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306B1 - 관상용 영지버섯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관상용 영지버섯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306B1
KR910003306B1 KR1019880009875A KR880009875A KR910003306B1 KR 910003306 B1 KR910003306 B1 KR 910003306B1 KR 1019880009875 A KR1019880009875 A KR 1019880009875A KR 880009875 A KR880009875 A KR 880009875A KR 910003306 B1 KR910003306 B1 KR 91000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ganoderma lucidum
temperature
mushroom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688A (ko
Inventor
한범윤
Original Assignee
한범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범윤 filed Critical 한범윤
Priority to KR1019880009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306B1/ko
Publication of KR90000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상용 영지버섯의 재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중앙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전기적 회로도.
제3a도는 일반적인 재배방법에 의한 영지버섯 자실체의 모형도.
제3b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재배된 영지버섯 자실체의 일예의 모형도.
제4도는 제1도의 장치의 참고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의한 자실체의 온도에 따른 성장도표.
본 발명은 관상용 영지버섯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지버섯의 형태가 부채모양으로 다단계 반복성장되거나, 나뭇가지 모양으로 반복성장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재배되는 관산용 영지버섯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지버섯은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는데 그 생육환경조건이 매우 까다로워 인공재배는 주로 재배 전문가들에 의해 비닐하우스에서만 이루어 졌으므로 일반인들의 관상용 재배는 거의 불가능 하였다.
또한, 영지버섯은 대량생산의 목적 및 그 생육조건으로 인하여 비닐하우스 내에서만 재배가 되고 있으나, 이 경우 생육온도와 습도만을 유지시켜 하나의 부채모양의 형태가 이루어진 일단계 생육된 영지버섯만을 재배하게 되는 것이어서 더 이상의 발전된 형태, 예를 들면 부채모양위에 또 다른 부채모양이 있고, 다시 그 위에 부채모양이 계속 반복되는 다단계로 생육된 버섯의 형태는 여러가지 온, 습도 등의 조건이 맞지 않는 등의 원인으로 기대하기가 어려웠다.
그것은 비닐하우스에 의한 재배방법의 경우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의 생육조건을 갖추기가 불가능할 뿐아니라, 관상용으로 재배되기 위한 시도도 거의 없었기 때문이며, 상술한 바와 같은 다단 부채모양 혹은 나뭇가지 모양이 반복된 형태등의 독특한 장식미와, 부채모양이 다단계로 발전되어 생육되면서 나타나는 양면 홍조의 미감을 기대하면서 비닐하우스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보다 광범위한 온, 습도 조절장치가 동원될 뿐만아니라 비닐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순식간에 환기시킬 수 있는 보다 복잡하고도 실시가 거의 불가능한 장치를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다양한 버섯형태를 재배함은 물론, 가정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하기 위해서는 보다 간단하고도 손쉬운 방법이 필요로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영지버섯 특유의 형상, 모양, 색조로 인한 뛰어난 장식미를 실내에서 관상할 수 있도록 관상용 재배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소정의 인위적인 생육조건의 변화(조절)로서, 다단부채모양 또는 나뭇가지 모양이 반복된 형태의 자실체를 얻고자하는 관상용 영지버섯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육에 적합한 환경조건의 지속적 제공으로 작은 점유면적에서도 다량의 수확이 가능한 개량형의 영지버섯을 재배하고자 하는 관상용 영지버섯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방법은 내부에 온, 습도 상태를 나타내는 계기 및 환기 조절구가 각각 설치되어 밀폐된 테라리움관과 전열선을 내장한 화분을 결합하여 내부의 온,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밀폐된 환기를 적절히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부채모양의 자실체가 다단으로 반복성장된 영지버섯 또는 나뭇가지 모양이 다단으로 반복성장된 녹각형태의 영지버섯을 임의로 조절 생육시켜 줌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종단면도이며,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전기적인 회로도이고, 제3a도는 일반적인 재배방법으로 생육된 영지버섯 자실체의 모형도이며, 제3b도는 본 발명의 재배방법으로 생육된 영지버섯 자실체의 일예의 모형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참고사시도이며, 제5도는 본 발며의 방법에 의한 자실체의 온도에 따른 성장도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는 화분(4)과 밀폐된 테라리움관(3)이 결합형성되는데, 화분(4)은 바닥면에 전열선(8)을 등간격으로 고르게 깔고 전열선의 두단자는 자동온도 조절기(6)에 접속연결하며 입력측은 전원에 연결되게 화분(4)의 외측벽에 부착구성되고, 화분(4)의 상부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가면서 좁아지는 테라리움관(3)을 결합하되, 그 내부의 일측면에는 온, 습도계(7)를 부착하여 언제든지 기온 변화를 관측할 수 있게하며, 테라리움관(3)의 외벽의 일측에는 환기조절구(5)를 설치하고 뚜껑(2)으로 테라리움관(3)의 상부를 덮어 본체(1)를 밀폐되게 구성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9는 원목이고, 10은 이끼이고, 10'는 모래 또는 카시밀론이고, 12는 자실체이고, 12a'는 버섯갓이고, 12b는 버섯대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는 종균이 식균되었거나 이미 발아된 원목(9)을 화분(4)의 바닥에 올려 놓고 그 주변에 흡수제(주로 모래, 섬유질)(10')를 화분 높이의 절반정도로 채워 이끼(10)를 덮은 후 물을 충분히 주고 전원선(11)을 전원에 접속시킨다. 이후에는 다음 실시예에서 실시하는 바와 같이 최적 온, 습도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체(1) 내부를 밀폐와 환기의 반복 또는 밀폐의 방법으로 소정의 기간동안 생육과정을 지켜보면서 인위적으로 재배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본체(1)내의 온도를 18-32℃의 일반생육 온도로 유지하면서(영지버섯의 최적 온도조건은 28-32℃임), 습도는 일단계 부채모양의 자실체가 형성되기 전까지 80% 이하로 되게 유지시키되, 환기조절구(5)를 반정도 열린상태(환기율 60%)로 유지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습도가 80% 이상 일때에는 버섯갓은 생육되나 버섯대는 생육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후 약 15일후 부채모양이 완성되면 환기조절구(5)를 닫아 본체(1)를 밀폐시켜 약 10일간 유지하여(유지시간은 온도가 높을수록 짧아질 수 있다) 가지형태를 형성시키고, 다시 환기율 60%로 약 15일간 유지하여 2단계 부채모양의 자실체를 생육시키는 방법을 반복하여 일정기간후에 부채모양이 복수단계로 된 자실체의 영지버섯을 얻게 된다. 이 때에 일반생육 온도인 18-32℃로 온도 조건을 맞추면 생육이 늦으며, 교호반복 성장일수록 40일에서 ±5이면 변화되는 작용을 가지며, 육안으로도 반복성장함이 확인된다. 한편, 자실체 성장은 제5도의 도표와 같이 온도에 비례되는 관계를 갖는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일반 온도와 습도상태를 유지하면서 최초로부터 환기조절구(5)를 닫아 그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면 유지되는 기간동안 부채 형태가 아닌 나뭇가지 형태의 영지버섯을 생육시키게 된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최적 온, 습도 상태에서 계속 환기조절구(5)를 열어 환기율 60%를 유지하게 될 경우, 영지버섯이 최대크기로 생육됨과 아울러 그 두께도 증가한 일단계 생육의 영지버섯을 얻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와 생육과정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지버섯 생육의 최적 온, 습도 상태하에서 그 내불ㄹ 밀폐시킬 경우에는 가지(버섯대)만 반복되게 생육시키고, 환기를 해주었을 경우에는 부채(버섯갓) 모양으로 생육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버섯대와 버섯갓의 생육이 밀폐와 환기의 조건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이어서 가정에서의 재배는 물론, 생육과정에 따라 버섯의 모양을 인위적으로 조절재배할 수 있게 되는 관상용으로서의 최적의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되는 영지버섯의 경우, 일단계 생육 이후에는 공통적으로 2단계로의 발전된 생육(부채모양 버섯위에 또 다른 부채모양 버섯이 생육된 상태)이 불가능하던 문제점(환기율 조절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다단계로 생육된 영지버섯의 재배가 가능케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다단계 생육의 가능성으로 말미암아 그 동안 비닐하우스에만 의존하면 재배방법을 소형화함과 아울러 하나의 자실체에서 다수의 자실체를 얻을 수 있게 되는 다량재배방법상의 새로운 방법도 제안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형태를 가진 모양의 버섯이 반복 성장되거나 부채 모양과 가지 모양이 인위적으로 반복성장되는 등의 효과를 갖는 관상용 영지버섯의 재배방법이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1)내의 온도를 일반 생육온도(18-32℃)로 유지하면서 습도율 80% 이하, 환기율 60%의 환기상태와, 습도율 80-90%, 환기율 0의 밀폐상태를 교호로 반복시킴에 따라, 환기상태에서는 다단계 부채형태의(버섯갓) 자실체를 얻게 되고, 밀폐상태에서는 나뭇가지 형태(버섯대)로 연속된 버섯의 형태를 얻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영지버섯의 재배방법.
KR1019880009875A 1988-08-03 1988-08-03 관상용 영지버섯의 재배방법 KR910003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9875A KR910003306B1 (ko) 1988-08-03 1988-08-03 관상용 영지버섯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9875A KR910003306B1 (ko) 1988-08-03 1988-08-03 관상용 영지버섯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688A KR900002688A (ko) 1990-03-23
KR910003306B1 true KR910003306B1 (ko) 1991-05-27

Family

ID=19276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875A KR910003306B1 (ko) 1988-08-03 1988-08-03 관상용 영지버섯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4597A2 (en) * 2008-07-29 2010-02-04 Conley Rose, P. C. Plant acclimatizing enclos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620A (ko) 2019-02-21 2020-09-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4597A2 (en) * 2008-07-29 2010-02-04 Conley Rose, P. C. Plant acclimatizing enclosure
WO2010014597A3 (en) * 2008-07-29 2010-05-06 Conley Rose, P. C. Plant acclimatizing en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688A (ko) 199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75384A (zh) 一种小型西瓜优良品种的高效栽培方法
ATE33329T1 (de) Verfahren zum heranziehen von pflanzen mit zwergwachstum, sowie pflanztopf hierfuer.
CN102027864A (zh) 一种用于蔬菜树式栽培的日光温室结构及栽培方法
GB1110693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cultivating useful and nursery plants
KR910003306B1 (ko) 관상용 영지버섯의 재배방법
US5048227A (en) Method of cultivating agaricus blazei mushroom
EP0846413A3 (de) Pflanzvorrichtung
JPH0548090B2 (ko)
JPS63276424A (ja) 植物生育方法及び装置
CN204762395U (zh) 一种用于草莓培育的保温保湿育苗花盆
KR100326149B1 (ko) 버섯재배방법
EP0572671B1 (en) Process for producing artificial bed log for shiitake
KR0120126Y1 (ko) 회전가능한 화분
CN214430428U (zh) 一种保湿透气花盆
CN108782010A (zh) 一种蔬菜大棚种植羊肚菌的方法
CN213404285U (zh) 一种薄壳山核桃育苗装置
AU2021104466A4 (en) Indoor vertical greening system with tuberous begonia and indoor vertical greening method
KR200270012Y1 (ko) 상황버섯 재배 장치
KR19990045855A (ko) 숯을이용한난초용화분
JPH0543653Y2 (ko)
KR200214100Y1 (ko) 버섯재배겸용 분재
KR0120125Y1 (ko) 관상용 다단화분
JPH0420199Y2 (ko)
KR19980017484U (ko) 관상식물의 수경재배용 화분
CN116267563A (zh) 水培植物的水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