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787Y1 - 자동차용 절첩식 병걸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절첩식 병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787Y1
KR910000787Y1 KR2019880002084U KR880002084U KR910000787Y1 KR 910000787 Y1 KR910000787 Y1 KR 910000787Y1 KR 2019880002084 U KR2019880002084 U KR 2019880002084U KR 880002084 U KR880002084 U KR 880002084U KR 910000787 Y1 KR910000787 Y1 KR 910000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racket
bottle support
upper brack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2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452U (ko
Inventor
김정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2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787Y1/ko
Publication of KR890017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4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7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7Holders or handles for hanging up infusio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절첩식 병걸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의 평면도이고.
제2a도는 제1도의 정면도.
(b)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에 병지지대를 접은 상태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서 병지지대를 펼친 상태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병지지대의 측면도.
제8도는 기술에 따른 병지지대의 평면도.
제9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브래킷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병걸이 2,2′ : 상,하부브래킷
3 : 병지지대 4 : 천정
5 : 결합홈 5a : 곡면부
5b : 입구 6 : 걸림홈
7 : 오목부 8 : 다리부
9 : 절곡부 10 : 연장부
11 : 걸림고리 12 : 보울트
13 : 링게르병 14 : 걸이끈
15 : 매직테이프 51 : 차체
52 : 브래킷 53 : 걸림고리
54 : 병지지대 55 : 매직테이프
본 고안은 절첩식 병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급차등의 천정에다 고정시켜 링게르병을 걸어놓을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 에는 접어 천정에다 밀착시켜 놓을 수가 있어서 사람이 통행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된 자동차용 절첩식 병걸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급차등에서 링게르병이나 수혈병을 걸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병걸이는 제7도 내지 제9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내부의 차체(51)에 얇은 판형상으로 하부가 절곡성형된 “+”자 형의 브라켓(52)이 보울트등으로 고정설치되고, 이 브라켓(52)의 상단에 걸림고리(53)가 결합되며, 또한 이 브라켓(52)의 중앙부위에 판스프링 형상으로 된 한쌍의 U자형 병지지대(54)가 외팔보식으로 나사등에 의해 고정부착되는 한편, 상기 U자형 병지지대 (54)의 양단에는 소정의 접착력을 가진 매직테이프(55)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 병걸이에 링게르병이나 수혈병등을 걸고자할 경우, 먼저 상기 병지지대(54)내에 링게르병이나 수혈병을 삽입시킨 다음, 상기 테이프(55)로 병을 감싸서 지지하는 한편, 이 병에 부착된 걸이끈을 상기 걸림고리(53)에 걸어주어 병이 견고하게 병걸이에 지지되도록 해주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병걸이는 상기 걸림고리(53) 및 병지지대(54)가 천정이나 측벽으로 부터 차내부의 공간으로 항상 돌출된 상태로 고정설치 되어 있기 때문에 차내부의 좁은 공간을 통행할때 상기 병지지대(54)등에 머리가 부딪하게 되는 경우가 있게되어 통행에 불편을 끼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정에 부착된 브래킷에 걸림고리가 형성된 병지지대를 절첩할 수 있도록 결합시켜 사용할때에는 상기 병지지대를 펴서 사용하고, 사용치 않을 때에는 접어서 차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병지지대의 절첩과정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과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작은 힘으로 병지지대를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절첩식 병걸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브래킷에 “ㄱ”자형 결합홈과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고, 양끝쪽에 걸림고리가 각각 형성된 병지지대가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홈에 끼워져, 병걸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병지지대를 상기 홈속에서 브래킷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회동시켜 펼쳐서 매직테이프나 걸이끈을 이용하여 링게르병등을 매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병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천정과 평행을 이루도록 브래킷에 접어 밀착시켜 차내의 통행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병걸이(1)는 분할된 한쌍의 상,하부 브래킷(2,2′)에 병지지대(3)가 절첩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천정(4)등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상부브래킷(2)은 제1도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 4각형 플레이트로되어 그 한쪽 변에 한쌍의 결합홈(5)이 일정간격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이 결합홈(5)의 윗끝에는 걸림홈(6)이 상기 결합홈(5)과 수직을 이루도록 바깥쪽을 향하여 일정깊이로 파여져 있으며, 이 걸림홈(6)과 상기 결합홈(5)이 마주치는 연결부위에는 완만한 곡률을 갖는 곡면부(5a)가 형성되는 한편, 이 걸림홈(6)의 바깥쪽으로 상기 브래킷(2)의 중간부위에는 오목부(7)가 절곡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브래킷(2′)은 상부브래킷(2)을 천정(4)에 부착시켜 줄 때 끼워져 지지해 주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병지지대(3)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원형인 봉(棒)을 전체적인 형상이 U자형으로 되도록 절곡형성시킨 것으로서, 이 병지지대(3)은 아래로 길게 연장된 다리부(8)와, 이 다리부(8)의 윗쪽끝에서 수직되게 굽혀진 절곡부(9), 이 절곡부(9)로 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0)의 끝에는 걸림고리(11)가 상기 다리부(8)와 동일평면내에 위치되도록 원형으로 굽혀져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병지지대(3)의 절곡부(9) 및 연장부(10)는 상기 상부 브래킷(2)의 결합홈(5)과 걸림홈(6) 및 오목부(7)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브래킷(2′)을 매개로 보울트(12)등으로 차내부의 천정(4)에 고정설치해서 상기 병지지대(3)를 절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조립을 설명하면, 상부브래킷(2)에 형성된 결합홈(5)의 입구(5b)쪽으로 부터 병지지대(3)의 양쪽으로 벌어져 있는 다리부(8)을 약간 오무려 주면서 끼워주되, 이 병지지대(3)의 절곡부(9) 및 연장부(10)가 상부브래킷(2)의 걸림홈(6)및 오목부(7)에 안착되도록 결합시켜준 다음, 보울트(12)등으로써 차내부의 천정(4)등에 병지지대(3)가 결합된 상부브래킷(2)을 하부브래킷(2′)을 매개로 장착시켜주면 본 고안에 따른 병걸이(1)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병걸이(1)를 펼쳐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지지대(3)의 양쪽다리부(8)를 손으로 잡고 화살표B방향으로 들어 올려주면 병지지대(3)의 절곡부(9) 및 연장부(10)가 상부 브래킷(2)의 걸림홈(6) 및 오목부(7)내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절곡부(9)가 걸림홈(6)속으로 끼워지게 되는 데, 이때 이 절곡부(9)는 압축상태로 유지되던 병지지대(3)의 다리부(8)가 약간 벌어지면서 발생되는 미소한 탄력성에 의해 상부브래킷(2)의 곡면부(5a)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걸림홈(6)속으로 밀려 들어가 견고하게 끼워지게 된다.
이처럼 상기 병지지대(3)의 절곡부(9) 및 연장부(10)가 상부 브래킷(2)의 걸림홈(6)과 오목부(7) 및 곡면부(5a)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끼워져 있기 때문에, 이 병지지대(3)는 상기 상부브래킷(2)에 대해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이 병지지대(3)의 걸림고리(11)에 링게르병(13)에 부착한 걸이끈(14)을 걸어주고, 매직테이프(15)등으로써 이 링게르병(13)을 다리부(8)에다 묶어주면 구급차의 운행도중 차가 흔들거리더라도 상기 링게르병(13)이 견교하게 병걸이(1)에 걸려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병걸이(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설명에서와는 반대로 병지지대(3)의 다리부(8)를 화살표 A방향으로 밀어주면 상부브래킷(2)의 오목부(7)내에서 병지지대(3)의 연장부(10)가 회동됨과 더불어, 절곡부(9)가 브래킷(2) 곡면부(5a)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걸림홈(6)으로 부터 약간 후퇴되어져 빠져나오게 되므로 다리부(8)가 천정(4)과 평행하게 위치되면서 접혀지게 된다.
이때 병지지대(3)의 양쪽 다리부(8)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약간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면서 탄성력이 저장되어, 이 다리부(8)를 펼쳐줄때 복원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고안에 따른 병걸이(1)는 다리부(8)와 걸림고리(11)를 갖춘 병지지대(3)가 상부 브래킷(2)에 절첩될수 있도록 결합되어져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통행에 불편을 주지 않게 되는 한편, 상기 병지지대(3)에는 2개의 걸림고리(11)가 형성되어져 있어서 구급환자에게 필요한 여러 수액병을 동시에 매달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직4각 플레이트형상으로서 하단부에서 안쪽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홈(5)과, 이 결합홈(5)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걸림홈(6)및, 이 걸림홈(6)을 포함하여 인접되는 측단부까지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오목부(7)로 구성되는 상부브래킷(2)과: 이 상부브래킷(2)과 보울트(12)등을 매개로 결합되는 하부브래킷(2′)및: U자형상의 다리부(8)와, 이 다리부(8) 상단부에 각각 좌우로 형성된 환형의 걸리고리(11)로 구성되면서 상기 상부브래킷(2)의 결합홈(5)에 회동될수 있도록 결합되는 병지지대(3)로 구성된 자동차용 절첩식 병걸이.
KR2019880002084U 1988-02-15 1988-02-15 자동차용 절첩식 병걸이 KR910000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084U KR910000787Y1 (ko) 1988-02-15 1988-02-15 자동차용 절첩식 병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2084U KR910000787Y1 (ko) 1988-02-15 1988-02-15 자동차용 절첩식 병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452U KR890017452U (ko) 1989-09-06
KR910000787Y1 true KR910000787Y1 (ko) 1991-02-08

Family

ID=1927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2084U KR910000787Y1 (ko) 1988-02-15 1988-02-15 자동차용 절첩식 병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7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452U (ko) 198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4714A (en) Foldable purse hanger and whistle
RU1805907C (ru) Электропылесос
US4635889A (en) Drapery support system with decorative rod end support structure
US3211295A (en) Foldable hanger
JP2000043942A (ja) サスペンションパッケ―ジ
US5499789A (en) Anti rotation sign hanging system
KR960011231A (ko) 발판 부재와 수납 걸이를 구비한 관 및 케이블 걸쇠
KR910000787Y1 (ko) 자동차용 절첩식 병걸이
US2833502A (en) Lamp bracket holder
US5950845A (en) Flush mounted valet
US2045007A (en) Curtain suspension device
KR890001499A (ko) 옷걸이 지지장치
JPH0511977B2 (ko)
US2604286A (en) Plate hanger
KR940005945Y1 (ko) 걸이구
JPH0246787Y2 (ko)
JP2529982Y2 (ja) 折畳み扉装置
JPS585574Y2 (ja) ハンガ−
JPH02128091U (ko)
JPH0740440Y2 (ja) 自動車等のシートベルトのシートベルトカバー
JPS6317398Y2 (ko)
JPH10108998A (ja) クリップ収納式角ハンガー
JPS59209202A (ja) 照明器具等の起立支持装置
JPS6324689B2 (ko)
KR970001092A (ko) 접이식 트렁크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