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093Y1 - 유아용 자동그네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자동그네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093Y1
KR900010093Y1 KR2019870021528U KR870021528U KR900010093Y1 KR 900010093 Y1 KR900010093 Y1 KR 900010093Y1 KR 2019870021528 U KR2019870021528 U KR 2019870021528U KR 870021528 U KR870021528 U KR 870021528U KR 900010093 Y1 KR900010093 Y1 KR 900010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gears
motor
support
driv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1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689U (ko
Inventor
최곤
Original Assignee
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곤 filed Critical 최곤
Priority to KR2019870021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093Y1/ko
Priority to JP1988078232U priority patent/JPH01135993U/ja
Publication of KR890012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6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0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16Driving mechanisms, such as ropes, gear, belt, motor drive

Landscapes

  • Toy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아용 자동그네의 동력전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제3도는 제2도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대 3 : 흔들대
4, 4' : 지축부 5, 5' : 지축핀
6, 6' : 연결부 7 : 그네프레임
9 : 지지판 10 : 지지부
11 : 구동모우터 11' : 구동기어
12, 12', 13, 13' : 감속기어 14, 14' : 기어
15, 15' : 연결편 16, 16' : 유동편
17, 17' : 스프링
본 고안은 모우터의 구동에 의하여 그네를 자동적으로 흔들어 주도록한 유아용 자동그네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유아용의 그네는 인위적으로 밀어서 흔들어 주어야 하였으므로 유아를 그네에 태울때에는 항시 보호자의 손길을 필요로하여 그네를 태우는 도중에는 다른 일을 볼수 없는 결점이 있었고, 또한, 일부 요람과 같은 것에서 모우터에 크랭크 완간을 연결하여 자동으로 흔들어 주도록된 유아용구가 제안된 바도 있었으나, 흔들림 동작이 딱딱하여 부자연스러울뿐 아니라 요람이 흔들리는 도중에 자칫 부주의하거나 또는 유아를 다루는 등의 원인에 의하여 동작중의 요람을 강제로 정지시킨다거나 하면 모우터에 부하가 걸림으로 인하여 모우터에 소손이 생기기 쉽게되고 관련된 연동구조가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바의 인위적인 유아용 그네 및 자동적인 요람류의 결점 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유아용 그네에 적용하므로서 보호자가 곁에 붙어서 밀어주지 않더라도 그네가 자동적으로 흔들려서 일손을 다른데에 할애할수 있을뿐만 아니라 그네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고 또한 동작중의 그네를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잡아서 강제로 정지 시킨다 하더라도 모우터와 그에 연결된 기어 등의 연동장치들은 손상이 없도록 하여 장기 사용이 가능하도록 동력전달장치에 대해 안출한 것인바, 이하, 본 고안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개의 지주(2)로 받쳐진 가대(1)의 양측 하단부에 흔들대(3)의 양측지축부(4)(4')를 지축핀(5)(5')으로 유착하여 흔들대(3)의 양측 하단부에 형성된 연결부(6)(6')에 의자(8)가 부착된 그네프레임(7)의 양단부(7')(7")를 연결하여 흔들대(3)의 흔들림에 따라 그네가 움직이도록 형성된 것에 있어서, 가대(1)의 일측단부 내측에 지지판(9)을 부착 형성하여 지지판(9)에서 돌출시킨 지지부(10)에 구동기어(11')를 가지는 구동모우터(11)를 설치하여 그 구동기어(11')와 교합되도록 지지판(9)에 각기 일체로 된 감속기어(12)(12')와 감속기어(13)(13')를 순차 교합되도록 설치하고 감속기어 (13')와 교합되도록 동일한 크기의 기어(14)(14')를 순차 교합되게 설치하여 기어 (14)(14')에 편심으로 유착한 연결편(15)(15')과 전술한 흔들대(3)의 한쪽 지축부(4)전후 양측에 유착한 유동편(16)(16')사이를 스프링(17)(17')으로 연결하여 모우터(11)의 구동에 의하여 기어(14)(1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흔들대(3)를 앞뒤로 흔들어 주므로서 그네가 자동 작동되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구동모우터(11)는 가대(1)내부 일측 건전지 케이스(18)내에 수장된 건전지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되었고 또한, 모우터(11)는 관련 전자회로 및 마이크와 연관 구성하여 유아의 울음소리에 의하여 일정시간동안만 작동되게 할수도 있다.
도면중 부호 19는 전원스위치, 19'는 울음소리 감지스위치, 20은 흔들림 속도조절놉을 각각 표시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의자(8)에 유아를 태우고 모우터(11)를 가동하면 구동기어 (11')가 회전하면서 그에 교합된 감속기어(12)를 회전시켜 주게되고, 감속기어(12)가 회전하면 그에 일체로 형성된 감속기어(12')가 그 감속기어(12')에 교합되어 있는 감속기어(13)를 일체로 형성된 감속기어(13')가 그 감속기어(13')에 교합되어 있는 기어(14)와 기어(1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되고, 이에 따라 기어(14)(14')에 각각 편심으로 유착된 연결편(15)(15')들이 기어(14)(1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회전 운동을 하면서 그에 스프링(17)(17')으로 연결된 유동편(16)(16')들을 교대로 연속 승강 작동시켜 주게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유동편(16)(16')의 외단부들이 교대로 승강되면 그 유동편(16)(16')들이 흔들대(3)의 지축부(4)를 지축편(5)을 중심으로 하여 앞뒤방향으로 유동시켜줌에 따라 흔들대(3)가 앞뒤로 흔들리고 그에 그네프레임(7)으로 연결된 의자(8)또한 앞뒤로 그네운동을 하게 되어 그네를 자동적으로 작동시킬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같이 그네가 작동중에 유아를 다루거나 또는 부주의 등의 이유에 의하여 그네의 흔들림을 강제로 멎도록 하여도 구동부 자체에서는 스프링(17)(17')이 신축하면서 기어(14)(14')를 회전가능하게 하여주므로 모우터(11)에는 그다지 큰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어 모우터(11)가 소손되지도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그네를 자동적으로 작동시킬수 있으므로 보호자의 바쁜 일손을 덜을수가 있고, 구동장치와 그네가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흔들림 동작이 부드러울뿐만 아니라 동작중의 그네를 강제로 멈춘다 하더라도 스프링이 신축되면서 모우터에 걸리는 부하를 완충하게 되므로 모우터가 소손되는 일이 없이 장기간 사용할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Claims (1)

  1. 지주(2)들로 받쳐진 가대(1)의 하단부에 흔들대(3)의 양측 지축부(4)(4')를 지축핀(5)(5')으로 유착하고 흔들대(3)의 양측하단 연결부(6)(6')에 의자(8)가 부착된 그네프레임(7)의 양단부(7')(7")를 연결하여서 의자(8)가 흔들림 될 수 있게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대(1)의 일측 단부 내측에 부착한 지지판(9)의 지지부(10)에 구동기어(11')를 가지는 구동모우터(11)를 설치하여 그 구동기어(11')와 순차로 교합되도록 지지판(9)에 각기 회전가능토록 장착된 감속기어(12)(12')(13)(13')와 기어(14)(14')를 설치하면서, 상기 기어(14)(14')에서 각각 편심을 갖도록 유착한 연결편(15)(15')과 흔들대(3)의 한쪽 지축부(4)의 전후 양측에 유착한 유동편(16)(16')사이를 스프링(17)(17')으로 연결하여서 구동모우터(11)의 회전동력이 흔들대(3)왕복 흔들림으로 전달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동그네의 동력전달장치.
KR2019870021528U 1987-12-07 1987-12-07 유아용 자동그네의 동력전달장치 KR900010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1528U KR900010093Y1 (ko) 1987-12-07 1987-12-07 유아용 자동그네의 동력전달장치
JP1988078232U JPH01135993U (ko) 1987-12-07 1988-06-1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1528U KR900010093Y1 (ko) 1987-12-07 1987-12-07 유아용 자동그네의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689U KR890012689U (ko) 1989-08-07
KR900010093Y1 true KR900010093Y1 (ko) 1990-10-31

Family

ID=1927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1528U KR900010093Y1 (ko) 1987-12-07 1987-12-07 유아용 자동그네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1135993U (ko)
KR (1) KR900010093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5678A (en) * 1987-04-06 1988-11-22 Gerber Products Company Swing drive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35993U (ko) 1989-09-18
KR890012689U (ko) 198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8566A (en) Device for driving a childcare apparatus for infants
JP2988662B2 (ja) 可動玩具
JPS63302879A (ja) 揺動体の駆動機構
KR900010093Y1 (ko) 유아용 자동그네의 동력전달장치
CA1280675C (en) Contact lens washing apparatus
US5002144A (en) Device and method for imparting oribtal motion to a wheeled carriage
KR890000134A (ko) 활동완구의 소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 완구
CN111166107A (zh) 婴幼儿照料设备及驱动机构
CA2227885C (en) A movement assembly particularly for the legs of a doll
EP0606815A1 (en) Improved cradle
JPH0737675Y2 (ja) 走行玩具
JP3059588U (ja) 軌道装置
CN210521754U (zh) 一种舞蹈动作玩具
CN2132545Y (zh) 电动呼啦娃玩具
CN217355418U (zh) 一种具有换向功能的轨道车用齿轮箱
KR910008960Y1 (ko) 유아요람 구동장치
CN212214586U (zh) 一种三维动画摇摆机
KR940000319Y1 (ko) 유아용 요람
KR900008589Y1 (ko) 유아용 요람
KR930003814Y1 (ko) 요동장치를 구비한 유아용 침대
KR0129222Y1 (ko) 자동운동장치가 부착된 그네
KR830000476Y1 (ko) 유아용 그네
KR200355732Y1 (ko) 스윙요람 구동장치
GB2290596A (en) Motor-driven rocking device eg for a baby's chair, hammock or crib
JPH0310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