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304Y1 - 비누 용기 - Google Patents

비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304Y1
KR910002304Y1 KR2019900016973U KR900016973U KR910002304Y1 KR 910002304 Y1 KR910002304 Y1 KR 910002304Y1 KR 2019900016973 U KR2019900016973 U KR 2019900016973U KR 900016973 U KR900016973 U KR 900016973U KR 910002304 Y1 KR910002304 Y1 KR 910002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cap
cutting
cutting edge
fix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6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한
Original Assignee
김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870005894A external-priority patent/KR890000070A/ko
Application filed by 김지한 filed Critical 김지한
Priority to KR2019900016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3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3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2Soap boxes or receptables
    • A47K5/03Soap boxes or receptables separate from wall or wash-st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8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pring-like mechanism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누 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절삭챕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절삭캡의 절삭날이 양날형 절삭캡의 사시도, (b)는 절삭캡의 절삭날을 조절할 수 있는 절삭캡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통 2 : 밑받침
3 : 가압캡 4 : 고체비누
5 : 절삭캡 6 : 뚜껑
7 : 스프링 8 : 고정봉
9 : 안치공 10 : 환형측벽
11,13 : 돌재 12 : 괘지돌편
14,19,21,22 : 요홈 15,20 : 고정봉공
16 : 괘지요환홈 17 : 비누출구
18,18′,18″: 절삭날 23 : 중공봉
24 : 돌편
본 고안은 고체화된 비누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 낚시 촐장등의 원거리 여행시에는 비누등의 세면용구를 휴대하여야 하는데 사용하던 비누는 수분이 잘 제거되지 않아서 비누가 부풀어올라 재보관이 곤란하여 휴대가 불편함은 물론 허실이 많았다.
특히, 복잡한 도시생활의 경우 수시로 손을 씻어 청결을 유지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비누를 개개인이 별도로 휴대하고 다닐수가 없어 물로만 씻고 말기 때문에 이물질등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청결유지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누감은 공개실용공고 85-1175호는 몸통내부앞, 뒤 측면에 ㄷㄹ축이 돌설되고 좌우측면에 축홈이 요설되고 축홈끝에 배수공이 요설된 이탈저지턱을 돌설한 몸통속에 앞뒤측면에 요홈이 요설되고 좌우 측면에 돌출편이 돌설된 압송판을 코일스프링과 재치하여 비누를 밀어올리도록 하며 몸통외부 앞뒤측면 위쪽에 안내턱을 돌설하고 그 아래에 아탈지지턱을 돌설하여 여기에 뚜껑윗면 중앙홈의 경사면에 고정핀을 돌설하여 칼날과 칼날덮개를 고정시켜 대패부를 형성하고 내부앞뒤측면에 안내요홈을 요설하고 그 아래에 요홈으로 이탈저지턱을 돌출시키고 외부에 요홈을 격자로 요설한 뚜껑을 조립하여 평행이동할때 비누가 깍아지도록 하였으며 길이턱과 길이홈을 이용하여 걸어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된것인바, 일방향으로 평행이동 할때에만 비누가 깍여지므로 조잡하고 번거로워 불편하며 휴대할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원주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몸통외주면의 돌재와 고체비누 외주면의 요홈은 물론 가압캡구면의 삽자형으로 형성된 돌재와 고체비누의 구면 요홈에 십자형으로 형성된 요홈에 의해서 고체비누는 회전되지 않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승되어 항시 절삭날에 밀착되는 구성으로 된 것이어서 절삭날의 전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일정한 두께로 깍이면서 필요한 만큼 깍아서 사용하며 수분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고 깍아서 사용하는 것인바, 수분에 의해 불필요하게 부풀어서 허비되는 일이 없으므로 경제적인 것일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고 비누용기는 비누마늘 교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비누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몸통을 측벽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서 국제화시대에 발맞추어 각종 공공시설 및 숙박, 요식업소등에 상설비치할 수도 있으며 저렴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비누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속이 빈 고정봉(8)과 스프링(7)의 안치공(9)을 갖는 환형측벽(10)이 각각 일체로된 밑받침(2)에 몸통(1)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나사결합한다.
상기 몸통(1)의 내측면에는 원주길이 방향으로 내향되게 돌설된 다수의 돌재(11)가 형성되고 몸통(1)의 상단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괘지돌편(12)을 형성한다.
상기 밑밭침(2)의 환형측벽(10)내에 형성된 스프링(7)의 안치공(9)에는 밑받침(2)의 고정봉(8)이 끼워지도록 스프링(7)을 안치한후 가압캡(3)을 삽입설치한다.
상기 가압캡(3)은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반구형으로 형성하되 반구형의 표면에는 돌재(13)를 십자모양으로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원주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요홈(14)을 몸통(1)의 돌재(11)와 일치하도록 형성한다.
다음 밑받침(2)의 고정봉(8)에는 삽입설치하고 몸통(1) 상단의 괘지돌편(12)에 절삭캡(5)의 괘지요한홈(16)이 괘지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고체비누(4)의 외주면에는 원주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요홈(19)을 중심부에는 고정봉공(20)을, 상단에는 원추형을, 저면에는 반구형요홈(21)에 십자모양으로 된 요홈(22)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 몸통(1) 상단의 괘지돌편(12)에는 반구형의 절삭캡(5) 하단 내주면에 괘지요환홈(16)이 괘지되어 회전가능토록 설치하여 절삭캡(5)의 반구면에는 반구면의 중앙에서 외주면측으로 경사진 부채꼴의 비누출구(17)를 형성하여 일측이 절삭날(18)을 갖도록하고 반구형절삭캡(5)의 중앙내면에는 밑받침(2)의 고정봉(8)과 외경이 일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중공봉(23)을 일치로 형성한다.
이때 고체비누(4)의 원추형 상단측면이 밑받침(2)의 스프링 안치공(9)에 탄설된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절삭캡(5)의 절삭날(18)이 항상 밀착된다.
상기 절삭캡(5)위에 반구형의 뚜껑(6)이 씌어지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할시에는 반구형의 뚜껑(6)을 열고 절삭캡(5)을 절삭날(18) 진행방향으로 돌리면 밑받칩(2) 환형측벽(10)의 안치공(9)에 고정봉(8)이 끼워지도록 탄설되어 안치된 스프링(7)이 탄성력에 의해 반구형 가압캡(3)의 구면저면을 밀므로서 절삭캡(5)의 절삭날(18)에 항시 가압밀착되므로 고체비누(4)가 절삭날(18)에 의해 일정두께로 깍이게 된다.
이때 깍인 고체비누(4)는 절삭날(18)의 경사면을 따라 반구면의 중앙부에서 외주면측으로 경사진 부채꼴의 비누출구(17)로 밀려 나온다.
이때 깍이는 고체비누(4)의 두께는 수분함량이 많을 경우에는 0.4-6㎜ 정도로 두껍게 깍이면 고체비누(4)가 건조되어 수분함량이 적을 경우에는 얇게 0.1㎜정도로 깍이나 좋기로는 0.2-0.3㎜정도로 깍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체비누(4)의 외주면에 원주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요홈(19)과 가압캡(3)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요홈(14)이 몸통(1)내주면의 원주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재(11)에 끼워져서 상승되는 것이바, 몸통(1)상단 외주면의 괘지돌편(12)에 절삭캡(5)의 교지요환홈(16)이 절삭캡(5)을 회전시키더라도 고체비누(4)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깍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압캡(3) 구형표면에 돌설된 십자모양의 돌재(13)가 고체비누(4) 저면구면요홈(21)의 십자모양으로 된 요홈(22)에 끼워지므로 더욱 확고하게 고체비누(4)가 회전되지 않고 몸통(1)내에서 승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삭캡(5)을 절삭날(18)으 진행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체비누(4)가 다 깍여서 소비될때까지 연속적으로 깍아사용할 수 있으며 고체비누(4)를 다시 끼워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저렴함은 물론 휴대가 간편한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는 절삭캡(5´)의 절삭날(18´)을 부채꼴의 비누출구(17)의 양측으로 형성한 것이며, (나)는 절삭캡(5˝)의 절삭날(18˝)을 부채꼴 비누출구(17)일측의 돌편(24)에 형성된 경사공(26)의 걸림단턱(25)에 의해서 단계적으로 돌출되고 괘지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절삭캡(5)의 절삭날(18)을 양측으로 삽입형성한 제3a도의 것은 좌우측 중 어느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체비누(4)가 연속적으로 깍이며, 제3b도의 것은 절삭날(18")을 조절할수 있어 고체비누(4)가 깍이는 두께로 조절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절삭갭(5)의절삭날(18)을 톱니모양으로 형성하여 단단한 비누는 가루와 같은 분말로 갈리고 어느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는 비누는 종이처럼 얇게 연속적으로 깍이는 것이며 몸통을 측벽 도는 세면대에 부착할 수도 있도록 하여 국제화시대에 발맞추어 각종 공공시설 및 숙박, 요식업등에 상설 비치할 수도 있고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예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데 비누류 이외에도 화장품류, 식품류 등의 분말 내지는 갈아서 쓰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본 고안의 범위와 사상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적용이 가능하며 또한 별도의 절삭날을 설치하지 않고도 용기 성형시 요부를 날카로운 날형태로 성형시켜 용기자체의 날에 의하여 고체비누를 일정한 두께로 깍을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속이 빈 고정봉(8)과 안치공(9)을 갖는 환형측벽(10)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 밑받침(2)의 내주면에는 원주 길이방향으로 내향되게 돌설된 다수의 돌재(11)가 형성되고 상단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괘지돌편(12)이 형성된 몸통(1)을 나사결합하며 밑받침(2)의 고정봉(8)에 끼워 스프링(7)이 안치공(9)에 안치되도록한 다음 반구형의 표면에는 돌재(13)가 십자모양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요홈(14)을 갖는 가압캡(3)의 고정봉공(15)을 밑받침(2)의 고정봉(8)에 끼도록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절삭캡(5)의 반구면에는 반구면의 중앙에서 외주면측으로 경사진 부채꼴의 비누출구(17)를 형성하여 일측에 절삭날(18)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절삭캡(5)의 절삭날을 톱니모양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용기.
KR2019900016973U 1987-06-10 1990-11-06 비누 용기 KR910002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973U KR910002304Y1 (ko) 1987-06-10 1990-11-06 비누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70005894A KR890000070A (ko) 1987-06-10 1987-06-10 비누용기와 그 제조방법
KR2019900016973U KR910002304Y1 (ko) 1987-06-10 1990-11-06 비누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70005894A Division KR890000070A (ko) 1987-06-10 1987-06-10 비누용기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304Y1 true KR910002304Y1 (ko) 1991-04-11

Family

ID=2662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6973U KR910002304Y1 (ko) 1987-06-10 1990-11-06 비누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30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838B1 (ko) * 2012-11-09 2014-06-23 최미선 고형세제 그라인더
CN105581705A (zh) * 2016-03-11 2016-05-18 浙江斯根凯尔生物科技有限公司 定量皂盒
CN105686723A (zh) * 2016-03-11 2016-06-22 浙江斯根凯尔生物科技有限公司 定量皂盒的定量调节裁切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838B1 (ko) * 2012-11-09 2014-06-23 최미선 고형세제 그라인더
CN105581705A (zh) * 2016-03-11 2016-05-18 浙江斯根凯尔生物科技有限公司 定量皂盒
CN105686723A (zh) * 2016-03-11 2016-06-22 浙江斯根凯尔生物科技有限公司 定量皂盒的定量调节裁切装置
CN105581705B (zh) * 2016-03-11 2018-10-12 浙江斯根凯尔生物科技有限公司 定量皂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360338S (en) Two-piece water bottle
USD400397S (en) Container with strainer lid
USD366372S (en) Ground inserted beach table
USD310620S (en) Knife sharpener
US4792994A (en) Radio equipped thermos
KR910002304Y1 (ko) 비누 용기
USD299973S (en) Combined fountain brush applicator bottle and cap therefor
US4144967A (en) Shaving kit
US3429643A (en) Replaceable lipstick container
USD303303S (en) Lipstick
USD466940S1 (en) Pencil sharpener
KR200479358Y1 (ko) 젤타입 스틱형 화장품 용기
US2958329A (en) Shaving kit
USD303860S (en) Razor blade scraper holder or similar article
US6629870B2 (en) Bubble blower
CN217040759U (zh) 一种多功能便携式药品存储装置
US2248689A (en) Compact
JPS5830502Y2 (ja) 口紅容器
USD352880S (en) Ice skate blade sharpener
JPH0448746Y2 (ko)
KR20040025254A (ko) 내부구조를 개선시킨 휴대용 화장분 케이스
USD255079S (en) Combined decal and glass receptacle
JPH0440565Y2 (ko)
KR880003938Y1 (ko) 필통
KR940003320Y1 (ko) 고형분용기를 교체 사용케한 콤팩트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