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190Y1 - 다색 조명용 스텐드 - Google Patents

다색 조명용 스텐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190Y1
KR910001190Y1 KR2019880005776U KR880005776U KR910001190Y1 KR 910001190 Y1 KR910001190 Y1 KR 910001190Y1 KR 2019880005776 U KR2019880005776 U KR 2019880005776U KR 880005776 U KR880005776 U KR 880005776U KR 910001190 Y1 KR910001190 Y1 KR 910001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ed
light
stand
skins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5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1262U (ko
Inventor
박국서
Original Assignee
박국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국서 filed Critical 박국서
Priority to KR2019880005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190Y1/ko
Publication of KR8900212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12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1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6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movement of parts, e.g. by movement of reflectors 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08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색 조명용 스텐드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대 2 : 투명등피
3,3′,3″ : 유색등피 4,4′,4″ : 보강환체
4a,4a′,4a″ : 차단벽 5,5′,5″ : 전구
6 : 지지관 7 : 스위치
8 : 조도조절기
본 고안은 실내에 다양한 색상의 불빛을 선택적으로 조명하게 되는 다색 조명용 스텐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유색불빛을 실내에 조명하기 위해서는 페인트로 도색된 유색전구를 사용하게되나 이는 전구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전구에 의하여 유색불빛이 직접 실내에 조사되기 때문에 색상이 갖는 은은함을 잃게 되고 외관상 조잡하여 장식용으로서의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 와서는 전구에서 조사되는 불빛이 다양한 유색등피로 투사되게하여 빛의 분산효과에 의한 은은함을 구유하게 되었고, 이와 같은 유색등피를 임의로 선택하여 투사되는 불빛의 색상을 다양하게 바꾸어 주는 구성들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바 있는 다색조명용 스텐드(출원번호 88-683호)에 의하면, 다수의 유색등피를 그의 주쪽으로 중첩되게 구성하여 임의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사용하게 된것으로 이는 조작이 번거롭고 제조단가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다수의 유색등피를 상,하로 순차 개재시키고 별도의 전구를 각각 내설함과 동시에 스위치도 별도 구성하여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선택된 유색불빛을 실내에 조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대(1)상단에 설치된 투명등피(2)내측에 각각 다른 색상을 갖는 유색등피(3),(3′),(3″)를 내설하여 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유색등피(3),(3′),(3″)의 저부에는 차단벽(4a),(4a′),(4a″)을 갖는 보강환체(4),(4′),(4″)를 끼우되, 투명등피(2)의 내측에 상,하로 순차 개재시키며, 각 유색등피(3),(3′),(3″)의 내측에는 통상의 전구(5),(5′),(5″)를 각각 별도로 내설하여 된것으로, 미설명부호 (6)은 지지관(7)은 스위치, (8)은 조도조절기를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스위치(7)의 조작으로 각 전구(5),(5′),(5″)의 선택된 점등에 따른 선택된 유색불빛이 투사되는 것이며, 조도조절기(8)에 의하여 불빛의 밝기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각 유색등피(3),(3′),(3″)의 저부에는 차단벽(4a),(4a′),(4a″)을 겸한 보강환체(4),(4′),(4″)가 끼워져 있어 일단 선택된 전구가 점등되면 저부 차단벽(4a),(4a′),(4a″)에 의하여 불빛이 다른 유색등피를 투과하지 못하게 되므로서 원하는 유색불빛을 색상 그대로 실내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차단벽을 갖는 보강환테(4),(4′),(4″)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매우 견고한 것으로 각 유색등피(3),(3′),(3″)를 상,하 개재할때 상호 마찰에 의한 유색등피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조도조절기(8)는 전구(5),(5′),(5″)와 별도의 도선으로 연결되어 전구(5),(5′),(5″)를 동시에 점등하더라도 기기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이와 같이 각 전구(5),(5′),(5″)를 동시에 점등하여 배색된 유색불빛을 조명하고자 할때에는 각 전구의 밝기를 조도조절기(8)를 이용하여 임의로 낮출수 있어 전체적인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작이 극히 단단하여 제작 단가의 저렴화를 기할 수 있고, 원하는 색상의 불빛을 실내에 조명함에 있어서도 누구나 쉽게 조작이 가능한 매우 실용적인 다색 조명용 스텐드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좌대(1) 상단에 설치된 투명등피(2) 내측에 각각 다른 색상을 갖는 유색등피(3),(3′),(3″)를 내설하여서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유색등피(3),(3′),(3″)의 저부에는 차단벽(4a),(4a′),(4a″)을 갖는 보강환테(4),(4′),(4″)를 끼우되, 투명등피(2)의 내측에 상,하로 순차 개재시키며 각 유색등피(3),(3′),(3″)의 내측에는 통상의 전구(5),(5′),(5″)를 각각 별도로 내설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조명용 스텐드.
KR2019880005776U 1988-04-22 1988-04-22 다색 조명용 스텐드 KR910001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776U KR910001190Y1 (ko) 1988-04-22 1988-04-22 다색 조명용 스텐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776U KR910001190Y1 (ko) 1988-04-22 1988-04-22 다색 조명용 스텐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262U KR890021262U (ko) 1989-11-02
KR910001190Y1 true KR910001190Y1 (ko) 1991-02-25

Family

ID=1927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5776U KR910001190Y1 (ko) 1988-04-22 1988-04-22 다색 조명용 스텐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1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262U (ko) 198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181601A (ja) ペンライト
CA2300669A1 (en) Light cover
US5473525A (en) Discreet display lamp
DE50011270D1 (de) Badewanne mit einem beleuchteten Innenraum
US6857765B2 (en) Decorative lighting equipment
CN211059865U (zh) 一种可自动旋转灯罩的落地灯
KR910001190Y1 (ko) 다색 조명용 스텐드
CN206112837U (zh) 一种新型的led灯具
KR200223876Y1 (ko) 장식용 조명등
US20040105279A1 (en) Light-emitting device with light softening cover
US20060176683A1 (en) Outdoor light
JPH03212239A (ja) 照明機能付の浴槽
CN211059866U (zh) 一种通过灯罩实现多种灯光颜色的可拆式落地灯
KR900009611Y1 (ko) 다색조명용 스탠드
KR800001682Y1 (ko) 조명 케이스
KR200213903Y1 (ko) 다중가변갓을 구비한 스탠드
CN206459143U (zh) 一种具有多种发光效果的led天花灯
KR200178367Y1 (ko) 자동차의 회전식 룸램프
KR960010302Y1 (ko) 조명등
KR200200394Y1 (ko) 축제용 플래쉬
KR200195035Y1 (ko) 장식등
KR200284045Y1 (ko) 장식용 조명장치
KR970002173Y1 (ko) 실내장식용 분수대
CN2086844U (zh) 多彩变色灯
JP2006269167A (ja) 発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