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055Y1 - 포장아스팔트 박리굴삭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아스팔트 박리굴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055Y1
KR910001055Y1 KR2019850011981U KR850011981U KR910001055Y1 KR 910001055 Y1 KR910001055 Y1 KR 910001055Y1 KR 2019850011981 U KR2019850011981 U KR 2019850011981U KR 850011981 U KR850011981 U KR 850011981U KR 910001055 Y1 KR910001055 Y1 KR 910001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arm
asphalt
link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1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305U (ko
Inventor
코바야시 쇼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에스케이
코바야시 쇼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에스케이, 코바야시 쇼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에스케이
Priority to KR2019850011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055Y1/ko
Publication of KR8700053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3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0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장아스팔트 박리굴삭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버킷의 실시예의 구성의 개략을 보여주는 측면도.
제2도는 종래의 버킷의 구성의 개략을 보여주는 측면도.
제3a-d도는 본 고안의 버킷의 작용설명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버킷에 협지아암을 부설한 실시예의 구성의 개략을 보여주는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작용설명도로서 버킷 및 협지아암을 각각 상방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제6도는 협지아암의 회동수단으로서 유압실린더를 사용한 본 고안 버킷의 실시예의 구성의 개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버킷 a : 버킷부
B : 협지아암 1 : 아암
2 : 제1브라켓트 3 : 제1축
4 : 제3축 5 : 제2축
6 : 제2브라켓트 7 : 제5축
8 : 제2링크 9 : 제1링크
10 : 제4축 11 : 제1유압실린더
12 : 제1피스톤롯드 13 : 브라켓트
14 : 제6축 15 : 제3링크
16 : 아암 17 : 제7축
18 : 제8축 19 : 제2유압실린더
20 : 제2피스톤롯드 21 : 저면
22 : 톱니부 23 : 포장아스팔트
24 : 포장아스팔트의 하층 A′ : 종래의 버킷
a′ : 종래의 버킷의 버킷부 6′ : 종래의 버킷의 브라켓트
21′ : 종래의 버킷의 저면 22′ : 종래의 버킷의 톱니부
본 고안은 토목공사용의 각종 유압식 배토굴삭기, 예를들면 유압식트렉터 쇼벨의 아암에 착탈자재하게 취부하여 유압실린더로 작동되는 버킷(bucket),즉, 버킷부의 상부에 아암 및 유압실린더에 연결하는 브라켓트를 일체로 설치하여서 되고 버킷부의 저면의 형상을 측면에서 보아 호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아스팔트 박리굴삭용 버킷을 포함하는 굴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그 중요한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버킷의 상면에 대향되게 협지아암을 회동자재하게 취부하고, 그 버킷 및 협지아암을 그 양자(兩者)에 연결된 링크기구와 유압실린더에 의해, 서로 설정각도 만큼 회동개폐되도록 만들어진, 포장아스팔트박리굴삭용 버킷을 포함하는 굴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버킷을 포함하는 굴삭장치는, 주로 도로등에 포장되어 있는 아스팔트를 재포장 또는 다른 이유로 박리굴삭하는 경우, 예를들어 시가지에 있는 수도, 가스공사등으로 캇타(cutter)에 의해 설정폭(예를들면 80-100cm)만큼 절단한 포장아스팔트를 박리굴삭하는 경우에, 본 고안 버킷의 호형상으로 형성된 저면의 지렛대 작용에 의해, 극히 효율적으로 아스팔트를 박리굴삭하고, 또한 그렇게 굴삭된 두꺼운 판상의 크고 작은 아스팔트를 버킷에 퍼내어 올림과 동시에, 그렇게 파내어 퍼올린 아스팔트조각을 않도록 견고하게 협지하며, 그러한 상태로 아암 및 부움(boom)을 조작하여, 트럭의 짐받이등에 운반한 후 버킷과 협지아암을 동시에 윗쪽으로 회동시켜 개방하여 운반된 아스팔트조각등을 배출시키도록 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버킷(A′)은 그 버킷부(a′)의 굴삭용톱니부(pawl)(22′)에 연속된 저면(21′)의 형상이 제2도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버킷으로 포장아스팔트를 박리굴삭하여 파내면, 아스팔트의 하층이 흙인 경우에는 버킷의 톱니부끝이 흙속에 점점 깊게 파고 들어가게 되므로, 거기에서 버킷을 윗쪽으로 회동시키더라도 흙만 파내어지고 아스팔트는 그리 쉽게 벗겨지거나 들어올려지지 않으며, 또한 아스팔트의 하층이 콘크리트등 견고한 것이면 이번에는 톱니부에 의해 아스팔트에 구멍만 뚫어질뿐 박리굴삭을 하지 못하는 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할 수 없이 미리 에어햄머등으로 아스팔트를 어느 정도의 크기로 파쇄하고 나서, 그것을 버킷으로 퍼올리는 방법을 사용하여왔던 것이다.
따라서, 포장아스팔트를 효율적으로 박리굴삭할 수 있는 버킷, 즉 포장아스팔트와 그 하층의 흙등과의 사이에 버킷의 톱니부 끝을 원활하게 진입시킴과 동시에 아스팔트만을 하층면으로부터 박리시켜 들어올려서 그대로 버킷위에 퍼올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의 버킷(유압식 배토굴삭기의 부착물의 일종으로서의 버킷)을 포함하는 굴삭장치의 개발이 커다란 과제로 왔던 것이다.
또한, 포장아스팔트를 벗겨내면 흙과는 달리 면적이 큰 판상으로 되는 것이 많고 그것은 매우 두꺼워서(포장의 두께, 예를들면 20~40cm)중량도 무겁기 때문에 통상의 형상의 버킷으로 퍼올리면, 한쪽으로 쏠려서 버킷의 중앙부에 알맞게 실리워지지 않거나, 그 일부가 버킷으로부터 빠져나오거나, 면적이 큰 것은 버킷위에 제대로 놓여지지 않거나, 버킷을 이동시켜 트럭등에 옮기는 도중에 떨어져 흩어져 버리거나 하는일이 많으며, 따라서 종래에는 아스팔트파편을 비교적 잘게 부숴놓지 않으면 버킷에 의해 효율적으로 배토, 굴삭작업을 할 수 없었고 작업능률이 극히 나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을 그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제1도)다음과 같다.
토목공사용의 각종 유압식 배토굴삭기, 예를들어 유압식트랙터 쇼벨의 아암에 착탈자재하게 취부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버킷, 즉 버킷부의 상부에 아암 및 유압실린더에 연결되는 브라켓트를 일체로 만들어서 되는 버킷을 포함하는 굴삭장치에 있어서, 버킷부(a)의 저면(21)의 형상을 측면에서 보아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아스팔트 박리굴삭용 버킷(A)(이하 단지 버킷이라함)을 포함하고 굴삭장치이다.
도면에 있어, (1)은 아암, (12)는 제1유압실린더(11)의 제1피스톤롯드, (6)은 버킷부(a)의 상부에 일체로 만들어진 제2브라켓트, (22)는 버킷(A)의 본체의 저면(21)의 선단에 만들어진 여러개의 톱니부이다.
또한, 제4도 내지 제6도에 따라, 본 고안 버킷(A)에 협지아암(B)을 부설한 굴삭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토목공사용의 각종 유압식 배토굴삭기, 예를들면 유압식트렉터 쇼벨의 아암(1)의 선단에 측면이 삼각형등으로된 제1브라켓트(2)를 제1축(3)과 제3축(4)에 의해 착탈자재하게 취부하고, 그 제1브라켓트(2)의 하부에 버킷(A)의 제1브라켓트(6)앞단부를 제2축(5)으로 축착하여, 버킷(A)을 회동자재하게 취부하고, 제2브라켓트(6) 후단부의 제5축(7)에 축착한 제2링크(8)와 제3축(4)에 축착된 제1링크(9)를 제4축(10)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그 제4축(10)에 제1유압실린더(11)의 제1피스톤롯드(12)의 선단을 연결하고, 협지아암(B)을, 그 브라켓트(13)앞단부를 제1브라켓트(2)의 앞부분에 제6축(14)에 의해 축착하여 회동자재하고 취부시키고 동시에 그 하부를 버킷(A)의 상면에 근접시키며, 그 협지아암(B)의 브라켓트(13)에 축착한 제3링크(15)와, 버킷(A)의 제2축(5)에 일정한 각도로 고정시킨 아암(16)을 제7축(17)으로 연결하거나, 협지아암(B)의 윗부분 앞에 제8축(18)에 의해 별도로 만들어진 제2유압실린더(19)의 제2피스톤롯드(20)선단을 연결하여, 전체로 구성한 것이다.
위위 설명에 있어서, 협지아암(B)은, 버킷(A)의 상면부 형상에 맞추어, 예를들어 측면형상을 거의“L”자형으로 형성하며, 또한 그 전체의 구성은 버킷(A)과 같은 모양인 양측판 및 밑판으로 구성하여도 좋고, 또 여러 매수의“L”자형판을 수직상태로 하여 같은 간격으로 옆방향으로 나란히 고정시켜 구성하여도 좋다.
협지아암(B)의 회동수단의 하나로 사용하는 제2유압실린더(19)는 기존의 유압식 배토굴삭기에 없는 것이므로 본 고안용으로 별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버킷(A)을 포함하는 굴삭장치의 작용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제3a~d도의 참조).
예를들어 트렉터쇼벨의 부움(도시되지 않음) 및 아암(1)을 조작하여 버킷(A)을 목적하는 위치에 이동시키고, 제1유압실린더(11)를 작동시키면, 당초 윗쪽으로 회동(윗쪽으로 약90°넓이)되어 있는 버킷(A)을 회동하강시키어 그 톱니부(22)를 아스팔트(23)포장면에 박아꽂고 이어서, 버킷(A)을 회동시키면, 톱니부(22)는 원호선상으로 진행하여, 아스팔트(23)하면과 예를들어 그 하층(24)흙, 콘크리트등의 사이에 진입한다.
계속하여, 버킷(A)을 회동전진시키면, 톱니부(22)-버킷부(a)가 아스팔트 하면을 따라서 진입하며 동시에 버킷부(a)의 저면(21)의 원호형상이 하층면(24)을 받침점(支點)으로 하여 지렛대식으로 작용하여 아스팔트(23)를 강력한 힘으로 들어올려 박리시키며, 조금더 버킷(A)을 회동전진시키면 박리되어 들어올려진 아스팔트(23)가 판상으로 파잔되어 버킷(A)위에 실리고 그 아스팔트파련을 실은 버킷(A)을 회도복귀시켜서 아스팔트조각을 배출하면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버킷(A)을 포함하는 굴삭장치는 상기와 같은 조작에의해 통상의 버킷을 포함하는 굴삭장치에 의해도 할 수 있는 흙, 기타의 굴삭, 배토작업도 당연히 할 수 있다.
또한, 협지아암(B)을 부설한 본 고안의 버킷(A)을 포함하는 굴삭장치의 실시예의 작용을 제4도 내지 제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버킷(A)과, 협지아암(B)을 회동시켜 닫아버린 상태이고, 또한 작업중이라면 아스팔트조각등을 버킷(A)으로 파내어 퍼담아서 그것을 협지아암(B)이 윗쪽으로부터 회동 하강되어 눌러 협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먼저, 제1피스톤롯드(12)를 후퇴시키면 제2링크(8)가 회동되고, 제1링크(9)가 제2축(5)을 중심으로 버킷(A)을 약90도 윗쪽으로 회동시켜 준다(윗쪽으로 약90도 벌어진다).
동시에, 버킷(A)과 협지아암(B)을 아암(16) 및 제3링크(15)로 연결한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A)이 약90도 윗쪽으로 회동되면 아암(16)이 앞쪽으로 회동되어 제3링크(15)를 앞쪽으로 눌러주며, 그 제3링크(15)가 제6축(14)을 중심으로 하여 협지아암(B)을 약80도 윗쪽으로 회동시켜준다(윗쪽으로 약80도 열린다).
또한, 제2유압실린더(19)를 사용한 구성에 있어서는, 버킷(A)의 윗쪽으로의 회동과 타이밍을 맞추어서 제8축(18)내에 연결한 제2피스톤롯드(20)를 후퇴시켜, 협지아암(B)을 제6축(14)을 중심으로 하여 약80도 윗쪽으로 회동시킨다(윗쪽으로 약 80도 벌린다).
상기 작용을, 아스팔트(23)포장의 굴삭, 배토작업에 대하여 설명하면(제4도 내지 제6도 참조).
버킷(A)과 협지아암(B)을 각각 윗쪽으로 회동시킨(열은)상태(제5도)에서, 트랙터쇼벨의 부움(도시되지 않음) 및 아암(1)을 조작하여 굴삭위치로 옮기고, 아암(1)을 하강시켜 아스팔트(23) 포장면에 버킷(A)의 톱니부(22)를 일으켜 세워서, 제1유압실린더(11)의 제1피스톤롯드(12)를 전진시키고, 버킷(A)을 조금씩 때맞추어 하강회동시켜서 아스팔트를 벗겨서 토양을 파올린다. 이때, 버킷(A)의 저면(21)이 원호형이기 때문에, 톱니부(22)는 아스팔트(23)를 뀀어 뚫어 놓은 후, 아스팔트(23)와 그 하층(24)의 사이클, 전방과 사방으로 향하여 원호형으로 회동진입하고 동시에 지면을 받침점으로 하여 지렛대의 작용을 하여 강력하게 아스팔트(23)를 박리시켜 들어올리기 때문에 아스팔트를 용이하고도 효율적으로 파올릴 수 있다.
협지아암(B)의 회동수단이 링크기구인 경우에는, 버킷(A)의 굴삭작용과 연동하여 협지아암(B)도 조금씩 때맞추어 하강회동한다.
그리하여, 제4도에 도시된 약90도의 회동위치에서 버킷(A)의 굴삭이 끝나며, 이때 협지아암(B)의 회동수단이 링크기구인 경우에는 하강회동이 완료되면, 버킷(A)의 굴삭종료와 타이밍을 맞추어 제2유압실린더(19)의 제2피스톤 롯드(20)를 전진시켜 협지아암(B)을 하강회동시켜, 버킷(A)이 파낸 아스팔트조각등을 윗쪽에서 조여눌려서 그 압력으로 파쇄하여 버킷(A)내에 수납하고 동시에 윗쪽에서 협지한다.
상기와 같이 조여눌려서 협지한 상태에서 아암(1), 부움을 조작하여, 아스팔트조각등을 목적위치, 예를들어 트럭의 짐받침위등에 옮기고 그 위치에서 제1피스톤롯드(12)또는 제2피스톤롯드(20)를 후퇴시켜서 버킷(A) 및 협지아암(B)을 각각 윗쪽으로 회동시켜 열어서 운반된 아스팔트 조각등을 배출하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버킷(A)을 포함하는 굴삭장치는 종래에 박리굴삭하기가 매우 어려웠던 포장아스팔트를 독창적인 버킷저면의 원호형상 구성에 의해 아스팔트와 그 하층사이에 톱니부끝이 회동진입하고 또 하층면을 받침점으로 하여 지렛대작용을 함으로써 극히 쉽고도 효율적으로 박리굴삭할 수 있는 커다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아스팔트포장의 굴삭, 배토작업시에 벗겨낸 아스팔트가 매우 두꺼운 조각인 것이라도 협지아암(B)으로 강력히 파쇄하여 취급하기 용이한 크기의 조각으로 함과 동시에 조여눌러 협지함으로써, 떨어뜨리지 않고 처리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더구나, 본 고안은 당연한 일이지만, 아스팔트포장의 굴삭, 배토작업에 한하지 않고 통상의 버킷에 의한 각종 작업, 예를들어 흙, 콘크리트 포장등의 굴삭, 배토, 건조물의 해체, 건조물의 해체, 정리등에서 이용할 수 있고, 특히 버킷으로 퍼올리기 어렵게 길다란 것이나 면적이 큰 것등이 뒤섞여 있는 현장작업에 매우 적합한 특징이 있다.

Claims (2)

  1. (a)아암(1) : (b) 제1축(3)주위를 회동하도록 상기 아암(1)에 장착된 제1브라켓트(2) : (c)제2축(5)주위를 회동하도록 상기 제1브라켓트(2)에 장착된 버킷(A) : (d)제1피스톤롯드(12)를 갖는 제1유압실린더(11) : (e)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가지는 제1링크(9) : (f)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가지는 제2링크(8) : (g)제6축(14)주위를 회동하도록 상기 제1버킷(A)에 장착된 협지아암(B) :(h)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가지는 제3링크(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에서 제1링크(9)의 제1단부는 상기 아암(1)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브라켓트(2)는 제3축(4)주위를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제1링크의 제2단부는 제4축(10)주위를 회동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링크(8)의 제1단부는 제4축(10)주위를 회동하도록 상기 제1피스톤롯드(12)에 장착되고 상기 제2링크(8)의 제2단부는 제5축(7)주위를 회동하도록 상기 버킷(A)위에 장착되며, 상기 제3링크(15)의 제1단부는 제7축주의(17)를 회동하도록 상기 협지아암(B)에 정착되고, 제3링크(15)의 제2단부는 제7축(17)주위를 회동하도록 상기 버킷(A)에 장착되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11)에 대해 상기 제1피스톤롯드(12)가 전진하면, 상기 버킷(A)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상기 아암(1)에 대해 회동하고, 상기 협지아암(B)은 협지아암(B)이 상기 버킷(A)에 대해 열려있는 제1위치에서, 협지아암(B)이 상기 버킷(A)에 대해 닫혀지는 제2위치로 상기 제1브라켓트(2)에 대해 회동하는 포장아스팔트 박리굴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a)상기 버킷(A)이 버킷부(a)와 제2브라켓트(6)로 구성되며, (b)상기 제2축(5), 상기 제5축(7) 및 상기 제7축(17)이 모두 상기 제2브라켓트(6)에서 회전축의 목부분이 되는 포장아스팔트 박리굴삭장치.
KR2019850011981U 1985-09-16 1985-09-16 포장아스팔트 박리굴삭장치 KR910001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981U KR910001055Y1 (ko) 1985-09-16 1985-09-16 포장아스팔트 박리굴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981U KR910001055Y1 (ko) 1985-09-16 1985-09-16 포장아스팔트 박리굴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305U KR870005305U (ko) 1987-04-23
KR910001055Y1 true KR910001055Y1 (ko) 1991-02-21

Family

ID=1924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1981U KR910001055Y1 (ko) 1985-09-16 1985-09-16 포장아스팔트 박리굴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0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305U (ko) 1987-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2329B2 (en) Single pointed ripper bucket excavation tool
US4476641A (en) Strata rock bucket
US6308440B1 (en) Excavation attachment for powered loader
CA1244064A (en) Ripping bucket arrangement
US3724899A (en) Tooth for backhoe bucket
US3305951A (en) Ditching tool
JPH0637083Y2 (ja) 舗装アスファルト剥離掘削用バケット
USRE33198E (en) Strata rock bucket
US5212897A (en) Trenching attachment for an earth moving bucket
ES2128481T3 (es) Excavadora hidraulica para un equipo de avence de galerias subterraneas.
US4271614A (en) Floating soil fracture tool
KR910001055Y1 (ko) 포장아스팔트 박리굴삭장치
WO2017136992A1 (zh) 一种多功能挖掘机
CN210342043U (zh) 一种土建基坑挖掘装置
JP2649703B2 (ja) ショベル系掘削機のフロントアタッチメント
GB2347921A (en) Excavator tool with cutting elements arranged on a convex surface
JP2536323Y2 (ja) 挾持アーム付舗装アスファルト剥離掘削用バケット
CN220814008U (zh) 一种建筑挖土装置
CN217896607U (zh) 建筑工程施工用的新型挖掘机挖铲
CN216515788U (zh) 一种新型实现取草功能的轮式装载机
JPS62284818A (ja) 鋼管杭の打設工法
KR200176043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굴삭기
JPS61207728A (ja) 油圧式開閉バケット装置
JPH10195911A (ja) 建設機械の掘削混合撹拌装置
JP3230183B2 (ja) 省力型深掘用ショ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