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175B1 - 정향 구동기 - Google Patents

정향 구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175B1
KR910000175B1 KR1019880012119A KR880012119A KR910000175B1 KR 910000175 B1 KR910000175 B1 KR 910000175B1 KR 1019880012119 A KR1019880012119 A KR 1019880012119A KR 880012119 A KR880012119 A KR 880012119A KR 910000175 B1 KR910000175 B1 KR 910000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fixed
rotation
ma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097A (ko
Inventor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이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희 filed Critical 이광희
Priority to KR1019880012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175B1/ko
Publication of KR900005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향 구동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지지 축관을 생략한 요부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요부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 A-A선 단면 표시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부분의 별도 실시예의 단면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대 1' : 지지축관
2 : 주동축 2' : 핸들
3 : 고정축간 4,5,5' : 기어
6,6' : 베어링 7,7' : 클러치 베어링
8 : 내접 링기어 9 : 스플라인휠
10 : 볼트 11 : 케이스
본 발명은 주동축에 어떤 방향에서 회전력을 가하면 종동축과 연동되는 스플라인휠은 항시 일정 방향성의 정회전만 하도록한 정향(正向) 구동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동축의 회전 방향이 정회전을 하던 역회전을 하던 또는 족탑식으로 정역 반회전을 하던 종동휠의 회전 방향은 항시 일정 방향성의 정회전만 하는 정향 구동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의 각종 구동장치는 종동축(휠)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 시키기 위해서는 이에따른 구동장치를 정회전 방향의 구동장치로서만 가능하고 역방향을 종동휠의 정회전 방향성으로 전환시킬수는 없었던 것이다.
특히 기계 공업의 발전과 함께 주동축의 회전방향이 어떤 방향으로 회전하던 종동축(휠)의 회전방향은 항상 일정 방향성으로 구동되게 하는 기구가 필요로 하고 있으나 이에 적합한 구동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힘의 손실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예컨데 자전거와 같은 경우는 페달을 360도 정역회전 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족탑식으로 90도 이내로 반회전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90도 회전 역시 정회전과 역회전을 시키므로서 운전자의 근육운동의 방향 전환으로 피로감 회복이나 힘의 이동을 꾀하고 있으나 이때의 역회전 과정의 힘을 정회전 방향성으로 전환시킬 수 없기 때문에 힘의 손실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주동축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정역 회전이나 정역 반회전을 종동휠의 정방향성 회전으로 전환되게 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대(1)의 축공에는 주동축(2)이 축설되고 주동축(2)의 외측에는 핸들(2')이 부착되며 주동축(2)의 내측에는 한방향 클램핑과 반대방향 슬림핑하는 클러치 베어링(7)(7')을 개재시킨 기어(4)와 스플라인휠(9)이 축설되어 있으되 기어(4)와연동되는 기어(5')에는 기어(5)가 일체로 고정되어 베어링(6')을 개재시킨 축간(3)에 축설되어 있으며 이 축간(3)은 지지대(1)에 고정되고 기어(5)는 스플라인휠(9)과 일체로 고정된 내접 링기어(8)와 연동되게 하며 지지대(1)의 일측에는 축관(1')이 볼트(10)에 의해 체착 되어진 규조이다.
이상과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동축(2)을 정회전 시키면 좌측 클러치 베어링(7)과 스플라인휠(9)은 같은 방향으로 정회전하고 주동축(2)을 역회전 시키면 우측 클러치 베어링(7')과 기어(4)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기어(4)와 연동되는 기어(5') 및 이기어(5')와 일체로 고정된 기어(5)는 역회전됨과 동시 기어(5)와 연동되는 내접링기어(9) 및 스플라인휠(9')은 정회전 한다.
즉 주동축(2)의 회전방향이 정회전 또는 정역 반회전을 하더라도 스플라인휠(9)은 항시 일정 방향성의 정회전만 하게 된다.
그리고 주동축(2)의 회전 방향을 앞서와 반대로 역회전 하고자 할시는 클러치 베어링(7)(7')을 서로 바꾸어 놓으면 되고 대형 구동장치를 할 때는 제4도 표시와같이 지지대(1)의 고정축간(3)을 3개로 구성하여 이축간(3)에 기어(5)(5')를 각각 축착하여 내접링기어(8)와 연동되게 하면 구동 물체가 비교적 큰 경우에도 안정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예컨대 자전거의 경우는 운전자가 두발로서 페달을 앞으로 회전 시키던 뒤로 회전 시키던 또는 족탑식으로 하여 앞으로 밟던 뒤로 밟던 추진 바퀴는 항상 앞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장거리를 달릴 때 다리의 피로를 풀기 위하여 또는 힘의 이득을 얻기 위하여 페달이 회전운동을 다양하게 변경하여도 추진 방향은 항상 일정한 것이다.
그리고 페달을 작옹하지 않고 전진하는 경우나 내리막길과 같은 곳에서의 클러치 베어링(7)(7')의 특성에 의해 슬리프 형성이 되므로 주행에는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는다.
이상과같이 본 발명은 주동축의 회전 방향이 정회전을 하던 역회전을 하던 또는 족탑식으로 정역반회전을 하던 스플라인휠(9)의 회전 방향은 항상 일정 방향으로 정방향성을 갖고 회전되게 하였기 때문에 이용 범위가 넓어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지지대(1)의 축공으로 축설된 주동축(2)의 일측에 클러치 베어링(7')을 개재시킨 기어(4)와 클러치 베어링(7)을 개재시킨 스플라인휠(9)이 축설되고 기어(4)와 연동되는 기어(5')를 일체로 고정한 기어(5)는 축간(3)에 축착되어 스플라인휠(9)과 일체로 고정된 내접링기어(8)와 연동 되게한 정향 구동기.
KR1019880012119A 1988-09-19 1988-09-19 정향 구동기 KR910000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2119A KR910000175B1 (ko) 1988-09-19 1988-09-19 정향 구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2119A KR910000175B1 (ko) 1988-09-19 1988-09-19 정향 구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097A KR900005097A (ko) 1990-04-13
KR910000175B1 true KR910000175B1 (ko) 1991-01-21

Family

ID=1927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119A KR910000175B1 (ko) 1988-09-19 1988-09-19 정향 구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1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097A (ko) 199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678A (ko) 축방향으로 조절가능한 자동차 핸들축
CA2443808A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4398740A (en) Chain drive for a bicycle
US20030034627A1 (en) Bi-directional pedaling system
KR970042078A (ko) 자전거의 변환 전진구동 주행장치
US4771636A (en) Transmission apparatus
KR910000175B1 (ko) 정향 구동기
US3922005A (en) Occupant-propelled vehicle and drive system therefor
US2693119A (en) Change speed sprocket for bicycles
SE8703091L (sv) Hydrodynamiskt-mekaniskt drev
RU93020214A (ru) Способ стабилизации крутящего момента на ведущих колесах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устройство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WO1989011603A1 (en) Axle-controlled, positive differential
US4187731A (en) Variable speed traction transmission
KR910003786Y1 (ko) 자전거의 추진장치
DE3868050D1 (de) Stufengetriebe fuer kraftfahrzeuge.
KR100373068B1 (ko) 자전거용 구동장치
JPS5836902Y2 (ja) 二方向フリ−ホイ−ル
KR910000461A (ko) 동력조향장치
KR980001699A (ko) 자전거 전동장치
WO1993006380A1 (en) Bicycle hub incorporating hyperboloidal clutch
KR200485422Y1 (ko) 보조추진장치를 갖는 자전거
US498172A (en) Bicycle
JPH1182680A (ja) 差動制限装置
US1261721A (en) Speed-changing gear.
KR200146478Y1 (ko) 자전거의 전진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