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914Y1 - 소화용 수조가 내장된 담배 - Google Patents

소화용 수조가 내장된 담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914Y1
KR910004914Y1 KR2019890014946U KR890014946U KR910004914Y1 KR 910004914 Y1 KR910004914 Y1 KR 910004914Y1 KR 2019890014946 U KR2019890014946 U KR 2019890014946U KR 890014946 U KR890014946 U KR 890014946U KR 910004914 Y1 KR910004914 Y1 KR 910004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tank
air layer
wa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4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남승
Original Assignee
허남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남승 filed Critical 허남승
Priority to KR2019890014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9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914Y1/ko

Link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화용 수조가 내장된 담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결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담배 2 : 공기층
3 : 수조
본 고안은 소화용 수조가 내장된 담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조내에는 공기층을 형성하여 공기층의 이동에 따라 소화지점을 임의로 선택할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소화구조로된 종래의 담배는, 통상 담배의 외주연에 링 또는 캡등을 씌워 흡연후 점화된 지점까지 이를 이동시켜 압압하여 소화하는 구조로 되어있어 외관이 조잡하고 부피의 가중을 초래할뿐 아니라 특히 소화시 손가락이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그리고, 담배내측에 소화개스를 충진한 캡슐등을 개제하여된것도 있으나, 이는 제조단가의 상승요인이 될뿐아니라 소화지점이 항상 일정하여 흡연자의 기호를 충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화지점을 임의로 선택할수 있는 본원 고안의 효과에는 따르지 못하고, 특히 상기한 소화가스 구조는 소화시 발생하는 유독가스에 의하여 인체에 해를 가하게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담배내에는 물을 충만한 수조를 내장하여된것도 있으나 배닐캡슐로된 수조는 물이 충만된 상태에서는 열이 가해지더라도 녹지 않으므로 소화시 인위적으로 수조를 압압, 터트려 주므로서 소화하게 되므로 번거롭고 불편하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소화구조로된 담배가 다수로 제안되고 있는것은 흡연후 담배를 소화시키기가 애매하여 점화된 상태에서 그냥 버려지므로 발생하는 화재 또는 환경공해는 실로 지대한 것이며 이로인한 경제적 손실은 막대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완벽히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즉 담배내측에 비닐수조를 내장하되 비닐수조내에는 공기층을 형성하여 비닐수조내의 물이 없는 공기층에 열이 닿으므로서 비로소 수조가 녹아 물이 유출되게 한것으로 이는 비닐로된 수조가 물이 충만된 상태에서는 열이 가해지더라도 녹지않는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며, 더욱이 공기층은 담배의 위치에 따라 이동되므로 소화지점을 조절할수 있는 효과를 갖게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담배(1) 내측에는 공기층(2)을 갖는 수조(3)를 형성하여된 것이다.
본 고안의 수조(3)는 통상 흡연자가 담배를 2/3 정도 피우게 됨에 따라 필터를 제외한 담배(1)길이의 2/3되는 지점에 설치하는것이 바람직하고 공기층(2)의 부피는 물과 약 1 : 4의 비율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이 실험결과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 2 도에서와 같이 담배(1)가 수평상태에서는 공기층(2)이 수조(3)의 중앙부에 위치하게되고 담배(1)의 선단부가 상측 이동할때에는 공기층(2)이 상측 이동되고, 담배(1) 선단부가 하측으로 이동할때에는 공기층(2)은 하측, 즉 뒷쪽으로 이동됨을 알수있다.
이와 같이 이동되는 공기층(2)은 담배(1)의 경사상태에 따라 전체 수조(3) 길이의 적정지점에 위치하게됨에 따라 흡연시 타들어가는 담배불이 수조(3)의 공기층(2)에 닿으므로서 공기층(2)부분의 수조(3)가 녹으므로서 그 속에 수용된 물이 유출되어 담배불을 소화하게 된다.
따라서, 흡연자는 담배(1)를 통상 2/3가량피우고 소화하고자 할때에는 담배(1)의 선단을 위로 올려주며 수조(3) 내의 공기층(2)이 수조(3)의 최전방으로 이동되므로 곧바로 소화할수 있는것이며, 담배(1)를 더 피우고 싶으면 담배(1)의 선단부를 하향이동시켜 주므로서 소화지점 역시 후방 이동되므로 흡연자의 기호를 충족시켜 줄수있다.
그리고, 담배를 피우기 시작하여 곧바로 꺼야할 경우에는 수조(3)가 있는 부분을 압압하여 수조(3)를 터트려주면 그 물기가 담배(1) 선단부로 스며들면서 곧바로 소화할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공기층을 갖는 수조를 이용하여 용이한 소화를 가능하게하고, 특히 공기층의 이동에 따라 담배의 소화지점을 임의로 조절할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담배(1) 내측에 공기층(2)을 갖는 수조(3)를 형성하여됨을 특징으로하는 소화용 수조가 내장된 담배.
KR2019890014946U 1989-10-14 1989-10-14 소화용 수조가 내장된 담배 KR910004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4946U KR910004914Y1 (ko) 1989-10-14 1989-10-14 소화용 수조가 내장된 담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4946U KR910004914Y1 (ko) 1989-10-14 1989-10-14 소화용 수조가 내장된 담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914Y1 true KR910004914Y1 (ko) 1991-07-10

Family

ID=1929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4946U KR910004914Y1 (ko) 1989-10-14 1989-10-14 소화용 수조가 내장된 담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9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861B1 (ko) 흡연기구
US3916916A (en) Shield for cigarettes and cigars
EP0876112B1 (en) A device for controlling free-burn rate of and reducing sidestream smoke from a cigarette and the like
DK0681435T3 (da) Cigaretsluknings- og -opbevaringsindretning
KR910004914Y1 (ko) 소화용 수조가 내장된 담배
FI103636B1 (fi) Itsestään sammumaton tehdasvalmisteinen savuke
KR860003137Y1 (ko) 질식소화 기능을 가진 휴대용 재털이
JPH0337439Y2 (ko)
JP2000106862A (ja) たばこケース
JPH1057042A (ja) 紙巻たばこの消火筒
JPS5976Y2 (ja) 携帯用煙草火消し具
JPS605836Y2 (ja) 紙巻きたばこ用パイプ
KR810001854Y1 (ko) 위생 재털이
CN86203501U (zh) 带灭烟圈香烟
KR930004806B1 (ko) 일회용 소화 재떨이
KR910002376Y1 (ko) 재떨이
KR920006332Y1 (ko) 라이터 겸용 담뱃불 소화구
KR890004286Y1 (ko) 담배불 소화구
TWM580884U (zh) cigarette
JPH07313134A (ja) 自然消火煙草
JP2000253867A (ja) 消化能力を持った灰皿
JPH11127835A (ja) たばこのフイルター
JPH05153949A (ja) たばこの火消し具
JPS62100902A (ja) 燃焼時に移動するロ−ソク用火屋の構造
JPH0595298U (ja) 自動消火型のタバコ、ロウソクまたは線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