐동작시에 가이드구멍(14)의 핀슬라이드면(14c)과 긴구멍(15)의 핀슬라이드면(15a)에 제 2의 핀(16)의 충격력을 받는다. 이 충격력에 의해 양 핀슬라이드면(14c), (15a)에 제 2의 핀(16)에 의한 패임이 생겨, 제 2의 핀(16)의 이동이 악화되어 안정된 차단성능을 이룰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 1 의 콘택트 암(10a)과 제 2의 콘택트 암(10b)과 제 2의 핀(16)에는 방청을 목적으로 하여 도금이 되어 있든가 스테인레스 바탕이므로, 제 2의 핀(16)이 가이드구멍(14) 및 긴구멍(15)을 이동할 때의 접촉면(16a)과 양 슬라이드면(14c), (15a)과의 마찰저항이 크고, 동작스피드가 늦어진다. 이 때문에 차단성능이 저하되고, 차단 후의 리세트 하중도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 1 의 콘택트 암(10a)과 제 2의 콘택트 암(10b)과 제 2의 핀(16)에는 방청을 목적으로 아연도금이 입혀져 있다. 그런데 이 아연도금의 아연은 용융온도가 낮기 때문에 차단시에 아크에 의한 동 및 은 합금 등의 용융물이 가이드구멍(14)의 핀슬라이드면(14c), 긴구멍(15)의 핀슬라이드면(15a), 제 2의 핀(16)의 접촉면(16a)에 부착하여, 제 2의 핀(16)의 이동이 악화되고 안정된 차단성능을 이룰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가이드구멍 및 긴구멍의 양 핀슬라이드면의 제 2의 핀에 의한 패임을 없앰으로써, 제 2의 핀의 이동의 악화를 방지하여 안정된 차단성능이 이루어지는 회로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구멍 및 긴구멍의 양 핀스라이드면과 제 2의 핀의 접촉면과의 마찰저항을 작게 함으로써, 동작스피드를 빠르게 하여 차단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차단 후의 리세트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회로차단기를 얻을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구멍 및 긴구멍의 양 핀슬라이드면가 제 2의 핀의 접촉면에 아크용융물이 부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 2의 핀의 이동의 악화를 방지하여 안정된 차단성능이 이루어지는 회로차단기를 얻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원 고안에 관한 제 1 의 실시예의 회로차단기는 제 1 의 콘택트 암의 최소한 가이드구멍의 핀슬라이드면과 제 2의 콘택트 암의 최소한 긴구멍의 핀슬라이드면에 표면경화처리를 하여 이 양 핀슬라이드면의 경도를 제 2 도의 핀의 경도보다 높인 것이다.
본원 고안에 관한 제 2의 실시예의 회로차단기는 제 1 의 콘택트 암의 최소한 가이드구멍의 핀슬라이드면과 제 2의 콘택트 암의 최소한 긴구멍의 핀슬라이드면과 제 2의 핀의 최소한 상기 양 핀슬라이드면에 맞닿는 접촉면에 저마찰처리를 한 것이다.
본원 고안에 관한 제 3 의 실시예의 회로차단기는 제 1 의 콘택트 암의 최소한 가이드구멍의 핀슬라이드면과 제 2의 콘택트암의 최소한 긴구멍의 핀슬라이드면과 제 2의 핀의 최소한 상기 양 핀슬라이드면에 맞닿는 접촉면에 아크용융물이 부착하지 않는 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표면처리를 한 것이다.
본원 고안에 있어서는, 가이드구멍 및 긴구멍의 양 핀슬라이드면에 표면경화처리를 하여 이 양 핀슬라이드면의 경도를 제 2의 핀의 경도보다 높게 하였으므로, 개폐동작의 충격을 받아도 양 핀슬라이드면은 제 2의 핀에 의해 패이지 않고 제 2의 핀의 이동이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원 고안에 있어서는 가이드구멍 및 긴구멍의 양 핀슬라이드면과 제 2의 핀의 접촉면에 저마찰처리를 하였으므로, 양 핀슬라이드면과 접촉면과의 마찰저항이 작아진다.
또한 본원 고안에 있어서는 가이드구멍 및 긴구멍의 양 핀슬라이드면과 제 2의 핀의 접촉면에 아크용융물이 부착하지 않는 면을 형성하기 위한 표면처리를 하였으므로, 양 핀슬라이드면과 접촉면에 차단시의 아크용융물이 잘 부착하지 않으며 제 2의 핀의 이동이 방해되는 일이 없다.
본원 고안의 제 1 의 실시예를 제 1 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 1 도는 제 7 도와 같은 부분 종단면 확대도이며, 상기 종래의 것과 동일 또는 해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10A)는 철 또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 것의 표면에 연질화(軟窒化)처리를 한 제 1 의 콘택트 암, (10B)는 철 또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 것의 표면에 연질화 처리를 한 제 2의 콘택트 암이다. 그리고 제 2의 핀(16A)은 통상 철 또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 것의 표면에 담금질 처리 등이 실시되어 있으므로, 이 제 2의 핀(16A)의 경도는 연질화 처리가 실시된 제 1, 제 2의 콘택트 암(10A), (10B)의 경도보다도 낮아진다.
이와 같이 연질화 처리를 표면에 한 제 1 의 콘택트 암(10A), 제 2의 콘택트 암(10B)으로 해 두면, 제 1 의 콘택트 암(10A)이 가이드구멍(14)의 핀슬라이드면(14c)과 제 2의 콘택트 암(10B)의 긴구멍(15)의 핀슬라이드면(15a)에 제 2의 핀(16A)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를 가진 표면경화처리를 실시한 것이 되므로, 개폐동작이 충격을 받아도 양 핀슬라이드면(14c), (15a)는 제 2의 핀(16A)에 의해 패이지 않고, 제 2의 핀(16A)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제 2의 콘택트 암(10A), (10B)에 제 2의 핀(16A)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를 가진 연질화 처리를 한 것을 지적하였으나, 제 1, 제 2의 콘택트 암(10A), (10B)의 표면에 침탄(浸炭)처리를 하여 제 2의 핀(16A)의 경도보다 높아지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철 또는 스테인레스의 표면에 침탄깊이 0.1 이상에서 침탄처리를 하는 것이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는 제 1, 제 2의 콘택트 암(10A), (10B)의 전체를 표면경화처리한 것을 지적하였으나, 제 1 의 콘택트 암(10A)의 최소한 가이드구멍(14)의 핀슬라이드면(14c)과 제 2의 콘택트 암(10B)의 최소한 긴구멍(15)의 핀슬라이드면(15a)에 각기 제 2의 핀(16A)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를 가진 표면경화처리를 하면 동일한 경화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원 고안의 제 2의 실시예를 제 1 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10A)는 표면에 고체파막 윤활제 처리를 한 제 1의 콘택트 암, (10B)는 표면에 고체피막윤활체 처리를 한 제 2의 콘택트 암, (16A)는 표면에 고체피막 윤활제 처리를 한 제 2의 핀이다.
이와 같이 고체피막 윤활제 처리를 표면에 한 제 1 의 콘택트 암(10A), 제 2의 콘택트 암(10B), 제 2의 핀(16A)으로 해 두면, 제 1 의 콘택트 암(10A)의 가이드구멍(14)의 핀슬라이드면(14c)과 제 2의 콘택트 암(10B)의 긴구멍(15)의 핀슬라이드면(15a)과 제 2의 핀(16A)의 접촉면(16a)에 저마찰처리를 실시한 것이되므로, 가이드 구멍(14) 및 긴구멍(15)의 양 핀슬라이드면(14c), (15a)와 제 2의 핀(16A)의 접촉면(16a)의 마찰저항이 작아져서 동작스피드가 빨라지고, 차단 후의 리세트 하중도 작아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제 2의 콘택트 암(10A), (10B) 및 제 2의 핀(16A)의 전체를 표면처리 한것을 지적하였으나, 제 1 의 콘택트 암(10A)의 최소한 가이드구멍(14)의 핀슬라이드면(14c)과 제 2의 콘택트 암(10B)의 최소한 긴구멍(15)의 핀슬라이드면(15a)과 제 2의 핀(16A)의 최소한 접촉면(16a)에 각기 저마찰처리를 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원 고안의 제 3 의 실시예를 제 1 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10A)는 표면에 융점이 동 보다 높은 니켓 도금 등 금속도금을 한 제 1 의 콘택트 암, (10B)는 표면에 융점이 동보다 높은 니켈도금 등 금속도금을 한 제 2의 콘택트 암, (16A)는 표면에 융점이 동보다 높은 니켈도금 등 금속도금을 한 제 2의 핀이다.
이와 같이 융점이 동 보다 높은 금속도금을 표면에 실시한 제 1 의 콘택트 암(10A), 제 2의 콘택트 암(10B), 제 2의 핀(16A)으로 해두면, 제 1 의 콘택트 암(10A)의 가이드구멍(14)의 핀슬라이드면(14c)과 제 2의 콘택트암(10B)의 긴구멍(15)의 핀슬라이드면(15a)과 제 2의 핀(16A)의 접촉면(16a)에 아크용융물이 부착하지 않는 면을 형성하기 위한 표면처리를 실시한 것으로 되므로, 가이드구멍(14) 및 긴구멍(15)의 양 핀슬라이드면(14c), (15a)와 제 2의 핀(16A)의 접촉면(16a)에 차단시으 아크용융물이 잘 부착하지 않으며, 제 2의 핀(16A)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제 2의 콘택트 암(10A), (10B) 및 제 2의 핀(16A)에 융점이 동보다 높은 금속도금으로 한 것을 지적하였으나, 제 1, 제 2의 콘택트암(10A), (10B) 및 제 2의 핀(16A)을 철 또는 스테인레스로 하고, 이들의 표면에 질화처리를 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제 2의 콘택트 암(10A), (10B) 및 제 2의 핀(16A)의 전체를 표면처리를 한 것을 지적하였으나, 제 1 의 콘택트 암(10A)의 최소한 가이드구멍(14)의 핀슬라이드면(14c)과 제 2의 콘택트 암(10B)의 최소한 긴구멍(15)의 핀슬라이드면(15a)과 제 2의 핀(16A)의 최소한 접촉면(16a)에 각기 융점이 동 보다 높은 금속도금 또는 질화처리를 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 고안에 의하면 가이드구멍 및 긴구멍의 양 슬라이드면의 표면경도를 제 2의 핀의 표면경도보다 높게 한다는 간단한 수단에 의해, 양 핀슬라이드면의 제 2의 핀에 의한 패임이 방지되므로 제 2의 핀의 이동이 악화되지 않고 염가로 차단성능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구멍 및 긴구멍의 양 핀슬라이드면과 제 2의 핀의 접촉면에 저마찰처리를 하는 간단한 수단에 의해, 반발스피드를 향상시켜, 차단 후의 제 2의 핀의 가이드구멍의 리세트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염가로 차단성능이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구멍 및 긴구멍의 양 핀슬라이드면과 제 2의 핀의 접촉면에 아크릴용융물이 부착되지 않는 면을 형성하기 위한 표면처리를 하는 간단한 수단에 의해, 양 핀슬라이드면가 접촉면에 차단시 아크용융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 2의 핀의 이동이 악화되지 않고 염가로 차단성능이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자동트립장치에 의한 차단동작과는 무관계하게, 대전류통전에 의한 전자(전자電磁)반발력에 의해 가동자를 이반(離反)시켜서 한류(限流)를 행하도록 한 회로차단기로서, 상기 가동자를 지지하는 콘택트 암이 서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는 제 1 의 콘택트 암과 제 2의 콘택트 암으로 분할되고, 또한 개폐기구가 연계되는 상기 제 1 의 콘택트 암에 형성되어서 개폐방향으로 뻗는 가이드구멍과, 상기 가동자가 제 1 의 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 2의 콘택트암에 형성되어서 상기 가이드구멍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긴구멍과, 이 긴구멍과 상기 가이드구멍에 걸쳐서 걸리는 제 2의 핀과, 이 제 2의 핀을 가세하는 스프링을 가진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콘택트암의 최소한 상기 가이드구멍의 핀슬라이드면과 상기 제 2의 콘택트 암의 최소한 상기 긴구멍의 핀슬라이드면에 표면경화처리를 하여, 이 양 핀슬라이드면의 경도를 상기 제 2의 핀의 경도보다 높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경화처리가 연질화(軟窒化)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경화처리가 침탄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콘택트암의 최소한 상기 가이드 구멍의 핀슬라이드면과 상기 제 2의 콘택트암의 최소한 상기 긴구멍의 핀슬라이드면과 상기 제 2의 핀의 최소한 상기 양 핀슬라이드면에 맞닿는 접촉면에 저마찰처리를 하여, 상기 양 핀슬라이드면과 상기 접촉면과의 마찰저항을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저마찰처리가 고체피막 윤활제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콘택트 암의 최소한 상기 가이드 구멍의 핀슬라이드면과 상기 제 2의 콘택트암의 최소한 상기 긴구멍의 핀슬라이드면과 상기 제 2의 핀의 최소한 상기 양 핀슬라이면에 맞닿는 접촉면에 아크용융물이 부착하지 않는 면을 형성하기 위한 표면처리를 하여, 상기 양 핀슬라이드면 및 상기 접촉면의 슬라이드면의 악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7. 제 6 항에 있어서, 표면처리가 융점이 동(銅)보다 높은 금속도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8. 제 6 항에 있어서, 표면처리가 질화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KR2019880017090U 1987-11-20 1988-10-21 회로차단기 KR91000521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177948U JPH0181842U (ko) 1987-11-20 1987-11-20
JP62-177948 1987-11-20
JP17795087U JPH0728671Y2 (ja) 1987-11-20 1987-11-20 回路遮断器
JP62-177950 1987-11-20
JP62-177949 1987-11-20
JP1987177949U JP2545876Y2 (ja) 1987-11-20 1987-11-20 回路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709U KR890011709U (ko) 1989-07-15
KR910005218Y1 true KR910005218Y1 (ko) 1991-07-22

Family

ID=2732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7090U KR910005218Y1 (ko) 1987-11-20 1988-10-21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45325A (ko)
EP (1) EP0316944A3 (ko)
KR (1) KR9100052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300B1 (ko) * 2000-09-01 2003-11-2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습도센서구동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6996A (en) * 1996-12-19 1999-02-02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Contact arm with internal in-line spring
US5844188A (en) * 1996-12-19 1998-12-01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trip mechanism
US6087914A (en) * 1996-12-19 2000-07-11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Circuit breaker combination thermal and magnetic trip actuator
US5894260A (en) * 1996-12-19 1999-04-13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Thermal sensing bi-metal trip actuator for a circuit breaker
KR100486746B1 (ko) * 2002-04-20 2005-05-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기구
ITMI20042234A1 (it) * 2004-11-19 2005-02-19 Abb Service Srl Interuttore automatico con cinematismo di sgancio azionato da contatto mobile
US20110132875A1 (en) * 2009-12-07 2011-06-09 Eaton Corporation Splatter resistance in circuit breakers
US8836453B2 (en) * 2011-10-07 2014-09-16 Siemens Industry, Inc. Electronic circuit breaker, electronic circuit breaker subassembly, circuit breaker secondary electrical contact assembly, and powering methods
US8809722B2 (en) * 2012-10-11 2014-08-19 Siemens Industry, Inc. Circuit breaker with translating electrical contact, circuit breaker electrical contact assemblies, and operational methods
US9697975B2 (en) * 2014-12-03 2017-07-04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s with moving contact arm with spaced apart contacts
US9685287B2 (en) * 2014-12-03 2017-06-20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s with moving contact having heel-toe a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2798C1 (de) * 1983-04-09 1984-07-19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Verfahren zum Schmieren mechanisch beanspruchter Teile
US4635014A (en) * 1985-07-12 1987-01-06 Square D Company Contactor having a Z-shaped current path for blow-out force reduction
JPS6320342U (ko) * 1986-07-24 1988-02-1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300B1 (ko) * 2000-09-01 2003-11-2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습도센서구동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45325A (en) 1990-07-31
KR890011709U (ko) 1989-07-15
EP0316944A2 (en) 1989-05-24
EP0316944A3 (en) 1990-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218Y1 (ko) 회로차단기
US5310971A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contact bridge slowed down at the end of repulsion travel
KR920008726B1 (ko) 회로 차단기
US6054912A (en) Trip device of circuit breaker
KR900007325Y1 (ko) 다극회로 차단기
JPH0419938A (ja) 回路遮断器
DE1638114B2 (de) Strombegrenzungsschalter
KR100744245B1 (ko) 배선용 회로 차단기
US4594567A (en) Circuit breaker contact arm assembly having a magnetic carrier
KR910001537B1 (ko) 회로차단기
KR920008728B1 (ko) 회로차단기의 개폐기구
US6819205B2 (en) Current limiting low-voltage power circuit breaker
JP2545876Y2 (ja) 回路遮断器
JP3455471B2 (ja) ガス絶縁開閉機器
KR900004869Y1 (ko) 회로 차단기
JPH05225889A (ja) 回路遮断器
KR910000042Y1 (ko) 회로 차단기
JPH0728671Y2 (ja) 回路遮断器
KR0180637B1 (ko) 회로 차단기
KR100282641B1 (ko) 차단기 소호부 고정 접촉자
ZA851522B (en) Rapid closing mechanism of a miniature circuit breaker
KR20010108328A (ko) 회로차단기
KR970076957A (ko) 회로차단기의 한류장치
EP2416340A1 (en) Switching device with a geometric element for impact of the movement of the movable contact element
KR900010293Y1 (ko) 다극회로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