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260Y1 - 콘넥터의 가변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콘넥터의 가변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260Y1
KR910000260Y1 KR2019870022696U KR870022696U KR910000260Y1 KR 910000260 Y1 KR910000260 Y1 KR 910000260Y1 KR 2019870022696 U KR2019870022696 U KR 2019870022696U KR 870022696 U KR870022696 U KR 870022696U KR 910000260 Y1 KR910000260 Y1 KR 910000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ubstrate
connection
elastic
sold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2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434U (ko
Inventor
임종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2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260Y1/ko
Publication of KR8900154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4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2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넥터의 가변 접속장치
제1도는 종래의 접속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동 조립상태의 종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콘넥터의 접속 상태 발췌 정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속단자 4 : 기판
11 : 접속돌기 12 : 탄성편
13 : 납땜편 14 : 절곡부
22 : 접속핀
본 고안은 콘넥터의 가변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콘넥터의 접속핀을 직접 기판에 납땜 접속하지 않고, 별도로 제작하여 기판에 고정시킨 가변 접속단자의 스프링탄성을 이용하여 간편히 접속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가변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테레비젼세트등의 기판에 콘넥터를 접속할 때,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판(4)상에 직접 접속핀(22)을 납땜하여 접속하였는데, 이러한 경우에 구조상 접속핀(22)과 기판면과의 높이차에 의해 납땜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어려웠으며, 또 콘넥터(2)가 하부케이스(3)로부터 깊이 삽입될 경우에는 인접해 있는 다른 부품에 접촉될 염려가 있었음은 물론 취급시 부주의로 충격을 주었을 때 납땜부(6)를 이루고 있는 접속핀(22)주위의 판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고장수리등을 실시할때에는 납땜부(6)를 다시 제거해야 되는 등 많은 결함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결함들을 해소하기 위해 기판상에 가변접속단자를 부착하여 콘넥터의 접속핀을 이 가변접속단자의 자체스프링 탄성을 이용하여 접속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납땜고정 방식에 의한 문제점들이 해결되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형상으로 만곡되게 상향 절곡시킨 중간부분을 적정간격으로 수직 절개하여 수개의 절곡부(14)가 격리 형성되게 하고 이들 절곡부중 외측의 절곡부는 그 상단을 절단하여 좌, 우한쌍의 탄성편(12)이 형성되게 하며, 이들 탄성편의 상측부에는 각기 접속돌기(11)를 내측으로 돌출시킨 판상의 접속단자(1)를 그 양측단에 하향절곡시킨 납땜편(13)을 기판(4)에 형성한 안내홈(42)의 양측에 뚫은 삽입공(43)을 관통하게 끼워 하부로 노출된 하단부를 납땜(41)시켜 고정하고, 상기 기판(4)의 각 안착면(33)에는 고무패킹(31)을 결합하며, 하부케이스(3)의 측벽에는 나사구멍(34)을 뚫어 설치하여 접속핀(22)이 돌출된 콘넥터(2)를 자체의 나사부(21)로 체결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5”는 상부 케이스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하부케이스(3)의 내측 각 안착면(33)에는 고무패킹(31)이 결합되어 있어 기판(4)이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받쳐주는 것으로 콘넥터(2)를 나사구멍(34)에 끼워 체결하면 접속핀(22)이 접속단자(1)의 양측 탄성편(12)사이에 접속되는데, 이때 접속핀(22)은 탄성편(12)자체의 탄성과 내면으로 돌출시킨 접속돌기(11)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접속되는 것이다.
한편, 콘넥터(2)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나사구멍(34)에 체결된 나사부(21)를 풀어 주기만 하면 접속핀(22)이 접속단자(1)의 탄성편(12)사이에서 용이하게 빠져나오게 되므로 분해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이에 따라 작업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접속단자(1)의 납땜편(13)이 기판(3)의 삽입공(43)을 관통되어 그 하부가 납땜(41)에 의하여 고정 결속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충격에 의하여 납땜부위가 떨어져 나가게 되는 폐단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접속상태가 양호한 콘넥터의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형상으로 만곡돌출되게 상향 절곡시킨 중간 부분을 적정간격으로 수직 절개하여 수개의 절곡부(14)가 격리 형성되게 하고 이들 절곡부중 외측의 절곡부는 그 상단을 절단하여 좌,우한쌍의 탄성편(12)이 형성되게 하며, 이들 탄성편의 상측부에는 각기 접속돌기(11)를 내측으로 돌출시킨 판상의 접속단자(1)를 그 양측단에 하향절곡시킨 납땜편(13)을 기판(4)의 삽입공(43)에 관통되게 끼워 하부로 노출되는 하단부를 납땜하여 기판(4)에 고정설치함으로써, 콘넥터(2)를 체결하면 그 선단의 접속핀(22)이 상기 탄성편(12)의 탄성과 접속돌기(11)에 의해 확실하게 접속단자(1)에 접속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콘넥터의 가변접속장치.
KR2019870022696U 1987-12-22 1987-12-22 콘넥터의 가변 접속장치 KR910000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696U KR910000260Y1 (ko) 1987-12-22 1987-12-22 콘넥터의 가변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696U KR910000260Y1 (ko) 1987-12-22 1987-12-22 콘넥터의 가변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434U KR890015434U (ko) 1989-08-12
KR910000260Y1 true KR910000260Y1 (ko) 1991-01-18

Family

ID=1927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2696U KR910000260Y1 (ko) 1987-12-22 1987-12-22 콘넥터의 가변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2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434U (ko) 198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59821A (ja) 印刷回路板表面実装デバイス
JPH06260242A (ja) フローティング構造の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法
JPH0338710B2 (ko)
US4534611A (en) Contact springs
JPS5811076B2 (ja) 電気接続子組立体
KR850005030A (ko) 표면 설치형 커넥터
JPH0465504B2 (ko)
GB2265768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30071629A (ko) 접점가이드 유지장치
KR910000260Y1 (ko) 콘넥터의 가변 접속장치
JPH0471315B2 (ko)
US5273461A (en) Electronic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electronic module to a printed circuit board
US4681391A (en) Electric connector
KR100532146B1 (ko) 도킹-형태의 중간 커넥터
JPH0119338Y2 (ko)
KR870003283Y1 (ko) 이중접점 구조를 갖춘 거취형 콘넥터
JPS5829570Y2 (ja) ソケツト
JP2562081Y2 (ja) 印刷配線板接続装置
KR200392611Y1 (ko)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핀
KR880001642Y1 (ko) 기판 삽입용 콘넥터
KR920003399Y1 (ko) 기판연결용 코넥터
SU1668753A1 (ru) 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KR940004192B1 (ko) 두개의 기판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개량된 전기커넥터
JPS6017792Y2 (ja) 電気接続子
KR920007787Y1 (ko) 기판설치용 원형코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