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114Y1 - 담배불의 자동소화장치 - Google Patents

담배불의 자동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114Y1
KR910000114Y1 KR2019900016171U KR900016171U KR910000114Y1 KR 910000114 Y1 KR910000114 Y1 KR 910000114Y1 KR 2019900016171 U KR2019900016171 U KR 2019900016171U KR 900016171 U KR900016171 U KR 900016171U KR 910000114 Y1 KR910000114 Y1 KR 910000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groove
cigarette
uni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6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내원
Original Assignee
이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내원 filed Critical 이내원
Priority to KR2019900016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1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1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24F19/14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extinguishers

Landscapes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담배불의 자동소화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소화기구 유니트를 중심으로 나타낸 부분절결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소화기구 유니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종단면도로서, (a)는 저면이 막힌 상태, (b)는 관통된 실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한 소화기구 유니트를 사용하여 제작된 재떨이를 예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한 유니트를 사용하여 제작된 다른 형태의 재떨이를 예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VI-VI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화기구 유니트 1a,5d : 요홈
5 : 본체 5a : 돌출단부
5b : 요홈부 5c : 개공
6 : 소화부재 6a,7a : 돌출단
6b : 개방구 6c : 결합홈
7 : 받침판
본 고안은 담배불의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담배의 연소시에 주위공기중에 산소가 자연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인위적으로 차단 내지 감소시켜 담배불을 자동적으로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담배불을 소화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재떨이에 담배를 손으로 비벼끄거나 아니면 단순히 재떨이에 미리 마련해 놓은 모래층에 꽂고 산소의 공급을 막아 담배를 끄는 방법 또는 재떨이에 물을 미리 담아놓고 물에 담가 끄는 방법정도가 고작이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소화방법 중 손으로 비벼끄는 방법은 타고 남게되는 재가 손에 묻거나 아니면 바람에 날려 주위환경을 더럽히는 비위생적인 면이 있고 별도의 마련된 모래층에 연소중인 담배를 꽂아 끄는 방법은 청소하는데 불편하고 주로 공공장소에나 사용할 수 있는 대형의 재떨이에나 적용이 가능하므로 개인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재떨이에 미리 물을 담아 놓고 물을 적셔 소화시키는 방법은 완전하게 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재떨이에 여러개가 쌓이는 경우 물에는 담배로부터 유출되는 니코틴이나 타르가 직접배어 나오게 되고 내부가 지저분하게 되어 청소가 불편하고 위생상 바람직하지 아니한 단점이 있다.
또한 국내 공개실용신안번호 제85-8244호가 있으나 이는 본체상부에 턱이 돌설되어 있는 소화홀을 다수 형성시켜 본체 하부에 결합시켜 사용될 수 있는 것인데 이는 소화홀의 저면에 뚫려 있는 상태라서 담배를 소화홀에 끼워놓아도 저면을 통한 공기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아 일정시간 경과하여도 담배가 계속 연소되어 소화하고자 하는 본래의 목적을 충족시켜 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제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의 공급을 차단 내지 감소시켜 연소중인 담배를 효율적으로 소화시킬 수 있는 소화기구 유니트를 이용하여 대형 또는 소형, 그 크기에 관계없이 제작할 수 있고 담배의 소화기능과 함께 소화된 담배를 손쉽게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담배불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의 소화원리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소화기구 유니트(1)의 내측엔 담배(2)의 지름에 알맞은 지름을 갖는 소화용 요홈(1a)을 깊숙히 형성하여 연소중인 담배(2)를 상기 요홈(1a)에 깊숙히 끼워놓으면 담배(2)와 요홈(1a)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담배(2)의 연소부까지 전달되는 량이 미미하게 되므로 자연적으로 소화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2도는 전술한 소화기구유니트(1)의 외형을 나타낸 것으로 내부 소화용 요홈(1a)의 형태는 제3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면이 막힌 상태로 만곡형성하여 제작될 수도 있고 제3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관통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제3a도 및 (b)에 도시한 유니트(1)의 요홈(1a) 상부엔 입구부가 만곡형성 된다.
제4도는 본 고안인 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4각형태의 외주돌출부(3a)를 일체로 형성한 본체(3)의 내부 중심에 다수의 유니트 결합홈(4a)을 형성한 원통형의 중앙돌부(4)를 마련하고 상기 유니트 결합홈(4a)엔 전술한 바 있는 소화기구 유니트(1)를 끼워결합 고정하여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4각통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5)의 상부 내측엔 소화기구 유니트(1)가 끼워 결합된 소화부재(6)는 상부로부터 결합되며 그 하부엔 끼우고 뺄 수 있게 이루어진 받침판(7)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본체(5)는 내측상부에 돌출단부(5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부(5a)의 하부엔 3면이 요홈부(5b)가 형성되며 일측엔 개공(5c)이 뚫려지는 한편 상기 개공(5c)의 외부 하단에 요홈(5d)이 형성된다. 소화부재(6)는 상부 외주연에 돌출단(6a)이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 일측엔 개방구(6b)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단턱이 각각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6c)을 마련하고 전술한 소화기구 유니트(1)가 끼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받침판(7)은 개공(5c)를 통하여 요홈(5b)을 따라 끼우고 뺄 수 있게 이루어지되, 일측엔 돌출단(7a)이 형성되어 본체(5)의 요홈(5d)에 결합될 수 있게 이루어진다.
받침판(7)은 개공(5c)를 통하여 요홈(5b)을 따라 끼우고 뺄수 있게 이루어지되, 일측엔 돌출단(7a)이 형성되어 본체(5)의 요홈(5d)에 결합될 수 있게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화기구 유니트(1)는 결합홈(4a,6c)에 끼워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들 부재를 일체로 성형제작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인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4도에 도시한 장치의 경우엔 소화용 요홈(1a)내에 연소중인 상태에서 소화시키고자 하는 담배(2)를 끼워 놓으면 자연적으로 소화시킬 수 있고 모든 소화기구 유니트(1)에 담배를 꽂아 더 사용할 만한 여유가 없는 경우엔 소화된 담배꽁초는 꺼내선 중앙돌부(4) 외주연에 내려놓고 빈 요홈(1a)을 담배 소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5도 내지 제7도에서 도시한 장치의 경우엔 소화부재(6)와 받침판(7)은 본체(4)로부터 손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소화부재(6)는 본체(5)의 상부로부터 끼우면 돌출단(6a)의 저면이 본체(5)의 돌출단부(5a)의 상면에 얹혀지는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며 받침판(7)은 개공(5c)을 통하여 요홈(5b)을 따라 끼우고 뺄 수 있게 이루어져 끼워 결합한 경우에 요홈(1a)이 관통형성된 소화기구 유니트(1)를 결합홈(6c)에 끼워 결합된 경우에도 전술한 바 있는 막힌 형태의 요홈(1a)이 형성된 소화기구 유니트(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평상시엔 받침판(7)을 결합한 상태에서 소화기구 유니트(1)는 담배의 소화용으로 사용하고 개방구(6b)는 재떨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소화기구 유니트(1)나 개방구(6b)에 담배나 오물이 가득차게 되는 경우엔 받침판(7)을 소정위치까지 빼서 상기 소화기구 유니트(1)의 관통요홈(1a)이나 개방구(6b)를 통하여 본체(5)의 내측 저면으로 떨어뜨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다시 받침판(7)을 밀어넣어 결합하면 소화부재(6)는 깨끗하게 치워진 상태에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인 소화장치는 연소중인 담배를 소화기구 유니트 내부에 간단하게 끼워넣어 놓음으로서 자동적으로 원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소화시킬 수 있고 원상태를 유지한 가운데 소화가 이루어지므로 필요한 경우 다시 담배를 피울 수 있어 담배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소화시에 손이나 담배에 담배재나 다른 이물질이 묻지않아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동시에 소화기구 유니트의 경우엔 어느 형태를 갖는 장치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여 대,소형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본체(5)의 내측상부에 소화기구 유니트(1)가 결합된 소화부재(6)를 설치하고 그 하부엔 받침판(7)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되, 본체(5)는 3면의 요홈부(5b)와 일측에 요홈(5d)을 갖는 개공(5c)이 뚫려진 돌출단부(5a)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소화부재(6)는 돌출단(6a), 개방구(66) 및 다수의 결합홈(6c)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6c)엔 요홈(1a)이 형성된 소화기구 유니트(1)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받침판(7)은 일측에 돌출단(7a)이 형성되어 상기 개공(5c)을 통하여 상기 요홈(5b)을 따라 끼우고 뺄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불의 자동소화장치.
KR2019900016171U 1988-11-28 1990-10-24 담배불의 자동소화장치 KR910000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171U KR910000114Y1 (ko) 1988-11-28 1990-10-24 담배불의 자동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5651 1988-11-28
KR2019900016171U KR910000114Y1 (ko) 1988-11-28 1990-10-24 담배불의 자동소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5651 Division 1988-11-28 1988-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114Y1 true KR910000114Y1 (ko) 1991-01-18

Family

ID=2662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6171U KR910000114Y1 (ko) 1988-11-28 1990-10-24 담배불의 자동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1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275B1 (ko) * 2007-02-07 2008-01-04 최재한 소화 기능을 구비한 재떨이
KR100791276B1 (ko) * 2007-02-07 2008-01-04 최재한 소화 기능을 구비한 재떨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275B1 (ko) * 2007-02-07 2008-01-04 최재한 소화 기능을 구비한 재떨이
KR100791276B1 (ko) * 2007-02-07 2008-01-04 최재한 소화 기능을 구비한 재떨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1398B2 (en) A device for controlling free-burn rate of and reducing sidestream smoke from a cigarette and the like
KR910000114Y1 (ko) 담배불의 자동소화장치
US4473084A (en) Ashtray snuffer
US4984586A (en) Ashtray having cigarette snuffing device
JPH1033156A (ja) 煙草消火具
KR200354518Y1 (ko) 소화실이 구비된 재떨이
JPH0115360Y2 (ko)
KR890001744Y1 (ko) 담배갑과 라이타가 내장된 재떨이
KR870003571Y1 (ko) 담배불 소화구
CN200983832Y (zh) 自动熄火安全卫生烟灰缸
KR960003546Y1 (ko) 담배 꽁초 위생처리용 재떨이
KR200286274Y1 (ko) 재떨이
KR100326844B1 (ko) 담뱃재 비산 방지용 재떨이
JP3119056U (ja) 香炉
KR930003309Y1 (ko) 재떨이
KR200382050Y1 (ko) 담배갑
US2259412A (en) Smoker's appliance
KR930003311Y1 (ko) 재떨이
KR900000616B1 (ko) 재 털 이
KR910002588Y1 (ko) 개량 재털이
KR860001995Y1 (ko) 부분 덮개와 소각 장치를 수장한 재털이
KR200345680Y1 (ko) 담뱃불 소화기
KR860002238Y1 (ko) 담배 케이스
KR890004286Y1 (ko) 담배불 소화구
KR100841505B1 (ko) 자동소화형 재떨이의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