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891Y1 - 가스기기의 가스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기기의 가스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891Y1
KR910004891Y1 KR2019880018431U KR880018431U KR910004891Y1 KR 910004891 Y1 KR910004891 Y1 KR 910004891Y1 KR 2019880018431 U KR2019880018431 U KR 2019880018431U KR 880018431 U KR880018431 U KR 880018431U KR 910004891 Y1 KR910004891 Y1 KR 910004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as passage
burner
tim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381U (ko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2019880018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891Y1/ko
Publication of KR9000103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3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8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1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thermocouples
    • F23N5/105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thermocouple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기기의 가스조절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장치의 측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타이머와 결합된 경우의 전기회로도 및 그에 따른 가스 유통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타이머와 결합되어서 최종화력을 완전 소화 또는 작은 불꽃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전기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봉 2 : 밀판
3,3' : 밀봉 4,4' : 벨브축
5,5' : 흡인철편 6,6' : 전자석 코아
7,7',8,8' : 스프링 9 : 큰 가스통로
9' : 작은 가스통로 10,10' : 가이드
11,12,11',12',19,19' : 핀 13 : 격벽
14 : 윗뚜껑 15 : 뒷뚜껑
16 : 가스조절관 17 : 가스유입구
18 : 가스유출구 19,19' : 단자
ML,MS: 마그네트 VL,VS: 밸브
A : 유입실 B : 유출실
S : 선택스위치 20 : 열전대
21 : 하우징 22,22' : 가이드구멍
본 고안은 가스레인지등의 통산의 가스기기에 있어서, 설정된 일정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화력을 자동적으로 감소 또는 완전소화시킬 수 있는 가스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두 개의 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를 한 개의 가스조절장치 하우징내에 내장한 구성이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실용신안등록출원 제 87-2659호)에 제안된바 있었으나 상기 선출원은 두 개의 가스통로가 상호 직렬로 연결구성되어 있어, 제작상의 어려움과 정밀한 가공 및 조립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병렬로 구성 된 두 개의 가스통로를 한 개의 가스조절장치 하우징내에 형성시키고 이를 각각 제어하는 두 개의 전자적 밸브(이하 "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라 칭함)를 상기한 한 개의 가스조절장치 하우징내에 함께 설치하되 점화 동작시에 한번의 점화동작만으로도 상기한 두 개의 가스통로가 동시에 모두 개방되었다가 가스통로의 차단시에는 외부회로의 제어에 따라 가스통로가 각각 작동되도록한 가스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동관계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술하겠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조절장치의 측단면도로서, 하측에 형성된 가스유입구(17)와 가스유출구(18)를 갖는 가스조절장치 하우징(21)의 주안부에 수직 격벽(13)에 의해 경계되는 유입실(A)과 유출실(B)을 형성시키고, 상기 유입실(A)은 가스유입구(17)와 내통되며 유출실(B)은 가스조절판(16)과 가스유출구(18)와 내통되게 구성시킨다.
또한 상기한 격벽(13)에는 큰 가스통로(9)와 작은 가스통로(9')를 뚫어서 이 가스통로(9)(9')를 통하여 유입실(A)과 유출실(B)이 상호 나란히 내통되게 구성한다. 또한 유출실(B)쪽에는 큰 가스통로(9)와 작은 가스통로(9')가 형성된 격벽(13)면위에 가이드 구멍(22)(22')이 뚫린 가이드(10)(10')를 설치하되, 가이드 구멍(22)(22')의 중심이 큰 가스통로(9) 및 작은 가스통로(9')의 구멍 중심과 일치하게 구성시킨다.
또한 상기 가이드구멍(22)(22')에는 밀봉(3) (3')을 끼워 설치하되 이 밀봉(3)(3')에는 핀(12)(12'),(11)(11') 및 (19)(19')을 밀봉(3)(3')에 형성시킨 핀(11)(11')과 가이드(10)(10')사이에 스프링(7)(7')을 설치하여 밀봉(3)(3')이 가이드구멍(22)(22')에서 이탈되지 않은채로 격벽(13)에서 유출실(B)방향으로 탄발력을 받도록 구성시킨다.
또한 밀판(2)을 밀봉(3)(3') 일측의 핀(11)(11')과 핀(19)(19') 사이에 요동되게 설치 구성하고, 상기 밀판(2)의 중심부와 축봉(1)이 회전요동 가능하게 연결 구성시킨후 윗뚜껑(14)을 닫아 유출실(B)을 밀폐하도록 한다.
단 가이드(10,10') 내에 구성되는 밀봉(3)(3')의 핀(12)(12')은 가이드(10,10')의 구멍(22,22')을 완전히 막도록 구성된 것이 아니고 단지 밀봉(3,3')이 가이드(10,10')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게 방지하는 역할만 하도록 구성시킨다.
따라서 가스유입구(17)로 부터의 가스는 벨브(VL,VS)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라면 항상 가스통로(9,9')를 거쳐 가이드구멍(22,22')으로 유출되는 것이다.
또한 격벽(13)을 경계로 유출실(B)과 반대위치에 형성된 유입실(A)에는 큰 가스통로(9)와 작은 가스통로(9')를 제어할 수 있게 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ML)(MS)를 각각 설치하여, 단자(19)(19')로 전류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 벨브(VL)(VS)가 각각 큰 가스통로(9)와 작은 가스통로(9')를 차단할 수 있게 설치구성하고 뒷뚜껑(15)을 닫아 유입(A)을 밀폐시킨다.
상기 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ML)(MS)는 전자석 코아(6)(6'), 흡인철편(5)(5'), 스프링(8)(8'), 벨브(VL)(VS)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공지되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내의 전자석을 구동시키기 위하여는 열전대의 열기전력을 이용할 수도 있고, 아니면 별도로 공급되는 외부의 전원으로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 내의 전자석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원(열기전력 또는 외부공급전원)을 타임스위치, 온도 스위치 등의 여러 제어소자로 제어할 수도 있다.
제 2 도는 타임스위치가 내장된 타이머를 본 고안 가스조절장치의 결합시킨 경우의 회로도로서, 즉 제 2 도에서 열전대(20)양단을 제 1 도의 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MS) 양단자에 직접 연결하고, 제 1 도의 또다른 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ML)는 상기 열전대(20)에 타이머를 거쳐서 연결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해 가스 조절장치가 타이머와 결합되어서 타이머의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적으로 화력을 낮추어주는 가스조절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도의 본 고안 가스조절장치를 제 2 도와 같이 타이머와 결합된 회로의 경우에 있어서, 한번의 점화놉(도시생략)의 누름으로 큰 가스통로(9)와 작은 가스통로(9')가 동시에 개방되어 연소가 지속된 후 타이머의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큰 가스통로(9)만 자동차단되어서 버너의 화력이 자동적으로 감소되게 조절되는 과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 1 도에서 점화를 위하여 점화놉(도시생략)을 누르면 축봉(1)이 화살표 방향 즉 좌측으로 전진되면서 밀판(2)을 밀고 따라서 밀판(2)을 핀(11)(11')을 밀어서 밀봉(3)(3')은 스프링(7)(7')을 압축시키면서 좌축으로 전진되어 벨브축(4,4')을 밀고 이에따라 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ML)(MS)의 벨브축(4)(4')은 지속적으로 계속하여 좌측으로 전진되어서 마침내 두 개의 흡인철편(5)(5')은 각각 전자석코아(6)(6')에 접촉되며, 상기 흡인철편(5)(5')이 전자석코아(6)(6')에 접촉된 상태에서, 즉 점화놉을 누른상태에서 점화놉을 돌려서 버너에 불꽃을 점화시킨다.
이때 점화후 점화놉을 수초가 더 누르고 있다가 점화놉으로부터 손을 뗀다.
그러면 점화에 의한 버너의 불꽃열에 의해서 열전대(20)는 열기전력을 발생하게 되고, 수초간 점화놉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제 1 도 및 제 2 도의 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ML)(MS)의 흡입철편(3)(3')을 전자석 코아(6)(6')가 스프링(7)(7')의 탄발력보다 더큰 힘으로 흡인할수 있을 정도의 열기전력이 발생하여 열전대(20)는 가열되기 때문에 점화 수초후에 점화놉의 누름을 해제시켜도 전자석코아(6)(6')와 기전력에 의해 흡인철편(5)(5')쪽으로 당겨진 벨브(VL)(VS)는 계속해서 큰 가스통로(9)와 작은 가스통로(9')모두를 개방시킨체로 잇으므로 버너의 연소는 지속되게 된다. 그리고 가스조절관(16)을 회전시켜 가스량이 조절 제어되어 버너에 공급되도록 한다.
즉 가스 조절관(16)을 최대의 화력상태로 조절했다면 버너는 최대의 화력상태로 연소를 지속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속되는 버너의 연소상태는 설정한 타이머의 설정시간이 경과되어서 티임스위치의 접점 접속상태가 a에서 b로 절환되면 열전대(20)의 열기전력이 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ML)에 공급되지 못하게 되어서 즉시 제 1 도, 제 2 도의 벨브(VL)가 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해서 큰 가스통로(9)를 차단시키게 되며 따라서 버너로는 작은 가스통로(9')로만 감소된 소량의 가스가 유입되게 되므로 버너의 화력은 감소하게 된다.
즉, 타이머의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버너의 화력은 작은 불꽃으로 자동감소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도 조리중이던 음식을 지속적으로 보온되게 유지할 수도 있고 밥짓기의 경우 뜸들이기 작용을 유지할 수도 있게 된다.
만약 사용도중에 국물의 넘침등 어떤 이유로 인하여 버너의 불꽃이 꺼지게 되면, 열전대(20)의 열기전력이 곧 상실되어서 전자석코아(6)(6')가 흡인철편(5)(5')을 흡인할 수 없게 되므로 벨브(VL)(VS)는 스프링(8)(8')의 탄발력에 의해 큰 가스통로(9)와 작은 가스통로(9')를 모두 차단시켜서 버너로의 가스유입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안전차단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인 제 3 도는 타이머의 설정시간이 경과된후에 버너의 불꽃을 작은 불꽃으로 할것인지 아니면 완전히 소화되게 할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스위치(S)를 구성시킨 경우의 회로도이다. 즉 제 3 도에서 선택스위치(S)를 d접점으로 접속시키면 제 3 도는 제 2 도와 동일하게 되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버너화력은 작은 화력으로 자동 변환된후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지만 만약 선택스위치(S)를 C접점으로 접속되게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타이머의 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ML)및(MS)모두가 타임스위치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 즉 선택스위치(S)가 C접점으로 접속되어서 병렬로 연결되게 된 상기 두 개의 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ML)(MS)가 타임스위치에 다시 직렬로 연결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타이머의 설정시간이 경과되어서 제 3 도의 타임스위치의 접점이 b접점으로 이동되면 열전대(20)의 열기전력은 상기 두 개의 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ML)(MS)모두에 공급되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벨브(VL)(VS)는 제 1 도의 스프링(8)(8')에 의해서 큰 가스통로(9)와 작은 가스통로(9')를 모두 차단시키게 되어서 버너의 화력은 완전 소화상태로 되게된다. 즉 선택스위치(S)를 접점 C가 접속되게 절환시키면 버너의 불꽃은 타이머의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완전 소화상태로 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타이머의 타임스위치 접점의 위치와 선택스위치(S)의 접점위치에 관계없이 버너의 불꽃이 사용도중이 꺼졌을때는 곧 열전대(20)가 식게되고 따라서 열전대(20)에서 발생되는 열기전력이 곧 상실되기 때문에 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ML)(MS)의 전자석 코아(6)(6')가 자력을 곧 상실하게 되면서 스프링(8)(8')의 탄발력에 의해서 벨브(VL)(VS)가 큰 가스통로(9)와 작은 가스통로(9')를 모두 차단시키게 되어서 제 2 도 실시예때와 마찬가지로 안전차단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에 의하면 타이머에 설정한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상호 병렬로 연결구성된 두 개의 가스통로 중에서 큰 가스통로(9)만 차단되게 함으로써 화력은 작은 불꽃으로 줄일 수 있어서 설정된 일정시간 경과뒤에 자동적으로 밥의 뜸들이 기능으로 절환되게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설정된 일정시간 경과뒤에 자동적으로 요리를 보온상태로 유지시키는데 이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선택스위치(S)의 선택에 의해서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버너(20)의 불꽃을 완전소화시킬 수 있게 구성시킬 수도 있는 매우 편리한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점화동작이 복잡하지 않고 간단할 뿐만 아니라, 타이머의 기능에 따라 연속가열도 가능하며(계속 a접점에 접속됨) 또한 일단 b접점으로 전환되면 잠시후에 다시 a접점으로 자동복귀되는 타이머를 쓸수도 있다. 이 경우 점화직전에 타이머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자석(마그네트 파우어 유니트)를 포함하는 가스기기의 가스조절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형성되는 가스 유입구(17)와 가스유출구(18)를 가지며, 가스통로(9,9')가 형성된 격벽(13)에 의해 유입실(A)과 유출실(B)로 구분시킨 하우징(21)과; 상기 유출실(B)의 가스조절관(16) 축봉(1)에 형성시킨 밀판(2)과; 상기 격벽(13)의 가스통로(9,9')를 덮도록 형성시킨 가이드(10,10')와; 스프링(7)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10,10')와 밀판(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밀봉(3,3')과; 상기 유입실(A)의 벨브축(4,4') 선단에 형성된 스프링(8,8')과 함께 격벽(13)의 가스통로(9.9')를 막도록 구성시킨 벨브(VL, V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의 가스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밀봉(3,3')은 가이드(10,10')내에 설치되는 핀(12,12')과 스프링(7,7')과 함께 밀판(2)에 탄성 접촉하는 핀(11,11')과, 그리고 스프링(7,7')의 탄성에 의해 밀판(2)의 후방으로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하는 핀(19,1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의 가스조절장치.
KR2019880018431U 1988-11-11 1988-11-11 가스기기의 가스조절 장치 KR910004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431U KR910004891Y1 (ko) 1988-11-11 1988-11-11 가스기기의 가스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431U KR910004891Y1 (ko) 1988-11-11 1988-11-11 가스기기의 가스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381U KR900010381U (ko) 1990-06-02
KR910004891Y1 true KR910004891Y1 (ko) 1991-07-08

Family

ID=1928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431U KR910004891Y1 (ko) 1988-11-11 1988-11-11 가스기기의 가스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8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381U (ko) 199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9323B2 (en) Quick sear barbecue grill and components thereof
GB2249383A (en) Gas cooker
US3711236A (en) Gas burner control device with low pressure cutoff
KR910004891Y1 (ko) 가스기기의 가스조절 장치
CA1100600A (en) Cycling pilot burner control system with safety timing means
GB1516020A (en) Cooking ovens
JPS61235617A (ja) ガスコンロ
KR900001681Y1 (ko) 가스레인지의 가스조절장치
US9671113B2 (en) Gas range
US2713861A (en) Alternate fuel heating appliance and thermostatic control therefor
SU108774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и управлени работой горелки
KR930000769Y1 (ko) 가스기기의 자동 점화장치
JPS5752727A (en) Forced hot air oven
CN211041044U (zh) 中心火单独控制燃气灶
JP3311891B2 (ja) 燃焼器具の安全装置
KR900000924Y1 (ko) 가스 연소기의 가스 절환 밸브
KR900001682Y1 (ko) 안전가스레인지
JPS5630536A (en) Controlling device of combustion
JPS56149529A (en) Gas valve
JP3203114B2 (ja) 燃焼器具における作動停止装置
JPS581700Y2 (ja) 調理用オ−ブン
JPS6016861Y2 (ja) ガス器具
JPS621564Y2 (ko)
JPS5813201Y2 (ja) 強制循環式ガスオ−ブン
KR100213622B1 (ko) 가스연소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7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