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153Y1 - 종이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 - Google Patents

종이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153Y1
KR910001153Y1 KR2019900011619U KR900011619U KR910001153Y1 KR 910001153 Y1 KR910001153 Y1 KR 910001153Y1 KR 2019900011619 U KR2019900011619 U KR 2019900011619U KR 900011619 U KR900011619 U KR 900011619U KR 910001153 Y1 KR910001153 Y1 KR 910001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tip
paper container
pieces
tip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1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시게 야스이
무네끼 후꾸모도
신죠오 사이또오
Original Assignee
쥬우죠오 세이시 가부시끼가이샤
이시가미 미노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509699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7774Y2/ja
Application filed by 쥬우죠오 세이시 가부시끼가이샤, 이시가미 미노루 filed Critical 쥬우죠오 세이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900011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1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1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1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inwardly beneath the closur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종이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용기의 한가지 실시예의 하부구조를 바깥쪽에서 본 전개도.
제2도는 조립되는 도중의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종이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바깥쪽에서 본 전개도.
제4도는 통상적인 종이 용기의 하부구조를 나타낸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8 : 내측 저판 6,9 : 외측 저판
10,11,12,13 : 선단편 26,27 : 절제부
30 : 접는 선
본 고안은 전후 양면에 열 접합 플라스틱층을 가지는 판지로 만들어지는 육면체형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4도는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 59-22015호에 따른 통상적인 종이 용기의 하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 육면체형 종이 용기는 전후 양면에 열 접합 플라스틱층을 갖는 판지로 된 대향한 외측 저판(36,38)과 이등변삼각형 모양의 접는 선을 갖는 대향한 내측 저판(37,39)으로 이루어지는 편평한 상부 또는 하부구조를 가진다.
각각의 저판으로부터 선단편이 연장되고 제1외측저판의 선단편(40)은 조립 성형시에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며 다른 선단편(41,42,43)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다.
제2외측 저판의 선단편(43)은 좌우측에서 절제되고, 내측 저판의 선단편(41,43)들은 제2외측 저판과 인접한 측단에서 각 선단편 전체길이의 2/5만 절제된다.
나머지 선단편(41,42,43)들은 제1외측 저판의 선단편(40)의 내면과 제2외측 저판의 외면사이에 유지되어 열접합된다.
이상 설명한 구조를 갖는 종이 용기는 매우 견고하고 내용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이 용기에서 제2외측 저판의 선단편(42)은 좌우측에서 절제되고 내측 저판들의 선단편(41,43)은 제2외측 저판과 인접한 부분에서 전체 선단편 길이의 2/5만 절제되는데 밀봉성과 직접 관계가 없는 부분을 적절히 제거하고 선단편을 형성하여 접히는 부분의 저항을 약화시키는 동시에 내측 저판 상부의 대향 부위의 밀봉성을 증대시킨다.
이상의 구조를 갖는 통상적 종이 용기는 기본적으로 우수한 밀봉성이 있지만 외측 저판의 선단편(42)에 큰 하중이 가해진다.
특히 이 종이 용기를 조립, 성형할때 외측 선단편(42), 내측 저판의 선단편(41,43), 외측 저판의 선단편(40) 완전히 접혀 중첩되어 편평하게 된후 가열 밀봉된다.
이때 선단편(42)은 360℃ 접히고, 선단편(41,43)의 절제부를 가진 측면 선단편(44,45)도 선단편(42)상에 중첩되게 360℃ 접혀, 이들이 완전히 접히면 편평한 상부 또는 하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선단편(44,45)이 접힐때 형성되는 접는 시임(seam, 46,47)이 하부의 동등한 분할선상에 위치하므로 선단편(42)의 접는 선은 동등한 분할선으로부터 외측 저판(38)의 측면으로 약간 변위된다.
그러므로 선단편(42)의 접는 선(48)이 접는 시임(46,47)과 동일한 선상에 배치될때, 하부를 편평하게 하는 연직방향 가압력뿐만 아니라 외측 저판방향의 수평 가압력도 선단편(42)에 가해진다. 이에따라 선단편(42)의 좌우측 기부에서 균열이 생겨 때로는 용기내의 액체가 세게 된다.
본 고안은 외측 저판(8)의 혀모양으로 성형된 선단편(12)의 좌우측단에서 약간 안쪽으로 절제부(26,27)를 형성시키고 절제부(26,27)의 안쪽 꼭지점 사이를 연결시키는 접는 선(30)을 형성시켜 이루어진다.
두꺼운 적층 알루미늄발(foil)의 경우에는 판지두께를 고려하여 절제부(26,27)의 깊이를 증가시킨다.
예를들어 판지의 두께가 0.6 내지 0.7mm일 경우에는 약 2mm 정도의 깊이가 필요하지만, 두께가 0.4 내지 0.6mm인 일반적인 우유 카튼(carton)의 경우에는 절제 깊이가 약 1.5 내지 1.8mm로서도 충분하다.
접는 선(30)은 360°로 접히기 때문에 다른 것보다 두껍게(굵게) 형성시킬 필요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외측 저판(8)의 약간 내부에서 선단편(12)이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절제부(26,27)가 필요하다.
제1도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절제부(26,27)의 안쪽 꼭지점 사이를 연결하는 접는 선(30)이, 360°접히는 선단편(23,24)의 접는 선과 동일직선상에 있지 않고 약간 안쪽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조립 및 성형시 불필요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이 양자가 중첩되고, 가압되어 가열 밀봉된다.
두꺼운 판지의 경우 접는 선(30)을 두껍게 형성시키면 접을때의 저항 및 하중이 감소된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제 본 고안에 의한 종이 용기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서 윤곽선중 실선은 볼록하게 접는 선이고 점선은 오목하게 접는 선이다.
접는 선을 가지며 일체로 형성된 측판(1,2,3,4)과 접착편(5)은 상판(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상부를 이루고 저판과 연결되어 하부를 형성한다.
저판은 각각 서로 대향하는 외측 저판(6,8)과 내측 저판(7,9)으로 이루어진다.
측판과의 사이의 경계선을 밑변으로 하는 이등변삼각형모양의 접는 선(14,18)이 내측 저판(7,9)에 형성되어 용기의 내측으로 접힐 수 있게 한다.
또 선단편(10,11,12,13)이 저판(6,7,8,9)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립 성형시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1외측 저판(6)의 선단편(10)은 접혀지지 않지만 다른 선단편(11,12,13)보다 길게 연장된다.
제2외측 저판(8)에 있는 선단편(12)은 양단이 절제되어 중앙부에서 대칭인 혀모양으로 형성되고, 내측 저판(7,9)에 있는 선단편(11,13)은 외측 저판(8)과 인접한 부분에서 절제된다.
이들 선단편(11,13)은 내측 저판(7,9)에 있는 이등변삼각형모양의 접는 선(14,18)의 꼭지점으로부터 각각 일체로 된 접는 선(15,19)과 이 꼭지점들로부터 외측 저판(8)을 향하는 접는 선(16,20)을 가진다. 선단편(11,13)의 절제 길이는 전체길이의 2/5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이밖에도, 혀모양으로 생긴 선단편(12)의 좌우측에서 제2외측 저판(8)의 내부에 절제부(26,27)가 형성되고, 절제부(26,27)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동일선상에 접는 선(30)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 선단편(12)의 단부길이를 절제깊이 만큼 짧게 하면 선단편(11,13)이 중첩될때 그 단부들이 일직선상에 정렬된다.
그러므로 이들 단부의 가압 가열작업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접는 선(16,20)은 접는 선(30)과 마찬가지로 360°접혀 여기에 큰 힘이 작용하므로 이들 두껍게 하는 것이 좋다.
종이 용기를 조립 성형할 때는 먼저 측판(1,2,3,4)을 접어 모서리를 형성시킨 다음 측판(1)의 내면에 접착편(5)을 접착시켜 육면체를 이루도록 한다.
제2도에 나타난대로 접는 선(14,15)을 이용하여 접는 선(15,19)이 결합될때까지 내측 저판(7,9)이 가압되고, 접혀진 선단편(11,13)은 선단편(10,12)의 사이에 끼워져 가압되고 하부 전체에 걸쳐 내외면에서 가열 접합된다.
이때 선단편(12)은 선단편(11,23,13,24)의 내부에서 360°접혀지지만 접는 선(30)이 접는 선(16,20)으로부터 변위되어 있기 때문에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조립 성형될 수 있다.
선단편(10)의 내부는 외측 저판(8)의 표면에 가열접합되므로 양 저판사이에 끼워지는 선단편(11,12,13)은 밖에서 보이지 않는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 용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전개도이다.
이와같이 접착편(5)이 다르게 배치되더라도 동일한 하부구조가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접어 중첩시켜 편평한 상부나 하부를 성형시킬때 큰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저항이 감소하여 부적절한 변형이나 밀봉 누설의 문제가 없는 종이 용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대향한 외측 저판과, 이등변삼각형 모양의 접는 선을 갖는 대향한 내측 저판으로 이루어진 전후양면에 열접합 플라스틱층을 갖는 판지로 형성된 편평한 상부 또는 하부를 갖는 종이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저판으로부터 선단편이 연장되고 제1외측 저판의 선단편(10)은 조립 성형시에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며 다른 선단편(11,12,13)보다 더 연장되고, 제2외측 저판의 선단편(12)은 좌우측에서 절제되어 혀모양을 하는, 각각의 저판으로부터 연장된 선단편들과, 내측 저판의 선단편(11,13)들은 제2외측 저판과 인접한 측단에서 각 선단편 전체길이의 2/5만 절제되고, 나머지 선단편(11,12,13)들은 제1외측 저판의 선단편(10)의 내면과 제2외측 저판의 외면 사이에 유지되어 열접합되어 절제부(26,27)의 꼭지점사이를 연결하는 접는 선(30)과 상기 혀모양의 좌우측단으로부터 제2외측 저판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절제부(26,2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혀모양 선단편(12)의 조립 및 접는 선(30)은 다른 접는 선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혀모양 선단편(12)의 길이는 절제부의 깊이와 동일한 거리로 상기 조립 및 접는 선(30)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제부의 깊이는 용기의 판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
KR2019900011619U 1985-06-26 1990-07-31 종이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 KR910001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619U KR910001153Y1 (ko) 1985-06-26 1990-07-31 종이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96998 1985-06-26
JP1985096998U JPH027774Y2 (ko) 1985-06-26 1985-06-26
KR1019860000260A KR870000168A (ko) 1985-06-26 1986-01-17 종이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
KR2019900011619U KR910001153Y1 (ko) 1985-06-26 1990-07-31 종이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260A Division KR870000168A (ko) 1985-06-26 1986-01-17 종이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153Y1 true KR910001153Y1 (ko) 1991-02-25

Family

ID=2730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1619U KR910001153Y1 (ko) 1985-06-26 1990-07-31 종이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1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7774Y2 (ko)
JPH0688592B2 (ja) 包装容器の底部形状
KR910001153Y1 (ko) 종이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구조
US4113168A (en) Bottom structure of cardboard type liquid packing container
JPS5922015Y2 (ja) 紙容器の頂部又は底部の構造
JPH0234169Y2 (ko)
JPH0322107Y2 (ko)
JPS6252157U (ko)
JP2533409Y2 (ja) 紙製液体容器
JPS6323216U (ko)
JPH0528185Y2 (ko)
JP3978988B2 (ja) 二重側壁部を備えたワンピース式ロックアップカートン
JPH031375Y2 (ko)
JPS5933775Y2 (ja) 包装箱
JPH0418873Y2 (ko)
JPS592665Y2 (ja) 包装体
JPS60123365U (ja) ステイツク包装体
KR920007055Y1 (ko) 쇼핑백
JPH03111925U (ko)
JPH0315452Y2 (ko)
JPS6134254Y2 (ko)
JP3215015B2 (ja) 包装用紙器
JPH0360229U (ko)
CA1043313A (en) Bottom structure of cardboard type liquid packing container
JPS6269417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