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1052Y1 - 레이블첩부기의 레이블테이프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레이블첩부기의 레이블테이프 안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11052Y1 KR900011052Y1 KR2019880002145U KR880002145U KR900011052Y1 KR 900011052 Y1 KR900011052 Y1 KR 900011052Y1 KR 2019880002145 U KR2019880002145 U KR 2019880002145U KR 880002145 U KR880002145 U KR 880002145U KR 900011052 Y1 KR900011052 Y1 KR 90001105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bel tape
- guide
- platen
- label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 B65C11/0205—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1—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label feeding from strips
- B65C11/0215—Labels being adhered to a we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01/00—Portable tools for labelling or tagging, associated with holders when in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10/00—Details of manually controlled or manually operable label dispensers
- B65C2210/0037—Printing equipment
- B65C2210/004—Printing equipment using printing heads
- B65C2210/0051—Means for applying print to lab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10/00—Details of manually controlled or manually operable label dispensers
- B65C2210/0072—Specific details of different part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측면덮개를 제거한 본고안의 사용상태도.
제2도는 본고안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레이블테이프가 장입된 상태의 본고안의 요부발췌 측면도.
제4도는 레이블테이프의 장입을 위하여 레이블통로를 개방함과 동시에 통로를 이송로울러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를 도시한 본고안의 요부발췌 측면도.
제5도는 본고안의 일부인 버튼장치발췌 평면도.
제6도는 본고안의 일부인 버튼장치 발췌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레버
3 : 인자뭉치 4:갈고리
5 : 이송로울러 6:래칫기어
7 : 장축공 8:안내함체
9 : 축봉 10:안내함의 본체
11 : 바닥판 12:결합구멍
13 : 돌기 14 : 유도체
15 : 레이블테이프 16 : 누름판
17 : 통과홈 18 : 안내판
19 : 하단축봉 20 : 플래튼
21 : 축수 22 : 연결막대
23 : 유도편 25 : 가동간
26 : 중공측 27 : 스프링
28 : 턱 29 : 측관부
30 : 경사턱 31 : 경사면
32 : 걸림턱 33 : 중공부
34 : 버튼 35 : 경사턱
36 : 경사면 37 : 걸림턱
38 : 각기둥 39 : 각형수납부
40 : 스프링 41 : 밀덮개
본 고안은 레이블 첩부기에 있어서의 레이블테이프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블첩부기에 있어서 문제되는 점의 하나는 레이블테이프 장입의 용이성 재고에 있다.
레이블첩부기에 레이블테이프를 끼우려면 좁다란 구멍을 통하여 끼워넣어야 하므로 그 구멍속에서는 레이블테이프가 이송로울러나 기타 다른 물체에 걸리는 일이 없어야 하며 또 레이블테이프를 끼워 넣을때에는 레이블 테이프 통로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레이블첩부기는내부공간이 워낙 협소하여 레이블테이프통로에 장애물이 없게 한다던지 레이블테이프 통로를 일직선을 형성시킨다던지 하는 일은 상당히 곤란하다. 즉, 레이블테이프는 이송로울러에 감겨져서 이송로울러의 회동에 따라 일정한 길이만큼씩 이동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레이블테이프를 끼워넣을 경우 레이블테이프가 이송로울러에 형성된 돌기에 걸리게 되는 일이 있어 레이블테이프를 밀착시켜 주는 장치가 레이블통로상에 끼울때에는 레이블테이프가 이송로울러에 걸리지않게 이격시키고 레이블테이프를 끼워 넣은 후에는 레이블테이프가 이송로울러에 밀착되며 이송로울러로의 돌기가 레이블테이프에 끼워져야 하는바 따라서 모든 레이블첩부기는 이와같이 레이블테이프를 이송로울러로부터 이격시키고 밀착시키는 장치를 포함하지 않으면 안되다.
이러한 기술적 목적에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는 미국특허 제4,176,603호의 레이블 테이프 안내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것은 레이블테이프통로가 레이블테이프 가이드피스, 오퍼레이팅멤버, 레이블가이드멤버 그리고 프레튼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므로 각 부품의 제조와 조립작업이 곤란한 결점이 있었으며, 돌기를 가진 이송로울러로부터 레이블통로를 충분히 이격시키는 일이 곤란하여 잡입되는 레이블테이프가 이송로울러에 걸리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고안은 레이블테이프안내장치를 단순화하여 부품의 제작과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레이블 통로를 기다란 함체로 형성시켜 레이블테이프 장입시 레이블테이프가 어디에라도 걸리는 일이 없게 하며, 레이블테이프 장입시에는 함체로된 레이블테이프의 출구부분은 이송로울러와 상당히 많은 거리로 이격될 수 있게 형성시켜 장입되는 레이블이프가 이송로울러의 돌기에 걸리는 일이 없도록 안출된 것이며 나아가 레이블테이프의 장입을 위한 레이블통로의 개방 즉 이송로울러부터의 레이블테이프통로의 이격작업을 용이하게 할수 있는 새로운 레이블테이프 안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레이블통로를 함체로 형성시키고 이 함체의 하단에 누름판과 안내판을 일체로 형성시키며 누름판에 플레튼의 상단을 축설하며, 함체의 상단은 레이블첩부기 몸체에 형성시킨 장축공에 축설시켰다.
그리고 레이블테이프 장입시 함체의 하단을 이송로울러로부터 이격시키는 작업에 용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함체에 스프링과 버튼으로 작동되는 가동간을 장치하였는바, 이와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1)에는 선단에 인자뭉치(3)가 장치된 레버(2)가 장치되어 있고 레버(2)에는 갈고기(4)가 장치되어 이송로울러(5)의 래칫기어(6)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된 레이블첩부기에 있어서, 몸체(1)의 상부에 장축공(7)을 형성시키고 이에 상자모양으로 형성시킨 안내함체(8)의 상단축봉(9)을 축설한다.
안내함체(8)는 제조하기 용이하도록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채널형의 본체(10)에 바닥판(11)을 결합하여 구성시키되 본체(10)에 결합구멍(12)을 형성시키고 이에 바닥판(11)의 양측에 형성시킨 돌기(13)를 끼워 결합시킨다.
바닥판(11)의 하단 내면부에는 유도체(14)를 형성시켜 안내함체(8) 내부를 통하여 장입되는 레이블테이프(15)가 되도록 이송로울러(5)로부터 이격되게 내려오도록 구성하였다.
함체(8)의 본체(10)하단에는 이송로울러(5)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면과 이송로울러(5)의 돌기(5')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과홈(17)을 가진 누름판(16)을 일체로 형성시키며 누름판(16)의 양측에 하단축봉(19)(19')을 형성시켜 플래튼(인쇄대판)(20)의 상단축수(21)에 축설시킨다.
플래튼(20)의 양측상단을 연결막대(22)로 연결시켜 플래튼(20)의 상단축수(21)에 끼워진 축봉(19)(19')이 자의로 이탈되지 아니하게 한다.
플래튼(20)의 후단에는 유도편(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도편(23)의 단부는 포크와 같이 갈래지게 형성시켜 이송로울러(5)내에서 자유이동되게 한다.
이는 유도편(23)을 되도록 길게 형성시켜 안내함체(8)의 하단 출구로부터 내려오는 레이블테이프(15)의 선단이 이송로울러(5)와 플래튼(20)의 사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레이블테이프(15)가 플래튼(20)의 상면으로 내려오도록 유도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도편(23)의 길이는 길면 길수록 그리하여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터널을 개방하였을 경우, 유도편(23)의 선단이 안내함체(8)의 바닥판(16)하단에 근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유도편(23)이 이와같이 길게 되면 플래튼(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닫을 때 유도편(23)의 선단이 이송로울러(5)에 걸리게 되므로 그 길이가 지나치게 길지 아니할 것이 필요하다.
나아가 본 고안은 안내함체(8)의 바닥판(11)의 외면에는 바닥판(11)에 형성시킨 축봉(9)에 가동간(25)의 일단을 축설하였다.
바닥판(11)에 일단이 축설된 가동간(25)은 타단을 중공축(26)에 축설하고, 스프링(27)의 일단을 가동간(25)의 턱(28)에 걸어 가동간(25)이 스프링(27)의 힘으로 안내함체(8)를 항상 외방으로 밀게 한다.
이에 대하여는 제3도 내지 제6도에 상세히 도시되었다.
중공축(26)에 축설되는 가동간(25)의 축관부(29)는 그 일단에 경사턱(30)을 형성시켰다.
이 경사턱(30)은 스프링(27)에 의한 회동방향의 반대쪽을 경사면(31)으로 하고 회동방향쪽을 걸림턱(32)으로 형성시켰다.
그런데 중공축(26)은 몸체(1)에 일체로 형성되었을 뿐 아니라 그 중공부(33)가 몸체(1)의 외방으로 개방되어 이에 버튼(34)을 끼워 버튼(34)의 단부가 몸체(1)의 밖으로 노출되게 하였다.
버튼(34)의 타단에는 축관부(29)의 경사턱(30)과는 반대방향으로된 경사면(36)과 걸림턱(37)을 가진 경사턱(35)이 형성되고 또 스프링(27)에 의해 버튼(34)이 동반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단부를 각기둥(38)으로 형성시키고 몸체(1')에 각형수납부(39)를 형성시켰으며, 버튼(34)이 외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설되도록 각기둥(38)과 몸체(1')사이에 스프링(40)을 장치하였다.
그런데 안내함체(8)의 누름판(16)에 스프링(27)과 버튼(34)에 의해 작동되는 가동간(25)을 장치하게 되면, 안내함체(8)를 이송로울러(5)로부터 이격시키는 작용을 플래튼(20)에 맡기지 않아도되므로 플래튼(20)의 상단부와 누름판(16)을 축으로 연결시키지 아니하고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축수(21)를 개방되게 형성시켜도 좋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41은 밀덮개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제1도와 같은 상태에서 밀덮개(41)를 열고 플래튼(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플래튼(20)의 상단에 축설된 안내함체(8)의 하단이 이송로울러(5)로부터 이격되며 안내함체(8)의 이송로울러(5)쪽 하부에는 플래튼(20)의 유도편(23)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안내함체(8)의 상부로부터 레이블테이프(15)의 선단을 밀어 넣으면 레이블테이프(15)는 안전하고 걸림이 없는 안내함체(8)를 도통하여 안내함체(8)의 하단까지 내려온다.
안내함체(8)의 하단으로 밀려나온 레이블테이프(15)의 선단은 바닥판(11)에 형성된 유도체(14)에 의하여 이송로울러(5)로부터 더욱 먼 쪽으로 유도되어 내려오다가 플래튼(20)의 유도편(23)에 의해 안내되면서 플래튼(20)의 대판을 통하여 몸체(1)의 하부로 빠져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레이블테이프(15)가 몸체(1)의 하부로 빠져나오면 이제 플래튼(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닫는다.
그리하면 플래튼(20)상단에 축설된 안내함체(8)의 하단이 이송로울러(5)쪽으로 이동하며 안내함체(8) 하단의 누름판(16)은 레이블테이프(15)를 이송로울러(5)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플래튼(20)의 유도편(23)은 이송로울러(5)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또 레이블테이프(15)를 뚫고 올라온 이송로울러(5)의 돌기(5')는 누름판(16)의 통과홈(17)에 위치하게 되어 플래튼(20)의 유도편(23)이나 누름판(16)이 이송로울러(5)의 회전에 아무런 장애를 주지 아니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플래튼(20)의 회동에 의하지 아니하고 버튼(34)으로 안내함체(8)를 이송로울러(5)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밀덮개(41)를 닫은 상태에서는 안내함체(8)의 하단이 이송로울러(5)에 밀착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상태에 있어서의 가동간(25)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는 상태이며 또 스프링(27)에 의해 강하게 탄설되어 있게 되는데 가동간(25)이 스프링(27)의 힘에 의해서도 회전하지 아니하는 것은 가동간(25)의 축관부(29)에 형성된 경사턱(30)의 걸림턱(32)이 회동될 수 있는 버튼(34)의 경사턱(35)의 걸림턱(37)에 걸려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버튼(34)은 스프링(40)에 의해 탄설되어 있으므로 버튼(34)을 스프링(40)쪽으로 누르면 이제는 버튼(34)의 경사턱(35)과 축관부(29)의 경사턱(30)의 걸림이 해제되며 따라서 축관부(29) 즉, 가동간(2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안내함체(8)의 하단을 외방으로 이격시킬 수 있는 여건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밀덮개(41)를 열고 버튼(34)을 누르면 버튼(34)의 경사턱(35)과 축관부(29)의 경사턱(30)의 걸림이 해제되며, 스프링(27)의 힘에 의해 축관부(29) 즉 가동간(2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안내함체(8)의 하단을 외방으로 밀어 이송로울러(5)와 이격시키고, 동시에 누름판(16)의 하단 축봉(19)(19')이 플래튼(20)의 상단을 밀어 회전시키므로서 레이블테이프(15)를 장입하기 위한 통로를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레이블테이프통로를 개방시킨 후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블테이프(15)를 장입할 수 있게 되며, 레이블테이프(15)의 장입이 끝난 후 플래튼(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플래튼(20)의 상단이 이송로울러(5)의 하단을 이송로울러(5)쪽으로 밀어 붙이게 되는데 이때 가동간(25)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가동간(25)의 축관부(29)에 형성된 경사턱(30)은 그 경사면(31)과 버튼(34)의 경사면(36)으로 인하여 아무런 장애 없이 회동되다가 축관부(29)의 경사턱(30)의 버튼(34)의 경사턱(35)을 넘어서게 되면 축관부(29)의 걸림턱(32)과 버튼(34)의 걸림턱(37)이 걸리게 되어 이제는 축관부(29)즉 가동간(25)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저지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레이블테이프(15)를 장입하기 위한 통로가 아무런 장애가 없는 안내함체(8) 하나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레이블테이프(15)의 장입이 극히 용이할 뿐아니라 그 구조가 지극히 단순하여 부품의 제조와 부품의 조립작업이 극히 용이하며 따라서 비교적 안가인 레이블첩부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안내함체(8)를 버튼(34)으로 작동시키는 기술적 구성을 택한다면 레이블테이프통로의 개방을 위한 작업이 극히 편리할 뿐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하여 귀찮고 까다로운 레이블테이프(15)의 의장입작업에 능률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선단에 인자뭉치(3)가 장치된 레버(2)의 갈고리(4)로 이송로울러(5)의 래칫기어(6)를 회동시키게 되는 레이블첩부기에 있어서, 몸체(1)에 형성시킨 장축공(7)에 상자형 안내함체(8)의 상단을 축설하고, 안내함체(8)는 채널형 본체(10)와 바닥판(11)으로 결합성형시키며, 바닥판(11)의 하단내면에 유도체(14)를 형성시키고, 안내함체(8)의 본체(10)하단에 통과홈(17)을 가진 누름판(16)과 안내판(18)을 일체로 형성시키며, 누름판(16)과 플래튼(20)의 상단을 연결시키고, 플래튼(20)은 그 상단부를 연결막대(22)를 연결하며, 플래튼(20)의 후단부에 끝이 갈래진 유도편(23)을 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블첩부기의 레이블테이프 안내장치.
- 제1항의 것에 있어서, 안내함체(8)의 바닥판(11)외방에 가동간(25)을 축설하고, 가동간(25)의 타단에 형성시킨 축관부(29)를 중공축(26)에 축설하며, 축관부(29)의 턱(28)을 스프링(27)으로 탄설하고, 축관부(29)에 형성시킨 경사턱(30)과 중공축(26)에 끼운 버튼(34)의 경사턱(35)을 접설시키며, 버튼(34)의 일단을 각기둥(38)으로 형성시켜 각형수납부(39)에 스프링(40)을 개재시켜 수납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블첩부기의 레이블테이프 안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80002145U KR900011052Y1 (ko) | 1988-02-15 | 1988-02-15 | 레이블첩부기의 레이블테이프 안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80002145U KR900011052Y1 (ko) | 1988-02-15 | 1988-02-15 | 레이블첩부기의 레이블테이프 안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7529U KR890017529U (ko) | 1989-09-08 |
KR900011052Y1 true KR900011052Y1 (ko) | 1990-12-14 |
Family
ID=1927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80002145U KR900011052Y1 (ko) | 1988-02-15 | 1988-02-15 | 레이블첩부기의 레이블테이프 안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00011052Y1 (ko) |
-
1988
- 1988-02-15 KR KR2019880002145U patent/KR90001105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7529U (ko) | 1989-09-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83657A (en) | Dispenser for products in sheet form | |
EP0413407B1 (en) | Toilet tissue dispenser (Spindle Release) | |
JPH018499Y2 (ko) | ||
JPH0340621Y2 (ko) | ||
CA2075140C (en) | Paper towel dispenser ¬swing bottom| | |
JPS62500819A (ja) | シ−トの束の収容器 | |
KR900011052Y1 (ko) | 레이블첩부기의 레이블테이프 안내장치 | |
US3917090A (en) | Postage meter tape recepticle system | |
US5480510A (en) | Cartridge for hand-operated film applicator | |
US5642666A (en) | Hand-held label printer | |
US4819855A (en) | Tag-pin attaching apparatus | |
JP2007015313A (ja) | ラベルプリンタシステム | |
JPH0314705B2 (ko) | ||
CN105408120B (zh) | 标签打印机 | |
JP2001316031A (ja) | リフィル式塗膜転写具 | |
JPH0412028Y2 (ko) | ||
KR890009069Y1 (ko) | 컴퓨터용 프린터의 종이 이송 장치 | |
KR830000869Y1 (ko) | 레이블링 머신(Labeling machine)의 레이블 테이프 안내장치 | |
KR970000710Y1 (ko) | 자동차의 트레이 원터치 개, 폐 장치 | |
JPS6135093B2 (ko) | ||
KR0172989B1 (ko) | 레이블 첩부기 | |
JPH0229061Y2 (ko) | ||
KR930004933Y1 (ko) | 로터리-디지탈 오디오 테이프(r-dat) 카셋트 인출 장치 | |
JPS6312456Y2 (ko) | ||
KR900008251Y1 (ko) | 포터블 카세트의 턴 테이블 삽탈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51118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