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721Y1 - 모노 음성신호의 좌, 우 배분 조절회로 - Google Patents

모노 음성신호의 좌, 우 배분 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721Y1
KR910004721Y1 KR2019860018643U KR860018643U KR910004721Y1 KR 910004721 Y1 KR910004721 Y1 KR 910004721Y1 KR 2019860018643 U KR2019860018643 U KR 2019860018643U KR 860018643 U KR860018643 U KR 860018643U KR 910004721 Y1 KR910004721 Y1 KR 910004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ignal
channel
audio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8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421U (ko
Inventor
강양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8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721Y1/ko
Publication of KR880010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4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7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27Analogu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노 음성신호의 좌, 우 배분 조절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블럭도의 구체 회로도.
제 3 도는 노브의 위치에 따른 재생음의 위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호원 회로 20 : 제1입력 회로
30 : 제2입력회로 40 : 신호음 배분회로
50 : 제1증폭회로 60 : 제2증폭 회로
본 고안은 오디오(Audio)에 있어서 모노(mono)신호음 조절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노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좌,우 음성 신호로 위상차가 나게 배분 조절하여 입체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소리를 들을때 음의 차이가 나는 것은 음압차와 위상차 때문이며, 위상차는 음원으로부터의 거리차에의해 생기는데 모노 음성 신호는 위상차 없이 한개의 채널(Channel)을 통하여 출력됨으로 좌,우 음성 신호를 배분 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모노 음성 신호는 스테레오(Stereo)음성신호에 비하여 입체감을 느낄 수 없었으며 잡음과 음성 신호를 분리하지 못하므로 소리의 찌그러짐이 더크게 느껴졌고 음악 청취시 음의 분리도가 나빠 현장감을 느낄수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두개의 채널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위상차를 주어 모노 음성 신호를 좌,우로 배분조절 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성 신호를 출력 시키는 신호원 회로와, 신호원 회로의 출력을 제1채널로 입력하는 제1입력 회로와, 신호원 회로의 출력을 제2채널로 입력하는 제2입력회로와, 사용자가 노브(Knob)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제2채널의 음성 신호에 위상차를 주어 좌,우 음성신호로 분배할 수 있는 신호음 배분 회로와, 제1채널의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제1증폭회로와, 제2채널의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제2증폭 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로서 음성 신호를 출력시키는 신호원 회로(10)와, 제1채널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제1입력 회로(20)와, 제2채널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제2입력회로(30)와, 제1입력 회로(20)와 제2입력회로(30)의 출력을 입력하여 가변하는 신호음 배분 회로(40)와, 가변된 제1채널의 음성 신호를 증폭 출력시키는 제1증폭회로(50)와, 가변된 제2채널의 음성 신호를 증폭 출력시키는 제2증폭회로(60)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제1증폭회로(50)의 출력은 좌측 음성 신호 제2증폭회로의 출력은 우측 음성 신호라 칭한다.)
신호원 회로(10)에서 모노 음성 신호를 출력시키면 제1채널을 통하여 제1입력 회로(20)에 모노 음성 신호가 입력되고 제2채널을 통하여 제2입력 회로(30)에 상기 제1입력 회로의 음성 신호와 동일한 음성 신호가 입력된다.
제1입력 회로(20)와 제2입력 회로(30)의 모노 음성 신호 출력은 신호음 배분 회로(40)에 입력 되어 사용자가 노브를 조절함에 따라 각각 위상차를 다르게 가변 시킬 수 있어 제1채널의 음성 신호와 제2채널의 음성 신호는 위상이 달라진다.
상기 위상차가 난 음성 신호를 제1증폭 회로(50)와 제2증폭 회로(60)를 통하여 좌,우 스피커에 연결하면 청취자는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제 2 도는 제 1 도 블럭도의 구체회로도로서 신호원 회로(10)와, 캐패시터(C1), 저항(R1,R2,R3)와 트랜지스터(Tr1)로 구성된 부분은 제1입력 회로(20)에 대응하고, 캐패시터(C2), 저항(R4,R5,R6)와, 트랜지스터(Tr2)로 구성된 부분은 제2입력 회로(30)에 대응하며, 캐패시터(C3,C4)와 가변저항(R11,R12)으로 구성된 부분은 신호음 배분 회로(40)에 대응하고, 저항(R7,R8)과 반전 연산 증폭기(OP1)으로 구성된 부분은 제1증폭 회로(50)에 대응하며 저항(R9,R10)과 반전 연산 증폭기(OP2)으로 구성된 부분은 제2증폭회로에 대응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신호원 회로(10)에서는 일반적인 모노 음성 신호를 제1, 제2채널을 통하여 출력 시킨다.
제1채널의 음성 신호는 캐패시터(C1)를 거치면서 직류 성분이 제거되고 교류 신호 성분만 통과되며 저항(R1,R2)의 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Tr1)베이스에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를 온 시키는데 상기 트랜지스터(Tr1)는 에미터 폴로워(emitter follower)로서 입력 임피던스가 아주 높고 출력 임피던스가 낮아 임피던스 정합 특성이 좋으므로 음성 신호를 손상 없이 출력 시켜 신호음 배분 회로(40)에 전달한다.
상기 제1입력 회로(20)의 출력은 캐패시터(C3)를 통하면서 다시 직류 성분을 제거하고 교류 성분만을 통과시켜 음성 신호를 손상시킴 없이 가변 저항(R11)에 입력시키고 사용자는 노브로 상기 가변저항(R11)의 저항 값을 조절하여 임의의 위상차를 줌으로서 원하는 음성 신호를 배분한 후 제1증폭 회로(50)의 반전 연산 증폭기(OP1)를 통과 시켜 증폭된 좌측 음성 신호를 출력 시킨다.
제2채널을 통하는 음성 신호로 상기 사항과 같은 경로를 경유하여 제2증폭 회로(60)를 통하여 우측 음성 신호를 출력 시킨다.
종합해 보면 트랜지스터(Tr1,Tr2)의 이미터 폴로워 방식으로 출력 된 음성 신호가 가변 저항(R11,R12)에 입력되면 사용자가 노브를 조절하여 제1채널과 제2채널의 음성 신호에 위상차를 주계되고 위상차를 조절한 배분에 따라 좌측 음성 신호와 우측 음성 신호의 위상차가 달라짐으로서 사용자는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즉, 사용자가 노브의 위치를 좌측으로 옮기면 제1증폭회로(50)의 출력인 좌측음성 신호가 커지고, 제2증폭회로(60)의 우측 음성 신호는 작아지며 노브의 위치를 우측으로 옮기면 제1증폭회로(50)의 출력인 음성 신호는 작아지고 제2증폭회로(60)의 우측 음성 신호는 커진다.
상기의 관계를 제 3 도에 도시했으며 제 3 도는 노브의 위치에 따른 재생음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노브의 위치가 좌측에 있으면 좌측 음성 신호가 커지고 우측 음성 신호는 작아지며 노브의 위치가 우측에 있으면 좌측 음성 신호는 작아지고 우측 음성 신호는 커지며 노브의 위치가 중앙에 위치하면 좌측 음성 신호가 동일함을 보여준다. 좌측 음성 신호의 재생음이 커지면 음원이 좌측에 있는 것과 같이 느켜지며 우측 음성 신호의 재생음이 커지면 음원이 우측에 있는 것과 같이 느껴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두개의 채널을 이용하여 모노 음성 신호를 출력시키고 사용자가 임의로 위상차를 조절 할수 있음으로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고, 간단한 회로를 구성하여 좌,우음성 신호를 분리함으로서 원가 절감을 시킬 수 있으며 다입력 믹서 회로에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각 입력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 시킬때 재생 위치를 조절 할 수 있고 쉽게 음악을 창작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모노 음성 신호는 출력하는 신호원 회로(10)와 상기 신호원 회로(10)의 출력을 제1채널로 통하여 입력하는 제1입력회로(20)와, 상기 신호원 회로의 출력을 제2채널로 통하여 입력하는 제2입력 회로(30)와, 상기 제1입력 회로(20)와 제2입력 회로(30)의 출력을 입력하고 노브 조절을 통하여 좌측 음성 신호와 우측 음성 신호로 각각의 위상차를 배분 할 수 있는 신호음 배분 회로(40)와, 배분된 좌,우 음성 신호중 한 음성 신호를 제1채널로 통하여 증폭 출력 시키는 제1증폭 회로(50)와, 배분된 좌,우 음성 신호중 또다른 음성 신호는 제2채널로 통하여 증폭출력 시키는 제2증폭 회로(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음성 신호의 좌,우 배분 회로 조절회로.
KR2019860018643U 1986-11-27 1986-11-27 모노 음성신호의 좌, 우 배분 조절회로 KR910004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643U KR910004721Y1 (ko) 1986-11-27 1986-11-27 모노 음성신호의 좌, 우 배분 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643U KR910004721Y1 (ko) 1986-11-27 1986-11-27 모노 음성신호의 좌, 우 배분 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421U KR880010421U (ko) 1988-07-27
KR910004721Y1 true KR910004721Y1 (ko) 1991-07-01

Family

ID=19257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8643U KR910004721Y1 (ko) 1986-11-27 1986-11-27 모노 음성신호의 좌, 우 배분 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7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421U (ko) 198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8424A (en) Simulated stereo from a monaural source sound reproduction system
US4245136A (en) Monitor ampliphones
US5497425A (en) Multi channel surround sound simulation device
US20020006206A1 (en) Center channel enhancement of virtual sound images
US4567607A (en) Stereo image recovery
US4612663A (en) Multichannel audio reproduction system
JPS6337560B2 (ko)
JP3663461B2 (ja) 周波数選択的空間感向上システム
KR910008762B1 (ko) 4채널 서라운드 사운드 발생회로
US4208546A (en) Phase stereophonic system
US3941931A (en) Audio signal mixing system
KR910004721Y1 (ko) 모노 음성신호의 좌, 우 배분 조절회로
KR100386919B1 (ko) 노래반주장치
JP2000059897A (ja) 音声再生装置および音声再生方法
JPH0453400U (ko)
JPS63194500A (ja) ステレオ再生装置
US3050583A (en) Controllable stereophonic electroacoustic network
US4406920A (en) Monitor ampliphones
JPH0638300A (ja) 音響再生装置
JP6722973B1 (ja) サラウンド回路及びそのサラウンド回路を利用した音響システム
JP2575457Y2 (ja) オーディオ装置
JPH0937381A (ja) 出力レベル切り換え回路
KR960011412B1 (ko) 오디오장치의 입체음 레벨 조정회로
KR200240707Y1 (ko) 입체음향 출력음 조절장치
CA1132460A (en) Monitor ampli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