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458Y1 - 유모차용 간이 테이블 - Google Patents

유모차용 간이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458Y1
KR910001458Y1 KR2019880008126U KR880008126U KR910001458Y1 KR 910001458 Y1 KR910001458 Y1 KR 910001458Y1 KR 2019880008126 U KR2019880008126 U KR 2019880008126U KR 880008126 U KR880008126 U KR 880008126U KR 910001458 Y1 KR910001458 Y1 KR 910001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bracket
opening
shaft
baby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8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2846U (ko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2019880008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458Y1/ko
Publication of KR8900228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28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4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모차용 간이 테이블
제1도는 본 고안의 의한 유모차용 간이 테이블의 사시도.
제2도는 결착구의 분해도.
제3도와 제4도는 결착구의 작용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간이 테이블의 사용상태 예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블 2 : 판면
3 : 컵받이 4 : 결착구
5 : 지지체 6 : 개폐구
7 : 브래킷 14 : 노브
15,17,22 : 축 18 : 돌출부
19 : 호상요입부 20 : 안내장공
21 : 호상돌출부
본 고안은 유모차용 간이 테이블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유모차의 뒷쪽 손잡이측 프레임 상에 손쉽게 설치하거나 떼어낼수 있고 또한 상기 프레임의 간격에 따라 결착구간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새로운 간이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적은 부피가 되도록 접어 이동할수 있게 되어 있는 접고 펴는 방식의 유모차에 있어서는 유모차의 앞 또는 뒷쪽 어느 곳이든지 형태가 고정되어 있는 간이 테이블을 붙박이식으로 부착하는 것은 사용상 여러모로 제약을 받게 된다.
테이블이 붙박이식일 경우 특히 유모차를 접었을때 거기에 딸린 간이 테이블의 처리에 적잖은 곤란과 불편을 겪기 때문이다.
또,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이것을 항상 설치 상태도 방치할수 밖에 없는 정도 경우에 따라서는 문제가 될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접고 펴는 방식으로된 유모차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붙박이식 구조의 간이 테이블을 부착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고 만약에 이와같이 아기가 갖고 놀 손장난 감이나 컵등의 간단한 휴대 품을 얹어 놓는데 유용하게 이용되는 간이테이블이 유모차에 없다면 한편으로는 그 만큼 불편할 수 밖에 없다.
본 고안은 바로 이점에 착안하여 접고 펴는 방식의 유모차에 특히 적합한 간이 테이블을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그 특징으로 하는 바는 컵을 안전하게 꽂아 두는 컵받이를 가진 간이 테이블을 유모차의 프레임상에 손쉽게 부착하거나 떼어낼수 있게 하는 것이며, 비단 접고 펴는 방식이 아닌 비조립식 유모차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간이 테이블(1)의 판면(2)은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이 판면(2)의 일측에는 컵받이(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컵받이(3)는 위가 트이고 주벽과 바닥면이 막힌 컵모양으로 아래를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이뤄져있어서 컵을 안전하게 꽂아 둘수가 있다.
그리고. 그 바닥면에는 배수공(도시없음)을 뚫어서 컵받이(3)안으로 흘러 든 물기 따위가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도모하므로써 컵받이(3)외부의 건조 상태 유지와 함께 위생 안전에 만전을 기할수 있는 것이다.
상기 테이블(1)의 뒷면 양쪽 돌출부(18)에는 결착구(4)가 부착되어 있다.
이 결착구(4)는 지지체(5)와 개폐구(6) 및 브래킷(7)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5)는 측면 모양이 ㄷ자형이고, 상하 판면(8)(8')에는 외측이 트이게 U 자형 형성된 오목부(9)가 있으며, 상, 하 판면을 이어주는 직립면(10)상에는 이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가로 방향으로 축공(11)이 뚫려있다.
상기 오목부(9)는 유모차의 프레임(손잡이가 윗끝에 달린 지주)에 바깥 씌움 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 판면(8)(8')에서 직립면(10)에 가까운 일측에는 수직으로 동심 선상에 측공(12)이 뚫려 있다.
또. 개폐구(6)의 한쪽 끝에는 수직 방향으로 뚫린 축공(13)이 그리고 다른쪽 끝부분 가까이 외면에는 조작노브(14)가 외측으로 뻗어난 형태로 개폐구(6)와 일체로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공(13) 부분은 지지체(5)의 상하 판면(8)(8')상이로 끼워 들어가 판면(8)(8')의 축공(12)과 일치한 상태에서 축(15)을 삽입 고정하는 것으로 결합되며, 따라서 개폐구(6)는 이 축(15)을 중심으로 한정된 각도 범위내에서 선회하여 지지체(5)의 오목부(9)의 트인 쪽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노브(14)는 이같은 개폐 조작시 그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브래킷(7)의 정면에는 횡방향으로 뚫린 축공(16)이 있다.
이 축공(16)은 지지체(5)상의 축공(11)과 같은 크기를 가지며, 이들 축공 (1)(16)을 맞대고 그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축(17)을 끼우고 이 축(17)의 양단부를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을 형성하여 마무리 하므로서 개폐구(6)가 달린 지지체(5)와 브래킷 (7)상호간을 결합하며, 또 이렇듯 축에 의한 결합에 있어서도 헐겁게 축끼움을 결합하여 브래킷(7)상에서 지지체(5)가 상기 축(17)을 중심으로 360°제자리 선회 가능하도록하여 이후 프레임에 테이블(1)을 붙이거나 떼낼때 결착구(4)의 홈중심선과 프레임(A)의 단면 중심간에 약간의 오차가 있더라고 지지체(5)를 편심되게 설치된 축 (17)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축(17)이 지지체(5)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된 관계로 결착구(4)의 중심인 오목부(9)의 중심을 좌우로 이동시킬수 있으므르 전체적으로 양 오목부(9)와의 간격을 손쉽게 조정할수 있게 되므로 그 중심 맞추기가 훨씬 수월해진다.
이러한 중심 오차를 극복하기 위한 더욱 좋은 방법으로는 돌출부(18)의 단면을 호상요입부(19)로 하고 여기에 맞닿는 브래킷(7)의 단면은 호상 돌출부(21)로 하는 동시에 상기 호상 요입부(19)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안내장공(20)을 뚫고 여기에 축 (22)으로 브래킷(7)을 결합하여 상기축(22)이 이 안내공(20)내애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을 들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므로서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래킷(7)을 좌우로 회전시키면 안내장공(20)에 끼워진 브래킷(7)의 호형돌출부(21)는 호형 요입부(19)에 면상으로 접촉됨과 동시에 돌기(22)는 안내장공(20)내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것으로 결착구(4)의 횡방향으로의 각도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결착구(4)의 중심인 오목부(9)의 중심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즉, 결착구나 자체의 각도 조정만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양결착구(4)의 간격을 조정 하려면 브래킷(7)의 중심으로 편심되게 설치된후 (17)로 결합된 지지체(5)를 좌 또는 우로 회전시키게 되면 축(17)이 편심되어 있으므로 오목부(9)의 중심은 좌 또는 우로 이동되게 되는 것으로 즉 양결착구(4)의 오목부 (9)중심의 간격이 좁아졌다 넒어졌다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절착구(4)의 중심이 되는 오목부(9)의 중심과 프레임(A)와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 하지 않더라도 오목부(9)만의 간격을 가변시킬수 있으므로 테이블의 착탈을 간편 하게 할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결착구(4) 전체는 돌출부(18)상에서 그 횡방향으로의 각도 조정과 함께 양쪽 결착구(4)간의 간격도 용이하게 조절할수 있으며, 따라서 유모차의 상기프레임(A)과의 중심맞추기 즉, 확실하고 안정된 자세로 간이 테이블을 부착할수 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있어서, 노브(14)를 쥐고 외측으로 힘을 가하면 제3도의 가상선 표시 상태에 있던 개폐구(6)는 축(15)을 중심으로 외측 방향으르 선회하여 실선 표시 위치로 뻗어지며, 이에 따라 이제껏 개폐구(6)에 의해 막혀있던 오목부(9)는 트인다.
이렇게 트인 오목부(9)를 손잡이가 끝에 달린 프레임(A)등에 바깥 끼움한후 개폐구(9)를 제3도의 우측으로 돌려 담으면 테이블(1)전체는 유모차에 간단히 부착되는 것이다.
이 테이블(11)이 불필요할 경우등에는 부착시와는 반대 순서로 양쪽 결착구(4)를 조작하면 쉽게 분리할수가 있다.
그리고 부착된 상태에서는 프레임을 따라 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물론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떼고 붙이는 방식으로된 간이테이블은 특히 접고 펴는 형태의 유모차에 가장 잘 어울린다.
그리고 유모차를 접어 놓은 상태에서 떼어낸 간이 테이블은 예를 들면 앞바퀴 또는 뒷바퀴의 지주상으로 옮겨 부착하거나 한곳으로 몰아 접으면 보관하기도 좋고, 또한 운반하는데도 편리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있어서, 한가지 변화를 가할수 있다.
즉, 제6도에 나타난바와 같이 호상 용입부(19)와 호상돌출부(21)의 형성위치를 서로 바뀌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테이블(1)의 돌출부(18)상에는 호상 요입부(19)가 그리고 이것에 대응하는 호상돌출부(21)는 브래킷(7)상에 각각 형성되어 있있는데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호상요입부(19)를 브래킷(7)상으로 그리고 상대측 호상돌출부(21)는 테이블(l)의 돌출부(l8)로 맞바꿔 형성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결착구(4) 전체의 테이블(1)에 대한 기울기 조정 폭이 크고 또한 그 조작도 더욱 수윌한 잇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어디까지나 본 고안의 근본을 벗어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Claims (2)

  1. 테이블(1)의 판면(2)상에 아래를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컵받이(3)를 형성하고, 이 테이블(1)의 뒷쪽 양끝 돌출부(18)에는 횡방향의 안내장공(20)이 뚫린 호상요입부(19)를 형성하며, 개폐구(6)를 지지체(5)에 끼워 측(15)으로 힌지 결합하고, 이 지지체(5)를 상기 호상요입부(19)에 대응되는 호상돌출부(21)를 구상한 브래킷(7)에 선회 가능하도록 편심 설치된 축(17)으로 결합하여 결착구(4)를 구성하되 브래킷(7)의 호상돌출부(21)의 전면에는 측(22)를 돌설하여 상기한 호상요입부(19)에 형성된 안내장공(20)에 끼워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간이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호상 요입부(19)가 브래킷(7)에 형성되고 호상돌출부(21)는 테이블(1)의 돌출부(18)상에 형성된 유모차용 간이 테이블.
KR2019880008126U 1988-05-31 1988-05-31 유모차용 간이 테이블 KR910001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8126U KR910001458Y1 (ko) 1988-05-31 1988-05-31 유모차용 간이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8126U KR910001458Y1 (ko) 1988-05-31 1988-05-31 유모차용 간이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846U KR890022846U (ko) 1989-12-01
KR910001458Y1 true KR910001458Y1 (ko) 1991-03-04

Family

ID=1927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8126U KR910001458Y1 (ko) 1988-05-31 1988-05-31 유모차용 간이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4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499B1 (ko) * 2021-07-20 2022-02-08 문보미 유모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499B1 (ko) * 2021-07-20 2022-02-08 문보미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846U (ko) 198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6244A (en) Portable table
US2523425A (en) Folding cabinet type ironing board
US5630488A (en) Retractable handle positioning structure for luggage
JPH08207639A (ja) 容器ホルダ装置
KR910001458Y1 (ko) 유모차용 간이 테이블
US5526542A (en) Stable lower support of a foldable playyard
US4253715A (en) Sewing machine console having a lowering device
US5690216A (en) Pencil box with a copy holder structure
US5913491A (en) Paper roll holder
KR910001457Y1 (ko) 유모차용 간이 테이블
JPH1162370A (ja) 戸開閉装置
KR200175269Y1 (ko) 거울
JPH0445543Y2 (ko)
JP3034870U (ja) 折畳式簡易トイレ
JP2001286320A (ja) スタンド機能付き収納ケース
JPH0648266Y2 (ja) 温風コタツ
KR950008804Y1 (ko) 밥상 다리의 절첩 장치
JPH03118132U (ko)
JP2594015B2 (ja) 扉開閉装置
JPS5845436Y2 (ja) 扉の開閉構造
JP2967467B2 (ja) 卓上三面鏡
JPH0754103Y2 (ja) 折り畳み収納容器
JPS6338845Y2 (ko)
JPS6328938Y2 (ko)
JPS5915930Y2 (ja) 折畳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