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342B1 - Packaging fluids - Google Patents

Packaging flui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342B1
KR910004342B1 KR1019880009067A KR880009067A KR910004342B1 KR 910004342 B1 KR910004342 B1 KR 910004342B1 KR 1019880009067 A KR1019880009067 A KR 1019880009067A KR 880009067 A KR880009067 A KR 880009067A KR 910004342 B1 KR910004342 B1 KR 910004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andset
delivery
fluid
delive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0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90001427A (en
Inventor
챨스 길 데이비드
알리 에렌
Original Assignee
노믹스 매뉴팩쳐링 컴패니 리미티드
챨스 길 데이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믹스 매뉴팩쳐링 컴패니 리미티드, 챨스 길 데이비드 filed Critical 노믹스 매뉴팩쳐링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90001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4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3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28Centrifugal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94Containers having an external wall formed as, or with, a diaphragm or the like which is deformed to expel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유체전달장치Fluid transfer device

제 1 도는 제초제 전달용 분무대(lance)를 나타내는 도면.1 shows a lance for herbicide delivery.

제 2 도는 제 1 도의 분무대의 핸드세트의 확대도.2 is an enlarged view of the handset of the spray stand of FIG.

제 3 도는 제 2 도에 도시한 핸드세트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dset shown in FIG.

제 4 도는 일부가 생략된 제 2 도 및 3도의 핸드세트의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handset of FIGS. 2 and 3 with some omitted.

제 5 도는 제 2 도 내지 4도에 도시한 핸드세트에 제공된 제초제 컨테이너의 하면도.5 is a bottom view of the herbicide container provided in the handset shown in FIGS.

제 6 도 내지 9도는 컨테이너의 제작 및 충전을 나타내는 도면.6 to 9 show the construction and filling of the container.

제 10 도는 대안적인 구현예의 핸드세트의 측단면도.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handset of an alternative embodiment.

제 11 도는 제 10 도의 핸드세트의 확대 단편도.11 is an enlarged fragmentary view of the handset of FIG.

제 12 도는 제 10 도 및 11도의 핸드세트의 배면도.12 is a rear view of the handset of FIGS. 10 and 11.

제 13 도는 제 10 도 내지 12도의 핸드세트에 제공된 컨테이너의 측면도13 is a side view of a container provided in the handset of FIGS. 10-12

제 14 도는 제 13 도의 컨테이너의 정면도.14 is a front view of the container of FIG.

제 15 도는 제 13 도 및 14도에 도시한 컨테이너의 배면도.15 is a rear view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S. 13 and 14;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핸드세트(handset) 6 : 분무헤드2: handset 6: spray head

12 : 트리거 14,49,51 : 격실12: trigger 14,49,51: compartment

24,132 : 공동부 26,40,126 : 격벽24,132: cavity 26,40,126: bulkhead

28,134 : 컨테이너 36 : 래치28,134: container 36: latch

120 : 마이크로스위치 128 : 소켓120: microswitch 128: socket

본 발명은 유체전달장치, 상세하게는, 비록 전용적은 아니지만, 지면상에 제초제를 전달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delivery device, in particular, a device for delivering herbicides on the ground, although not exclusively.

제초제 전달을 위한 손파지식 분무대는 핸드세트와 분무헤드 형태의 전달구를 포함하는 바, 이 전달구는 관형지지물에 의해 핸드세트에 접속된다. 핸드세트는 조작자 의해 파지되고, 관형지지물은 전달구를 분무될 지면 바로위에 위치하게끔 한다.The handheld spray stand for herbicide delivery comprises a handset and a delivery head in the form of a spray head, which delivery device is connected to the handset by a tubular support. The handset is gripped by the operator and the tubular support places the delivery port directly above the ground to be sprayed.

통상적으로 제초제는 조작자의 어깨위에 지지되거나 등짐에 수반되기도 하는 컨테이너로부터 분무대에 공급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공지의 컨테이너의 1형태는 예컨대 플라스틱 재질의 절첩식백으로서, 이것은 판지상자와 같은 강성케이싱속에 수용된다. 그와 컨테이너들은 가끔 와인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된 것들과 유사하다. 이것은, 그러나, 백들을 형성 및 충전시키고 판지상자들을 형성시켜그 상자속에 충전된 백들을 삽입시켜야 할 것을 요하기 때문에, 비교적 값비싼 포장의 형태가 된다. 또한 공지된 바, 병형태의 컨테이너는 분무대상에 제공된 대응 나선소켓과 결합하는 나선복부, 및 소켓으로부터 전달구에까지 연장하는 덕트를 갖는다. 그러나, 이 구성장치는, 병이 캡없이 분무대에 제공되어야만 하고, 아울러 급속동작으로 분무대에 접속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약간 어색하다. 아울러, 비교적 다루기 힘드는 분무대와 병은 병의 목부가 소켓속으로 완전히 나사로 조여지는 동안 조작자에 의해 고졍되어야만 한다. 결과적으로 제초제가 이 동작중 엎질러지는 중대한 위험이 따르게 된다. 그와같은 엎질러짐은 경제적 손실이고, 조작자에겐 유해하고, 그리고 원치않는 곳에 떨어진 경우 작물을 망치게 한다.Typically, herbicides are intended to be supplied to the spray stand from a container that is supported on the operator's shoulder or accompanied by a back pack. One type of known container is, for example, a folding bag made of plastic, which is housed in a rigid casing such as a cardboard box. He and containers are sometimes similar to those used to pack wine. This, however, becomes a form of relatively expensive packaging because it requires forming and filling bags and forming cardboard boxes to insert filled bags into the boxes. Also known, the bottle-shaped container has a spiral abdomen that engages the corresponding spiral socket provided in the spray object, and a duct extending from the socket to the delivery port. However, this construction device is slightly awkward to use because the bottle must be provided to the spray table without a cap and can not be connected to the spray table in rapid motion. In addition, relatively intractable spray tables and bottles must be fixed by the operator while the neck of the bottle is fully screwed into the socket. As a result, there is a significant risk that herbicides spill over during this operation. Such spillage is an economic loss, harmful to the operator, and ruining the crop if it falls away.

상기 기술한 형식의 손파지식 분무대는 현재까지 전문적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계되어 왔다. "전문적인 사용자"란, 적절히 훈련된 요원들을 이용하는, 비교적 큰 토지를 다루는 지방당국 및 그와 유사한 기업들을 의미한다. 그와 같은 사용자들은, 예컨대, 3리터가 들어가는 패키지의 비교적 대량의 제초제를 구입한다고 본다. 그러나, 상식적으로, 대다수의 가정의 이용자는, 예컨대, 0.5리터보다 작은 소량의 보통크기의 개인정원을 살포하는데 충분한 경우 그와 같은 대량의 제초제를 사지않는다. 아울러, 상기 기술한 분무대의 제 2 형식에서 나타나는 엎지름의 위험은 장치가 비숙련자에 의해 사용될 때 특히 발생도가 크다.The hand held spray bottle of the type described above has been designed for professional users to date. "Professional employer" means local authorities and similar corporations dealing with relatively large land, using appropriately trained personnel. Such users see, for example, purchasing relatively large amounts of herbicides in packages containing three liters. However, common sense, most home users do not buy such large amounts of herbicide if they are sufficient to spray a small amount of normal sized private garden, for example less than 0.5 liters. In addition, the risk of spillage in the second type of spray stand described above is particularly high when the device is used by an unskilled person.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엎지름의 가능성을 최소로하면서, 컨테이너를 급속동작으로 전달부재에 접속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 입구피팅과 출구피팅을 결합시키는 방도로 컨테이너를 전달부재에 제공하는 단순한 작용은 래칭장치를 작동시켜 컨테이너가 핸드세트에 충분히 고착되게끔 한다.I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container to the transmission member in rapid motion while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spillage. Indeed, in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imple act of providing the container to the delivery member in a way to combine the inlet and outlet fittings actuates the latching device so that the container is securely anchored to the handset.

래칭장치는 가급적 출구 및 입구피팅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켜서, 컨테이너의 중량이 출구 및 입구피팅에 의해 단독적으로 지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하면 이들 피팅에 대한 불필요한 변형을 피하게 되고, 따라서 누수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게 된다.The latching device should preferably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outlet and inlet fittings so that the weight of the container is not solely supported by the outlet and inlet fittings. This avoids unnecessary deformations of these fittings, thus reducing the possibility of leakage.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 래칭장치는 핸드세트에 의해 수반된 선회성레버의 형태이다. 이 레버는 스냅작용으로 컨테이너와 결합하여 컨테이너와 레버의 상호작용에 의해 레버가 실행위치로 유지되도록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latching device is in the form of a pivoting lever carried by the handset. This lever engages with the container in a snap action so that the lever is held in the running position by the interaction of the lever with the container.

레버는 컨테이너가 핸드세트에 제공되어 출구피팅과 입구피팅을 결합하도록 하였을 때 컨테이너가 접촉하게 되는 캠을 가진다. 컨테이너와 캠간의 접촉은 레버를 해제위치로부터 레버가 컨테이너에 결합하여 핸드세트에 대해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위치로 이동되게끔 한다.The lever has a cam that the container comes into contact with when the container is provided in the handset to engage the outlet and inlet fittings.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am causes the lever to move from the release position to the position where the lever engages the container and locks the container with respect to the handset.

바람직하게도, 핸드세트는 컨테이너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공동부를 갖추고 있다. 이 공동부와 컨테이너는 경우에 따라 컨테이너가 삽입 및 철수되어질 때 컨테이너를 핸드세트에 관해 안내되게끔 작용하는 상호 협동형성물을 갖출 수도 있다. 이런 준비책은 출구 및 입구피팅간의 믿음직한 결합을 보장하며, 이들 피팅은 서로 푸시끼워맞춤으로서 서로 결합된다.Preferably, the handset has a cavity in which the container is at least partially received. The cavity and the container may optionally have a cooperative formation that acts to guide the container with respect to the handset when the container is inserted and withdrawn. This preparation ensures reliable engagement between outlet and inlet fittings, and these fittings are joined together by push-fitting together.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유체가 흘러나감에 따라 포개지는 컨테이너에 있어서의 제초제 및 기타 유체의 포장을 합리화시키고, 또한 비교적 소량의 제초제를 위한 제초제 포장에 있어서의 경제적이고도 편리한 형상을 만드는 것으로부터 착안하였다.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streamlining the packaging of herbicides and other fluids in containers superimposed as the fluid flows and also creating an economical and convenient shape in herbicide packaging for relatively small amounts of herbicides. It was.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르면, 전달구 및 전달되어질 유체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유체전달장치가 제공되는 바, 컨테이너는 전달구의 리세스내에 해제가능하게 수용되고, 컨테이너의 내부는 가요성격벽에 의해 2격실로 나뉘어지고, 2격실중 1격실은 액쳬를 내포하고 그리고 리세스내에 위치하고 있는 영역의 컨테이너의 벽에 제공된 출구를 통해 공급 덕트와 연통하고, 다른 격실은 주위에 노출된 영역에 있는 컨테이너의 벽에 제공된 통기공을 통해 주위와 연통하고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uid delivery device comprising a delivery port and a container of fluid to be delivered, the container being releasably received in the recess of the delivery port,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eing defined by a flexible bulkhead. Divided into two compartments, one of which contains fluid and communicates with the supply duct through an outlet provided in the wall of the container of the area located in the recess, the other compartment of the container in the exposed area It communicates with the surroundings through vents provided in the wall.

가급적, 가요성벽부는 액체내포격실의 체적을 본질적으로 없는 것으로 줄이기 위해, 가요성격벽의 1측상에 있는 컨테이너의 벽의 전체 내부면위에 놓이게끔 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 및 가요성을 가진다.Preferably, the flexible wall portion is of sufficient size and flexibility to be placed over the entire interior surface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on one side of the flexible bulkhead, in ord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liquid containment compartment to essentially zero.

컨테이너의 벽과 가용성격벽은 겸용식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기도 하고, 또한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되기도 한다.The walls and soluble bulkheads of the container may be made of a compatible plastic material or may be fixed to each other by welding.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를 제작하는 바람직한 방법에 있어, 가요성벽은 강성벽 요소의 내부면에 대해 적용되어 벽요소 및 격벽이 비교적 소체적의 격실을 한정하도록 하며, 벽요소 및 격벽은 그때 유체 긴밀방도로 주위부분에서 서로 고정되고, 가요성격벽은 강성벽 요소의 내부면으로부터 떨어져 편향되어 격실의 체적을 증가하게끔 한다. 제 2 벽요소는 그때 가요성격벽을 에워싸기 위해 제 1 벽요소에 적용된다.In a preferre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flexible wall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igid wall element such that the wall element and the partition define a relatively small volume compartment, the wall element and the partition wall then being in fluid tightness. Secured to each other at the periphery, the flexible bulkheads are deflected awa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igid wall element,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compartment. The second wall element is then applied to the first wall element to enclose the flexible bulkhead.

컨테이너의 충전시, 예컨대 벽요소의 어느 하나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 가요성격벽은 그 벽요소의 내부면으로부터 이동하여 격실의 체적을 증가시킨다. 유사하게, 유체가 컨테이너로부터 흘러나올 때, 가요성격벽은 강성벽요소의 내부면을 향하여 뒤쪽으로 이동한다.Upon filling of the container, for example, through an opening provided in one of the wall elements, the flexible partition mov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element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compartment. Similarly, as fluid flows out of the container, the flexible bulkhead moves back towards the inner surface of the rigid wall element.

바람직하게도, 가요성격벽과 강성벽요소간의 유체긴밀접속은 용접에 의해 성취되고, 이들 요소들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다. 가열장치는, 용접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가요성격벽에 결합하여 강성벽요소의 내부면쪽으로 가요성격벽을 압착시키는 성형기에 부착될 수 있다. 성형기는 가급적 강성벽요소의 내부형상에 근사하게 상응하는 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luid tight connection between the flexible bulkhead and the rigid wall element is achieved by welding, and these elements are made of plastic material. The heating apparatus may be attached to a molding machine that couples to the flexible partition wall and presses the flexible partition wall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rigid wall element to perform a welding operation. The molding machine preferably has a formation that corresponds as closely as possible to the internal shape of the rigid wall element.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 유체전달장치는 제초제를 전달시키기 위한 손파지식 분무대를 포함하는데, 이 분무대는 컨테이너 수용을 위한 리세스를 갖춘 핸드세트를 가지고 있다. 액체공급덕트는 리세스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분무대의 전달헤드에 연장하여서, 컨테이너가 리세스속으로 삽입되었을 때, 컨테이너의 출구피팅이 공급덕트와 결합하여 컨테이너속의 액체가 전달헤드로 유동하도록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 컨테이너는 핸드세트 대신에 전달헤드에 부착될 수도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luid delivery device comprises a hand grip sprayer for delivering herbicides, the sprayer having a handset with a recess for container containment. The liquid supply duct extends from the position adjacent the recess to the delivery head of the spray bottle so that when th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recess, the outlet fitting of the container engages the supply duct to allow the liquid in the container to flow into the delivery head.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ainer may be attached to the delivery head instead of the handset.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그리고 어떻게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보이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show how it is effective,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도는 도시한 분무대는 강성지지부재가 튜브(4)형상으로 뻗어 나온 핸드세트(2)를 포함한다. 튜브(4)는 분무헤드(6)의 형태의 전달구를 수반하여, 분무헤드는 방적용 디스크형태의 분배요소(8)를 구동시키는 전기모터(도시하지 않았음)를 수용한다.The spray table shown in FIG. 1 includes a handset 2 in which a rigid support member extends in the shape of a tube 4. The tube 4 carries a delivery port in the form of a spray head 6, which receives an electric motor (not shown) which drives the dispensing element 8 in the form of a spinning disk.

덕트(10)(제 4 도)는 핸드세트(2)로부터 튜브(4)를 통해 분무헤드(6)에 뻗어진다. 핸드세트(2)는 트리거(12)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밸브(도시하지 않았음)를 구비한다. 헤드(6)내에 모터를 위한 동력의 공급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는 핸드세트(2), 예컨대 제 2 도 내지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세트의 전방단에 있는 격실(14)에 수용된다. 헤드(6)내의 모터에 적용된 전압은 조절손잡이(16)에 의해 디스크(8)의 속도를 조절하게끔 조절될 수 있다.The duct 10 (FIG. 4) extends from the handset 2 through the tube 4 to the sprayhead 6. Handset 2 has a valve (not shown) that can be operated by trigger 12. A battery providing a source of power for the motor in the head 6 is housed in a handset 2, for example a compartment 14 at the front end of the handset, as shown in FIGS. 2 to 4. The voltage applied to the motor in the head 6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speed of the disk 8 by the adjusting knob 16.

핸드세트(2)는 핸들부재(20)에 접속된 주형체(18)를 포함한다. 주형체(18)의 전당단은 패늘(22)에 의해 폐쇄되어 격실(14)을 한정한다. 주형체(18)의 배후부는 공동부(24)를 한정하며, 공동부는 격벽(26)에 의해 격실(14)로부터 분리된다. 공동부(24)는 튜브(10)를 통해 전달헤드(6)에 공급되어질 제초제를 담는 컨테이너(28)를 수용한다. 컨테이너(28)는 컨테이너(28)의 전방 테두리부에 결합하는 2러그(30)에 의해 리세스(24)중에 유지된다. 컨테이너(28)의 타단에는, 컨테이너(28)의 배후 테두리(34)와 결합하는 래치(36)가 있다.The handset 2 comprises a mold 18 connected to the handle member 20. The front end of the template 18 is closed by the puncture 22 to define the compartment 14. The rear part of the mold 18 defines a cavity 24, which is separated from the compartment 14 by a partition 26. The cavity 24 houses a container 28 containing herbicide to be supplied to the delivery head 6 via a tube 10. The container 28 is held in the recess 24 by two lugs 30 that engage the front rim of the container 28. At the other end of the container 28 is a latch 36 that engages with the rear edge 34 of the container 28.

컨테이너(28)는 플라스틱 주형체(38)와 커버패늘(41)로 이루어진 강성케이싱을 포함한다. 주형체(38)는 1개방면을 가진 상자 형상으로서, 그 개방면은 패늘(41)에 의해 덮혀져 있다. 따라서, 제 4 도에 도시한 것에 있어, 주형체(38)는 상부벽(42), 경상형 전방벽(44), 배후벽(46) 및 2측벽을 가진다. 주위림(48)은 주형체(38) 외측주위(32)로부터 약간 내향하여 있는 위치에서 주형체(38)의 개방면을 에워싼다. 플라스틱시이트재질로 만들어진 가요성격벽(40)은 주위림(48)에 용접된다. 가요성격벽(40)은 케이싱(38,41)의 내부를 2격실(49,51)로 분할한다.The container 28 comprises a rigid casing consisting of a plastic mold 38 and a cover pedestal 41. The cast body 38 is a box shape having one side, and its open surface is covered by the diaphragm 41. Thus, in FIG. 4, the mold 38 has an upper wall 42, a regular front wall 44, a rear wall 46 and two side walls. The perimeter rim 48 surrounds the open face of the mold 38 in a position slightly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32 of the mold 38. The flexible partition 40 made of a plastic sheet material is welded to the peripheral rim 48. The flexible partition 40 divides the interior of the casings 38 and 41 into two compartments 49 and 51.

주형체(38)의 경사벽(44)은 격실(49)과 컨테이너(28)의 외측간의 소통을 제공하는 삽입구(spigot)(52)를 포함하는 출구피팅을 갖추고 있다.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삽입구는 컨테이너(28)의 격실(49)을 덕트(10)와 접속시키기 위해, 덕트(10)의 입구피팅(54) 과 맞물린다. 단부피팅(54)은 격벽(26)에 고정된다.The inclined wall 44 of the mold 38 has an outlet fitting that includes a spout 52 that provide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artment 49 an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28. As can be seen, this insert engages the inlet fitting 54 of the duct 10 to connect the compartment 49 of the container 28 with the duct 10. The end fitting 54 is fixed to the partition 26.

강성 커버패늘(41)은 외측주위(32)에 패늘을 용접하므로써 주형체(38)에 고정된다. 패늘(41)은 공기가 격실(51)로 들어가도록 하는 소통기공(53)을 가져서 가요성격벽(40)이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한다.The rigid cover pedestal 41 is fixed to the mold 38 by welding the pedestal to the outer periphery 32. The diaphragm 41 has a communication hole 53 to allow air to enter the compartment 51 to allow the flexible barrier 40 to move freely.

예증상, 컨테이너(28)는 400ml의 제초제를 완전히 담을 수 있는 것으로서, 대부분의 가정용 정원목적으로 적절한 양이 된다.For example, the container 28 is capable of containing 400 ml of herbicide completely, which is an appropriate amount for most home gardening purposes.

사용하기 위해, 컨테이너(28)는 삽입구(52)를 입구피팅(54)에 제공하여 푸시끼워맞춤에 의해 이들 2부품을 서로 결합하므로써 공동부(24)속으로 실려진다. 컨테이너(28)는 그때 러그(30)와 맞물리고 그리고 배후단이 래치(36)와 만날 때까지 상향하여 피봇된다. 래치(36)는 캠표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어서 래치가 컨테이너(28)에 의해 외향하여 운반되고 그리고 후속으로 컨테이너(28)를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배후 테두리(34) 밑에서 뒤로 스냅고정 된다. 대안적으로 래치(36)는 컨테이너(28)가 공동부(24)속으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수동적으로 수축될 수 있다.For use, the container 28 is loaded into the cavity 24 by providing an inlet 52 to the inlet fitting 54 to join these two parts together by push fit. The container 28 then engages the lug 30 and pivots upward until the rear end meets the latch 36. The latch 36 may be formed as a cam surface such that the latch is carried outwardly by the container 28 and subsequently snaps back below the rear rim 34 to hold the container 28 in place. Alternatively, the latch 36 may be manually retracted when the container 28 is fully inserted into the cavity 24.

구멍(53)은 예컨대 접착성 테이프 등과 같은 것에 의해 초기에 폐쇄될 수 있는데, 이것은 사용전에 제거되어야만 한다. 분무대는 핸드세트(2)로부터 분무헤드(6)에까지 하향하여 경사진 지지튜브(4)와 함께 사용되기로 되어져 있으므로, 제초제는 컨테이너(28)로부터 전달헤드(6)에 중력하에서 유동하게 된다. 방적형디스크(8)은 전압조정기(16)의 제어하에서 전달헤드(6)내의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제초제는 디스크(8)에 도달할 때, 방울형태로 디스크(8)에 의해 분배된다. 덕트(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은 트리거(12)에 의해 조절된다.The hole 53 can be initially closed by, for example, adhesive tape or the like, which must be removed before use. Since the spray table is intended to be used with the support tube 4 inclined downward from the handset 2 to the spray head 6, the herbicide will flow under gravity from the container 28 to the transfer head 6. . The spinning disk 8 is rotated by an electric motor in the transfer head 6 under the control of the voltage regulator 16 and the herbicide is distributed by the disk 8 in droplet form when it reaches the disk 8. . The flow of fluid through the duct 10 is regulated by the trigger 12.

액체가 컨테이너(28)로부터 유동함에 따라, 가요성격벽(40)은 격실(49)의 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격실(49)에 내항해서 편향된다. 동시에 공기는 격실(51)을 점유하기 위해 구멍(53)을 통해 흐른다(제 4 도). 이는 컨테이너(28)속에 통기수단을 제공할 필요성을 피하게 해서 공기가 통기수단을 통해 누수됨이 없이 유체에 위해 점유된 봉입물에 들어가게끔 한다. 컨테이너(28)가 텅비워있을 때, 가요성격벽(40)은 주형체(38)의 전체 내부면과 접촉상태로 될 것이다. 전방벽(44)의 경사방향은 최종 수 밀리리터의 유체를 삽입구(52)로 방향을 가지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컨테이너(28)가 완전히 비워져 있을 때, 래치(36)의 수동조작에 의해 컨테이너를 공동부(24)로부터 제거하고, 그리고 컨테이너를 충전된 컨테이너로 대치한다는 것은 간단한 것이다. 컨테이너(28)내의 제초제 또는 기타 유체로서 조작자에게 접촉되는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28)는 사용자에 의해 재충전할 수 있게 적절하게 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카트리지의 방식으로 대치되게끔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As the liquid flows from the container 28, the flexible partition 40 deflects against the compartment 49 to reduce the volume of the compartment 49. At the same time air flows through the aperture 53 to occupy the compartment 51 (FIG. 4). This avoids the need to provide a vent in the container 28 so that air enters the enclosed enclosure for the fluid without leaking through the vent. When the container 28 is empty, the flexible bulkhead 40 will be in contact with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mold 38.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wall 44 helps direct the last few milliliters of fluid into the inlet 52. When the container 28 is completely empty, it is simple to remove the container from the cavity 24 by manual operation of the latch 36 and replace the container with a filled container.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contact with the operator as a herbicide or other fluid in the container 28,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container 28 is not adapted to be refilled by the user but is to be replaced by the cartridge. have.

이와 비슷하게, 동일한 분무대가 식물처리와 다른 형식에 사용될 경우, 1유체, 예컨대 포장된 지역에 있는 잡초를 죽이기 위한 제초제의 컨테이너(28)를, 다른 유체, 예컨대 잔디처리용의 제제(formulation)를 담고있는 제 2 컨테이너(28)에 의해 대치하는 것도 간단한 일이다. 물론, 최초 제초제의 모든 흔적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무대를 통해 세척유체를 통과시키는 것이 통상 필요하며, 그와 같은 세척유체 역시 유사한 컨테이너(28)내에 들어있을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same spraying table is used for different types of plant treatments, a container 28 of herbicide for killing weeds in one fluid, such as a packed area, may be used for different fluids, for example, formulations for lawn treatment. It is also simple to replace by the second container 28 contained therein. Of course, it is usually necessary to pass the cleaning fluid through the spray stand to remove all traces of the original herbicide, and such cleaning fluid may also be contained in a similar container 28.

제 6 도 내지 9도는 컨테이너(28)의 제작 및 충전상태를 나타낸다. 제 6 도는 삽입구(52)을 포함하고 있는 주형체(28)를 나타내는데, 그 주형체를 따라서 분리판(40A)이 가요성격판(40)을 형성하기 위해 충당된다. 성형기(56)는 주형체(38) 안·밖으로의 화살표(A)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시이트판(40A)은 주형체(38)와 성형기(56)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성형기(56)가 주형체(38)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시이트판(40A)은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형체(38)의 내부표면과 접촉하면서 압착된다.6 to 9 show the manufacturing and filling of the container 28. 6 shows a template 28 including an insertion opening 52, in which a separating plate 40A is covered to form a flexible plate 40 along the template. The molding machine 56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into and out of the mold 38. The sheet plate 40A is disposed between the mold 38 and the molding machine 56, and as the molding machine 56 moves toward the mold body 38, the sheet plate 40A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film is pressed whil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38.

성형기(56)는 성형기(56) 둘레에 뻗혀지는 전기가열요소(58)를 갖추고 있으며, 그리고 성형기(56)가 제 7 도에 도시한 위치에 있을 때, 시이트판(40A)은 가열요소(58)와 주위벽(48) 사이에 확고하게 결착된다. 가열요소는 시이트판(40A) 및 벽(48)의 플라스틱 재질을 연하게 하고, 따라서 시이트판(40A)을, 제 7 도 내지 9도에 6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형체(38)에 용접되게끔 한다. 안전성의 향상을 위해, 1이상의 주위벽(48)을 갖추어서, 대응수의 용접부(60)를 제공한도록 한다.The molding machine 56 has an electric heating element 58 extending around the molding machine 56, and when the molding machine 56 is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7, the sheet plate 40A has a heating element 58. ) And the peripheral wall 48 are firmly bound. The heating element softens the plastic material of the sheet plate 40A and the wall 48, thus welding the sheet plate 40A to the mold 38, as shown in FIGS. Let it be. In order to improve safety, one or more peripheral walls 48 are provided to provide a corresponding number of welds 60.

성형기(56)가 주형체(38)로부터 철수되어질 때, 가요성격벽(40)은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개진 상태로 남는다. 패늘(41)이 그 다음 제위치에 놓여져서 주형체(38)의 주위(32)에 용접된다. 컨테이너의 후속 충전은,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40)을 주형체(38)의 내부면으로부터 떨어져 움직이게 하여 공기가 통기공(53)을 통해 대치된다. 잘 알 수 있는 바, 컨테이너가 텅비워 있을 때 격벽(40)을 주형체(38)의 내부면과 같은 모양으로 되도록 하기 위해, 가요성격벽(40)은 용접부(60)에 의해 제한된 영역보다 더 큰 것이고, 그리고 결과적으로 가요성격벽(40)은 제 9 도에서는 평탄하게 되시되었지만 컨테이너(28)가 충전되었을 경우 접쳐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찌그러질 것이다.When the molding machine 56 is withdrawn from the mold 38, the flexible partition 40 remains in an overlapped state as shown in FIG. The diaphragm 41 is then put in place and welded to the perimeter 32 of the mold 38. Subsequent filling of the container causes the partition 40 to move awa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38 as shown in FIG. 9 so that air is replaced through the vent 53. As can be seen, the flexible bulkhead 40 is more than the area confined by the weld 60 to make the partition 40 look like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38 when the container is empty. It is large, and consequently the flexible bulkhead 40 is flattened in FIG. 9 but will collapse or otherwise crush when the container 28 is filled.

제 10 도 내지 15도는 튜브(4)와 분무헤드(6)와 함께 사용되는 핸드세트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준다. 튜브(4) 및 덕트(10)는 제 10 도에 나타나있다.10 to 15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set used with the tube 4 and the spray head 6. The tube 4 and the duct 10 are shown in FIG. 10.

제 10 도에 도시한 핸드세트는 튜브(4)를 수용하는 제 1 돌출부(102), 핸들부재를 구성하는 제 2 돌출부(104), 및 접속부(106)와로 만들어진 약간 U-형상의 본체로 이루어진다. 덕트(10)는 제 1 돌출부(102)로 들어가고 그리고 밸브(110)의 출구에 접속된다. 밸브(110)는 핸들(104)상에 제공된 조절피봇(112)으로부터 로커(118)에 의해 서로 동작가능하게 접속된 2로드(114 및 116)를 포함하는 링크를 통해 동작된다. 마이크로스위치(120)는 접속부(106)의 벽에 제공되어, 조절피봇(112)이 동작되어질 때 로드(116)의 변위에 의해 작동된다. 따라서, 분무대의 동작을 위해, 조절피봇(112)은 밸브(110)가 개방되게끔, 제초제가 분무헤드로 유동하게끔, 그리고 스위치(120)를 작동하게끔, 디스크(8)를 회전시키기 위해 분무헤드중의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게끔 한다(제 1 도 참조) 이 목적을 위한 동력은 핸들(104)에 수용된 배터리(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얻어진다.The handset shown in FIG. 10 consists of a slightly U-shaped body made of a first protrusion 102 for receiving a tube 4, a second protrusion 104 constituting a handle member, and a connecting portion 106. . The duct 10 enters the first protrusion 102 a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valve 110. The valve 110 is operated via a link comprising two rods 114 and 116 oper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rocker 118 from the adjustment pivot 112 provided on the handle 104. The microswitch 120 is provided on the wall of the connection portion 106 and is operat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rod 116 when the adjustment pivot 112 is operated. Thus, for operation of the spray table, the adjustment pivot 112 causes the valve 110 to open, the herbicide to flow into the spray head, and to operate the switch 120, to rotate the spray head 8. Power to the motor (see FIG. 1). Power for this purpose is obtained from a battery (not shown) housed in the handle 104.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110)에 대한 입구는 경사단(124)을 가지고 짧은 길이의 금속파이프(122)를 포함하며, 그의 목적은 차후 거론될 것이다. 튜브(122)는 핸드세트에 대해 고정된 위치로 설치된 격벽(126)내에 고정된다. 밸브(110) 역시 이 격벽(126)에 고정된다.As shown in FIG. 11, the inlet to the valve 110 has an inclined end 124 and includes a short length of metal pipe 122, the purpose of which will be discussed later. The tube 122 is secured in the partition 126 installed in a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handset. The valve 110 is also fixed to this partition 126.

격벽(126)은 밸브(110)를 위해 그리고 결과적으로는 튜브(10)를 위한 입구피팅을 갖추고 있다. 이 입구피팅은 스커어트(130)에 의해 둘러싸인 관형소켓(128)을 포함한다. 튜브(122)는 소켓(128)속으로 돌출한다.The partition 126 is equipped with an inlet fitting for the valve 110 and consequently for the tube 10. This inlet fitting includes a tubular socket 128 surrounded by the skirt 130. Tube 122 protrudes into socket 128.

소켓(128)과 스커어트(130)는 핸드세트에 제공된 공동부(132)속으로 돌출한다. 이공동부(132)는 제초제의 컨테이너(134)의 전방부에 의해 점유된다. 컨테이너(134)의 배후부는,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부(132)로부터 돌출한다. 컨테이너는 제 3 도 내지 15도 아주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것은 시임부(140)에서 서로 접해있는 2케이싱 절반부(136 및 138)를 포함한다. 2케이싱 절반부(136,138)는 서로 거울의 상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컨테이너는 전체적으로 시임부(140)를 중심으로 대칭적이다.Socket 128 and skirt 130 protrude into cavity 132 provided in the handset. The cavity 132 is occupied by the front of the herbicide container 134. The rear part of the container 134 protrudes from the cavity part 132 as shown in FIG. The container is shown in greater detail in FIGS. 3 to 15 degrees. It includes two casing halves 136 and 138 abutting each other at seam 140. The two casing halves 136 and 138 are mirror images of each other, so that the container is symmetrical about the seam 140 as a whole.

하우징부품(136 및 138) 각각은 주위 립(lip)(142)을 가지며, 이들 립은 시임부(140)에서 만나서 컨테이너(134) 둘레에 뻗혀있는 주위플랜지를 제공한다. 아울러, 측방리브(144)들이 컨테이너의 전방부에 제공되어진다. 이 전방부(146)는 후방부(148)보다 약간 좁고, 그 결과 컨테이너의 후방부(148)는 공동부(132)를 한정하는 핸드세트의 영역의 외측면과 전체적으로 같은 높이로 된다.Each of the housing parts 136 and 138 has a peripheral lip 142 that meets at the seam 140 to provide a peripheral flange that extends around the container 134. In addition, side ribs 144 ar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ontainer. This front portion 146 is slightly narrower than the rear portion 148 so that the rear portion 148 of the container is flush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area of the handset defining the cavity 132.

제 1 도 내지 5도에 도시한 구현예에서의 가요성격벽(40)에 상응하는 가요성격벽이 시임부(140)에서 이들 케이싱 절반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케이싱 절반부(136 및 138) 사이에 뻗혀있다. 컨테이너의 내부는 따라서 2격실로 나뉘어지는데, 그 하나는 가요성격벽과 케이싱 절반부(136) 사이에 한정되고, 다른 하나는 가요성격벽과 다른 케이싱 절반부(138) 사이에 한정된다.Casing halves 136 and 138 with the flexible bulkheads corresponding to the flexible bulkheads 4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5 being fixed to these casing halves at the seam 140. Stretched betwee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thus divided into two compartments, one of which is defined between the flexible bulkhead and the casing half 136, and the other of which is defined between the flexible bulkhead and the other casing half 138.

케이싱 절반부(136)는 출구피팅(150)을 갖추고 있는데, 이 출구피팅은,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128)내에서의 결합을 위한 삽입구(152), 및 스커어트(130) 주위의 결합을 위한 칼라(154)를 포함한다. 튜브(122)는 삽입구(152)에 들어간다.The casing half 136 has an outlet fitting 150, which, as shown in FIG. 11, has an insertion opening 152 for engagement in the socket 128, and a skirt 130. And a collar 154 for engagement. The tube 122 enters the insertion opening 152.

케이싱 절반부(138)는 제 4 도에 도시한 통기공(53)에 상응하는 통기공(도시하지 않았음)을 갖추고 있다. 도면중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출구피팅(150) 역시 컨테이너가 공동부로부터 제거되었을 경우 삽입구(152)를 막기위해 가용성 끈(strap)에 의해 칼러(154)에 접속된 스토퍼를 갖추고 있다. 리세스(156)가 플랜지(142) (제11도 참조)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이것은 컨테이너가 리세스(132)속으로 삽입되는 경우 스토퍼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The casing half 138 has a vent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vent 53 shown in FIG.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outlet fitting 150 also has a stopper connected to the collar 154 by a fusible strap to prevent the insertion opening 152 when the container is removed from the cavity. A recess 156 may be provided in the flange 142 (see also FIG. 11) to accommodate the stopper when th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32.

컨테이너는 각 측면에 하방 및 외방으로 개방하는 리세스(158)를 가진다. 각 리세스(158)는 그의 내부면에 함몰부(dimple) (160)을 가진다.The container has recesses 158 that open downward and outward on each side. Each recess 158 has a dimple 160 on its inner surface.

제 10 도 및 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세트는 레버(162)의 형태인 래칭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 레버는 피봇축(164)을 중심으로 핸드세트의 부분(102)까지 자유롭게 선회된다. 레버(162)는 컨테이너(134)가 리세스(132)속으로 삽입되어질 때 리세스(132)내의 컨테이너(134)를 유지시키기 위해 리세스(158)들의 안에서 결합하는 래치요소(166)들을 갖는다. 이들 래치요소(166)들은 함몰부(160)에서 스냅작용으로 결합하여 레버(162)를 제 10 도에 도시한 위치로 유지시키는 돌기물(도시하지 않았음)을 갖추고 있다.As shown in FIGS. 10 and 12, the handset is equipped with a latching device in the form of a lever 162. This lever pivots freely about the pivot axis 164 to the portion 102 of the handset. The lever 162 has latch elements 166 that engage in the recesses 158 to retain the container 134 in the recess 132 when the container 134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32. . These latch elements 166 are provided with projections (not shown) that snap in engagement with depression 160 to hold lever 162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레버(162)는 핸드세트내에 위치된 캠(168)을 갖추고 있다. 이 캠(168)은, 레버(162)의 변위시, 공동부(132) 안,밖으로 움직일 수 있다.Lever 162 has a cam 168 located within the handset. The cam 168 can move in and out of the cavity 132 upon displacement of the lever 162.

공동부(132)의 내벽들은 컨테이너를 공동부(132)의 안·밖으로 안내시키기 위해 플랜지(142)와 리브(144)와의 협동하기 위한 홈(도시하지 않았음)들과 같은 형성부를 갖추고 있다.The inner walls of the cavity 132 have formations such as grooves (not shown) for cooperating with the flange 142 and the ribs 144 to guide the container in and out of the cavity 132.

동작을 위해, 컨테이너(134)는 제10도의 화살표(A)의 방향으로 공동부(132)속으로 삽입된다. 이 삽입운동의 초기단계중, 레버(162)는 예컨대 자신의 자중으로 인해 제10도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하향하여 선회되고, 그 결과 캠(168)은 공동부(132)속으로 돌출하게 된다. 컨테이너(134)는 한편으로는 공동부(132)내의 형성부들간,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플랜지(142)와 리브(144)간의 협동작용에 의해 공동부(132)속으로 안내된다. 이 안내는 컨테이너의 출구피팅(150)을 핸드세트내의 입구피팅(128,130)에 향하게 하므로써, 삽입구(152)는 소켓(128)에 들어가게 된다.For operation, the container 134 is inserted into the cavity 132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During the initial phase of this insertion motion, the lever 162 is pivoted downward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10 due to its own weight, so that the cam 168 protrudes into the cavity 132. The container 134 is guided into the cavity 132 by cooperative action between the formations in the cavity 132 on the one hand and the flange 142 and the rib 144 on the other hand. This guidance directs the outlet fitting 150 of the container to the inlet fitting 128, 130 in the handset, such that the insertion opening 152 enters the socket 128.

유사하게, 튜브(122)는 삽입구(152)로 들어가고, 또 만일 컨테이너가 처음으로 사용된다면, 튜브(122)의 비스듬한 단부면(124)은 컨테이너로부터 밸브(110)(개방될 때)를 통하여 튜브(10)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삽입구(152)내에 마련된 격벽을 통하여 자르는 역할을 한다.Similarly, the tube 122 enters the inlet 152 and if the container is used for the first time, the oblique end face 124 of the tube 122 passes from the container through the valve 110 (when opened). What flows into (10) serves to cut through the partition provided in the insertion opening (152).

공동부(132)내로의 컨테이너의 운동의 최종단계중에 컨테이너의 전단부는 캠(168)에 맞게 되고 컨테이너(134)의 더이상의 변위는, 레버(162)를 맞게되는 위치로 유지시키기 위해 이들 래치요소(166)상의 돌출부가 함몰부(160)내로 찰깍 결합되고 래치요소(166)가 리세스(158)안에 결합되는 제 10 도에 나타낸 위치로 레버가 변위되게 한다. 리세스(158)와 컨테이너(134)와의 래치요소(166)의 최종의 결합은 화살표(A)방향으로 공동부(132)에 관하여 안으로 단단히 컨테이너를 밀어주어 달성된다. 용기(134)와 래치요소(166)와의 적절한 결합은 시각적인 나타냄을 제공하여 컨테이너가 출구피팅(150)이 튜브(10)의 입구피팅(128)(130)의 적절히 협조하면서 공동부(132)내에 적절히 자리잡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During the final phase of the movement of the container into the cavity 132, the front end of the container is fitted with the cam 168 and any further displacement of the container 134 is such a latch element to keep the lever 162 in the fitted position. A protrusion on 166 snaps into depression 160 and causes the lever to be displac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10 where latch element 166 is engaged in recess 158. Final engagement of the latch element 166 with the recess 158 and the container 134 is achieved by pushing the container firmly inward with respect to the cavity 132 in the direction of arrow A. FIG. Proper engagement of the container 134 with the latch element 166 provides a visual indication that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cavity 132 while the outlet fitting 150 cooperates appropriately with the inlet fitting 128, 130 of the tube 10. It can be seen that it is properly located within.

이 장치는 밸브(110)를 열고 또 스위치(120)를 작동시키기 위해 한손으로 핸들(104)을 잡고 또 그손의 엄지로 조절피봇(112)을 조작하는 운전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차있거나 비어있거나 간에 컨테이너(134)의 중력의 중심은 핸들(104) 뒤에 있고 또 튜브(4)의 무게와 분무헤드의 무게를 평형시키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특징은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도록 분무대의 피로를 덜어준다.This device can be used by the driver to hold the handle 104 with one hand and to operate the adjustment pivot 112 with the thumb of his hand to open the valve 110 and actuate the switch 120. It can be seen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ntainer 134, whether full or empty, is behind the handle 104 and balances the weight of the tube 4 with the weight of the spray head. This feature relieves the spray rod from fatigue over long periods of time.

분무작동의 끝에서 컨테이너(134)는 레버(162)를 잡고 하방으로(제 10 도에서처럼) 수동으로 잡아당겨 공동부(13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는 리세스(158)로부터 래치요소(166)를 해제하고 또 동시에 캠(168)으로 하여금 컨테이너(134)를 공동부(132)밖으로 밀어내어 입구피팅(128)(130)으로부터 출구피팅(150)을 연결해제시킨다. 삽입구(152)는 리세스(156)내에 미리 보호유지된 스토퍼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At the end of the spraying operation, the container 134 may be removed from the cavity 132 by grasping the lever 162 and manually pulling it downward (as in FIG. 10). This releases the latch element 166 from the recess 158 and at the same time causes the cam 168 to push the container 134 out of the cavity 132 so that the outlet fitting 150 from the inlet fitting 128, 130 can be achieved. Disconnect The insert 152 may be closed by a stopper previously protected in the recess 156.

상기에 설명된 시스템은 제초제나 세척제와 같은 기타 유체의 컨테이너가 최소한의 누출이나 누설로 핸드세트에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신속하고 안전하게 연결되고 또 연결해제되도록 해준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system described above allows containers of other fluids, such as herbicides or cleaners, to be quickly and safely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and to the handset with minimal leakage or leakage.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컨테이너가 핸드세트안에 나타나있지만, 컨테이너가 배출장치 예컨대 분무헤드(6)상의 다른 위치에 맞추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Further, although the container is shown in the handse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can be seen that it is possible to allow the container to be adapted to different positions on the discharge device, for example the spray head 6.

Claims (18)

전달구를 가지는 전달기관, 및 전달되어질 유체를 담은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유체전달장치에 있어서, 컨테이너가 해제가능한 래칭장치에 의해 전달기관에 고정되고, 아울러 입구피팅으로부터 전달구까지 뻗어지는 전달기관의 덕트의 입구피팅과 해제가능하게 맞물리는 출구피팅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전달장치.A fluid delivery device comprising a delivery engine having a delivery port, and a container containing a fluid to be delivered, wherein the container is secured to the delivery engine by a releasable latching device and further extends from the inlet fitting to the delivery port. And an outlet fitting that is releasably engaged with the inlet fitting of the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래칭장치가 전달기관상에 제공되고, 컨테이너는 출구피팅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에 리세스를 갖추고 있으며, 리세스는 래칭장치에 의해 맞물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전달장치.The fluid delivery device of claim 1 wherein a latch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delivery engine, the container has a recess at a position away from the outlet fitting, and the recess is engaged by the latching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래칭장치가 전달기관에 대해 자유롭게 선회됨과 아울러 스냅작용으로 리세스내에 결합되는 래치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전달장치.3. A fluid delivery device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latching device is comprised of a latch member that swings freely with respect to the delivery engine and is engaged in the recess by a snap action. 제 3 항에 있어서, 래치부재가 컨테이너의 양측면상에 마련된 각각의 리세스와 결합하는 2래치요소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전달장치.4. The fluid delivery device of claim 3 wherein the latch member comprises two latch elements engaging each reces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래칭장치가 컨테이너를 전달기관에 고정시키기 위해 컨테이너가 전달기관에 제공되었을 때 컨테이너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됨으로 특징으로 하는 유체전달장치.The fluid deliver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atching device is automatically actuated by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provided to the delivery engine to secure the container to the delivery engine. 제 5 항에 있어서, 래칭장치가, 컨테이너의 변위중 컨테이너에 의해 동작되어 출구피팅과 입구피팅을 결합하도록해서 래칭장치를 해제위치로부터 래칭장치가 컨테이너와 결합하는 지지위치로 변위되게끔 하는 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전달장치.6. A ca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atching device is actuated by the container during displacement of the container to engage the outlet fitting and the inlet fitting so as to displace the latching device from the release position to the support position where the latching device engages the container. Fluid transmi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제 1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가 전달기관에 마련된 공동부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전달장치.The fluid deliver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ontainer is at least partially contained within a cavity provided in the delivery engine. 제 7 항에 있어서, 공동부가 컨테이너상의 외부형성물과 협동하는 내부형성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체전달장치.8. The fluid delivery device of claim 7, wherein the cavity has an internal formation that cooperates with the external formation on the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출구피팅과 입구피팅이 푸시맞춤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전달장치.The fluid deliver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outlet fitting and the inlet fitting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push fit. 제 1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의 내부가 가요성격벽에 의해 하나는 출구피팅과 소통하고 다른 하나는 통기공을 통해 주위와 소통하는 2격실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전달장치.The fluid deliver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divided into two compartments, one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fitting and the other communicating with the surroundings through a vent by the flexible bulkhead. 제 1 항에 있어서, 전달기관이 전달구가 지지되는 핸드세트를 갖추고 있으며, 이 핸드세트에는 컨테이너가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전달장치.2. The fluid deliver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delivery engine has a handset on which the delivery port is supported, wherein a container is fixed to the handset. 전달기관에 고정되게끔 되어져서 제 1 항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는 유체의 컨테이너.A container of fluid which is intended to be secured to a delivery organ, providing a device according to claim 1. 전달구 및 전달되어진 액체를 담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액체전달장치에 있어서, 컨테이너는 전달구의 리세스내에 해제가능하게 수용되고, 컨테이너의 내부는 가요성 격벽에 의해, 하나는 액체를 담는 것으로서 리세스안에 위치한 영역에서 컨테이너의 벽에 마련된 출구에 통해 전달구의 공급덕트와 소통되고 다른 하나는 주위에 노출된 영역에서 컨테이너의 벽에 마련된 통기공을 통해 주위와 소통하는, 2격실로 나뉘어져 있는 것을 톡징으로 하는 액체전달장치.A liquid delivery device comprising a delivery port and a container for conveying liquid, wherein the container is releasably received in a recess of the delivery port,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eing provided by a flexible partition, one in the recess as containing liquid. It is divided into two compartments, which communicate with the supply duct of the delivery port through the outlet provided in the wall of the container in the located area and communicate with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air vent provided in the wall of the container in the exposed area. Liquid delivery device. 제 13 항에 있어서, 전달구가 핸드세트 및 이 핸드세트에 지지부재에 의해 접속된 분무헤드를 포함하고, 컨테이너는 핸드세트에 의해 수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전달장치.14. A fluid delivery device as claimed in claim 13, wherein the delivery port comprises a handset and a spray head connected to the handset by a support member, wherein the container is carried by the handset. 제 14 항에 있어서, 공급덕트가 핸드세트로부터 분무헤드에까지 연장하는 튜브를 포함하며, 튜브는 핸드세트내에 단부피팅을 갖추고 있으며, 단부피팅은 컨테이너의 출구에서 접속요소에 의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전달장치.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upply duct comprises a tube extending from the handset to the spray head, the tube having end fittings in the handset, the end fittings being joined by connecting elements at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iquid delivery device. 제 14 항 또는 15항에 있어서, 핸드세트, 및 컨테이너가 핸드세트에 대해 컨테이너를 유지하기 위한 협동장치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전달장치.16. The fluid delivery device of claim 14 or 15, wherein the handset and the container have a cooperating device for holding the container relative to the handset. 제 13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의 벽이 2구성요소를 포함하고, 그 사이에 가요성격벽이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유체전달장치.14. The fluid delivery device of claim 13, wherein the wall of the container comprises two components, between which the flexible bulkhead is fixed. 제 17 항에 있어서, 2구성요소가 그들이 만나는 평면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대칭상태로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전달장치.18. The fluid delivery device of claim 17, wherein the two component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about a plane where they meet.
KR1019880009067A 1987-07-20 1988-07-20 Packaging fluids KR91000434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717048 1987-07-20
GB08717048A GB2207110A (en) 1987-07-20 1987-07-20 Containers for fluids such as herbicide
GB8809307A GB2207032B (en) 1987-07-20 1988-04-20 A container for liquids.
GB8809307.5 1988-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427A KR890001427A (en) 1989-03-27
KR910004342B1 true KR910004342B1 (en) 1991-06-26

Family

ID=1062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067A KR910004342B1 (en) 1987-07-20 1988-07-20 Packaging fluid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10004342B1 (en)
GB (2) GB2207110A (en)
ZA (1) ZA885175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922A1 (en) * 2016-10-27 2018-05-03 김대현 Method for manufacturing 3-dimensional bag by using high frequenc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3634A (en) * 1989-05-26 1991-01-16 Nomix Mfg Co Ltd Container
EP0434259A1 (en) * 1989-12-19 1991-06-26 Nomix-Chipman Limited Electronic control of fluid flow rate
EP0487799A1 (en) * 1990-11-29 1992-06-03 Nomix-Chipman Limited Containers for liquids
EP1384519A3 (en) * 1999-08-05 2004-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device with improved fit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68933B (en) * 1957-09-19 1959-11-12 Massey-Ferguson (Great Britain) Limited, Stretlord, Manchester, Lancashire (Großbritannien); Verir.: Dipl-Ing. F. Thielecke, Pat.-Anw., Braunschweig Device for coupling attachments to the three-point coupling of agricultural tractors
GB897286A (en) * 1957-09-23 1962-05-23 John Robert Hobbs M B 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rtable spraying apparatus
GB1076887A (en) * 1964-10-01 1967-07-26 Harris Brassfounders Ltd R Improvements relating to horticultural compression sprayers
GB1410304A (en) * 1972-11-27 1975-10-15 Cossey R N De Hose-holding means
BE792441A (en) * 1972-12-08 1973-06-08 Rit Rech Ind Therapeut SEMI-RIGID PLASTIC FLASKS.
GB2013463B (en) * 1978-01-31 1982-02-17 Mercer C L T Spraying equipment for horticulture and fruit trees
WO1982003799A1 (en) * 1981-04-28 1982-11-11 Mischa David Lew Spraying
AU554618B2 (en) * 1981-06-19 1986-08-28 American National Can Corp. Hot hilled container and method
GB2130873B (en) * 1982-11-27 1986-05-21 Joseph Limited N C Spouted container
GB2131327B (en) * 1982-11-30 1984-12-19 Gill D C Spraying equipment
US4618099A (en) * 1984-07-13 1986-10-21 Kyushu Hitachi Maxell, Ltd. Electric spray
GB8504930D0 (en) * 1985-02-26 1985-03-27 Corrugated Prod Ltd Packages for carbonated beverages
GB8619333D0 (en) * 1986-08-07 1986-09-17 Gill D C Maintenance of desired pedestrian spe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922A1 (en) * 2016-10-27 2018-05-03 김대현 Method for manufacturing 3-dimensional bag by using high frequ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07032B (en) 1991-05-29
KR890001427A (en) 1989-03-27
ZA885175B (en) 1989-04-26
GB2207110A (en) 1989-01-25
GB8809307D0 (en) 1988-05-25
GB8717048D0 (en) 1987-08-26
GB2207032A (en) 198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3748A (en) Refillable liquid dispenser
US5649643A (en) Flexible container having a retractable dispenser
EP1276678B1 (en) Process for refilling a receptacle with a collapsible inner container
US3843021A (en) Disposable reservoir package for liquid-dispenser having float-operated valve
US5056685A (en) Spraying device
JP2902120B2 (en) Distribution system
US9415994B2 (en) Fuel container and methods
JPH02296696A (en) Feeding system of carbonic beverage in weightless state
US4976465A (en) Equipment for delivering fluid
RU2459566C2 (en) Transition device for attaching container to connecting unit
GB2068910A (en) Dispensing unit for bulk liquid containers
GB2452188A (en) Bag in a box
NO152459B (en) SPRAY EYE DEVICE AND PATTERN FOR SPRAY EYE DEVICE
KR910004342B1 (en) Packaging fluids
JPS6135867A (en) Spray device for plant protective agent
EP0399826B1 (en) Containers for liquid
CA1104531A (en) Dispensing container
JPH07275753A (en) Cartridge type liquid chemical container and its connecting structure and liquid chemical spraying device using the same
JP2532579Y2 (en) Spraying equipment
JPS5816559Y2 (en) mobile oil tank
JPS6234612Y2 (en)
JPS6119518B2 (en)
CA2310399A1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