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320Y1 - 무선전화기의 인터콤 호출 신호 수신 회로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인터콤 호출 신호 수신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320Y1
KR910000320Y1 KR2019860007064U KR860007064U KR910000320Y1 KR 910000320 Y1 KR910000320 Y1 KR 910000320Y1 KR 2019860007064 U KR2019860007064 U KR 2019860007064U KR 860007064 U KR860007064 U KR 860007064U KR 910000320 Y1 KR910000320 Y1 KR 910000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call signal
call
unit
interc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9213U (ko
Inventor
한종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7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320Y1/ko
Publication of KR8700192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92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3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인터콤 호출 신호 수신 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증폭부 15 : 트랩부
20 : 정류부 25 : 구동부
Q1-Q4: 트랜지스터 R1-R10: 저항
C1-C7: 콘덴서 IC1: 오디오 집적소자
D1,D2: 다이오드 SW1,SW2: 스위치
본 고안은 무선 전화기에 설치된 인터콤(INTERCOM)회로의 인터콤 호출 신호를 오동작 없이 정확히 수신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전화기의 인터콤 호출 신호 수신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무선 전화기의 핸드 셋트를 마음대로 들고 다닐 수 있기 때문에 핸드 셋트와 베이스 셋트간에 서로 대화가 필요할 경우에는 직접 찾아가거나 또는 큰소리로 불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보통의 무선 전화기는 핸드셋트와 베이스 셋트간에 서로를 호출할 수 있는 인터콤 기능을 내장시키고 있다.
그러나 호출신호는 무선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인터콤용 스피커에서 전화도중에 이상잡음이 발생하기도 하고 또한 핸드셋트에서 호출 신호를 출력시켜도 베이스 셋트에서는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뿐 아니라 인터콤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때에도 외부 노이즈에 의하여 스피커에서 잡음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핸드셋트에서 발생된 인터콤 호출신호를 오동작없이 정확하게 수신하여 스피커로 출력시킬 수 있는 무선 전화기의 인터콤 호출 신호 수신회로에 관한 것으로 핸드셋트의 인터콤 호출 신호를 베이스 셋트에서 수신하여 이를 증폭하고 호출 신호 주파수만 통과시켜 정확한 인터콤 호출 신호 수신시에만 스피커를 구동시켜 주어 인터콤 신호음이 스피커로 출력되게 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콤 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회로에 있어서, 핸드셋트로부터 송신된 신호음을 가청주파수로 출력시키는 베이스 셋트의 오디오 집적소자(IC1)와, 상기 오디오 집적소자(IC1)의 출력신호음을 증폭시키고 증폭이득을 조정하는 증폭부(10)와, 상기 증폭부(10)의 출력신호음중 호출신호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트랩부(15)와, 상기 트랩부(15)를 통과한 호출 신호를 정류시키는 정류부(20)와, 상기 정류부(20)의 정류 출력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2)(Q3)(Q4)가 연속적으로 구동되고 스피커(SP)가 일측을 접지시키는 구동부(25)와, 상기 오디오 집적소자(IC1)의 출력 신호음을 스피커(SP)로 인가시키고 스피커(SP)의 일측을 접지시키는 연동되는 스위치(SW1)(SW2)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핸드셋트에서 송신된 신호음을 베이스 셋트의 중간 주파수 증폭기를 거치고 오디오 집적소자(IC1)의 출력은 콘덴서(C3)(C4)를 거쳐 트랜지스터(Q1)와 저항(R3-R5)으로 구성된 증폭부(10)에 인가되어 증폭된 후 콘덴서(C5)와 코일(L)로 구성된 트랩부(15)에서 원하는 호출신호 주파수만 통과시키게 구성한다.
또한 트랩부(15)의 출력이 콘덴서(C6)를 거쳐 다이오드(D1)(D2)로 구성된 정류부(20)에서 정류된 후 구동부(25)의 저항(R6)(R7)과 콘덴서(C7)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구성하여 트랜지스터(Q3)(Q4)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도록 구동부(25)를 구성하므로써 핸드셋트의 호출신호가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4)의 도통으로 스피커(SP)를 동작시키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스피커(SP)의 호출음을 듣고 인터콤 기능을 사용할 경우 연동되는 스위치(SW1)(SW2)를 인터콤 위치로 하면 오디오 집적소자(IC1)의 출력으로 스피커(SP)를 구동시킬 수 있어 인터콤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인터콤이 끝나면 연동되는 스위치(SW1)(SW2)를 전화위치로 하면 전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미설명 부호 2는 전화선 출력 단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베이스 셋트와 멀리 떨어진 핸드 셋트에서 인터콤 기능을 행하고자 할 경우 우선 핸드 셋트의 호출 버튼을 누르면 특정 주파수의 호출신호가 무선신호로 변조되어 베이스 셋트로 송신되게 되고 베이스 셋트에서는 수신된 무선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복조한 후 입력단자(1)를 통하여 오디오 집적소자(IC1)의 단자(2)는 접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집적소자(IC1)는 단자(3)로 입력된 호출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호출 신호로 단자(7)에서 출력시키게 되며 오디오 집적소자(IC1)에서 출력된 호출신호는 저항(R1)과 콘덴서(C1) 및 스위치(SW1)의 전화단자를 통하여 스피커(SP)에 인가됨과 동시에 콘덴서(C3)(C4)를 통하여 증폭부(10)에 인가되게 된다.
이때 연동되는 스위치(SW1)(SW2)는 평상시 전화 통화를 위하여 전화단자로 절환시켜 놓게 된다.
한편 증폭부(10)에 인가된 호출 신호는 트랜지스터(Q1)에 의해 충분히 증폭되게 되며 이때 트랜지스터(Q1)에 에미터 저항(R5)에 의하여 증폭 이득을 조정할 수 있어 호출 신호의 크기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증폭부(10)에서 증폭된 호출 신호는 트랩부(15)를 통하여 필요없는 주파수는 제거되고 일정 주파수의 호출 신호만인 통과되게 되며 트랩부(15)를 통과한 호출 신호는 정류부(20)에서 정류되게 된다.
따라서 핸드 셋트에서 송신된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한하여 정류부(20)에서는 상기 호출 신호를 정류시켜 일정 직류 전압을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시키게 되고 호출 신호 이외의 잡음 신호는 트랩부(15)에서 차단되게 되므로 정류부(20)에서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직류전압을 인가시키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호출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일정직류전압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가 도통하게 되고 트랜지스터(Q2)가 도통하면 트랜지스터(Q3)가 도통하여 트랜지스터(Q4)를 도통시키게 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4)가 도통하면 스위치(SW1)를 통하여 스피커(SP)로 인가되는 핸드셋트의 호출신호가 트랜지스터(Q4)를 통하여 접지로 흐르게 되어 스피커(SP)가 동작하게 된다.
즉 트랜지스터(Q4)가 부도통하거나 스위치(SW2)를 전화단자로 절환시키면 스피커(SP)의 전류 통로가 형성되지 않아 스피커(SP)는 동작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핸드 셋트의 호출 신호가 인가되는 동안에는 이를 증폭부(10)에서 증폭시키고 트랩부(15)에서 호출신호이외의 주파수는 제거시킨 후 호출신호를 정류부(20)에서 정류시켜 구동부(25)의 트랜지스터(Q4)를 도통시킴으로써 오디오 집적소자(IC1)에서 출력되는 호출 신호가 스위치(SW1)의 전화단자를 통하고 스피커(SP)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4)로 흐르게 되므로 스피커(SP)는 동작되어 호출 신호를 울리게 된다.
즉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에는 트랜지스터(Q4)가 도통되어 스피커(SP)로 호출음을 출력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 셋트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스피커(SP)의 호출음을 듣고 인터콤 통화를 하기 위해서 연동되는 스위치(SW1)(SW2)를 인터콤 단자로 절환시키면 도시되지 아니한 베이스 셋트의 마이콤에서 이를 인식한후 핸드셋트에 호출신호 중지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어 핸드셋트에서는 더 이상 호출 신호를 송신하지 않게 되고 이때부터 인터콤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핸드 셋트로부터 호출신호가 인가되지 않게 되면 트랩부(15)를 통과하는 호출 신호가 없게 되어 구동부(25)의 트랜지스터(Q4)는 부도통하게 되나 스위치(SW2)를 인터콤 단자로 절환시켰기 때문에 스피커(SP)는 동작 상태를 유지하여 핸드 셋트에서 송신된 통화음이 오디오 집적소자(IC1)에서 출력되어 콘덴서(C3)를 통하고 스위치(SW1)의 인터콤 단자를 통하여 스피커(SP)로 출력되게 되므로 베이스 셋트를 이용하는 사람은 핸드셋트 이용자가 말하는 통화음을 스피커(SP)를 통하여 들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 셋트를 이용하는 사람의 통화음은 도시되지 아니한 일반 무선 전화기 회로를 통하여 핸드셋트로 송신되어 핸드 셋트 이용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이와같은 인터콤 통화가 끝나게 되면 연동되는 스위치(SW1)(SW2)를 전화단자로 절환시킨다.
즉 스위치(SW1)(SW2)가 전화단자로 절환되면 스피커(SP)는 더 이상 동작되지 않게 되고 대기 상태가되며 핸드셋트에서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할 경우에는 핸드셋트의 전화 통화음이 베이스셋트의 오디오 집적소자(IC1)에서 출력되어 전화 출력단자(2)를 통한 후 일반적인 무선전화기 회로에 인가되어 전화선을 통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전화 통화중에는 스위치(SW2)가 전화단자로 절환되고 또한 호출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트랜지스터(Q4)가 부도통되어 스피커(SP)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드셋트의 호출 신호가 오디오 집적소자(IC1)를 거치고 증폭부(10)에서 증폭된 후 트랩부(15)를 거쳐 호출 신호만 정류부(20)에서 정류시키게 구성하여 구동부(25)의 트랜지스터(Q4)를 구동시킴으로써 스피커(SP)의 일측을 접지 상태로 만들어 핸드 셋트의 호출신호가 스위치(SW1)를 통한 후 스피커(SP)를 통하여 출력되게 하고 호출음을 듣고 연동되는 스위치(SW1)(SW2)를 인터콤 단자로 절환시키게 되면 스위치(SW2)에서 스피커(SP)의 일측을 접지 상태로 만들어 핸드셋트의 인터콤 통화음이 스위치(SW1)를 통한 후 스피커(SP)를 통하여 출력되게 하므로써 인터콤 통화가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인터콤 통화후에 스위치(SW1)(SW2)를 전화단자로 절환시키면 일반적인 무선전화기의 전화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본 고안은 트랩부에서 인터콤 호출 신호만 통과시켜 이를 정류부에서 정류시킨 후 구동부를 동작시켜 인터콤 호출 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되게 한 것으로써 핸드셋트의 호출 신호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는 통과하지 못하여 잡음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호출 신호 수신시에만 정확하게 동작되는 효과가 있어 제품의 고급화 및 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인터콤 기능이 내장된 무선전화기 회로에 있어서, 핸드셋트로부터 송신된 신호음을 가청주파수로 출력시키는 오디오 집적소자(IC1)와, 상기 오디오 집적소자(IC1)의 출력신호음을 증폭시키고 증폭이득을 조정하는 증폭부(10)와, 상기 증폭부(10)의 출력 신호음중 호출 신호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트랩부(15)와, 상기 트랩부(15)를 통과한 호출 신호를 정류시키는 정류부(20)와, 상기 정류부(20)의 정류 출력으로 트랜지스터(Q2)(Q3)(Q4)가 구동되어 스피커(SP)의 일측을 접지시키는 구동부(25)와, 상기 오디오 집적소자(IC1)의 출력 신호음을 스피커(SP)에 인가시키고 상기 스피커(SP)의 일측을 접지시키는 스위치(SW1)(SW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인터콤 호출 신호 수신 회로.
KR2019860007064U 1986-05-20 1986-05-20 무선전화기의 인터콤 호출 신호 수신 회로 KR910000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064U KR910000320Y1 (ko) 1986-05-20 1986-05-20 무선전화기의 인터콤 호출 신호 수신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064U KR910000320Y1 (ko) 1986-05-20 1986-05-20 무선전화기의 인터콤 호출 신호 수신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9213U KR870019213U (ko) 1987-12-28
KR910000320Y1 true KR910000320Y1 (ko) 1991-01-18

Family

ID=1925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064U KR910000320Y1 (ko) 1986-05-20 1986-05-20 무선전화기의 인터콤 호출 신호 수신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3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9213U (ko) 198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467B1 (ko) 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4523058A (en) Ringer signal wave shaping circuit
KR910000320Y1 (ko) 무선전화기의 인터콤 호출 신호 수신 회로
GB2076264A (en) A voice switch for hands free communication apparatus
JPH0238530Y2 (ko)
KR890003426Y1 (ko) 무선전화기로 사용 가능한 무선인터폰 회로
WO2000051314A1 (fr) Dispositif telephonique de vehicule
KR200181945Y1 (ko) 착신검출에 의한 자동절환이 가능한 휴대용 오디오 기기및 무선전화기 공용 핸즈프리장치
KR200175238Y1 (ko) 텔레비전의 음소거 기능을 갖는 전화기
KR960010574Y1 (ko) 음소거 기능을 가진 전화기회로
KR940004459B1 (ko) 자동차전화기의 쌍방향 통신을 위한 핸드프리 회로 및 제어방법
JP4368064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2674645B2 (ja) インターホーン付コードレス電話機
KR800000736Y1 (ko) 전화기의 다이얼 신호 증폭장치
JPS6348998Y2 (ko)
JPS6127238Y2 (ko)
JPH0354452Y2 (ko)
JP2536208B2 (ja) 電話器
JPH0342768Y2 (ko)
KR950009216Y1 (ko) 무선전화기용 고정장치의 데이타 국선 송출억제 회로
KR950000464Y1 (ko) 무선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조절 장치
KR850002666Y1 (ko) 전화기의 대기음 발생장치
KR840002418B1 (ko) 헤드폰 장치
JPS6338438U (ko)
JPH0425226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