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357Y1 - Automatic screen converting circuit - Google Patents

Automatic screen converting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357Y1
KR900010357Y1 KR2019870018600U KR870018600U KR900010357Y1 KR 900010357 Y1 KR900010357 Y1 KR 900010357Y1 KR 2019870018600 U KR2019870018600 U KR 2019870018600U KR 870018600 U KR870018600 U KR 870018600U KR 900010357 Y1 KR900010357 Y1 KR 900010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
screen
pip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860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90009815U (en
Inventor
조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18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357Y1/en
Publication of KR8900098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81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357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주화면의 무신호시 화면 자동 절환 회로Automatic screen switching circuit at no signal of main screen

제1도는 종래의 주화면 무신호시 화면 자동 절환 회로도.1 is a conventional main screen no signal automatic screen switching circuit diagram.

제2a, b도는 종래의 PIP스위치 신호 파형도, c도는 화면의 구성도.2A and 2B are conventional PIP switch signal waveform diagrams, and c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creen.

제3도는 종래의 프레임 신호와 화면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frame signal and a screen.

제4도는 본 고안의 따른 주화면 무신호시 화면 자동절환 회로도.4 is a main screen no signal screen automatic switch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제4도는 각부 파형도.FIG. 5 is a waveform diagram of each part.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동기, 분리기 2 : 레벨 검출기1: synchronous, separator 2: level detector

3 : 스위치부 4 : 동기 검출기3: switch part 4: synchronous detector

5, 6 :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 7 : 가산기5, 6: mono multivibrator 7: adder

R1-R4 : 저항 C1, C2 : 콘덴서R1-R4: resistors C1, C2: capacitors

SW-SW4 : 스위치SW-SW4: Switch

본 고안은 VCR의 화면 절환회로에 관한 것을 특히 주화면의 신호가 없는 경우에 주화면에 해당하는 신호를 외부에서 만들어주며 오디오 신호를 소화면의 오디오로 절환되도록하여 화면을 자동으로 절환하도록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creen switching circuit of the VCR, especially when there is no signal of the main screen, which mak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in screen from the outside and switches the audio signal to the small screen audio so that the screen is automatically switched. It is about.

종래의 주화면 무신호시 화면 자동 절환회로(PIP)의 화면 및 오디오 구성도를 제1도에 따라 설명하면 EE 비데오 신호(TV)신호 또는 라인 입력신호(Vee)가 동기신호만을 분리하는 동기분리기(1)를 거쳐 동기 신호중 수평 동기부분에만 로우(Low)를 검출하는 레벨검출기(2)에 인가되며, 레벨검출기(2)의 출력은 PIP 스위치 신호(SP)와 신호(F)를 접지시키는 스위치부(3)를 제어하도록 연결되고, PIP화면을 만드는 스위치(SW1)는 PB비데오 신호(Vpb)와 EE 비데오 신호(Vee)를 PIP 스위치 신호(SP)의 제어에 의해 선택출력하고, 스위치(SW2)는 상기 스위치(SW1)의 출력과 PIP에지(Edge)신호(Ep)를 선택하여 PIP비데오 신호(Vpo)를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1, a screen and audio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main screen non-signal picture automatic switching circuit (PIP) is a synchronous separator in which an EE video signal (TV) signal or a line input signal (Vee) separates only a synchronization signal. Via (1) is applied to the level detector 2 which detects a low only in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portion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output of the level detector 2 is a switch for grounding the PIP switch signal SP and the signal F. The switch SW1, which is connected to control the unit 3 and makes a PIP screen, selectively outputs the PB video signal Vpb and the EE video signal Vee under the control of the PIP switch signal SP, and the switch SW2. ) Selects the output of the switch SW1 and the PIP edge signal Ep to output the PIP video signal Vpo.

그리고 스위치(SW3)는 PIP 인버트 신호(Tp)에 의해 제어되어 주화면의 오디오 신호(MA)와 소화면이 오디오 신호(SA)를 선택하여 PIP 오디오 신호(Ap)를 출력하는 구성이다.The switch SW3 is controlled by the PIP invert signal Tp so that the audio signal MA of the main screen and the small screen select the audio signal SA to output the PIP audio signal Ap.

상기 기술구성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PIP 스위치 신호(SP)와 에지 신호(Ep)는 제2도와 제3도의 파형도에서 설명하면, PIP 스위치 신호(SP)는 PIP화면을 만들때 주(Main)화면 신호와 소(Sub) 화면 신호를 원하는 형태를 조합하여 PIP비데오 신호(Vpo)를 만들기 위한 신호로서, 제2c도에서 수직성분 a와 c를 기간동안 즉 제2a도에서 g부분에는 주화면(Dm)의 신호가 선택되고, b(제2a도에서 h부분)의 기간에는 주화면의 신호와 소화면(DS)의 신호가 조합되는데 수직성분 b의 기간중 수평 성분 d와 f의 기간동안 (제2b도에서 T부분)에는 주화면(Dm)의 신호가 선택되고 제2b도에서 J부분의 기간에는 소화면(DS)의 신호가 각각 선택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above 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first, the PIP switch signal SP and the edge signal Ep are explained in the waveform diagrams of FIG. 2 and FIG. 3, and the PIP switch signal SP is used when the PIP screen is created. This is a signal for creating a PIP video signal (Vpo) by combining the desired shape of the screen signal and the sub picture signal, and the vertical components a and c in FIG. The signal of (Dm) is selected, and the signal of the main picture and the signal of the small picture (DS) are combined in the period of b (h portion in Fig. 2a), during the period of the horizontal component d and f of the period of the vertical component b. A signal of the main screen Dm is selected in the portion T in FIG. 2b, and a signal of the small screen DS is selected in the period in the portion J in FIG. 2b.

제3도에 도시된 프레임신호(F)는 주화면(Dm)과 소화면(DS)의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해 두화면의 경계에 일정폭(Bd)의 단일색(흰색)을 넣어주기 위한 신호로서, 1필드의 신호중 에지가 있는 부분에서만 하이 레벨이 되어 일정폭이 단일색(흰색, PIP에지신호의 레벨)을 띄게된다.The frame signal F shown in FIG. 3 is a signal for inserting a single color (white) of a predetermined width B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screens in order to clarif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ain screen Dm and the small screen DS. In other words, only one edge of the signal of one field has a high level, and a certain width has a single color (white, PIP edge signal level).

그러므로 제1도에서 소화면 소스인 EE 비데오 신호(Vee)는 동기분리기(1)에서 동기 부분만이 선택되어 레벨검출기(2)에 입력되는데, 여기에서는 수평 동기 부분에서만 로울 레벨이고 그외의 부분에서는 하이 레벨이 되어 수직동기 부분에서만 스위치(3)를 온(ON)시켜 스위치 신호(SP)와 프레임 신호(F)를 접지 시키게 된다.Therefore, in FIG. 1, the EE video signal Vee, which is the small picture source, is input to the level detector 2 by selecting only the synchronization portion in the synchronization separator 1, where the horizontal level is the only roll level, and in other portions. At the high level, the switch 3 is turned ON only in the vertical synchronizing portion, so that the switch signal SP and the frame signal F are grounded.

그리고 Y/C로 부터의 주화면 신호인 PB비데오 신호(재생영상 신호, TV 신호 또는 라인 입력신호(Vpb)와 잭으로 부터의 소화면 신호인 EE 비데오 신호(V신호 또는 라인 입력신호)(Vee)는 제2c도와 같이 원하는 PIP 비데오 화면을 만들기 위해 앞에서 설명한 PIP 스위치 신호(Sp)에 의해 스위치(SW1)에서 선택되고 또한 이 선택된 신호와 PIP에지 신호(EP)는 역시 앞에서 설명한 프레임 신호(F)에 의해 완전한 PIP 비데오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 스위치(SW2)에서 선택된다.And PB video signal (playback video signal, TV signal or line input signal (Vpb)), which is the main picture signal from Y / C, and EE video signal (V signal or line input signal), which is a small picture signal from the jack (Vee). ) Is selected at the switch SW1 by the PIP switch signal Sp described above to make the desired PIP video screen as shown in FIG. 2C, and the selected signal and the PIP edge signal EP are also the frame signal F described above. Is selected by the switch SW2 to form a complete PIP video screen.

또한 오디오의 경우에는 항상 주화면의 오디오 신호(MA)가 선택되며, 소화면의 오디오 신호(SA)를 듣고자 하면 PIP 인버트(Invert) 신호(Tp)에 의해 스위치(SW3)는 절환되어 소화면의 오디오 신호(SA)가 선택된다.In the case of audio, the audio signal MA of the main screen is always selected, and the switch SW3 is switched by the PIP Invert signal Tp to listen to the audio signal SA of the small screen. Audio signal SA is selected.

이와 같은 기존의 구성에TJ는 소화면의 동기신호가 주화면의 동기 신호에 따르게 되어 있으므로, 주화면의 신호 소스가 없는 경우에는 소화면의 화면이 제대로 나오지 않게 되며 오디오 또한 주화면의 오디오에 따르게 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어떠한 오디오 신호도 선택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such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e TJ has a small screen sync signal according to the main screen sync signal. Therefore, if there is no signal source of the main screen, the small screen screen does not come out properly. In this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no audio signal is selected.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하 그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주화면 무신호시 화면 자동 절환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그의 연결 구성을 살펴보면, 동기분리기(1)와 레벨검출기(2) 및 스위치부(3), 스위치(SW1-SW3)로 구성된 기존의 제1도 회로에 있어서, PB비데오 신호(Vpb)는 동기신호의 유무를 편별하는 동기검출기(4)를 거쳐 저항(R1)과 콘덴서(C1)를 연결시킨 모노멀티 바이브레이터(5)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모노멀티 바이브레이터(5)의 출력단은 인버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가 저항(R3)을 거쳐 전원(Vcc)에 접속되며 동시에 저항(R2)과 콘덴서(C2)를 연결시킨 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터(6)에 접속되고, 모노멀티 바이브레이터(6)의 출력신호는 저항(R4)를 거쳐 가산기(7)에 인가되게 연결하여 동기 분리기(1)의 출력신호와 함께 주화면의 소스를 결정하는 스위치(SW4)의 단자(H)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스위치(SW4)의 단자(L)는 PB비데오 신호(Vpb)가 직접 인가되며 그의 공통 단자는 스위치(SW1)의 단자(H)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로 구성의 동작 상태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4 shows a main screen no-signal automatic switch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thereof, the synchronous separator 1, the level detector 2, the switch unit 3, and the switches SW1-SW3 are shown. In the existing FIG. 1 circuit configured, the PB video signal Vpb is connected to a monovibration vibrator 5 in which a resistor R1 and a capacitor C1 are connected through a synchronous detector 4 for discrimin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ynchronous signal.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mono-multivibrator 5 to the base of the inverter transistor Q1 so that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1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Vcc via the resistor R3 and simultaneously with the resistor R2. The output signal of the synchronous separator 1 is connected to the mono multi vibrator 6 to which the condenser C2 is connected,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mono multi vibrator 6 is connected to the adder 7 via the resistor R4. With the switch (SW4) to determine the source of the main screen. The circuit is connected to the ruler H, and the terminal L of the switch SW4 is directly applied with the PB video signal Vpb and its comm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H of the switch SW1.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state and the effect of the configuration are as follows.

본 고안은 주화면의 신호 소스가 PB비데오 신호(Vpb) 또는 가상 비데오 신호중에서 선택되는데, 제4도에서 동기검출기(4)는 PB비데오 신호(Vpb)가 없을 경우에만 하이 신호를 만들어주는 것으로, 신호가 없는 경우 동기검출기(4)의 하이 상기 출력이 모노멀티 바이브레이터(5)에 인가되어 저항(R1)과 콘덴서(C1)의 시정수값에 의해 그의 출력단으로 제5a도와 같은 파형이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1)는 그의 콜렉터 출력단으로 제5b도와 같이 반전된 파형을 출력시켜 모노멀티 바이브레이터(6)에 인가되어 저항(R2)과 콘덴서(C2)의 시정수 값에 의해 그의 출력단으로 제5c도와 같은 파형이 출력되고, 이 출력된 파형은 가산기(7)에 인가되어 동기분리기(1)의 출력동기 신호와 더해져 제5d도의 파형과 같은 가상 신호가 스위치(SW4)의 단자(H)에 인가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source of the main screen is selected from the PB video signal (Vpb) or the virtual video signal. In FIG. 4, the synchronous detector 4 generates a high signal only when there is no PB video signal (Vpb). If no signal is present, the high output of the synchronous detector 4 is applied to the monovibration vibrator 5 to output a waveform as shown in FIG. 5A to the output terminal thereof by the time constant values of the resistor R1 and the capacitor C1. The transistor Q1 is applied to the base of Q1) and outputs an inverted waveform to the collector output terminal thereof as shown in FIG. 5B. The transistor Q1 is applied to the multiplier vibrator 6, and is applied by the time constant values of the resistors R2 and C2. A waveform as shown in FIG. 5c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thereof, and the output waveform is applied to the adder 7 and added to the output synchronous signal of the synchronous separator 1 so that a virtual signal like the waveform shown in FIG. 5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switch SW4. ( H) will be applied.

그리고 주화면 신호의 유무에 따라(주화면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스위치(SW4)가 단자(H)로 절환됨)가산기(7)를 통과한 제5d도의 가상 신호와 PB비데오 신호(Vpb)가 스위치(SW4)의 절환에 따라 선택되어 주화면의 호면 소스가 된다.The virtual signal of FIG. 5d and the PB video signal Vpb which have passed through the adder 7 are switch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ain screen signal (when there is no main screen signal, the switch SW4 is switched to the terminal H). I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SW4) and becomes the surface source of the main screen.

또한, PIP 인버트 신호(Tp)혹은 동기 검출신호(주화면이 없는 경우 스위치(SW3)가 단자(H)로 절환됨)에 의해 스위치(SW3)에서 주화면 오디오 신호(MA)가 선택된다.In addition, the main picture audio signal MA is selected by the switch SW3 by the PIP invert signal Tp or the synchronization detection signal (when the main picture does not exist, the switch SW3 is switched to the terminal H).

그리고 이하의 동작은 기존의 동작과 같이, 소화면 소스인 EE 비데오 신호(Vee)가 동기분리기(1)에서 동기 부분만이 선택되어 레벨검출기(2)에 입력되고, 수직 동기 부분에서 하이레벨로 스위치부(3)의 PIP 비데오 화면을 만들기 위해 PIP 스위치 신호(Sp)와 프레임 신호(F)를 접지시키고, PB비데오 신호(Vpb)와 EE비데오신호(Vee)는 원하는 PIP 비데오 화면을 만들기 위해 PIP 스위치 신호(Sp)에 의해 스위치(SW1)에서 선택되고, 또한 이 선택된 신호와 PIP에지신호(Ep)는 전술한 프레임 신호(F)에 의해 완전한 PIP 비데오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 스위치(SW2) 선택하게 된다.In the following operation, as in the conventional operation, the small picture source EE video signal Vee is inputted to the level detector 2 by selecting only a synchronization part in the synchronization separator 1, and going to a high level i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part. The PIP switch signal Sp and the frame signal F are grounded to make the PIP video screen of the switch unit 3, and the PB video signal Vpb and the EE video signal Vee are PIP to make the desired PIP video screen. The switch signal Sp is selected by the switch SW1, and this selected signal and the PIP edge signal Ep are selected by the above-described frame signal F to select the switch SW2 to form a complete PIP video screen. do.

오디오의 경우는 항상 주화면의 오디오 신호(MA)가 선택되므로 PIP 인버터(Tp)인 경우 스위치(SW3)에 의해 주화면신호(MA)가 선택하게 된다.In the case of audio, since the audio signal MA of the main screen is always selected, in the case of the PIP inverter Tp, the main screen signal MA is selected by the switch SW3.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주화면 무신호시 화면 자동 절환회로는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주화면의 소스가 없는 경우에 외부에서 가상의 신호를 만들어 소화면의 열화를 방지시키며, 오디오는 소화면으로 자동 절환되도록 함으로서 항상 안정된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Therefore, the main screen no-signal automatic switch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eterioration of the small screen by making a virtual signal from the outside when there is no source of the main screen as described above, and automatically switches the audio to the small screen.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always watch a stable screen.

Claims (1)

동기분리기(1)와 레벨검출기(2) 및 스위치부(3), 스위치(SW1-SW3)를 포함하는 VCR의 화면 절환회로에 있어서, PB비데오 신호(Vpb)는 동기검출기(4)를 거쳐 저항(R1)과 콘덴서(C1)의 시정수를 갖는 모노멀티 바이브레이터(5)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모노멀티 바이브레이터(5)의 출력은 인버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가 저항(R2)과 콘덴서(C2)의 시정수를 갖는 모노멀티 바이브레이터(6)에 접속되며, 모노멀티 바이브레이터(6)의 출력은 동기 분리(1)의 출력과 함께 가산기(7)에서 더해져 주화면의 신호 소스를 결정하는 스위치(SW4)의 단자(H)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스위치(SW4)의 단자(L)는 PB비데오 신호(Vpb)가 직접 인가되며 그의 공통 단자는 스위치(SW1)의 단자(H)에 연결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면의 무신호의 화면 자동 절환회로.In the VCR screen switching circuit including the synchronous separator (1), the level detector (2), the switch section (3), and the switches (SW1-SW3), the PB video signal (Vpb) is passed through the synchronous detector (4). Connected to the monomultivibrator 5 having the time constant of R1 and condenser C1, and the output of the monomultivibrator 5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inverter transistor Q1 so that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1 It is connected to the monomultivibrator 6 having the time constant of the resistor R2 and the capacitor C2, and the output of the monomultivibrator 6 is added in the adder 7 together with the output of the synchronous separation 1 and the main screen It is configured to be applied to the terminal (H) of the switch (SW4) for determining the signal source of the, and the terminal (L) of the switch (SW4) is applied directly to the PB video signal (Vpb) and its common terminal of the switch (SW1) Automatic switching of the no-signal screen of the main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terminal (H) A.
KR2019870018600U 1987-10-31 1987-10-31 Automatic screen converting circuit KR90001035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8600U KR900010357Y1 (en) 1987-10-31 1987-10-31 Automatic screen convert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8600U KR900010357Y1 (en) 1987-10-31 1987-10-31 Automatic screen converting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815U KR890009815U (en) 1989-05-31
KR900010357Y1 true KR900010357Y1 (en) 1990-11-10

Family

ID=1926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8600U KR900010357Y1 (en) 1987-10-31 1987-10-31 Automatic screen converting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357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815U (en) 198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2880A (en) Multi-system television receiver
JPH0566076B2 (en)
US4660084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selectable video input signals
CA1303227C (en) Synchronizing signal automatic selecting circuit
KR900010357Y1 (en) Automatic screen converting circuit
JPH1198422A (en) Video signal discrimination circuit
US4612577A (en) Video signal processor with selective clamp
US4860099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VTR system
KR970011026B1 (en) Circuitry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control speed of a phase - control circuit
KR890004764Y1 (en) Video switching circuit
EP0189055A2 (en) Television synchronizing signal processing circuit
JPS6262102B2 (en)
KR900001325Y1 (en) Synchronizing devision circuit for satelite signal receiver
KR930001328Y1 (en) Picture quality improving circuit of vcr using color signal muting
JPH088694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clamp circuit used therefor
KR100349877B1 (en)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the possibility of image reproduction of the external input signal
JPH0720251B2 (en) Image synthesizer
KR910005243Y1 (en) Video system selecting circuit
KR200162300Y1 (en) Synchronous signal generating apparatus for display
JP2916392B2 (en) Color television receiver
JP3296637B2 (en) Sync separation circuit
JP2876610B2 (en) Color signal processing circuit
KR900007386Y1 (en) Syn seperating circuits of satellite receiver
JPH0748833B2 (en) Image synthesizer
KR930008447Y1 (en) Color sub-carrier signal synchronization circuit for sub-picture of t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