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1214Y1 - 유압 클램핑장치를 갖는 인덱스 테이블 - Google Patents

유압 클램핑장치를 갖는 인덱스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1214Y1
KR900011214Y1 KR2019860018510U KR860018510U KR900011214Y1 KR 900011214 Y1 KR900011214 Y1 KR 900011214Y1 KR 2019860018510 U KR2019860018510 U KR 2019860018510U KR 860018510 U KR860018510 U KR 860018510U KR 900011214 Y1 KR900011214 Y1 KR 900011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cylindrical body
worm
index table
worm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8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570U (ko
Inventor
김종필
전창석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동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동복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8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1214Y1/ko
Publication of KR880009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5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1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2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4Indexing equipment having intermediate members, e.g. pawls, for locking the relatively movable parts in the indexed position
    • B23Q16/06Rotary inde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20/00Machine tool components
    • B23Q2220/004Rotary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Positioning Apparatuse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압 클램핑장치를 갖는 인덱스 테이블
제1도는 본 고안의 외관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웜과 웜휠의 치합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제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제2도의 A-A선에 다른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유압 클램핑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가공물 고정구 13 : 기부 원통체
14 : 클램핑링 15 : 플랜지
16 : 링하우징 17 : 환형공간
20 : 테이퍼 원통체 21 : 경사면
23 : 웜휠 25 : 회전축
27 : 웜 30 : 스텝핑모터
33 : 인덱스 테이블 본체
본 고안은 유압 클램핑장치를 갖는 인덱스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공물에 치형이나, 슬로트등을 가공할시에 정확하게 분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가공물의 가공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덱스 테이블장치도 보호할 수 있는 유압 클램핑장치를 갖는 인덱스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형, 또는 원통형의 가공물을 예컨데, 브로치 머쉰등으로 일정한 등간격을 갖는 치형이나, 슬로트등을 가공할시에는 이 가공물을 소정량씩 회전시켜서 가공할 자리를 인덱스 테이블에 의하여 분할설정하게 된다.
이 인덱스 테이블의 회전장치는 통상의 스텝핑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이를 한쌍의 웜과 웜휠로 연계되어 여기서 감속되고, 이 웜휠에 결합된 고정구에 가공물을 장착하여 가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인덱스 테이블의 회전장치는 가공물이 장착된 상태에서 공작기계의 가공작동에 맞춰가며 상기한 웜과 웜휠의 회전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가공물을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분할작업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가공물에 헤리컬상태의 치형이나, 슬로트등을 가공할시에는 웜휠축이 비틀림 하중을 크게 받게 되어서 이 비틀림 하중이 웜휠과 웜의 치합된 부분에 전달되어 양 치차의 서로 맞물고 있는 이빨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이빨의 맞물림상태를 변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가공물의 위치가 변위되어서 가공물의 가공정도가 떨어져서 가공물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웜과 웜휠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며, 또한 이러한 장치를 계속적으로 사용시에는 가공물을 균등하게 분할작업도 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인덱스 테이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인덱스테이블에 가공물을 장착하여 가공할시에 발생되는 비틀림 하중등이 웜과 웜휠에 전달되지 않고 항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유압 클램핑장치를 갖는 인덱스 테이블을 제공하는데에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유압 클램핑장치를 갖는 인덱스 테이블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텝핑 모터에 연동되는 웜과, 이와 치합되는 웜휠과, 기부 원통체 및 고정구를 회전축을 통하여 본체에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한 웜휠과 기부 원통체 사이에 경사면이 기부 원통체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테이퍼 원통체를 개재시켜서 고정시키며, 상기한 경사면에 이와 대응되게 형성된 클램핑 링을 위치시키고 이 클램핑 링의 외주면에 이와 대응되게 형성된 내주면에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환형공간이 형성된 링하우징을 설치하되, 상기한 클램필링에 형성된 플랜지와 함께 상기한 본체에 고정시켜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클램핑링을 링하우징에 형성된 환형공간으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테이퍼 원통체의 경사면에 밀착시킴으서 가공물의 회전이 정지되어 가공시에 발생되는 비틀림 하중등이 웜과 웜휠로 전달되지 않을 뿐 아니라, 가공물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서 가공물의 가공정도가 높아지고 또한 인덱스 테이블의 장치의 내부장치를 보호하게 되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연관된 인덱스 테이블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낸 것이며, 이 인덱스 테이블(10)의 선단부에는 가공물(1)을 잡어주는 고정구(12)가 장착되고, 이 고정구(12)에 예컨대 절두 원추형체의 가공물(1)이 역시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가공물(1)의 테이퍼진 원주면에 예컨대 헤리칼형태의 슬로트(3)를 가공할 때에는 공작기계(도시안됨)의 절삭공구(5)가 상기한 슬로트(3)와 대응되게 경사지면서 왕복운동을 행하여 슬로트(3)를 가공하게 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제4도는 제3도의 요부를 나타낸 발췌측단면도이며, 여기서 인덱스 테이블본체(33)의 내부에 회전축(25)의 일단을 가로로 회전이 자유롭게 상기한 본체(33)의 후벽(34)에 설치하고, 이 회전축(25)에 웜휠(23)을 삽입시켜서 고정시키고, 이어서 기부원통체(13)를 삽입, 고정시키며, 또한 이 기부 원통체(13)에 가공물 고정구(12)를 개재시켜서 가공물(1)을 취부시키게 되며, 그리고 상기한 웜휠(23)과 치합이 되게 웜(27)을 설치하고(제2도 참조), 이 웜(27)을 스텝핑 모터(30)에 의하여 구동시켜서 이에 의하여 웜휠(23)이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은 통상적인 방식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웜휠(23)과 기부 원통체(13)와의 사이에 테이퍼 원통체(20)을 회전축(25)에 삽입시켜서 이를 육각구멍 볼트(50)로서 기부 원통체(13)와 웜휠(23)에 결합시키며, 이 테이퍼 원통체(20)의 원주면에는 테이퍼진 경사면(21)을 형성시킨다.
한편, 본체(33)의 개방측으로는 클램핑링(14)과 링하우징(16)을 순차적으로 육각구멍 볼트로서 고정되게 설치한다.
즉, 상기한 클램핑링(14)은 탄력성과 신축성을 가지며, 내마모성의 재료로 형성되고, 이 클램핑링(14)에는 상기한 원통체(20)의 테이퍼진 경사면(21)과 대응되게 테이퍼진 내원주면을 형성하여 이 클램핑링(14)의 내원 주면이 상기한 경사면(21)과 인접되게 설치한다.
또한, 상기한 링하우징(16)의 내주면에는 상기한 원통체(20)의 테이퍼진 경사면(21)과 대응되게 테이퍼진 내주면을 형성하고, 여기에 환형공간(17)을 형성하여 이를 내측으로 개방시키고, 이 환형공간(17)의 양측에 흠을 형성하여 여기에 각각 오일링(18)을 삽착시키며, 이 링하우징(16)의 내주면이 상기한 클램핑링(14)의 외주면과 역시 인접되게 설치하며, 이 클램핑(14)의 일측의 끝단부에는 플랜지(15)를 형성하여 이것과 상기한 링하우징(16)의 측면을 결합하여 본체(33)에 육각구멍 볼트로서 고정시키게 된다. 미설명 부호 36, 37은 상기한 환형공간(17)으로 작동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출입구이다.
다음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제1도에서 가공물(1)의 원주면에 예컨대, 슬로트 가공을 행할시에 슬로트(3)의 일가공이 끝나면, 이 가공물(1)을 회전시킨다. 즉, 한 핏치만큼 회전시켜야 하며, 이는 스텝핑 모터(30)의 구동에 의하여 웜(27)과 웜휨(23)의 치합에 의하여 저속으로 회전되어 다음의 슬로트(3)을 가공할 부위가 가공위치에 오게 된다.
이때에 유체 공급장치(도시 안됨)에 의하여 유체를 통상의 방식으로 상기한 유체 출입구(36)또는 출입구(37)를 통하여 공급하면, 이 환형공간(17)이 내측으로 개방되고, 개방된 측에 바로 인접되게 본체(33)에 고정된 클램핑링(14)의 외주면이 위치되어서 이 클램핑링(14)의 외주면을 상기한 유압으로 제4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게 되어서 이 클램핑링(14)의 내주면이 테이퍼 원통체(20)의 테이퍼진 경사면(21)과 밀착되면서 이 클램핑링(14)에 의하여 결국은 원통체(20)의 회전을 저지시키면서 클램핑시키게 된다.
이때에 환형공간(17)의 양측에는 오일링(18)(18)이 설치되어 있어서 환형공간(17)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기밀을 유지시켜 준다.
따라서, 원통체(20)의 클램핑상태로 되어 있어서 이 원통체(20)와 고정, 결합된 기부 원통체(13)및 가공물 고정구(12)를 통하여 가공물(1)도 고정된 상태로 된다.
반대로, 가공물(1)의 일 슬로트(3)가공이 끝나고 이 가공물(1)을 소정량만큼 회전시키고져 할때에는 상기한 링하우징(16)에 형성된 환형공간(17)에 충입된 유압을 배출시키면, 이 유압에 의하여 클램핑링(14)을 통하여 고정상태로 있던 테이퍼 원통체(20)가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공물(1)을 소정량만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여, 가공물(1)에 특히 헤리칼형태의 슬로트 또는 치차등을 가공할시에 발생되는 비틀림하중으로 인하여 웜휠(23)과 웜(27)의 치합부에 영향을 미쳐서 이 웜휠(23)과 웜(27)에 부하가 걸리게 되어 수명을 단축시키는 페단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인덱스 테이블의 정확도는 가공물의 정확한 분할작업과 이에 따른 정밀한 가공이 가장 중요한 것인바, 본 고안에 의하여 가공물의 미소한 회전이라도 발생하지 않게 되어서, 이에 따라 가공물의 정확한 분할작업과 아울러 정밀한 가공을 할 수 있어서 피가공물의 가공정도를 향상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고급제품의 가공이 가능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스텝핑 모터(30)에 연동되는 웜(27)과, 이와 치합되는 웜휠(23)과, 기부 원통체(13)및 고정구(12)를 회전축(25)을 통하여 본체(33)에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한 웜힐(23)과 기부 원통체(13)사이에 경사면(21)이 기부 원통체(13)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테이퍼 원통체(20)를 개재시켜서 고정시키며, 상기한 경사면(21)에 이와 대응되게 형성된 클램핑링(14)을 위치시키고 이 클램핑링(14)의 외주면에 이와 대응되게 형성된 내주면에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환형공간(17)이 형성된 링하우징(16)을 설치하되, 상기한 클램핑링(14)에 형성된 플랜지(15)와 함께 상기한 본체(33)에 고정시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클램핑장치를 갖는 인덱스 테이블.
KR2019860018510U 1986-11-26 1986-11-26 유압 클램핑장치를 갖는 인덱스 테이블 KR900011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510U KR900011214Y1 (ko) 1986-11-26 1986-11-26 유압 클램핑장치를 갖는 인덱스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510U KR900011214Y1 (ko) 1986-11-26 1986-11-26 유압 클램핑장치를 갖는 인덱스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570U KR880009570U (ko) 1988-07-23
KR900011214Y1 true KR900011214Y1 (ko) 1990-12-22

Family

ID=1925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8510U KR900011214Y1 (ko) 1986-11-26 1986-11-26 유압 클램핑장치를 갖는 인덱스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12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986B1 (ko) * 2009-03-04 2011-04-20 박일동 씨엔씨 선반용 가공공구대의 자동 교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986B1 (ko) * 2009-03-04 2011-04-20 박일동 씨엔씨 선반용 가공공구대의 자동 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570U (ko) 198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3493A2 (en) Rotational indexing device of machine tool
ES548579A0 (es) Maquina rectificadora para la mecanizacion de ranuras y otras depresiones.
US3162091A (en) Attachment for milling machines
KR900011214Y1 (ko) 유압 클램핑장치를 갖는 인덱스 테이블
US5392666A (en) Auto correction device for wearing end play in worm gear set
US4995160A (en) Apparatus for machining axially symmetrical workpiece surfaces
US4272088A (en) Mechanical concentric support
SU1255042A3 (ru) Суппорт токарного станка дл обработки глубоких кольцевых канавок
SU472493A3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к зубозакругл ющим станкам,работающим пальцевой фрезой
RU2066612C1 (ru) Резец
EP0819035B1 (en) Gripping device for workpiece
SU1696245A1 (ru) Многомест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JPS6232045B2 (ko)
SU448918A1 (ru) Углова сверлильно-расточна головка
SU1228974A1 (ru) Самоцентрирующий кулачковый патрон
RU2009786C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обработки отверстий
KR940004512Y1 (ko) 유니버셜 베벨 기어 클램핑장치(Universal bevel gear clamping means)
JPH066250B2 (ja) 回転工具の支持装置
SU916120A1 (ru) УСТРОЙСТВО К ТОКАРНОМУ СТАНКУ ДЛЯ ОБРАБОТКИ ЭКСЦЕНТРИЧНЫХ ОТВЕРСТИЙ1 ι
SU151106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смазочно-охлаждающей жидкости
BG65120B1 (bg) Тричелюстен затегателен патронник
KR100940428B1 (ko) 내측 및/또는 외측 디버링을 위한 디버링 공구
SU1139573A1 (ru) Токарный патрон
GB2135619A (en) Indexable turret for a machine tool
RU1824254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дновременной получистовой обработки внутренней и наружной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поверхност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