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138B1 - 배액구용 누액센서의 취부브라켓트 - Google Patents

배액구용 누액센서의 취부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138B1
KR910004138B1 KR1019880005214A KR880005214A KR910004138B1 KR 910004138 B1 KR910004138 B1 KR 910004138B1 KR 1019880005214 A KR1019880005214 A KR 1019880005214A KR 880005214 A KR880005214 A KR 880005214A KR 910004138 B1 KR910004138 B1 KR 910004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racket
liquid
drainag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073A (ko
Inventor
쵸오지 아키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중코오샤
시마무라 요시아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중코오샤, 시마무라 요시아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중코오샤
Publication of KR89000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액구용 누액센서의 취부브라켓트
도면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 1 도는 배액구로의 취부상태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평면도.
제 3 도는 누액센서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취부 브라켓트 1a : 브라켓트 본체
1b : 경사판 1c : 고무바킹
1d : 통상부재 1e : 링부재
1f : 벽부재 1g : 센서취부부
1x : 구멍 1h : L자형 금구
1i : 캡 2 : 누액센서
3 : 볼트 4 : 낫트
10 : 배액금구 11 : 덮개
H : 배액구 F : 상면
P : 배액파이프
본 발명은 배액구의 상부에 누액센서를 취부하는 배액구의 누액센서의 취부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 화력발전소, 화학공장등에 있어서는 배액구에 유출한 물등의 도전성 누설액을 보다 빨리 검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 요구에 따른 방법으로서는 배액구의 주벽에 소형의 누액센서를 취부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그 누액센서를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배액구내에 취부하는 수단이 없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는 누액센서를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배액구에 취부하는 수단이 없어 그 수단의 출현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요망에 부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액구용 누설센서의 취부브라켓트는 배액구의 상부에 누액센서를 취부하는 배액구용 센서의 취부브라켓트에 있어서, 외주부가 전기배액구의 내측에 액체가 세어나오지 않도록 끼워서 부착되고, 중앙부의 구멍으로 향하여 상면이 하방으로 경사진 누두상의 브라켓트 본체와, 전기브라켓트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서, 전기브라켓트 본체의 중앙부 구멍의 주위를 적어도 1개소를 제외하고 포위하는 소정높이의 벽부재와, 전기브라켓트 본체에 설치되어서 전기벽부재에 의하여 포위되지 않은 중앙부 구멍의 주위의 적어도 1개소에 전기누액센서를 취부하는 취부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액구 누설액 센서 취부브라켓트는, 배액구의 내부에 취부된 브라켓트 본체에 의하여 누액을 적어도 1개소에 모집하고 그렇게 모집된 누액을 누액센서에 의하여 검출하게 함으로서 누액의 조기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H는 배액구이며, 상면(床面)(F)에 열려져 있어서 상면(F)상의 누액을 배액파이프(P)를 통하여 배액하도록 되어 있다. 배액구(H)에는 상면(F)상으로부터 낙하한 누액을 소정 직경의 배액파이프(P)내에로 도입하기 위한 배액금구(스텐레스제)(10)가 매입되어 있다. 이 배액금구(10)는 통상부재(10a)와, 내측으로 경사진 누두상 부재(10b)로 구성되고, 통상부재(10a)의 상부에는 덮개(11)가 감합되어 있다.
덮개(11)에는 누액을 유통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배액구용 누액센서의 취부브라켓트는 도면중에 부호 1를 붙여 표시한 바와 같이, 배액구(H) 상측 내부, 즉 배액금구(10)에서의 통상부재(10a)의 상측 주위부에 취부되도록 되어 있다.
취부 브라켓트(1)는, 누두상의 브라켓트 본체(1a)를 본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그 브라켓트 본체(1a)에는, 중앙의 구멍(1x)으로 향하여 상면이 하방으로 경사하는 링상의 경사판(1b)이 있다. 이 경사판(1b)의 외주부에는 통상부재(10a)의 내주부에 액체가 세어나오지 않도록 꼭 끼우는 링상의 고무바킹(1c)이 취부되어 있고, 또한 경사판(1b)의 하면에는 누두상 부재(10b)의 내주부에 꼭 끼우는 통상부재(1d)가 설치되어 있다. 이 통상부재(1d)에 의해, 중앙의 구멍(1x)의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통상부재(1d)의 외주면에는, 누두상 부재(10b)의 상면에 맞대어서 브라켓트 본체(1a)를 지지하는 단면 V자상의 링부재(1e)가 취부되어 있다.
또한, 경사판(1b)의 상면에 있어서, 중앙의 구멍(1x)의 주위에는 소정높이의 벽부재(1f)가 취부되어 있다. 이 벽부재(1f)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평면으로 보아서 대략 C자형상으로 되어 있고, 경사판(1b)의 중앙의 구멍(1x)의 주위를 제 2 도중에서의 우측 부분의 1개소를 제외하고 포위하도록 되어 있다(제 2 도). 그러나, 액체유출부를 형성하는 포위되지 않는 부분은 2개소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벽부재(1f)에 의하여 포위되지 않는 경사판(1b)의 구멍(1x)의 둘레는 구멍(1x)의 중앙으로 향하도록 제 2 도중에서의 좌측으로 약간 연장되어 나오며, 또한 그 연장되어 나온 부분의 양측에 따라서 벽부재(1f)가 연재하여 있다. 또한 그 경사판(1b)의 연장되어 나온 부분은 제 1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이 형성되어 있고, 그 단의 앞부분이 후술하는 누액센서(2)의 취부부(1g)로 되어 있다. 그 취부부(1g)의 상면은 하방으로 경사되어 있고 그 상면에 볼트(3)와 너트(4)에 의해 누액센서가 취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누액센서(2)는 내측으로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도록 취부되는 것으로 된다.
누액센서(2)는, 제 3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지소자(2a)를 그라스 에폭시기판(2b)에 취부하여, 그 감지소자(2a)를 리드선(2c)과 코넥터(2d)를 통하여 외부의 누액감지장치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감지소자(2a)는 그 상면을 따라서 떨어지는 누액의 도전성을 이용하여, 그 누액을 검출하는 것이어서, 브라켓트 본체(1a)에 취부될때에는 제 1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구부러져서 물의 저항성을 좋게 한다. 또한 누액센서(2)의 취부상태에 있어서는 그 누액센서(2)의 상면이 경사판의 경사면보다도 1단계 낮게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경사판(b)의 상면에는 그 둘레방향에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하도록 4개의 L자형 금구(1h)가 취부되어 있고, 이들 금구(1h)에 의하여 캡(1i)이 지지되어 있다. 캡(1i)은, 마치 접시를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취부상태에 있어서는 외주연부가 경사판(1b)의 상면에서 약간 윗쪽으로 떨어지고 또한 하면이 벽부재(1f)의 상면에서 약간 윗쪽으로 떨어져 있다.
누액센서(2)가 취부된 취부브라켓트(1)는 제 1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취부되어 있다. 즉, 상측의 고무바킹(1c)를 통상부재(10a)의 내주부에 액체가 세어나오지 않도록 감합시키며, 또한 하측의 통상부재(1d)를 누두상 부재(10b)의 내주부에 감합시키도록 하여 취부브라켓트(1)를 윗쪽으로부터 배액구(H)의 내부로 밀어넣는다. 그리고 링부재(1d)가 누두상 부재(10b)의 상면에 당접하는 시점에서 밀어넣는 것을 중지한다.
그리하여 상면(F)상에 유출한 도전성 누액은 덮개(11)의 구멍을 통하여 배액구(H)내로 낙하하여 일단 경사판(1b)의 상면에서 수용된다. 경사판(1b)상에서 수용된 누액은, 그 경사판(10b)의 경사면에 따라서 흘러 떨어지기 때문에 벽부재(1f)에 의하여 막혀지고 유일하게 벽부재(1f)에 의하여 둘러싸지지 않는 1개소를 통하여 배액파이프(P)내에 들어가서 배액된다. 따라서 전부의 누액이 1개소에 모아져서 누액센서(2)의 감지소자(2a)의 위를 흐르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누액센서(2)는 누액이 시작한 초기의 시점에 있어서 확실하게 누액을 검출한다.
또한 캡(1i)은 누액이 직접 배액파이프(P)내로 들어가는 일이 없게하여 전부의 누액을 경사판(1b)의 위로 도입한다. 또한 누액이 대량의 경우 누액은 벽부재(1f)를 타고 넘어서 벽부재(1f)와 캡(1i)의 사이를 통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구(H)로부터 흘러넘치는 염려는 없다.
또한, 취부브라켓트(1)를 빼어내는 경우는 간단히 취부브라켓트(1) 자체를 윗쪽으로 끌어올리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액구용 누설액 센서의 취부브라켓트는 배액구의 내부에 브라켓트 본체를 취부하고, 그 브라켓트 본체에 취부된 벽부재에 의하여 누액을 적어도 1개소에 수집하며, 그리고 그적어도 1개소로부터 배출하는 누액을 누액센서로 검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누액시작된 초기의 시점에 있어서도 누액을 수집하여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링 본체에 집액구와 누액센서의 취부부를 형성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적고, 간단한 가공에 의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Claims (1)

  1. 배액구의 상부에 누액센서를 취부하는 배액구용 누액센서의 취부브라켓트에 있어서, 외주부가 전기배액구의 내측에 액체가 세어나오지 않도록 끼워서 부착되고, 중앙부의 구멍으로 향하여 상면이 하방으로 경사하는 누두상의 브라켓트 본체와, 전기브라켓트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고, 전기브라켓트 본체의 중앙부의 구멍주위를 적어도 1개소를 제외하여 포위하는 소정높이의 벽부재와, 전기브라켓트 본체에 설치되고, 전기 벽부재에 의해 포위되지 않는 중앙부의 구멍주위의 적어도 1개소에 전기누액센서를 취부하는 센서-취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구용 누액센서의 취부브라켓트.
KR1019880005214A 1987-10-16 1988-05-04 배액구용 누액센서의 취부브라켓트 KR910004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157546U JPH0432590Y2 (ko) 1987-10-16 1987-10-16
JP??62-157546 1987-10-16
JP87-157546 1987-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073A KR890007073A (ko) 1989-06-17
KR910004138B1 true KR910004138B1 (ko) 1991-06-22

Family

ID=15652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214A KR910004138B1 (ko) 1987-10-16 1988-05-04 배액구용 누액센서의 취부브라켓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60983A (ko)
EP (1) EP0313262A1 (ko)
JP (1) JPH0432590Y2 (ko)
KR (1) KR910004138B1 (ko)
AU (1) AU604441B2 (ko)
CA (1) CA1276704C (ko)
GB (1) GB22113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589Y2 (ko) * 1987-10-16 1992-08-05
US5155867A (en) * 1991-05-23 1992-10-20 W. L. Gore & Associates, Inc. Protective undergarment
US6773678B2 (en) 2000-03-20 2004-08-10 Endress + Hauser Conducta Gesellschaft Fur Mess Und Regeltechnik Mbh + Co. Mounting system and retractable sensor holder for analytical senso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794A (en) * 1898-04-05 Catch-basin for sewers
US2924352A (en) * 1955-05-12 1960-02-09 Phillips Petroleum Co Means for detecting storage tank leaks
US3564527A (en) * 1966-10-11 1971-02-16 Sun Oil Co Alarm scheme for waste fluid drain
US4650365A (en) * 1985-05-28 1987-03-17 Frw Industries, Inc. Watertight manhole insert
US4682492A (en) * 1985-07-08 1987-07-28 Green Marion C Means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s in tanks
JPH0432589Y2 (ko) * 1987-10-16 1992-08-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282688A (en) 1989-04-20
GB2211307A (en) 1989-06-28
JPH0164039U (ko) 1989-04-25
CA1276704C (en) 1990-11-20
KR890007073A (ko) 1989-06-17
JPH0432590Y2 (ko) 1992-08-05
EP0313262A1 (en) 1989-04-26
AU604441B2 (en) 1990-12-13
GB8823937D0 (en) 1988-11-16
US4860983A (en) 198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94033A1 (en) Liquid leak detector
JP2009133861A (ja) 液漏れを検出するセンサ
CA2050549A1 (en) Electric water heater with integral drainage catch pan structure
KR910004138B1 (ko) 배액구용 누액센서의 취부브라켓트
EP3710759B1 (en) Integrated leak detection system for water heaters
CN115003968A (zh) 具有集成泄漏检测系统的热水器
KR910004137B1 (ko) 배액구용 누액센서의 취부링
US6791534B2 (en) Trackball units
KR101932518B1 (ko) 리크감지센서용 케이스
CN219434096U (zh) 探测器防水安装结构及电站
JPS61172026A (ja) 漏洩水検知装置
CN207923382U (zh) 一种净水机漏水保护装置
CN219608341U (zh) 一种漏水检测结构、下水座、电机安装机构及清洗机
JP2004011966A (ja) 温水器の漏水検知装置
CN114246532B (zh) 洗碗机
JP3096750U (ja) 流体漏洩感知装置
CN214372819U (zh) 一种液位传感器
KR200299460Y1 (ko) 식기세척기의과급수안전장치
JPH0641138Y2 (ja) 配管の流水検出装置
RU2770070C1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утечек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жидкостей
JPH031840Y2 (ko)
JPS58154636A (ja) 漏洩検出装置
JPH0230748Y2 (ko)
GB2373057A (en) Liquid leak detector and system
KR0128762Y1 (ko) 전기압력솥의 뚜껑개폐감지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