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815Y1 - 고장구간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고장구간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815Y1
KR910001815Y1 KR2019910001092U KR910001092U KR910001815Y1 KR 910001815 Y1 KR910001815 Y1 KR 910001815Y1 KR 2019910001092 U KR2019910001092 U KR 2019910001092U KR 910001092 U KR910001092 U KR 910001092U KR 910001815 Y1 KR910001815 Y1 KR 910001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lt
power supply
failure
relay
sec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1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나카하타
노부유키 오리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덴기 가부사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5362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85519A/ja
Priority claimed from KR870011238A external-priority patent/KR880006815A/ko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덴기 가부사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덴기 가부사키가이샤
Priority to KR2019910001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8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8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6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s, i.e. with interconnect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28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for meshed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장구간 검출장치
제1도는 본원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링메인배전망의 구성도,
제2도는 본원 고안의 제1실시에에 의한 고장표시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제3도는 본원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장구간 검출장치의 회로도,
제4도는 본원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리드스위치의 설명도,
제5도는 본원 고안의 설명을 위한 고장전류의 개요도,
제6도는 종래의 배전망의 회로구성도,
제7도는 종래의 고장표시 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락검출코일 2X, 2Y : 변류기
3 : 지락검출코일 4 : 영상변류기
5, 7 : 리드스위치 17 : 복귀릴레이
28, 29 : 고장표시기 42, 49 : 콘덴서
43, 50, 84 : 제너다이오드 44, 51, 85 : 트랜지스터
45, 52 : 보조릴레이 53, 60 : 래치릴레이
79 : 저항 80, 83 : 콘덴서
90, 91, 92, 93 : 보조접점 103 : 링메인배전망의 모션
106 : 영상변류기 110 : 고장표시기
111 : 변류기 118, 119 : 링스위치
120 : 분기스위치 P, N : 제어전원
본원 고안은 링형상으로 접속해서 전력을 공급하는 링메인배전망의 고장구간선택 및 전기계통의 지락단락(地絡短絡)등의 사고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고장구간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장치로서는 전력보호계전기 내부에 방향검출기능을 부가한 지락방향계전기, 영상전압검출기, 영상변류기 등을 조합해서 고장구간이 영상변류기의 상위측인지 하위측인지를 판별하여 해당 차단기를 동작시키는 것이었다.
즉, 제6도에 있어서, (101)은 수전측의 고압트랜스, (102)는 수전보호의 차단기, (103)은 피더측 모선, (104a) ∼(104g) 는 피더측 보호차단기, (105a) ∼ (105g) 는 부하측 트랜스, (106a) ∼(106g) 는 지락전류를 검출하는 영상변류기, (107a) ∼(107g) 는 지락방향계전기, (108) 은 영상전압검출기이며, 영상변류기(106a) ∼(106g)와 지락방향계전기(107a) ∼(107g)는 각각 대응해서 1대 1로 접속되며, 영상전암검출기(108)는 모든 지락방향계전기(107a)∼(108g)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기기가 접속된 계통에서 지락사고가 발생하면 영상변류기(106a)∼(106g)에서 지락전류가 검출되며, 영상전압검출기(108)로 지락에 의한 전압의 위상어긋남이 검출된다.
이 지락전류와 전압위상의 어긋남에 의해서 지락발생부위가 해당 영상변류기(106a)∼(106g)에서 전원측인가 부하측인가를 판정하고, 부하측의 경우 해당 차단기(104a)∼(104g)를 동작시켜서 부하측 회로를 차단한다. 전원측, 예를 들면 모선(103)의 경우는 지락방향계전기(109)에 의해 상위차단기(102)를 동작시켜서 회로를차단한다,
그리고, 제7도는 종래의 장치의 회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1)은 두개의 코일(1X)와 (1Y)로 구성되고, 각각변류기(2X), (2Y)에 접속된 단락검출코일이다, (3)은 영상변류기(4)에 접속된 지락검출코일이다.
(5)는 단락검출코일(1)의 여자에 의해서 동작하는 상개(常開)접점이며, 보조릴레이(6)와 직렬로 접속되어있다. (7)은 지락검출코일(3)의 여자에 의해서 동작하는 상개접점이며, 보조릴레이(8)와 직렬로 접속되고, 제어전원(P), (N)에 접속되어 있다. (9)는 보조릴레이(6)의 상개접점이며, 보조릴레이(8)의 상개접접(10)과 병렬로 접속되고, 콘덴서(11)를 통해서 래치릴레이(12)와 질렬로 접속되어, 제어전원(P), (N)에 접속되어있다. (13)은 방전저항이며, 콘덴서(11)와 래치 릴레이(12)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14)는 서지방지다이오드이며, 래치릴레이(12)에 병열로 접속되어 있다.
(15)는 보조릴레이 (6)의 상폐(常閉)접점이고, (16)은 보조릴레이 (8)의 상폐 접점이고, 각접점 (15), (16) 은 직렬로 접속되며, 또한 복귀릴레이(17)의 상개접점(18)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접점(15), (16), (18)은 콘덴서(19)와 래치릴레이(12)의 복귀코일(20)에 직렬로 접속되어 제어전원(P), (N)에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19)와 복귀코일, (20)에는 래치릴레이(12)와 같이 방전저항(21) 이 병렬로 접속되고, 래치릴레이(12)의 복귀코일(20)에는 서지방지 다이오드(22)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23)은 제한저항이며, 일단은 제어전원(P)에 접속되고, 타단은 다이오드(24), (25)를 통해서콘덴서(26), (27)에 각각 충전하고 있다.
(28), (29) 는 전자유지형 플랙표시기 이며, 각각 내부에 동작코일(28S), (29S) 과 복귀코일(28R), (29R)을 구비하고 있다. 단락표시기(28)는 콘덴서(26)에 병렬로 접속되고, 동작코일(28S)의 타단은 다이오드(30)를통해서 보조릴레이 (6) 의 상개접점 (31) 과 접속되고, 래치릴레이 (12) 의 상페접점(34) 을 통해서 제어 전원(N)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지락표시기(29)도 콘덴서(27)에 병렬로 접속되고, 동작코일(29S)의 타단온 다이오드(32)를 통해서 보조릴레이(8)의 상개접점(33)과 접속되어 래치릴레이(12)의 상폐접점(3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락표시기(28)의 복귀코일(28R)과 지락표시기(29)의 복귀코일 (29R) 은 각각 다이오드(35), (36)를 통해서 복귀릴레이(17)의 상개접점(37)에 접속되어 제어전원(N)에 접속되어 있다. (38)은 알람표시용 접점이며, 래치릴레이(12)의 상개접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장구간 검출장치에 있어서, 변류기(2X), (2Y)또는 영상변류기(4)에 의해 검출된 이상(異常)전류는 단락검출코일 (1)또는 지락검출코일(3)을 여자(勵磁)하고, 각각 보조릴레이(6)또는(8)을 동작시켜서 보조릴레이(6), (8)의 접점(9), (10), (15), (16), (31), (33)을 동작시킨다. 보조릴레이(6)또는(8)의 접점(9)또는 (10)의 동작에 의해 래치릴레이(12)가 여자되고, 접점(38)을 동작시켜서 동작신호를 외부로 보낸다. 한편, 보조릴레이(6)또는 (8)의 상개접점(3151)또는 (33)의 동작은 콘덴서(26)또는 (27)에 축적된 에너지를 급격하게 표시기의 동작코일(28S)또는 (29S)에 흐르게 하고, 표시기(28), (29)의 플랙을 동작시켜서 기계적으로 동작표시를 행한다. 또한, 이상의 발생이 단락인지 지락인지를 판별하기 위해 래치릴레이(12)가 동작하면 그 접점(34)에 의해 표시기(28), (29)의 동작코일(28S), (29S)회로를 차단한다, 이로써, 고장발생의 초기단계에서 동작원인의 기록을 유지한다.
다음에, 외부로부터 복귀릴레이(17)를 여자하면 접점(18)과 (37)이 동작하고, 래치릴레이의 복귀코일(20)과표시기(28), (29) 의 복귀코일(28R), (29R) 이 여자되어 래치릴레이(12)와 표시기(28), (29)는 복귀하고, 다음의 사고발생의 검출을 위해 콘덴서(26), (27)에 충전하고 대기하는 것이다.
종래의 고장구간 검출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영상전류와 영상전압의 두용소를 처리해야하며, 장치가 고가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종래의 고장구간 검출장기에 있어서는 보조릴레이(6), (8)의 동작시간이 빠른것이 필요하며, 또한 그때문에 주회로측에서 생기는 서지, 노이즈 등에 의해서 오동작하는 일이 있었다. 그리고, 복귀동작올 위해 외부로부터 복귀릴레이를 동작시킬 필요가 있고, 자동감시를 위해서는 별도로 복귀제어장치를 필요로 하였다.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지락뿐만이 아니고 단락고장에 대해서도 검출할 수 있는 장치를 연가로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고안은 변류기 또는 연상변류기로부터의 서지, 노이즈 등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복귀 동작을 위해 자동리셋장치를 내장하여 자동감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고장구간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고안에 관한 고장구간 검출장치는 변류기 또는 영상변류기의 2차 전류로 여자하는 코일과 이 코일의 여자로 동작하는 접점을 가지고, 이 접점의 동작으로 표시동작을 행하는 표시기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본원 고안에 관한 고장구간 검출장치는 변류기 또는 영상변류기에 의해 동작하는 입력부에 지연회로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복귀릴레이에는 자동리셋동작을 행하도록 하기 위한 타이머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본원 고안에 있어서의 고장구간 검출장치는 동작시간이 빠른 접점에 의해 변류기 또는 영상변류기로 검출한 이상 전류로 표시기를 동작시키고, 펄스신호에 의해서 불안정 동작하기 쉬운 접점의 동작을 표시기의 자체유지회로로 표시기를 안정되게 동작시킨다.
그리고, 또한 본원 고안에 의한 입력부 지연회로는 제1의 접점(5)의 동작에 의해 펄스형테로 발생하는 입력을 콘덴서에 충전한 트랜지스터와 제너다이오드의 턴온전압의 제어에 따라서 행하는 것이다. 또한, 복귀를 위한 타이머는 충전상태의 콘덴서에서 시한 설정콘덴서로의 충전에 의해 행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원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01)∼(l06)은 상기종래 장치와 같은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 제2도에 있어서, (110)은 고장표시기이며, 내부에는 변류기 (111X), (111Y) 에 각각 접속된 코일(112X), (112Y) 및 영상변류기(106) 에 접속된 코일(113) 을 구비하고있다. 고장표시기(110)에는 코일(112X), (112Y), (113)의 여자로 동작하는 예를 들면 리드스위치와 같은 접점(114)을 가지며, 이 접점(114)은 표시기의 코일(115)과 직렬로 접속되고, 다시 리셋스외치(122)와 직렬로 접속되어서 외부전원(P), (N)이 공급되어 있다. 접점(114)에는 코일(115)에 의해서 구동되는 자체유지접점(116)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표시기의 코일(115)이 여자되면 접점(116)이 폐성(閉成)되어 이 회로를 자체유지한다. 또한, 표시기의 코일(115)의 동작으로 다른표시접점(117)이 동작하여 외부로 접점신호를 내보내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고장표시기(110)를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메인배전망으로 구성한다. 즉, 배전망을 형성하는 스위치유닛(121a)∼(121g)에는 각각 두개의 링스위치(118), (119)가 모선(103)에 직렬로 접속되고, 이 두개의 링스위치(118), (119)의 사이에서 T분기하여 분기스위치(120a)∼(1208)가 각각 접속되어있다. 분기스위치 (120a) ∼(120g) 에는 각각 부하측 트랜스(105a) ∼(105g) 가 접속되어 있다. 링스위치 (119a) ∼ (119g) 측에는 변류기 (111Xa) ∼ (111Xg), (111Ya) ∼(111Yg)와 영상변류기 (106a) ∼(106g) 가 설치되어 있고, 그들의 출력은 고장표시기(110)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링메인배전망은 통상 링스위치(118)또는 (119)중 한쪽이 개방되어, 즉 링을 제거한 상태로 각 부하측 트랜스(105a), (105g)에 급전된다.
예를 들면 제1도에서는 링스위치(119d)와 (118e)가 개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링망, 즉 모선(103)상 또는 부하측 트랜스(105a)∼(105g)측에서 단락, 지락 등의 사고가 발생하면 수전(受電)보호차단기(102)에서 사고점까기의 고장표시기(110)가 소정치 이상의 과전류로 동작하고, 동작한 고장표시기(110)의 유무와 수에 따라서 사고 발생장소가 판정된다. 이 결과에 따라서 고장구간의 절리(切離)가 행하여진다. 고장표시기(110)의 리셋은 예를 들면 원격조작에 의한 리셋스위치(122)의 개방조작에 의해서 행하여지나 리셋스위치(122)를 타이머등에 의한 자동리셋방식으로 하면 고장표시기(110)의 리셋은 사고발생표시후 일정시간으로 자동적으로 리셋되어, 다음의 사고발생에 대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점(114)은 교류에 의한 반복교번(交番)입력에 대응하기 위해 고속동작(6mS이내의 동작)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2상분의 변류기와 영상변류기를 조합하였으나, 3상의 변류기로도 행할 수 있고, 또한 각 변류기는 링스위치 (118), (119)의 어느쪽에 장착해도 된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1), (1X), (1Y), (2X), (2Y), (3), (4), (5), (7)은 종래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39)는 제한저항이며, 분압저항(40), (41)과 직렬로 접속되고, 제1의 접점, 즉 접점(5)을 통해서 제어전원(P), (N)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1X), (Y)과 접점(5)의 관계의 일실시예를 제4도에 나타낸다. 이 정우, 접점(5)은 리드스위치이다. (42)는 지연회로를 구성하는 콘덴서이며, 분압저항(40), (41)에 대해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본압저항(40)과(41)사이에는 제너다이오드(43) 가 접속되고, 트랜치스터(44)의 콜렉터에는 , 보조릴레이(45) 가 접속되고, 에미터측은 제어전원(N)측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보고릴레이(45)의 타단은 다이오드(68)를 통해서 마찬가지고(P)측에 접속되어 있다. (69)는 콘덴서이며, 상기 보조릴레이(45)회로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46)내지 (52)도 상기와 같은 회로구성이며, 제1의 접점 즉 접점(7)과 접속되어 있다. 즉, (46)은 제한저항, (47), (48)은 분압저항, (49)는 콘덴서, (50)은 제너다이오드, (51)은 트랜지스터, (52)는 보조릴레이이다.
(28), (29)는 종래에와 갇은 전자유지형 플랙표시기이며, 각각 동작코일(28S), (29S)과 복귀코일(28R), (29R)을 구비하고 있다.
동작코일(28S)에는 래치릴레이(53)가 병렬로 접속되고, 일단은 제어전원의(N)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타단은 보조릴레이(45)의 여자로 동작하는 상개 접점(54)및 상폐접점(55)과 래치릴레이(53)의 여자로 동작하는상폐접점(56)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상폐접점(56)의 타단은 제한저항(57)과 다이오드(58)를 통해서 제어전원(P)에 접속되어 있다.
상개접점(54)파 상폐접점(55)의 사이에는 콘덴서(59)가 접속되고, 콘덴서(59)의 타단은 제어진원 (N)측에 접속되어 있다.
동작코일(29S)에는 래치릴레이(60)가 병렬로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릴레이(52)로 동작하는 상개접점(61)과 상폐접점(62)과 래치레이(60)로 동작하는 상폐접점(63)이 직렬로 접속되어 제한저항 (57)과 접속되어 있다.
상개 접점 (61)과 상폐접점(62)의 사이에는 콘덴서 (64)가 접속되고, 콘덴서 (64)의 타단은 제어전원의 (N) 측에 접속되어 있다.
복귀코일(28R), (29R)에는 각각 다이오드(65), (66) 가 접속되고, 다이오드(65), (66) 의 타단은 복귀릴레이(17)의 상개접점(67)을 통해서 제한저항(57)과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69)는 평상시는 충전되어 있고, 제어전원이 상실된 경우에 상기 고장표시장치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래치릴레이(53), (60)의 복귀코일(70), (71)은 다이오드(72)와 함께 서로 병렬로 접속되고, 콘덴서(73)를 통해서 복귀릴레이(17)의 상개접점(74)과 접속되고, 제어전원(P), (N)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복귀코일(70)은 래치 릴레이(53)내에, 복귀코일(71)은 래치 릴레이(60) 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개접접(75)와(76)은 각각 래치릴레이(53)및 (60)에 의해 동작하는 접점으로서 서로 병렬로 접속되고, 일단은 제한저항(57)과 접속되고, 타단은 다이오드(77), 제너다이오드(78), 충전저항(79), 콘덴서(80)를 각각직렬로 겁속해서 제어전원(N)측에 접속되어 있다.
(81)운 분압저항이며, 콘덴서(80)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82)는 방건저항이며, 콘덴서(73)와 북귀코일(70), (71)과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83)은 콘덴서이며, 제한저항(57)과 각 접점(56), (63), (67), (75), (76)과의 사이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제어전원 (N)에 접속되어있다.
(84)는 제너다이오드이며, 임단은 충전저항(79)과 콘덴서(80)사이에 접속되고, 타단에 트랜지스터(85), (86)를 달링톤 접속해서 트랜지스터(86)의 에미터를 제어전원(N)에 접속하고 있다. 트랜지스터(85)의 콜렉터에는 저항(87)을 통해서 제어전원(P)과 접속되고, 트랜지스터(86)의 콜렉터에는 복귀릴레이(17)가 접속되고, 보조릴레이(45)와 (52)에 의해서 동작하는 상폐접점(88), (89)을 직렬로 접속해서 제어전원(P)과 접속되어 있다.
(90), (91)은 래치릴례이(53)로 동작하는 신호용 접점이며, (90)은 상개, (91)은 상폐이다. (92), (93)은 래치릴레이(60)로 동작하는 신호용 접점이며, (92)는 상개, (93)은 상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고장표시장치에 있어서, 단락검출코일(1X), (1Y)또는 지락검출코일(3), 즉 회로전류이상 검출수단이 변류기(2X), (2Y)또는 영상변류기(4)에 의해서 여자되면 소정치 이상의 검출전류에 있어서 상개접점(5)또는 상개접점(7)이 동작하고, 콘덴서(42)또는 콘덴서(49)에 충전이 행해진다.
콘덴서(42)또는 (49)의 충전에 의해서 분압저항(40), (41)또는 (47), (48)의 분압전압이 제너다이오드(43)또는 (50)의 동작전압을 초과하면, 트랜지스터(44)또는 (51)을 동작시키고, 보조 릴레이(45)또는(52)를 동작시킨다. 보조릴레이(45), (52)의 동작에 의해 각각의 상개접점(54), (61)과 상폐접점(55), (62)이 동작하고, 콘덴서 (59) 또는 (64)에 축적된 에너지를 표시기(28), (29) 의 동작코일 (28S), (29S) 및 래치릴레이(53), (60)에 방전하여 각각을 여자한다. 레치릴레이(53)또는 (60)이 동작하면 각각의 상폐접점(56), (63)이 동작하고, 콘덴서 (56), (64)의 전하가 모두 상기 표시기 (28) (29)와 래치릴레이 (53), (60)에 방전하도록 다른 회로를 차단한다. 또한, 래치릴레이(53) 또는 (60)의 상개접점 (75), (76)의 동작으로 콘덴서(83)에 축적된 전하는 다이오드(77), 제너다이오드(78), 충전저항(79)을 통해서 콘덴서(80)에 충전이 행하여진다. 이때 제어전원이 상실되어 있지 않을 때는 전원(P)측에서도 콘덴서(80)로의 충전전류가 흐르지만, 전원상실시에 있어서도 콘덴서(83)에 의해 정해진 충전특성으로 충전이 행하여 진다. 콘덴서(80)의 전하가 제너다이오드(84)의 동작전압을 초과하면 제너다이오드(84)를 통해서 트랜지스터(85), (86)를 동작시키고, 제어전원이 상실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복귀릴레이(17)를 동작시킨다.
이때 사고가 계속되고 있으면 보조릴레이(45),(52)의 상폐접점(88), (89)이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복귀릴레이(17)는 동작하지 않고 대기한다.
복귀릴레이(17)가 동작하면 상개접점(67), (74)이 동작하고, 표시기의 복귀코일(28R), (29R) 및 래치릴레이(53), (60)의 복귀코일(70), (71)을 동작시켜서 각각의 표시와 접점을 원래 상태로 해제하고, 다음 사고검출에 대비한다.
외부로의 동작신호의 송출은 제2의 접점 즉 래치릴레이의 접점(90), (91)또는 (92), (93)에서 행하여 진다.
감지센터에서는 상기접점(90), (91), (92), (93)등의 신호를 모아서 기타의 신호와 합해서 전기계통상의 다수의 기기의 상태감시 및 제어를 행한다.
또한, 코일(1X), (1Y), (3)에 고정에 의한 이상전류가 흐르기 시작한 다음 접점(5)이 동작완료할 때까지의 시간은 약 6mS 이하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제5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5도는 고장전류의 파형을나타낸 것으로 도면중 T는 전류의 주기, ID는 고장이라고 판단하는 검출판단치, Ts는 최대동작가능시간이다.
예를들면 상용주파수 60Hz의 겅우 T=약 17mS, Ts는 전류의 상승, 하강시간을 제외하면 약 6mS가 된다. '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너다이오드(43), (50), 트랜지스터(44), (51), 보조릴레이(45), (52), 래치릴레이(53), (60)와 이들 릴레이(45), (52), (53), (60)에 협동해서 동작하는 접점류를 개개의 부재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표시기(28), (29)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변류기(2X), (2Y)와 연상변류기(4)및 이들에 접속된 단락검출코일(1)및 지락검출코일(3)을 합쳐서 회로전류 이상검출수단으로서 취할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로서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한 예를 나타냈으나, 마이콤 등의 출력신호를 이용해도 상기실시에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본원 고안에 의하면 모선상에 분산해서 과전류표시기를 배치하고, 사고 발생시에 사고점까지의 표시기를 동작시킴으로서 고장구간을 검출하도록 하였기 때믄에 복잡한 위상검출장치를 실치할 필요가 없고, 값싸게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본원 고안에 있어서는 입력부에 지연회로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입력부의 서지,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이 없어지고, 고정밀도의 것이 얻어진다. 그리도, 자동 복귀다이어회로를 내장하였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으로 자동 복귀하므로 계통의 자동감시가 용이해지는효과가 있다.

Claims (8)

  1. 급전모선과, 이 급전모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와, 상기 모선에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급전모선에서 T가 형으로 분기하는 복수의 분기부를 구비한 배전망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와 상기 분기부 및 상기 분기부간에 각각 최소한 하나의 고장도시를 배치하고, 이들 각각의 고장표시기의 동작의 유무에 따라서 사고구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전원에 대해서 서로 직렬로 접속된 제1의 점검 및 콘덴서와, 이 콘덴서의 충전 전하가 소정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동작하는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의 동작에 의해 고장표시하는 고장표시기와,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에 의해 동작하는 제2의 접접과, 상기 회로전류가 소정치 이상으로 되었을때만 상기 제1의 접점을 구동하는 회로전류 이상검출수단을 최소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검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의 접점은 리드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검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고장표시기는 고장의 상태마다 설치되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검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제2의 접점은 고장의 상태마다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검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후의 경과시간을 검출하며, 소정시간 경과후에 동작하는 타이머수단과, 이 타이머 수단의 동작에 의해 이 고장구간 검출장치를 초기상태로 리셋하는 리셋수단을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검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리셋수단은 전원을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검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타이머수단은 직렬로 접속된 저항과 콘덴서를 최소한 구비하고, 이 콘덴서의 충전 전하가 소정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리셋수단에 리셋개시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검출장치.
KR2019910001092U 1987-03-09 1991-01-26 고장구간 검출장치 KR910001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1092U KR910001815Y1 (ko) 1987-03-09 1991-01-26 고장구간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53623A JPS6485519A (en) 1987-03-09 1987-03-09 Fault indicator
JP53623 1987-03-09
KR870011238A KR880006815A (ko) 1986-11-12 1987-10-10 고장구간 검출장치
KR2019910001092U KR910001815Y1 (ko) 1987-03-09 1991-01-26 고장구간 검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70011238A Division KR880006815A (ko) 1986-11-12 1987-10-10 고장구간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815Y1 true KR910001815Y1 (ko) 1991-03-28

Family

ID=2729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1092U KR910001815Y1 (ko) 1987-03-09 1991-01-26 고장구간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8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3365A (en) Auto resetting switchgear trip indicator circuits
US4321643A (en) Ground monitoring system
US4670812A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a switch to prevent overstress
EP1461818B1 (en) Fault current limiting system
CN111051901A (zh) 用于监控电源的源电压和绝缘电阻的监控设备、高压系统以及用于操作监控设备的方法
US64728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opening time of a medium voltage air circuit breaker
CN113039718B (zh) 具有保护功能的光伏串汇流箱
KR910001815Y1 (ko) 고장구간 검출장치
GB2198001A (en) Fault section locating apparatus
US6628485B1 (en) Apparatus for limiting an electrical current
CN212485807U (zh) 一种电容器高压开关柜自动延时合闸控制回路
US3629657A (en) Dc assisted power supply
US3248607A (en) Protective arrangement for shunt capacitor bank
US20070064365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rapidly switching off low-voltage power breakers
US4836252A (en) Warp yarn breakage detecting and indicating apparatus
CN112421582B (zh) 一种用于变电站用功率源系统的开关保护装置
JP2587913Y2 (ja) ガス絶縁開閉装置事故区間検出装置
EP0125043B1 (en) Static type switch disconnect circuit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said circuit
JPH0326771Y2 (ko)
KR102460366B1 (ko) 진공차단기 결상 보호 시스템
US3309572A (en) Electric power system having sectionalizing means and control circuit therefor
JPS635972B2 (ko)
JPH08182220A (ja) 過電流保護継電装置
US3260897A (en) Protection device for plural phase electrical load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monitoring relays controlling the energization of the load
US2214858A (en) Protective arrangement for electric power circu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