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461Y1 -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461Y1
KR900010461Y1 KR2019870017034U KR870017034U KR900010461Y1 KR 900010461 Y1 KR900010461 Y1 KR 900010461Y1 KR 2019870017034 U KR2019870017034 U KR 2019870017034U KR 870017034 U KR870017034 U KR 870017034U KR 900010461 Y1 KR900010461 Y1 KR 900010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support
main body
holder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7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044U (ko
Inventor
정석화
박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17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461Y1/ko
Publication of KR8900080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0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4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영상표시기기의 저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받침대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제4도는 받침대의 다단계 조절상태 측면도.
제5도는 영상표시기기본체의 경사조절상태 측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종래의 영상표시기기 경사조절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6도는 저면 사시도.
제7도는 받침대의 조절상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영상표시기기본체 3 : 받침대수납홈
5 : 회동지지홀더 6 : 경사조절용홀더
7 : 원형축공 8 : 경사조절용결합공
17,18 : 고무캡 19 : 받침대
22 : 고무받침 23,24 : 지지축
25 : 경사조절용결합돌기 26 : 스프링이탈방지편
27 : 스프링
본 고안은 모니터 및 텔레비젼 수상기등 영상표시기기의 다단식 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성을 보다 간소화하고, 경사각도를 보다 간편용이하게 조절하며, 일단 경사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영상표시기기본체가 외부 충격으로 임의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는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상표시기기본체(31)의 저면 양측에 홀더(32)를 고정설치하고, 이에 ""형 받침대(33) 양측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본체(31)의 받침대(33)전 방측에는 받침대지지돌기(34)를 돌출형성하고, 받침대(33)후방측에는 받침대수납홈(35)을 형성하여 받침대(33)를 수납홈(35)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영상표시기기본체(31)가 일반적인 수평상태로 되고, 받침대(33)를 받침대지지돌기(34)에 지지한 상태에서는 본체(31)저면에서 받침대(33)의 접지부에 이르는 높이에 상응하는 각도만큼 본체(31)가 경사지게 되어 브라운관(36)의 화면이 상향 경사진 상태로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본체(31)의 경사각도가 정상적인 수평상태와 받침대(33)의 길이로서 결정되는 일정각도만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한 경사조절이 불가능 하였으며, 본체(31)를 받침대(33)로써 경사지게 지지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도중에 본체(31)가 요동하거나 외부충격을 받으면 받침대(33)는 특별한 고정수단이 없고 단지 지지돌기(34)에만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받침대(33)가 접히면서 수납홈(35)내로 들어가서 본체(31)는 일반적인 수평상태로 경사 높이가 낮아져서 불편할 뿐만아니라 이때 본체(31)의 전방측이 탁자등에 충돌하면서 본체(31)가 충력을 받게되며 자칫 탁자에서 바닥으로 떨어져서 파손될 염려가 있는 등 많는 폐단이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 영상표시기기 경사조절장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179호(공개번호:87-14037)에 TV본체의 경사각도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TV의 다단식 시청각도 조절장치"가 알려지고 있는 바, 상기한 바와같은 "TV의 다단식 시청각도 조절장치"는 TV본체의 경사각도를 다단계로 조절가능하게하고, 경사각도가 일단 조절된 상태에서는 외부충격등으로 임의로 경사각도가 변동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이점은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여 제품의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 볼 때 매우 불리한 단점이 있었으며, TV본체의 경사 각도 조절을 위하여 받침대의 양측면에 형성된 구멍으로 각각 돌출되는 보턴봉을 양 손을 이용하여 눌러야 하는 등 경사각도의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사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TV본체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바닥면과 받침대의 접촉면 사이에 마찰이 없으므로 TV본체가 임의의 방향으로 미끄러져 시청이 곤란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난점이 있었으며, 그외에도 받침대의 양 구멍을 통하여 보턴봉이 일정길이로 각각 돌출되어 있으므로 미관이 좋지 못한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여러난점 및 문제점을 갖지 않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영상표시기기본체를 다단식으로 조절가능하게 함은 물론 구성을 보다 간소화시킨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영사표시기기 본체의 경사각도를 보다 간편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한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영상표시기기 본체의 경사각도가 일단 조절된 상태에서는 외부의 충격등으로 영상표시기기의 본체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도안은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를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전면에 브라운관 화면(2)이 표출된 영상표시기기 본체로서, 그 저면 전방측에는 받침대수납 홈(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방측에는 받침대 도복방지용 보조받침(4)이 돌출형성되어있다.
받침대수납홈(3)의 양측에는 각각 원형축공(7)과 다각형(도면에서 8각형)의 경사조절용결합공(8)을 보유하는 회동지지홀더(5)와 경사조절홀더(6)가 고정부착된다.
상기 홀더(5)(6)는 각각 일측에 고정편(9)(10)을 형성하고 이에 천공된 나사공(11)(12)에 삽입되는 고정나사(13)(14)로써 본체(1)저명에 고정하는 것이다.
또 홀더(5)(6)의 저면에는 고무캡삽입공(15)(16)을 천공하여 고무캡(17)(18)을 삽입고정한다.
상기 홀더(5)(6)의 원형축공(7)과 경사조절용걸림공(8)에는 접지부(20)의 끝단면의 결착홈(21)에 고무받침(22)이 삽입고정된 받침대(19)의 양단에 형성된 지지축(23)(24)을 삽입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일측의 지지축(24)의 단부에는 상기 경사조절용결합공(8)과 일치하는 다각형의 경사조절용결합돌기(25)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받침대(19)의 일측 지지축(24)에는 한쌍의 스프링이탈방지팬(26)에 지지되는 스프링(27)을 삽입하여 그 양단이 각각 받침대(19)의 측면과 경사조절홀더(6)의 내측면에 탄력접촉하면서 받침대(19)를 경사조절용결합공(8)에 항시 경사조절용결합돌기(25)가 결합되는 위치로 탄력지지하게 한다.
여기서 받침대(19)의 길이는 홀더(5)(6)사이의 간격보다 경사조절용결합공(8)에서 경사조절용 결합돌기(25)가 외측방으로 벗어나서 지지축(24)이 그 결합공(8)내에서 회동되는 상태로 받침대(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만큼 짧게 하여야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 장치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본체(1)의 경사각도를 조절함에 있어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받침대(19)를 화살표 "가"방향으로 밀어서 경사조절용결합돌기(25)를 경사조절용 결합공(8)에서 외측방으로 이탈되게 한 다음, 받침대(19)를 원형축공(7)과 경사조절용결합공(8)내에 위치한 지지축(23)(24)을 중심으로 하여 원하는 각도위치(제4도의 A,B,C,D위치)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받침대(10)를 놓으면 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하여 받침대(19)가 제3도의 화살표 "나"방향으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따라 경사조절용 결합돌기(25)가 경사조절용결합공(8)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경사조절용결합공(8)과 경사조절용결합돌기(25)는 동일한 다각형(도시예에서는 8각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호 맞물림 작용으로 결합되어 제4도의 A,B,C,D중 선택한 한위치로 고정유지되며, 받침대(19)의 지지 높이에 따라 본체(1)의 경사각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대(19)의 고정위치가 제4도의 A위치 즉, 본체(1) 저면에 대해 직각인 경우에 본체(1)의 경사 각도가 가장 큰 상태로 되며, 다음에는 B,C의 순으로 작아지며, D위치인 경우에는 본체(1)는 경사되지 않는 일반적인 수평상태로 되므로 사용조건과 취향에 따라 본체(1)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체(1)의 경사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는 경사조절용결합공(8)과 결합돌기(25)에 의해 받침대(19)는 고정상태로 유지되므로 본체(1)가 요동하거나 외부충격을 받더라고 경사각도가 임의로 변동되는 일이 없으며, 받침대(19)가 수납홈(3)내로 접혀 들어가면서 본체(1)의 전방부가 탁자 등에 충돌하거나 바닥으로 떨어지는 일이 없게된다.
상기 받침대(19)를 제4도의 A,B,C에 형성된 결착홈(21)에 끼워져 고무받침(22)이 탁자 등에 접촉지지되어 미끄럼 방지작용을 하며, D의 위치로 조절한 경우에는 양측의 홀더(5)(6)에 부착된 고무캡(17)(18)에 의하여 미끄럼이 방지되어 본체(1)가 어떤각도 상태에서도 탁자등에서 미끄러질 염려가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영상표시기기 경사조절장치는 받침대수납홈의 일측에 다각형의 경사조절용결합공을 보유하는 회동지지홀더를 고정하고, 상기 회동지지홀더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그 결합공을 따라 좌,우이동되는 받침대의 일측 지지축에 스프링을 삽입하며, 상기 지지축을 결합공에 결합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받침대의 경사각을 다단식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 볼때 매우 유리한 이점이 있게되며, 상기 받침대를 한손으로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경사각도를 보다 간편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된다.
또한, 받침대수납홈의 양측에 고정되는 홀더의 저면 및 받침대의 접지부에 고무캡 및 고무받침을 각각 고정하여, 경사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외부충격에도 영상표시기 기본체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경사조절을 위한 구성을 본체의 저면에 설치하여 외관을 좋게하는 등의 효과가 있게된다.

Claims (1)

  1. 영상표시기기본체(1)의 저면의 받침대수납홈(3)에 지지축(23)(24)을 갖는 받침대(19)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19)는 스프링(27)에 의하여 지지축(23)(24)의 방향으로 탄력지지되는 영상표시기기의 다단식 경사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3)의 양측에 각각 원형축공(7)과 다각형의 경사조절용결합공(8)을 보유하는 회동지지홀더(5)와, 경사조절용홀더(6)를 고정하고, 상기 원형축공(7)과 경사조절용결합공(8)에는 받침대(19)의 양단에 돌출된 지지축(23)(24)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일측 지지축(24)에는 상기 결합공(8)과 일치하는 다각형의 경사조절용결합돌기(25)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24)에는 스프링(27)을 삽입하여 결합돌기(25)가 결합공(8)에 항시 결합되는 위치로 받침대(19)를 탄력지지하며, 상기 홀더(5)(6)의 저면에는 고무캡(17)(18)을, 받침대(19)의 접지부(20)에는 고무받침(22)을 각각 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
KR2019870017034U 1987-09-30 1987-09-30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 KR900010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034U KR900010461Y1 (ko) 1987-09-30 1987-09-30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034U KR900010461Y1 (ko) 1987-09-30 1987-09-30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044U KR890008044U (ko) 1989-05-18
KR900010461Y1 true KR900010461Y1 (ko) 1990-11-17

Family

ID=1926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7034U KR900010461Y1 (ko) 1987-09-30 1987-09-30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4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044U (ko) 1989-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2628B2 (en) Hinge assembly for LCD monitor
KR920001020Y1 (ko) 비데오 카메라의 모니터 장착기구
US5318257A (en) Mechanism for supporting camera i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US5941488A (en) Monitor support with self-positioning guide track
KR950005219B1 (ko)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용 경사장치
KR900010461Y1 (ko)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
JPH0121330Y2 (ko)
KR10034480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KR950005718Y1 (ko) Tv의 높이 조절 레그 장치
KR900006486Y1 (ko) Tv셋트용 각도 조절 장치
KR860001066Y1 (ko) 경사 각도 조절 받침대
KR102634046B1 (ko) 자립이 가능한 스탠드형 tv 거치대
KR100607207B1 (ko) 벽걸이 각도 조절장치
KR0126051Y1 (ko) 티브이 수상기의 시청각도 조절장치
KR920003302Y1 (ko) 키폰의 경사각도 조절장치
KR940000915Y1 (ko)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회전각도 조절장치
KR960000472Y1 (ko)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900006427Y1 (ko) 액정 tv의 받침 장치
KR920008831Y1 (ko)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
KR0140640Y1 (ko) 액정텔레비젼용 전후 각도 조절장치
KR900010621Y1 (ko) 브라운관 터미날의 경사조절 및 회전장치
JPS58104580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900008040Y1 (ko) 모니터의 상하 경사각도 조절장치
KR910006336Y1 (ko) 영상표시기의 회전각도 및 경사각도 조절장치
KR940001690Y1 (ko) 영상표시 기기의 수평회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